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찬(倪瓚, 1301-1374): 신화와 진실

        장진성 ( Chin Sung Chang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6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7 No.-

        원말사대가(元末四大家)의 한 사람인 예찬(倪瓚, 1301-1374)은 중국 문인화의 대표적인 인물로 인식되어 왔다. 전경에 높이 솟은 나무들, 텅 빈 정자, 적막감이흐르는 강 등을 특징으로 하는 그의 그림들은 원나라 말기의 혼란기에 살았던 재야 지식인의 내면 풍경을 극명하게 보여 주는 그림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이른바 ‘원대 회화 혁명(the Yuan revolution in painting)’, 즉 문인화(文人畵)의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예찬은 원말사대가 중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화가로 여겨졌다. ‘자아 표현(self-expression)’이 핵심인 문인화의 본질을 대변했던 인물이 예찬이다. 예찬의 그림에 보이는 절대적 적막감과 간결하고 정제된 화면 구성은 그의 내면세계를 표현해 주는 시각적 특징으로 해석되어 왔다. 따라서 예찬의 그림은 늘 그의 인생을 보여 주는 ‘자전(自傳)적 회화’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현재남아 있는 그의 작품들을 분석해 보면 과연 그의 그림들을 자전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이 작품들은 모두 예찬 본인을 위해 그려진 것이아니다. 이 그림들은 모두 다른 사람들을 위해 그린 작품들이다. 현전하는 예찬의 그림 속에서 그의 ‘목소리’를 발견하기는 어렵다. 하문언(夏文彦, 14세기 중·후반에 활동)에 따르면 예찬은 만년에 그의 그림을 원하는 사람들의 요구에 응하여 소략한 그림들을 다수 그려 주었다고 한다. 특히 이와 같이 대충 그려준 ‘응수화(應酬畵)’는 마치 예찬이 아닌 다른 사람이 그린것으로 여겨질 만큼 성의가 없었다고 한다. 예찬은 고고(孤高)한 성격으로 세상과 등을 지고 산 인물이 아니었다. 그는 많은 사람들의 그림 요구에 응하여 다수의 그림을 그렸다. 따라서 그가 그린 그림들은 거의 대부분 응수화였다. 응수화는 ‘자아 표현’과 상관없는 그림들이었다. 즉 예찬의 그림에는 본인 자신에 관한 것이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예찬의 그림은 결코 자전(自傳)적인 그림이 아니다. 후대에 예찬이 ‘고결(高潔)’한 인물로 추앙받게 된 것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그의 결벽증조차 탈속(脫俗)적인 특징으로 이해되었다. 아울러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에 예찬 화풍으로 그려진 그림이 상인층에게 큰 인기를 끌었으며 ‘아속(雅俗)’을 구별하는 기준이 된 것은 흥미롭다. 예찬 그림의 대부분은 그의 자아를 보여 주는 그림이 아니라 그림 요청에 따라 그린 응수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후대에 예찬 그림은 ‘일품(逸品)’으로 인식되었으며 이러한 후대의 인식은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Ni Zan (1301-1374), one of the “Four Great Masters” of late Yuan painting, is considered a prototypical literati painter famous for his reputed “pure loftiness” of spirit and detachment from worldly concerns. His minimalist, drybrush style, featuring angular rocks and sparsely foliaged trees, is iconic in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which impacted later painters. Ni established a composition of tall trees, rocks, and an empty pavilion by the shore, set against an expansive, level-distance vista, a composition that is closely related to his psychological selfhood during the turbulent years of the late Yuan period characteristic of peasant revolts and dynastic change. He painted virtually the same compositions throughout his entire life and saw them as symbolic of himself and his world. The dramatic change in his life from a wealthy landowner to a lone wanderer living in a houseboat played a central role in making him a noble recluse expressing his self in paintings. Ni Zan became something of a legend in later times embodying the essence of literati painting. Ni’s “empty pavilion” imagery became the enduring model for later painters who found in his simplicity of style and independence of spirit a source of inspiration. He was not one of the “Four Great Masters” until the late Ming period when eminent cultural luminaries such as Dong Qichang (1555-1636) attempted to replace Zhao Mengfu (1254-1322) with him. Late Ming literati made concerted efforts to establish Ni Zan as a cultural hero representing the ideals of elegance, loftiness, and detachment. Popular imagination further helped the veneration of Ni Zan as a noble recluse. Popular stories about Ni such as his obsession with cleanliness gained wide currency and came to be frequently retold in the late Ming and Qing periods. Recent studies, however, have offered different accounts of Ni Zan, the most politically disengaged and eccentric of late Yuan painters. He has been considered a lofty recluse in self-imposed isolation pursuing the aesthetics of remoteness, solitude, tranquility, and refinement in paintings. Ni Zan was, in fact, not detached from worldly concerns. He socialized actively with government officials and local magistrates and created poems and paintings for them. Ni was never isolated. Ni was under constant pressure to complete commissioned paintings. He was busy responding to clients’ and patrons’ requests. This image of Ni Zan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what we have of him. Recent revisionist readings of Ni’s character and relationship to the conditions of his age have offered an insight into the ways in which his reputed “pure loftiness” has been historically and culturally constructed. The invention of Ni Zan is inseparable from the long historical process in which our way of perceiving and interpreting the painter has been formulated. The contradictory accounts and competing interpretations of Ni Zan will lead us to look into how changes in interpretive practices, critical vocabularies, cultural demands, and the intervention of influential critics serve to create the image of the late Yuan painter as a cultural hero. Examination of each period’s changing perceptions of Ni will shed light on the ways in which the painter was transformed from an eccentric in early times into a noble recluse embodying a moral ideal in later periods.

