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센싱 정보를 가진 RFID 태그 객체의 다차원 색인 구조

        이승주(Seungju Lee),류우석(Wooseok Ryu),박재관(Jaekwan Park),홍봉희(Bonghee Hong)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센서태그(Sensor Tag)는 기존의 RFID 태그의 특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사물의 온도 · 습도와 같은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여 냉장 제품 등의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는 태그이다. 이러한 센서태그에 의해 획득된 정보, 즉 센싱 데이터는 리더의 인식 영역 안에서만 획득할 수 있으며 센싱 데이터가 변화할때마다 보고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보고를 하는 특징이 있다. 기존의 RFID환경에서는 센싱 데이터를 단순히 속성 정보로 관리하므로 영역질의 등 센서태그 객체에 대한 질의를 처리하기 위해서 많은 연산이 필요하며 복합 질의 시 시스템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태그 객체의 특성을 고려한 통합 데이터 모델을 제시하고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색인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동일 리더 인식영역 내의 센싱 데이터가 특정 값으로 집중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데이터 삽입 시 강제 합병 기법을 이용하여 노드의 중첩으로 인해 검색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해결한다.

      • KCI등재

        재난기본소득의 논의가 기본소득에 대한 언론의 보도 태도에 미친 영향 : 재난기본소득 논의 이전과 이후의 기사 비교를 중심으로

        이승주 ( Lee Seungju ),유수진 ( You Suzin ) 한국행정연구원 2021 韓國行政硏究 Vol.30 No.4

        본 연구는 기본소득을 주제로 한 그간의 언론기사들을 토대로 코로나19로 인해 재난기본소득 논의가 등장하면서 기본소득에 대한 언론 보도에서 태도의 변화가 감지되는지 분석한다. 재난기본소득 논의의 전과 후를 나누는 기준일자로 ‘재난기본소득’이라는 용어가 언론에 처음 소개된 2020년 2월 26일을 선택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기준일자를 전·후로 각각 160개씩 총 320개의 기사를 표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이후 재난기본소득 논의가 등장하면서부터 기본소득과 관련된 보도가 급증함은 물론, 기본소득이 더 자주 언급되는 기사들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에는 긍정과 부정의 대립적인 기사들이 주를 이루었다면 2020년 2월 26일 이후는 긍정·부정의 양극단의 기사들은 감소하고 긍정과 부정의 뉘앙스를 모두 담고 있는 중립적인 기사의 비중이 크게 늘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본소득 언론 보도에서의 변화에 대한 다양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change of media attitude toward Basic Income since the first wave of COVID-19 hit the nation and the idea of “disaster basic income” entered the public discourse in South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compares articles published before and after February 26, 2020 when the first article introducing and advocating for disaster basic income was published. 160 articles were randomly sampled for each of the period, giving a total of 320 articles to be analyzed. This study observes a sharp increase of the number of articles containing the keyword ‘basic income’ after February 26, 2020, as well as increased occurrences of the keyword per article, alluding to an increased overall interest in basic income by the media. While the articles were more polarized before COVID-19, containing either mostly positive or mostly negative views, after the reference date we observe a shift towards more neutral views about basic income, containing a balance of positive and negative views. Various implications were drawn in terms of the changes in media framing by the media based on the results.

