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견갑부에 발생한 기관지기원낭종 - 1예 보고 -

        이동주,문경호,정재호,오인석,Lee, Tong-Joo,Moon, Kyoung-Ho,Jung, Jae-Ho,Oh, In-Su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5 No.2

        기관지기원낭종은 primitive foregut의 발생학적 이상에 의해 형성되는 드문 질환이며, 주로 폐실질과 종격동에 발생한다. 피부나 피하조직에서 발생한 기관지기원낭종은 흔하지 않으며, 이 중 견갑부에 발생한 것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20개월 된 남아의 좌측 견갑부에 발생한 기관지지원 낭종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아는 피부과에서 절개 생검 및 소파술을 시행 받았고, 표피 낭종으로 진단되었다. 하지만 상흔 치유 도중 추가적인 낭성 종괴가 촉진되었다. MRI상 피하조직에 경계가 분명한 낭성 종괴가 관찰되었다. 절제된 낭종은 점액세포를 동반하는 pseudostratified ciliated columnar epithelium로 피복되어 있었으며, 기관지기원낭종으로 진단되었다. Bronchogenic cyst is rare lesion that arises from maldevelopment of the primitive foregut, and is usually found in the lung and mediastinum. Cutaneous or subcutaneous bronchogenic cyst is rare and occur unusually in the shoulder region. We report here a case of 20-month-old boy with a bronchogenic cyst on his left shoulder region. He underwent incisional biopsy and curettage for a tender cystic mass at a department of dermatology, diagnosed as a epidermal inculsion cyst. But, additional cystic mass was palpated during wound care. MRI showed a well-defined subcutaneous cystic mass. The excised cyst was lined with pseudostratified ciliated columnar epithelium with occasional goblet cells and diagnosed as a bronchogenic cyst.

      • 관절경 수술시 슬관절내 온도변화

        이동주,김형수,박승림,강준순,염승훈,김신,Lee Tong Joo,Kim Hyoung Soo,Park Seung Rim,Kang Joon Soon,Yeoum Seung Hoon,Kim Shin 대한관절경학회 200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6 No.1

        Purpose : To document the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knee joint at the initiation and conclusion of an arthroscopic procedure and correlate this temperature change with other intra-operative variables. Material and Methods : Temperatur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40 consecutive patients(42 cases) that underwent arthroscopic surgery. Temperature measurements were taken at the initiation of the procedure, before and after inflation of the tourniquet. The last measurement was recorded at the end of the surgical procedure. Results : The mean knee joint temperature evaluated before inflation of the torniquet was $35.1{\pm}1.0$, at the end of surgery, $24.6{\pm}1.5^{\circ}C$. The mean temperature change observe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procedure was $10.5^{\circ}C$. The student t te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initial joint temperature(p<0.01) between the patient with no and+1 effusion / between the patient with no and +2 effusion. The temperature at the end of the procedur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low correlated (p<0.01) with the lower temperature of the irrigant and the lengthening of the arthroscopic procedure. Conclusion :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maintaining the saline irrigant to more physiologic temperature to protect the articular cartilage from any possible temperature induced damages. 목적 : 관절경 수술 전,후에 발생되는 관절내 온도 변화를 측정하고, 이러한 온도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반월상 연골의 손상과 전방 십자 인대 손상으로 관절경 수술이 시행된 연속된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42예의 슬관절에서 온도 변화가 측정되었다. 슬관절 온도의 측정은 3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는데, 술 전 지혈대 팽창 전, 지혈대를 팽창시킨 후 그리고 마지막 측정은 수술이 끝난 후에 실시하였다. 결과 : 지혈대 팽창 이전의 슬관절 평균 온도는 $35.1{\pm}1.0^{\circ}C$이었고, 술 후 슬관절 온도는 $24.6{\pm}1.5^{\circ}C$로 측정 되었으며 평균 $10.5^{\circ}C$의 온도 감소를 보였다. 관절 종창이 없는 군과 관절 종창이 경도(+1)인 군 관절 종창이 없는 군과 중등도(+2)인 군간에서의 술 전 슬관절의 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단지 관주용액의 온도와 수술 시간을 술 후 슬관절 온도와 비교할 때, 관주용액의 온도가 낮을수록(p<0.01), 수술 시간이 길수록 술 후 슬관절 온도가 낮았다.(p<0.01). 결론 : 관주용액의 온도를 체온과 유사하게하고 관주용액을 사용하는 수술 시간을 가능한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수부에서 근위 지간 관절 골두의 부분 골연골 결손에 대한 자가 족지 골두 이식술