      • SCOPUSKCI등재

        비합법적으로 발표된 국내 목본식물의 학명

        장진성,김휘,Chang, Chin-Sung,Kim, Hui 한국식물분류학회 2002 식물 분류학회지 Vol.32 No.3

        선만실용임업편람(鮮滿實用林業便覽) 및 Mori의 한선식물명휘(韓鮮植物名彙)에 실린 Nakai의 많은 나명들이 비합법적으로 발표된 이름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식물도감에서 지속적으로 잘못 사용하고 있다. 지난 30여년간 일부 국내학자들에 의한 새로운 조합명도 기본명이 발표된 문헌과 저자, 발표년도 등에 대한 기재가 없어 비합법적으로 발표된 학명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신종기재시 요구되는 기재와 표징뿐 아니라 기준표본에 대한 언급을 명확하게 밝히지 않거나 혹은 문헌상으로만 기준표본이 존재하고 실질적으로 기준 표본을 보관하지 않은 식물명은 모두 나명이거나 혹은 비합법적으로 발표된 학명들이다. 이러한 학명들은 더 이상 사용되어서는 안되는 이름들이다. 목본식물 중 이전의 문헌에서 간과하기 쉬운 비합명을 정리한 본 연구가 다른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초본에서도 이와 같은 연구가 시도될 수 있기를 바란다. Several people called our attention to two books in which many new name were made by T. Nakai. Upon checking Mori and Handbook of Korea-Mandschurian Forestry, we found that there were more than 50 apparently overlooked and naked names for the Korean woody plants. Also, new combinations or avowed substitutes of some woody plants by several authors (Y. Lee, T. Lee and W. Lee) based on previously and validly published names were not validly published because their basionyms or the replaced synonyms were not clearly indicated and a full and direct reference was not given to their authors and places of valid publications, with pages or plate references and dates. These names should not be used any more. We consider it useful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invalid names of woody plants are enlisted here. Hopefully, this note will alert other researchers to look into these works for other herbaceous Korean plants.