      • 온실측고 인상기술 및 리모델링기술의 현장적용

        이승주 ( Seungju Lee ),신동창 ( Dongchang Shin ),김태욱 ( Teawook Kim ),이종원 ( Jongwon Lee ),이현우 ( Hyunwoo Lee ),심상연 ( Sangyoun Sim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국내 측고인상기술이 주로 플라스틱온실을 대상으로 웜기어(전동방식)를 이용하여 일률적인 인상이 구현되기 어렵고 인상이 완료된 후에도 별도의 구조계산 없이 신규기둥을 보강하여 파이프가 휘거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쏠리는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압식을 이용하여 플라스틱온실과 유리온실 겸용으로 제작된 인상장치를 현장에 적용하고, 인상 후 개발한 리모델링 기술을 통해 구조적안전성을 확보 하고자 수행되었다. 장소는 전남 장흥군에 위치한 1-2W형 플라스틱온실(48mm원형/10,000㎡)에서 2014년 7월 부터 8월까지 실시되었으며, 4연동(1번온실, 2,500㎡),4연동(2번온실, 2,500㎡), 8연동(3번온실, 5,000㎡)으로 구역을 분리하여 인상장치를 4m~8m 간격으로 각각 119개, 79개, 111개 설치되었다. 인상도중 시설물 쓰러짐이나 붕괴 등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도방지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구조안전성을 확보하였다. 인상장치는 공압식으로 컴프레셔에서 9.0kgf/㎠ 의 토출압력을 주입하여 순차적으로 인상하였다. 인상 전 측고는 3,000(1번,2번온실)~3,300mm(3번온실)이었다. 현장적용 결과, 총 10,000㎡ 면적의 온실을 1,800mm 인상 완료하였으며, 허용변형량은 1회 기준 500mm이었고 인상속도는 별도의 에어노즐을 제작하여 1라인 15초 이내로 제어하여 일률적으로 인상하였다. 작업시간은 4연동(1번온실, 2번온실) 인상 시, 4시간~4시간 30분, 8연동(3번온실) 인상 시, 6시간 정도 소요되었다. 앞선 결과는 국내에서 기존에 온실을 수동으로 인상할 때 30일 소요되는 노동력을 절감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전도방지장치 설치로 인하여 온실이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인상 후 신규기둥은 총 길이가 2,023mm으로 양쪽을 인발(115mm)하여 고정하였고, 방풍벽에 트러스 형태로 별도 제작하여 보강하였을 때, 안전한계풍속(m/s)은 기존온실 20m/s에 비해 개량하였을 때 26m/s으로 증가하였고 안전한계적설심(cm) 또한 기존온실 22cm에 비해 30cm로 증대되었다. 결과적으로, 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온실높이(측고)가 낮은 국내온실을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인상하고 리모델링을 추가로 적용함으로 인하여 작물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기본소득의 소득 분배를 통한 소비효과 예측

        이승주 ( Lee Seungju ) 한국행정연구원 2020 韓國行政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기본소득 도입에 따른 장기적인 소득 증가가 경제주체들의 소득 분배를 개선시키고 소비를 견인하는지 Friedman의 항상소득가설을 통해 구체적인 기본소득 모형들을 중심으로 예측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에 2021, 2023, 2028년 3개 년도를 기준으로 총 6개의 기본소득 모형을 상정하여 각각의 소득재분배효과와 소비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서 2019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자료를 활용하였고, 해당 자료를 활용해 5분위 배율을 도출하여 소득불평등도의 변화를 예측한 후 이를 기초로 Friedman(1957)의 항상소득가설 소비함수를 통해 각각 2021, 2023, 2028년도에 기본소득 제공으로 인한 소득 분배 충격 발생 시 소비성향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기본소득 모형에서 현행 제도와 비교할 때 모두 소득재분배효과가 강력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기본소득 수급액이 증가할수록 뚜렷이 사회 전체의 분배구조가 개선되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기본소득 제공으로 인해 보다 공평한 분배가 이루어질 때 평균소비성향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대부분의 모형 간에는 소비진작효과가 유사한 결과로 나타나 향후 내수 진작 측면에서 어떤 모형이 더 바람직할지에 대해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ecast whether permanent income increase generated by Universal Basic Income can ameliorate income inequality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national economic growth, based on the “permanent income hypothesi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signed 6 different Basic Income models; two different models were set up for 2021, 2023, and 2028, respectively to estimate and compare the effects on income redistribution and consumption. The Korean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data for the first quarter of 2019 were used to estimate the income quintile ratio. With these results along with previously estimated income quintile ratio information, we forecasted the changes in the average propensity to consumption when the change in income distribution due to the provision of Basic Income occurs in 2021, 2023, and 2028,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re would be a strong income redistributive effect when Basic income is introduced, compared to the current situation. And when the society reduces income inequality, it will be more likely to become economically prosperous thanks to the increase in consumption. However, the effect of each different Basic income model on consumption is very similar to one anther. Thus, further studies on which model will be the best fit for the country are expected for a future discussion.