        이동주 ( Tong Joo Lee ),문경호 ( Kyung Ho Moon ),전윤상 ( Yoon Sang Jeon ),권도승 ( Do Seung Kwon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3

        Osteochondral injury due to the trauma of the hand is relatively common. If the size of the osteochondral fracture fragment is larg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are often feasible in treating these problems. However, arthroplasty using osteochondral graft is more preferred when the particle is small and articular surface is comminuted or fully defected. There are many reports of osteochondral graft using the costal osteochondral graft but the osteochondral graft using the interphalangeal joint of the toe is rarely reported. Thoroughly reviewed with relevant articles, this report presents a case of a 33 year old male who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osteochondral autograft using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of the toe due to the traumatic osteochondral defect in the head of the second proximal phalanx.

      • KCI등재

        견봉쇄골관절 탈구에서 Suture Anchor를 이용한 치료

        이동주(Tong Joo Lee),박승림(Seung Rim Park),김명구(Myung Ku Kim),문경호(Kyoung Ho Moon),최성욱(Sung Wook Choi),김경훈(Kyung Hoon Kim),배주한(Joo Han B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급성 견봉쇄골관절 탈구의 치료로 suture anchor를 이용한 술기를 기술하고, 이 술기의 임상적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0월부터 2004년 5월까지 suture anchor를 이용하여 수술된 급성 견봉쇄골관절 탈구환자 중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 후의 평가는 Imatani의 임상적 평가법과 술 전, 후 방사선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예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임상적 평가 결과는 우수가 7예(39%), 양호가 10예(56%)였고, 방사선 평가 결과는 전-후방 방사선사진에서 수술 전, 수술 후 그리고 수술 6개월 후 오구쇄골간 간격 비율로 판단하여 수술 전 평균 2.41에서 수술 후 0.95로, 수술 6개월 경과 후는 1.21로 호전되었다. 초기 합병증으로 강선 삽입부의 표재성 감염이 1예, 고정강선 이동이 1예 발생하였다. 결론: Suture anchor를 이용한 급성 견봉쇄골 관절 탈구는 최소의 절개를 통하여 수술이 가능하고, 견봉쇄골 관절면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비교적 견고한 고정을 얻을 수 있어 술 후 2일부터 90도 이하의 제한적 견관절 운동이 가능한 수술 방법이며, 추후 내고정물의 제거를 위한 수술이 필요 없는 유용한 수술방법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We introduce a surgical technique using suture anchors in the treatment of acromioclaviclar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Eighteen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using a suture anchor) for an acu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were followed up minimum of six months. The clinical results on lmatami clinical scoring and serial radiology findings were analyzed. Results: Most of the cases showed satisfactory results. The clinical evaluation showed that seven cases (39%) were excellent and ten cases (56%) were good. Serial radiographic finding (preoperative, postoperative, postoperative 6 months) was evaluated. The mean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postoperative 6 months coracoclavicular interval ratios were 2.41, 0.9 and 1.21, respectively. The early complications encountered were one case of a superficial infection at the insertion site of the smooth pin and one case of smooth pin migration. Conclusion: The use of suture anchors in the treatment of an acromioclaviclar dislocation is a superior method cosmetically due to the need for only a small operative incision, minimal destruction of acromioclaricular joint, secure fixation to early physical exercise and require additional surgery to remove the internal fixative.

      • KCI등재후보

        액와부의 동면선종: 자기공명영상적 특징

        이동주(Tong Joo Lee),박인서(In Seo Park),김명구(Myung Gu Kim),조규정(Kyu Jung Cho),문경호(Kyoung Ho Moon),임광열(Kwang Yul L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3

        동면선종은 잔존하는 태아 갈색 지방으로부터 발생하는 드문 양성 종양으로서 풍부한 혈관분포를 가지고 있다. 동면선종의 자기공명영상의 특징을 연구함으로서, 적어도 수술 전에 감별 진단해야하는 연부조직 종양으로 동면선종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Hibernoma is a rare hypervascular benign soft tissue tumor arising from residual fetal brown fat. Awareness of the MR imaging appearances of this lesion may allow at least inclusion of hibernoma in the possible differential diagnosis prior to surgery.