      • KCI등재

        한국산 분비나무와 구상나무의 형질분석과 종간유연관계

        장진성,전정일,현정오 ( Chin Sung Chang,Jeong Ill Jeon,Jung Oh Hyun ) 한국산림과학회 1997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6 No.3

        Ten total populations of Korean fir (Abies koreana Wilson) and Manshurian fir [A. nephrolepis (Traut.) Maxim.] were sampled from south Korea to investigate patterns of intraspecific variation in these species and to evaluate a recognition of the two specie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both on seed-cone data and on needle morphology data. The characters that contributed most to the separation between A. koreana and A. nephrolepis along three principal components axis were leaf width, length of seed, width of seed wing, length of seed wing, cone width, width of scale, and length of bract tip, but these characters were not diagnostic because of overlap in reality. Therefore, all these characters were not reliable in distinguishing these two taxa including bract position (exerted and recurved vs. exerted and straight). The individuals of A. koreana from Mt. Chi-ri appeared quite unique probably on account of its larger cone size and longer scale tip, while those from Mt. Hal-la of A. koreana were generally distinct from others in terms of their larger seed and seed wing and longer scale width. The Mt. Duk-yu specimens of A. korecana appeared somewhat smaller but more data were needed due to the small sampling size. Generally, the gradual clinal geographic trends made evident by the position of resin ducts in leaves of A. koreana can be detected. The southern populations, Mt. Hal-la (an insular population) were generally distinct from the northern populations (Mt. Chi-ri, Mt. Ga-ya and Mt. Duk-yu) in terms of their position of resin duct (medial, within mesophyll vs marginal, close to epidermis : 100% vs 75 or 50%). Although no sharp boundary separating these two species could be detected based on cone and needle morphology, the observed clinal pattern was distinct in northern populations of A. koreana and southern population of A. nephrnlepis. In a preceding study of the flavonoids variation of 20 species in eastern Asia, flavanone (5-deoxyflavanone) was found to be characteristic of A. faxoniana Rehder et Wilson, A. georgei Orr of China and A. koreana of Korea. A. faxoniana, which is assumed to be primitive species, has position of resin duct relative to both the medial and the marginal, while A. georgei and A. koreana rrre identified by marginal position of resin duct. With respect of foliar flavonoids c:emistry, A. koreana was distinct from A. nephrolepis : the southmost samples (Mt. Hal-la and Mt. Chiri) contained additional flavonoids derivatives (mainly flavanone) that were not found in the northmost samples of A. nephrolepis except a few individuals from Mts. Seo-rak and Tae-bak populations of Kwang-won province. The presence of A. koreana type flavonoids in two Chinese species suggested that position of resin duct may be a phyletic character. Abies koreana including two Chinese taxa, exhibited the most elaborate and specialized flavonoids profile within the Abies in eastern Asia. Contrary to our initial expectations, the apparent intermediates between A. nephrolepis and A. koreana in Duk-yu and Ga-ya mountains were found. The pattern of variation on position of resin duct and flavonoids chemistry in these populations of A. kareana suggested that genetic interchange or natural hybridization had occurred between these two species. The evidence needed to resolve the status of this taxon is still inconclusive in our opinion until intermediate individuals from Mts. Duk-yu and. Ga-ya show indication of hybridization between the two species.

      • SCOPUSKCI등재

        한국산(韓國産) 고로쇠분류군(分類群)에 대한 재고(再考)