      • KCI등재

        기본소득의 노동공급효과 분석 : 한부모 여성을 중심으로

        이승주 ( Lee Seungju ) 한국행정연구원 2020 韓國行政硏究 Vol.29 No.4

        우리 사회에서 한부모 여성의 경우 아이 양육을 하면서 동시에 생계까지 꾸려야하는 이중부담에 시달리기 때문에 현행 근로연계프로그램을 통해 노동유인을 이끌어내고 자립적으로 빈곤에서 탈피하게 만들도록 제도를 기획하기 가장 어려운 집단에 속한다. 특히 현행 선별적 저소득층 지원제도는 모두 소득이 증가할수록 급여지급액이 감소하는 구조로 되어있어서 오히려 저소득 한부모 여성은 소득 증가로 지원혜택이 줄어들까봐 근로유인을 줄이는 유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이에 최근 전혀 새로운 기본소득과 같은 보편적 복지제도로의 개혁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자는 움직임들이 보인다. 기본소득은 노동 반대급부 조건 없이 소득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때 근로유인이 감소할지 늘어날지에 대해 찬·반 진영 사이에서 열띤 논쟁 이 있는 사항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처럼 현행 선별적 복지제도를 통해 경제적 자립을 달성하기 가장 어려운 한부모 여성들이 기본소득을 제공받았을 때 아이 양육의 부담을 덜고 노동을 통해 스스로 자립하고자 하는 유인이 나타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나와 있는 다양한 기본소득 모형 중 이재명 경기도 지사가 장기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월 50만원씩 제공하는 방안과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이 제시한 월 60만원씩 지급하는 방안을 모형으로 설정하여 노동공급 효과를 시뮬레이션하였다. 해당 분석을 위해 재정패널조사 11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중 근로 연령층인 18세~64세에 해당하는 한부모 여성주만 추출하여 총 277개의 표본을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기본소득 반대론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기본소득이 지급된다고 해서 한부모 여성주에게서 근로유인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흥미로운 점은 기본소득 찬성자들이 기본소득 수급자들이 자기 개발을 통해 더욱 안정된 직업을 찾기 때문에 현행 선별적 근로연계 복지제도 하에서보다 근로유인의 늘어날 것이라고 주장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결과도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기본소득이 한부모 여성주라는 특정 계층에 갖는 노동공급효과 관련 논의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ingle mothers are likely to bear the double burden of paid work and unpaid care work, as soon as they enter the labor market. In this sense, they are one of most difficult groups to deal with when the government introduces a workfare program to help them to work and to eventually exit from welfare. Under the current selective welfare system, most income support programs are designed to reduce the amount of the benefits received as an individual or family income rises. Thus, the current income support programs are criticized for single mothers reducing their work incentives out of fear that raising incomes would cost them too much in lost benefits.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concept of a Universal Basic Income to reduce the work disincentive problems of the current programs. Since a Universal Basic Income is paid to all with no requirement to work, whether individual’s work incentive rises or not is hotly debated between pros and cons. In this light,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ingle mothers who are most unlikely to achieve economic independence from welfare under the current selective workfare system are showing disincentives or incentives to work. To this end, this study simulates the effects of the Universal Basic Income on labor supply, using the two Basic Income models: one of them is 500,000 KRW monthly paid to all individuals, which Gyeonggi Governor Lee Jae-myung proposed; the other is 600,000 KRW a month, which leader of the Basic Income Party Yong Hye-in propo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from the 11th wave of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are used. And the single mothers aged 18 to 64, which is considered working age in South Korea, are included in the final sample. The final sample consists of 277 case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re appear no work disincentives among single mothers when they are paid either 500,000 KRW or 600,000 KRW monthly, as opposed to what the opponents often cite. Interestingly, however, there is no strong sign of work incentives among single mothers. The proponents often suggest that individuals who receive a Universal Basic Income will allow themselves to have more educational investment and try to get a more stable job. But whether this is true or not is hardly proven by the simulated results. With the simulated results, this study will add valuable intellectual assets to the current discussion on the effects of Universal Basic Income on labor supply.