      • KCI등재후보

        폐괘 주관절 탈구에 동반된 상완 동맥 파열

        이동주(Tong-Joo Lee),박인서(In Seo Park),조규정(Kyu-Jung Cho),박승림(Seung-Rim Park),최성욱(Sung-Wook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7

        상완부의 동맥 손상은 대부분 관통상 등의 개방창에서 발생되나, 주관절의 개방성 탈구 또는 상완골의 폐쇄성 골절과 동반되어 발생할 수 있다. 주관절의 탈구가 관절의 탈구 중 세 번째로 흔히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골절을 동반하지 않은 단순 탈구에서 동맥의 손상을 동반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폐쇄성 주관절 탈구와 동반되어 상완 동맥이 완전 절단된 1예를 경험하였고, 이에 대한 치료로 신속한 진단, 즉각적인 정복, 동맥 봉합술, 근막 절개술 등을 시행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Vascular injury in the arm associated with trauma usually results from penetrating injury. However, this vascular injury can also be caused by open dislocation of the elbow or closed fracture of the humerus. Although the elbow joint is the third most common site of joint dislocation, closed elbow dislocations without associated fractures rarely have concomitant arterial injury.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complete disruption of the brachial artery associated with closed dislocation of the elbow and massive soft tissue damage.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managed by early diagnosis, prompt reduction of the dislocation, and end to end anastomosis of the brachial artery and fasciotomy.

      • KCI등재

        Musculocutaneous Nerve Entrapment after Biceps Long Head Tendon Rupture

        Tong Joo Lee(이동주),Dong Jin Ryu(류동진)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1

        상완 이두근 장두건 파열은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며, 일반적인 치료로서 약 4주간의 부목고정을 요한다. 근피신경 손상은 일반적으로 과도한 운동이나 직접적인 외력에 의하여 발생한다. 근피신경 증후군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나, 상완 이두근 파열과 근피신경 포착 병증이 연관되어 보고된 바는 없다. 저자들이 경험한 환자는 70세 남자로 교통사고로 수상, 직접적인 외력에 의하여 발생한 견관절 통증 및 지연성으로 발생한 전완부 외측부 감각 저하, 주관절 굴곡력 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원인 파악을 위한 자기공명영상, 근전도 검사, 수술 소견 등을 종합하여 상완 이두근 장두건 파열 후 발생한 지연성 근피신경 포착병증으로 진단하였다. 수술적 치료로 통증과 감각, 주관절 굴곡력 감소는 회복되어 성공적인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Biceps long head tendon rupture is relatively common and requires approximately four weeks of splintage as a general treatment. Musculocutaneous nerve entrapment is commonly caused by excessive exercise or direct external force. Musculocutaneous nerve syndrome has barely been reported; however, association of biceps long head tendon rupture and musculocutaneous nerve entrapment syndrome has never been reported. The authors experienced a 70-year-old male patient, who suffered a traffic accident and was hospitalized due to shoulder joint pain caused by direct external force, delayed forearm lateral aspect hypoesthesia and elbow flexion weakness. For identification of the cause, magnetic resonance imaging, electromyography, and surgical opinion were synthesized, resulting in diagnosis of delayed musculocutaneous nerve entrapment syndrome occurring after biceps long head tendon rupture. With surgical treatment, pain, sense, and elbow flexion weakness were recovered, a showing successful treatment result.