        장진성,Chang, Chin-Sung 한국식물분류학회 2001 식물 분류학회지 Vol.31 No.3

        분류학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고로쇠 분류군(Acer pictum complex)은 한국, 중국, 일본의 고로쇠와 여러 변종 이외에 만주고로쇠, 우산고로쇠 등이 포함된다. 고로쇠 분류군의 주요 형질은 대부분 열매의 크기, 각도, 날개의 크기, 잎의 결각 등 정량형질로 인정되고 있어, 본 연구는 한중일(韓中日)의 125개체, 17개의 정량 형질, 5개의 형질간 비율 등 모두 22개의 형질로 다변량(PCA분석)과 단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변량분석에 의하면 3개의 성분(PC) eigenvalues 누적비율이 0.59(ca. 59%)로서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고 대부분 PCA상의 좌표 중앙에 몰리면서 종간 차이가 중첩되었다. 분포 영역의 동쪽에 분포하는 울릉도의 우산고로쇠는 열매와 잎의 형태에 있어 일본의 서쪽연안(일본해(日本海)=동해(東海))의 개체들과 중첩되었다. 한국의 경기도 서해안과 강원도 일대의 일부 개체중 중국 동북부에 분포하는 만주고로쇠형이 일부 관찰되었지만 한국의 고로쇠와 전형적인 만주고로쇠형(날개와 종자의 비=0.7이상)의 중간 형태를 확인하였다. 조사 형질중 날개의 길이, 날개/종자 길이의 비, 열매 각도는 우산고로쇠, 티벳고로쇠, 만주고로쇠 등을 구분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한중일(韓中日)의 고로쇠 개체를 포함할 경우 모두 연속 변이로 확인되어 종간 식별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중국 내륙에서 일본까지 분포하는 고로쇠와 중국 동북부지역에서 황하강이북, 한국 북부, 중부지방의 경기도섬과 강원도지역에 분포하는 만주고로쇠, 울릉도의 우산고로쇠, 중국 남부에서 일본 Hokkaido이남에서 한국의 남부에 분포하는 털고로쇠는 모두 하나의 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조사된 정량적 형질이외에 종간 식별에 중요한 정성적 형질(털의 유무, 수피형태)과 지리적 분포를 고려하여 국내 분포하는 분류군을 고로쇠, 털고로쇠, 만주고로쇠 등 3 변종으로 정리하였다. Acer pictum complex (A. pictum Thunb. ex Murray with varieties, A. okamotoanum Nakai, A. truncatum Bunge) in eastern Asia causes frequent difficulty in identification. One hundred twenty five specimens from A. pictum complex of China, Korea and Japan and A. cappadocicum var. sinicum of China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patterns of intra- and interspecific variation and to evaluate a recognition of several species as well as many varieties using 22 characters for morphometric analysis. The first three PCA accounted for 59% of the total variance. No strong discontinuities existed among taxa with respect to fruit and leaf characters. Much overlap among all taxa occurred the central region of the scatter diagram. Many characters appeared to show some clinal variation with changes from east of China to Japan through Korea. This was true not only when all species as considered as a single taxon, but when characters of individual taxa were compared with geography. As one considers a path from the western part of the ranges to areas to the east, the leaves become larger in most respects and become increasingly many lobed (five to seven or nine). In general, there was a tendency toward larger nutlet with smaller wing in the area toward northeast of China (=A. truncatum), while in the east of ranges (Island Ullung-do), plants were larger with respect to characters of fruit and leaves (=A. okamotoanum). The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between A. okamotoanum and Japanese and Korean individuals of A. pictum was not considered sufficient to warrant recognition of either specific or varietal status and should be treated as con specific under A. pictum var. mono. Since the lectotype of Acer pictum had minute hairs uniformly on the under surface of leaves(A. pictum var. pictum), the glabrous type of A. pictum was called A. pictum var. mono as Ohahsi suggested. The univaraite analysis (the mean and maximum/minium of nutlet size and wing/nutlet length ratio) indicated geographical differentiation of northeastern populations, A. truncatum, was distinctive, but Korean individuals of A. truncatum showed an affinity between Chinese individuals of A. truncatum and Korean individuals of A. Pictum var. mono. The current results, together with qualitative character, trunk features, justify subspecific status for this taxon. The previous varieties of A. mono in Korea were indistinguishable from typical form of A. Pictum var. mono on the basis of the wing angle and nutlet size, rejecting continued recognition of these taxa as distinctive varieti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only one polymorphic species of A. pictum be recognized in addition to three varieties.