      • KCI등재

        근로연계복지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직업훈련 및 취업상담·알선, 창업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 증진효과를 중심으로

        이승주 ( Lee Seungju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7 사회보장연구 Vol.33 No.4

        그동안 근로연계복지제도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들은 프로그램이 참여자들의 소득향상에 기여하였는지 혹은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과연 수급자들이 자력으로 탈빈곤이 가능했는지와 같은 경제적 효율성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 성과평가 만으로는 자활을 통해 궁극적으로 빈곤계층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는 제도의 근본적인 도입취지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근로연계사업의 효과성을 삶의 만족도의 변화를 기준으로 평가하여 경제적 측면에 더해 정책효과성에 대한 좀 더 포괄적인 측면에서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에 근로연계 프로그램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삶의 만족도의 변화에 있어서의 비교를 통해 근로연계 복지정책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따라서 한국복지패널 8차(2012기준)와 11차(2015기준)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험집단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짝짓기하여 비교집단을 설정하는 성향점수 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유사한 비교집단을 구성한 후 이중차이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정책의 순효과를 나타내는 연도변수와 근로연계 프로그램 참여여부 변수의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즉, 근로연계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들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가 프로그램 참여 후에도 비교집단의 삶의 만족도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근로연계 프로그램 참여시 기대와 달리 참여 후에도 탈빈곤 가능성이 여전히 소원해 보이는 결과 참여자들의 정서적·심리적 만족도가 이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 근로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o far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work-related programs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mainly focusing on whether a series of workfare programs migh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income among the participants, or whether the beneficiaries could exit from poverty through the program participation. Only with this economic performance evaluation, however, is it almost im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whether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workfare implementation is fulfilled. In this light,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the work-related programs more comprehensively by adding the estimation of the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work-related program participants. The 8th(2012) and 11th(2015) wave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were used for the study. With these data,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was used to create a sample of comparison units that is comparable to a sample of experiment units in terms of observed covariates. Then Difference-in-difference analysis(DID)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workfare programs through comparison of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net effect of the program participation, which is measured by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year dummy and the program participation dummy, show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gram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changes of life satisfac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남성 중심 일자리에 진입한 여성 건설기능인의 직업진로 탐색경험과 경력관리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승주(Seungju Lee),유기웅(Kiung Ryu) 한국성인교육학회 2020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3 No.4

        본 연구는 남성 중심 일자리에 진입한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성별 직종이 분리되어 있는 일의 영역이 양성으로 확장되는 총체적인 맥락을 살펴보고 그 독특한 경험의 의미를 발견하여 직업탐색과 경력관리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수행되었다. 건설기능직 현장 경력이 20년 이상 된 현직 목수, 타워크레인 기사, 굴삭기 조종사인 여성 세 명을 선정하여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내러티브 분석 결과, 유년시절부터 현재까지 인생 이야기로 본 역할에 대한 태도, 건설기능직 이전의 직업 경험, 건설기능직에 입문하기까지의 경험, 남성이 다수인 건설현장에서의 경험의 네 가지 영역이 도출되었다. 여성이 전통적인 남성 중심 일터에서 건설기능인의 삶을 살아내는 이야기는 극적인 사건을 동반하고 있었는데, ‘오기’, ‘배짱’, ‘성취감’이라는 본성으로 정리했다. 이러한 경험의 의미를 바탕으로 여성성과 남성성에 관한 성 역할 인식, 직업진로 탐색경험, 전통적인 남성 중심 직업에서 성인단계별 경력관리의 맥락에서 연구결과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eral context in which occupation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separated by gender are being expanded to incorporate both genders through the stories of women that have entered the center of male workplaces. Thi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better understand career search and career management by discovering the meaning of women’s unique experiences. To accomplish this, three women with more than 20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were selected: a carpenter, a tower crane engineer, and an excavator driver. Following the analysis of female construction workers’ narratives, the following four centric areas were derived and formed the research context for this study: stories of their lives, stories about their career experiences, stories about their introductions to the construction field, and stories from experienced workers in the area.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that change women s gender role identities is that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is a source of discrimination rather than natural. Career management for female construction workers is a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at integrates masculinity and femininity and establishes the value of mature life.