      • KCI등재

        성인 주관절 복합 손상에서 추가적인 경첩성 외고정술

        이동주 ( Tong Joo Lee ),홍택호 ( Taek Ho Hong ),김낙철 ( Nak Chul Kim ) 대한골절학회 2015 대한골절학회지 Vol.28 No.3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성인 주관절 복합 손상에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 후 추가적인 경첩성 외고정술의 임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주관절 탈구, 요골두 골절 및 구상돌기 골절을 포함한 주관절 복합 손상 환자 중 내고정술후 외고정 장치를 시행받은 뒤 1년 이상 추시한 1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가적 외고정 장치를 시행하는 기준은 내고정 이후에도 지속적인 주관절 불안정성이 관찰되는 경우로 하였다. 1년 추시 시 Cassebaum 분류와 Mayo elbow performance score(MEPS)를 측정하여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 과: 수술 후 1년 추시 시 평균 관절 운동 범위는 굴곡 구축 16도, 후속 굴곡 127도, 회내전 83도, 회외전 78도로 측정되었다. 임상적 평가상 Cassebaum 분류로 평가했을 때 우수 4예, 양호 4예, 불량 2예였고, MEPS상 평균 87점을 기록했다. 최종추시 시 주관절 불안정성이 관찰된 증례는 없었고 평균 골 유합 기간은 11.5주였으며, 불유합 증례는 없었다. 결 론: 성인 주관절 복합 손상 증례에서 경첩을 이용한 외고정 장치는 관절 안정성을 제공하면서 조기 관절 운동을 시행할수 있으며 1년 추시 관찰 시 우수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 of hinged external fixation in management of complex elbow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clinical outcomes in 10 patients with elbow dislocation and associated fractures of both the radial head and the coronoid process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13. All ten patients were treated by hinged external fixation afte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The indication for use of a hinged external fixator was persistent instability after fixation of the fractures. Early mobilization was started at 1 week (6.5 days) after surgery. The external fixator was removed at 6 weeks after surgery. Cassebaum classification and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were used for clinical and functional evaluation. The follow-up period was at least 1 year. Results: At the last follow-up, the average further flexion was 127o, and the average flexion contracture was 16o. The average pronation was 83o and the average supination was 78o. By the Cassebaum classification after 1 year follow-up, patients were classified as 4 excellent, 4 good, and 2 poor. According to th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the average score was 87 points (65-100 points) with 3 excellent, 6 good, and 1 fair. Stability was restored in all patients at the last follow-up. There was no case of nonunion and the average union period was 11.5 weeks. Conclusion: This study advocated the additional use of a hinged external fixator in the treatment of complex elbow instability, especially when fixation of fractures and repair of soft tissues were not sufficient. Providing adequate stability and allowing early motion, additional external fixation could improve the functional outcome.

      • KCI등재

        전위된 상완골 원위부 과간 골절에서 재건 금속판 및해부학적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의 비교

        이동주 ( Tong Joo Lee ),김영태 ( Young Tae Kim ),권대규 ( Dae Gyu Kwon ),박주용 ( Ju Yong Park ) 대한골절학회 2014 대한골절학회지 Vol.27 No.4

        목적: 성인의 전위된 상완골 원위부 과간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재건 금속판 및 해부학적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 및 합병증 등에 대해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2002년 8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상완골 원위부 과간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재건 금속판을 이용하여 고정한 20예의 환자들을 A군으로, 해부학적 잠김 금속판을 이용하여 고정한 20예의 환자들을 B군으로 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Cassebaum 평가 척도와 Mayo 주관절 기능 평가 척도,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점수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결과: Mayo 주관절 기능평가 점수는 A군에서 우수 8예, 양호 10예, 보통 2예였으며, B군에서는 우수 12예, 양호 7예, 보통 1예였다. 그 외 수술 후 운동범위가 90도 굴곡부터 120도 굴곡까지 획득된 시기는 A군의 경우 평균 8.3일(6-15일), B군의 경우 평균 5.5일(5-9일)로 두 군 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4). 이 중 골밀도가 낮은 환자 2예에서 나사 이완의 고정소실이 발생하였는데 모두 재건판을 이용한 경우였다.결론: 전위된 상완골 원위부 과간 골절에서 해부학적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치료는 나사 이완의 합병증을 줄이면서 조기 관절 운동이 가능하여 좋은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result of a conventional reconstruction plate (CRP) fixation and locking compressive plate (LCP) fixation on the surgical treatment of an adult’s displaced intercondylar fracture of humeru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0 patients enrolled in the study were treated between August 2002 and May 2012. Fixation with a CRP was performed in 20 patients (group A) and anatomical locking compression plate fixation was performed in 20 patients (group B). The clinical and functional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and Cassebaum classification of elbow range of motion (ROM),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 Results: The Mayo elbow functional evaluation scores, eight cases were excellent, 10 cases were good, and two cases were fair in group A, and 12 cases were excellent, seven cases good, and one case fair in group B; both groups showed satisfactory results. The durations of attaining 90 to 120 degrees of the ROM of joints postoperatively were 8.3 days on average (6 to 15 days) in group A and 5.5 days on average (5 to 9 days) in group B, demonstr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04). Although the correlations of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bone mineral densities (BMD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p=0.35), loss of fixation occurred due to loosening of screws in two patients with low BMDs in whose operations reconstruction plates were used. Conclusion: The use of locking compressive plate on the surgical treatment of an diaplaced intercondylar fracture of humerus have a good clinical results because that permits early rehabilitation through good fixation and reduces the complications such as loosening of screws.