      • KCI등재

        한국수목의 학명에 대한 재고

        장진성 ( Chin Sung Chang ),김휘 ( Hui Kim ) 한국산림과학회 200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2 No.1

        After Lee, Tchang Bok`s Illustrated Flora of Korea was published, additional work on the flora of the Korean peninsula has provided numerous new records. Further, many nomenclatural changes have occurred and necessitate an update of the list. This current correct name list will be heIpful to plant systematists, foresters, ecologists, horticulturists and non-professionals who are interested in the woody plants of Korea. The arrangement of this list is designed for six cases , taxonomic synonyms, nomenclatural synonyms, taxonomic rank transfer, orthographic or typographical errors, author citation errors and invalid names. It is necessary to document the records, adequately preserved plant specimens with habitat and location data as well as distribution maps ir the near future.

      • KCI등재

        논문 : 1차종발생자료를 응용한 지리참조연산표준화 및 자료 품질 관리의 필요성 -쇠무릎과 털쇠무릎의 적용 사례-

        장진성 ( Chin Sung Chang ),장계선 ( Kae Sun Chang ),안영섭 ( Yong Sup Ahn ),김휘 ( Hui Kim ) 한국임학회 201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1 No.2

        한약재 우슬로 알려진 쇠무릎과 털쇠무릎 두 변종 식물표본자료의 지리참조연산 표준화 작업을 통해, 1차종 발생데이터를 수집하면서 발생된 오류의 특성과 발생 원인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재동정의 경우, 변종 수준의 동정에서는 쇠무릎의 경우 41%, 털쇠무릎의 경우 28%가 오동정으로 확인되었지만, 동정자의 동정신뢰도 수준은 변종의 동정 정확도와 무관하였다. 전체 303개 표본자료 중 71점의 지리참조연산을 실시하여 산출된 불확실성의 범위는 0.1297 km(최소)-32.4 km(최대), 평균 4,055m, 표준편차 5,772m로 확인되었다. 털쇠무릎은 한반도 중부에 넓게 분포하였으나, 쇠무릎은 경상남도와 전라남도를 포함한 남부해안 지역과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였다. 바이오클림(Bioclim) 분포모델을 적용한 결과, 쇠무릎의 최적생육지역은 남부지방 및 서부해안지역인 반면, 털쇠무릎의 경우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 중부지역임을 확인하였다. 두 분류군이 위도상으로 구분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기후 인자 중 강수량보다는 기온인자로 확인되었다. 표본자료의 정보량을 판단하기 위해 지리참조연산결과 종의 전체적인 분포정보, 기 후 정보 모델링을 통한 최적생육분포 면적 등의 정보량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것과 같이 자료 품질 향상을 위해 최초 자료수집과 이후 입력까지 모든 관리 절차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contribution is to develop the framework of a methodology for identifying potential errors in georeferencing and in an application of it using specimens of Ox-Knee, Achyranthes bidentata Blume in Korea. At infraspecific level, uncertainty of identification showed that 41% of A. bidentata var. japonica and 28% of var. bidentata were misidentified, suggesting that the uncertainty level was independent of the reliability of experts` identification. For georeference specimen records, 71 specimens out of total 303 were selected and utilized as occurrence data: Uncertainty was 32.4 km at maximum and was 0.1297 km at minimum (mean = 4,055 m, s.d. = 5,772 m). Var. japonica is common throughout most of the southeastern Korea and west coastal areas, while var. bidentata has been found as far north as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We modelled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two varieties using Bioclim approach in Korea based on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Our results indicated the most important region for var. japonica lies the west coast ranges and southern area, while for Chungcheongnam-do of potential high diversity occurs for var. bidentata. This study shows that the major factors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wo varieties were thermal factors, rather than precipitation. The Bioclim model using geocode and georeferencing data makes the information increasingly useful and reliable. To improve data quality, it requires full management from data collection to final databases including data cleaning.