      • KCI등재

        지역 간 소득불평등 수준의 차이가 성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승주 ( Seungju Lee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1 地方行政硏究 Vol.35 No.4

        코로나와 같은 팬데믹(Pandemic) 상황으로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우울과 스트레스가 위험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경제상황이 악화되면서 소득격차가 커지고, 상대적인 박탈감을 겪는 사람들은 실패에 대한 자책으로 우울을 수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우리 사회 소득불평등 문제가 자칫 사람들에게 우울을 야기하는 것은 아닌지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역차원의 변수와 개인차원의 특성변수들을 함께 활용하는 다층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지패널 10차~13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차원의 설명변수로는 연령, 소득수준, 성별, 혼인상태, 교육수준, 사회적 유대관계 만족도, 만성질환 수준, 그리고 지역차원의 설명변수에는 지역별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를 활용하였다. 성인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적인 특성을 모두 고려했을 때 모든 조건이 동일하더라도 지역내 소득불평등이 어떤가에 따라 상대적 박탈감에 따른 성인의 우울수준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 성인의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선행연구에서 밝힌 개인적 특성들도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주는 함의와 지역 내 소득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s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causes a economic crisis nationwide, more people are now exposed to the risk of suffering stress and depression. Especially when the economic situation worsens and income inequality rises, those who feel relatively deprived regardless of their absolute material standing a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depression because they feel like a failure. In this sense,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rapidly deteriorating income inequality could be attributed to the rise in depression among adults. For this purpose, a multi-level analysis is conducted. This study uses seven individual-level variables such as age, family disposable income, sex,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satisfaction with a social network, and severity of chronical diseases and one regional-level variable, Gini coefficient, all drawn from 4 waves (10~13)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adults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regional income inequality. And all the individual-level variables, which the previous studies consider statistically significant, are strong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of adult Korean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comes up with some ideas to alleviate the regional difference of income inequality.

      • KCI등재

        여성의 가사노동에 대한 태도 및 사회적 규범에 대한 여성의 인식이 가사노동시간의 성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가?: 합리적 행위이론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

        이승주 ( Lee Seungju ),이소민 ( Lee Somi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가족복지학 Vol.58 No.-

        본 연구는 합리적 행위이론을 활용하여, 사회적 규범을 통해 형성된 여성 자신의 성역할에 대한 인지적 태도가 가사노동에 있어 성불평등적 행동으로 발현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여성가족패널(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5차 자료를 활용하여 기혼여성 중 18세 이상 59세 이하 4,435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사노동을 바라보는 여성자신의 태도와 사회적 요구에 의한 주관적 규범을 독립변수로 하여 가사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동시에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합리적 행위이론에서 주장하는 가사노동 전담에 대한 행동의지가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s: SEM)을 통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스스로의 가사노동에 대한 태도는 가사노동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동시에 가사노동 전담에 대한 행동의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고, 주관적 규범은 가사노동시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진 않으나 가사 노동전담에 대한 행동의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주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성별 간 평등한 가정생활을 보장해주기 위해 마련된 일련의 제도를 인지하고 있음에도 가정 내의 성역할 분화가 여전히 나타나는 것은 단순히 제도 운용상의 문제만이 아닌 오랜 가부장적인 문화에 기반한 여성 스스로의 성역할 인식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구성원들로부터 진정한 성평등 행동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남성이 상대의 성(gender)에 대한 가치를 존중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여성 스스로 자신의 성(gender)을 바라보는 고착화된 인식의 전환을 시도하는 등 다각적 차원에서의 통합적 변화를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the women’s cognitive attitude toward gender role, which is formed through social norms, enforces the gender division of housework. In this study, 4,435 married women aged 18-59 years from the 5th wave dataset of Korean Longu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Data were selected for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e examine the direct effect of "attitude toward behavior" and "subjective norm" on the domestic working hours and whether those two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attitude toward behavior" and "subjective norm," influence the mediator variable “Behavior Intention” which in turn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 The study reveals that “attitude toward the gender division of housework"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domestic working hours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operating through "behavior intention." And”subjective norm “has on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domestic working hours, operating through "behavior intention." Despite the fact that many women are now aware that various work-life balance policies are avaliable to mitigate the gender inequality of domestic works, it is proven that the gender division of housework becomes worse. The reason behind this is not only because there exist some problems in implementing the institutions themselves, but also because women’s deeply internalized self-perception of gender role based on the traditional patriarchal culture somehow exacerbates the gender division of housework. Hence, in order to instill a progressive change in gender division of housework, it is important for women to try to change the way they perceive the stereotypical gender roles as well as for men to treat women equ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