      • 관절경하 생체흡수형 Knotless Anchor를 이용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치료

        이용재,이동주,임광열,김명구,Lee, Yong-Jae,Lee, Tong-Joo,Lim, Kwang-Yul,Kim, Myung-Ku 대한관절경학회 2004 대한관절경학회지 Vol.8 No.2

        목적: 견관절의 전방 불안정성이 있는 환자에서 관절경하 생체흡수형 knotless anchor를 이용한 치료 결과를 객관적 및 주관적 평가를 통하여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본원에서 외상성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 대하여 관절경하 생체흡수형 knotless anchor를 이용하여 Bankart복원술을 시행하고 평균 12개월 추시된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 구성은 남자가 14명, 여자가 1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4세 (16세${\sim}$42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4개월(12개월${\sim}$18개월)이었다. 수술시간은 같은 저자에 의해 2002년 1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suture anchor 술기를 이용하여 관절경하 Bankart 복원술을 시행한 20예와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탈구의 재발이나 아탈구의 발생은 없었으며 Rowe등에 의한 기능적 평가에서 평균 89.4점이었고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는 평균 87.5였다. 최종 추시시의 견관절 운동 범위는 각각 굴곡이 평균 171도, 외회전이 평균 54도로 측정되었고 전 예에서 결과에 만족하였으나 3예에서 운동시 불안감각이 남아 있었다. 수술시간은 suture anchor 술기를 이용한 Bankart 복원술에서 1개의 매듭 당 평균 25.5분이 소요되었지만, 생체흡수형 knotless anchor를 이용시 1개의 anchor당 소요 시간은 평균 16.5분으로 의미 있게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P<0.05).결론: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원인인 Bankart병변의 치료에 있어 knotless anchor 술식은 관절낭의 적절한 긴장을 획득하고 수술 시간을 단축하는 장점이 있으며 탈구나 아탈구의 재발없이 견관절 불안정성을 치료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reported the outcomes following the use of bioabsorbable knotless anchor in patients with anterior instability of shoulder. Methods: We studied fifteen cases with traumatic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underwent arthroscopic Bankart repair with bioabsorbable knotless suture anchor between January 2003 and June 2003. Among fifteen patients, fourteen were male and one was female, with a mean patient age of 24 years (range 16-42). The mean follow-up was 14 months (range 12-18 months). We compared with operation time of twenty cases of arthroscopic Bankart repair by the suture anchor technique between January 2002 and October 2002. Results: Neither recurrent dislocation nor subluxation was happened in postoperative follow-up. Mean score for functional evaluation by Rowe et al. was 89.4 and that for patient subjective satisfaction was 87,5. At last follow-up period, average shoulder range of motion for flexion and external rotation was 171$^{\circ}$ and 54$^{\circ}$ respectively. All patients were satisfied except three who had an apprehension at the follow up. During Bankart repair, it took an average of 25.5 minutes for one knot with the use of suture anchor technique whereas an average of 16.5 minutes for one knot with the use of bioabsorbable knotless anchor. Significantly, we saved operation time with the use of bioabsorbable knotless anchor (P<0.05).Conclusion: Repairing the Bankart lesion with the use of knotless anchor technique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good capsular tensioning and saving operation time. And it is considered to be very successful in treating shoulder instability without recurrent dislocation or sublux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