      • KCI등재

        청대의 남서방(南書房)과 사신화가(詞臣畵家)들

        장진성 ( Chang Chin-su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2

        강희제(康熙帝, 재위 1662-1722)는 수시로 학식이 높은 학자들을 곁에 두고 공부하고자 1677년에 남서방(南書房)을 설치하였다. 남서방한림(南書房翰林)들은 강희제에게 경사(經史)를 강해(講解)하고 시정(時政)에 대한 자문 역할을 하였다. 또한 이들은 황제의 조령(詔令)과 유지(諭旨)의 초안을 작성했으며 서적 편찬을 주도하였다. 아울러 남서방한림들은 강희제와 함께 시문(詩文)에 대해 토론하고 고동서화(古董書畵)를 감상하였다. 이들의 본래 임무는 강희제의 학술 자문 역할이었지만 실제로 남서방한림들은 황제의 ‘기요비서’(機要祕書)로 활동하였다. 그런데 1729년 전후에 설립된 군기처(軍機處)가 최고의 정무(政務) 기관이 되면서 옹정제(雍正帝, 재위 1723-1735)의 치세 기간에 남서방의 기능은 급속히 약화되었다. 건륭제(乾隆帝, 재위 1736-1795) 시대에 군기처가 확고하게 최고의 권력기관이 되자 남서방한림들의 정무적 역할은 완전히 사라졌다. 남서방한림들 중 일부는 관료이자 화가로 활동했는데 이들이 바로 사신화가(詞臣畵家)들이다. 사신화가들은 건륭제를 위해 다양한 그림을 그렸으며 황실에 수장(收藏)되어 있는 서화(書畵)들에 대한 정보를 집대성한 『석거보급초편』(石渠寶笈初編, 1745)을 위시해 고동서화 관련 서적의 편찬 및 간행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건륭제 시대의 문화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The emperor Kangxi (r. 1662-1722) created the Southern Study or Imperial Study (Nanshufang) so that he could have near him, on call at any time of the day or night, Chinese scholar-officials who could teach him calligraphy, help him draft edicts, or compile numerous books published by the court. The officials at the Southern Study also conversed with the emperor on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es. They were artistic and cultural advisers for the emperor, composing poems and writing prose for or with him and appreciating and evaluating antiques, paintings, and calligraphy together. They even worked as political advisers for the emperor. After the Grand Council (Junjichu) was established around 1729, the political role of the Southern Study came to be radically diminished. During the Qianlong period (1736-1795), the role of the Southern Study was limited to the areas of art and culture. Among the members of the Southern Study, the scholar-official painters at the Qianlong court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art and culture. They created numerous paintings for Qianlong, catalogued the bronzes, jades, mirrors, ceramics, paintings, and calligraphy in the Qing imperial collection, and appreciated and authenticated works of art with the emperor. They were at the center of the artistic and cultural efflorescence of the Qianlong era.

      • KCI등재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에 출판된 동아시아 관속식물 생물다양성 정보 현황과 자료품질 분석

        장진성 ( Chin-sung Chang ),권신영 ( Shin-young Kwon ),김휘 ( Hui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2

        생물다양성정보학(Biodiversity Informatics)은 정보과학을 생물다양성정보에 접목한 분야로 정이명으로 구성된 학명을 비롯한 종정보를 기초로 일차종발생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다양성 정보의 이용적합도를 기준으로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에 출판된 동북아시아 자료의 품질을 BRAHM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이를 통해 생물다양성자료 정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국립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 국립수목원 등의 국내 생물다양성 관련기관과 더불어 일본, 중국, 대만의 출판 자료는 자료정제과정의 문제로 학명, 지리정보, 채집자, 날짜 등에 대한 오류가 확인된다. 기본적인 속성자료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원인은 동아시아의 생물다양성관리기관들이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평면적인 스프레드시트형 정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생물다양성 정보 특성상 다양한 정보가 구조화가 되지 않을 경우 학명, 인명, 지명, 문헌, 생태정보에 대한 데이터 무결성을 해결하지 못한다. 동아시아 생물다양성정보 관리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구조화와 함께 자료정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오류 수정을 위한 지속적인 자료 관리자인 전문 분류학자 양성이 필요하다. 생물다양성 정보관리자는 오류 원인분석을 통해 문서화된 관리 지침을 수정, 추가하는 등 향후 오류 예방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며 시스템에 적용시켜야 한다. 이런 모든 과정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진행되고 기록되어야 한다. 동아시아의 생물다양성 출판자들은 현재 수준의 단순한 자료구조보다는 생물다양성 정보 관리를 위해 전문적인 선진 프로그램의 사용 혹은 이에 준하는 수준의 고도화된 데이터베이스의 개발이 필요하다. Biodiversity informatics applies information technology methods in organizing, accessing, visualizing, and analyzing primary biodiversity data and quantitative data management through the scientific names of accepted names and synonyms. We reviewed the GBIF data published by China, Japan, Taiwan, and internal institutes, such as NIBR, NIE, and KNA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assessed data in diverse aspects of data quality using BRAHMS software. Most data from four Asian countries have quality problems with the lack of data consistency and missing information on georeferenced data, collectors, collection date, and place names (gazetteers) or other invalid data forms. The major problem is that biodiversity management institutions in East Asia are using unstructured databases and simple spreadsheet-type data. Owing to the nature of the biodiversity information, if data relationships are not structured, it would be impossible to secure the data integrity of scientific names, human names, geographical names, literature, and ecological information. For data quality, it is essential to build data integrity for database management and training systems for taxonomists who are continuous data managers to correct errors. Thus, publishers in East Asia play an essential role not only in using specialized software to manage biodiversity data but also in developing structured databases and ensuring their integration and value within biodiversity publishing platforms.

      • KCI등재

        조선 전기 회화와 ‘연사모종(煙寺暮鍾)’

        장진성 ( Chin-sung Chang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2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9 No.-

        〈산수도〉는 16세기에 안견파(安堅派) 화풍으로 그려진 전형적인 조선 전기의 회화작품이다. 이 그림은 표면적으로 보면 특정한 주제가 없는 ‘일반 산수화(generic landscape painting)’처럼 보인다. 그런데 이 그림의 원경(遠景)에 보이는 연무(煙霧)에 잠겨 있는 사찰은 〈산수도〉가 연사모종도라는 것을 알려 준다. 연사모종도를 구성하는 정확한 도상(圖像)적 요소들은 분명하지 않지만 강 너머 또는 언덕 위에 있는 곳을 보여 주는 공간적 거리감, 안개에 싸여 있는 사찰, 저녁 시간, 종소리를 듣는 인물들이 중요한 시각적 특징들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길을 걸어가는 행인(行人)들, 안개에 싸여 있는 사찰, 저녁 무렵의 풍경이 나타나 있는 〈산수도〉는 특정한 주제가 없는 일반 산수화가 아니라 ‘소상팔경(瀟湘八景)’ 중 한 장면을 그린 〈연사모종도〉라고 할 수 있다. 이 그림처럼 아직도 많은 작품들이 ‘산수도’라는 제목으로 전해지고 있다. 소상팔경도 병풍 및 화첩이 해체되고 이후 8폭의 그림이 단폭(單幅)으로 후대에 전해지면서 이 작품들은 ‘산수도’가 되었다. 현재 메트로폴리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우중행려도(雨中行旅圖, Rainy Landscape with Travelers)〉는 전경에 보이는 다리를 건너는 승려를 근거로 〈연사모종도〉로 추정되고 있다. 그런데 〈우중행려도〉에는 사찰이 그려져 있지 않다. 안개가 산과 계곡에 자욱하지만 사찰은 화면에 보이지 않는다. ‘연사모종’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안개에 싸인 절[煙寺]’이 이 그림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우중행려도〉는 연사모종도로 불릴 어떤 근거도 없다. 〈우중행려도〉와 같이 연사모종도로 오인(誤認)될 수 있는 그림도 있지만 연사모종도로 알려진 그림이지만 연사모종도가 아닌 그림도 존재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야마토분카칸(大和文華館)에 소장되어 있는 〈연사모종도〉이다. 〈연사모종도〉로 알려진 것은 화면의 왼쪽 상단에 적혀 있는 ‘촉사모종(燭寺暮鍾)’과 명나라 초기에 활동했던 인물인 사구소(史九韶, 15세기 초에 주로 활동)의 「소상팔경기(瀟湘八景記)」 중 ‘연사모종’에 대한 시(詩) 때문이다. 〈연사모종도〉에는 비록 사찰이 나타나 있지만 너무도 미미한 화면 구성 요소에 불과하다. 〈연사모종도〉에서 주목되는 부분은 전경에 나타나 있는 강가에 정박해 있는 배들이다. 이러한 ‘정박한 배’라는 모티프는 ‘어촌석조(漁村夕照)’ 또는 ‘원포귀범(遠浦歸帆)’을 그린 그림에 자주 등장한다. 따라서 야마토분카칸 소장의 〈연사모종도〉의 주제는 ‘연사모종’이라고 생각되지 않는다. Landscape, now in a private collection, has been considered a generic landscape painting with no specific theme. The scene of a temple enveloped in mists and clouds in the background strongly suggests that this painting depicts “Evening Bells from Mist-Shrouded Temple,” one of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The iconography of “Evening Bells from Mist- Shrouded Temple” consists of evening, temple in the misty hills, distance (across the river or up in the hills), and figures standing to listen to the sound of bells or wandering through the mist toward a distant temple. The two figures in the foreground, a man with a staff and a young attendant, and the misty temple in the background indicate that the subject of Landscape is “Evening Bells from Mist-Shrouded Temple.” Paintings of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have been disassembled. Eight round fans, eight square album leaves, eight hanging scrolls, eight screen panels, eight handscrolls, and eight sections of a handscroll, painted originally as a linked group have been taken apart, dispersed, and remounted as individual paintings. Landscape is one such example. Rainy Landscape with Travelers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shows a man with two attendants traversing a bridge in a mist-shrouded mountain valley on the way to his temple. Due to the overall evocative and misty setting and the figures, this painting is thought to depict “Evening Bells from Mist- Shrouded Temple.” However, none of the iconographic core elements of the theme is found in the Rainy Landscape with Travelers. Even the Buddhist temple is absent. The subject of Evening Bell from Mist-Shrouded Temple in the Yamato Bunkakan, Nara, Japan, has never been questioned because of the inscription on the painting, a poem on “Evening Bell from Mist-Shrouded Temple” by the Ming poet Shi Jiushao (active early fifteenth century). The misty temple seen in the upper right is too small to be visible. The moored boats and drying nets in the foreground are suggestive of the theme of the painting: either “Fishing Village in Evening Glow” or “Returning Sail off Distant Shore.” In all likelihood, the Yamato Bukankan painting has nothing to do with “Evening Bell from Mist-Shrouded Temple.”

      • KCI등재

        이용희와 빌헬름 보링거(Wilhelm Worringer)

        장진성 ( Chin-Sung Chang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2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30 No.-

        Yi Yonghui (1917-1997) was an international relations specialist. He also studied art history. He published several books o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When he was a college student, he discovered the significance of Abstraction and Empathy: A Contribution to the Psychology of Style (1908) by Wilhelm Worringer (1881-1965). Abstraction and Empathy: A Contribution to the Psychology of Style exerted considerable influence on Yi. According to Worringer, abstraction and empathy mark the two poles of artistic sensitivity. The art of abstraction is that of primitive cultures. It is non-representational art. The art of empathy is associated with realism. It is representational art that realistically and recognizably depicts the natural world from ancient Greece to the Italian Renaissance. Worringer argued that the art of abstraction was not inferior to realist art, emphasizing that aesthetic value judgements are relative. Worringer’s argument provided a source of inspiration for Yi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ainting. When he first studied Korean painting, he was deeply distressed by Japanese scholars’ arguments that Korean painting was inferior to Chinese painting. After he discovered the importance of Abstraction and Empathy: A Contribution to the Psychology of Style, he began to take a fresh look at Korean paintings whos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re unique. Armed with Worringer’s aesthetic relativism, Yi argued that Korean painting was worthy of respect in its own r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