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토론 만족도에 대한 과제가치, 메타인지의 예측력과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역할

        이정민 ( Jeong Min Lee ),윤성혜 ( Seong Hye Yoon ),허보라 ( Bo Ra He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온라인 토론 학습의 만족도를 예측하는 학습자 특성변인과 학습과정 변인을 규명하여 성공적인 온라인 토론 학습을 설계하고 조직하는 데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측 변인으로 사회적 실재감, 과제가치, 메타인지를 상정하고 이들의 예측력과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소재 A 대학교 학생 43명으로, 이들은 3주 동안 온라인 토론학습에 참여한 후, 최종적으로 토론 결과를 파워포인트 형식의 산출물로 구성하여 발표하는 것으로 토론학습과정을 진행하였다. 토론 학습과정이 모두 끝난 후, 설문을 통해 학습자의 과제가치, 메타인지, 사회적 실재감 및 만족도가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사회적 실재감, 과제가치, 메타인지는 온라인 토론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실재감은 과제가치와 만족도, 메타인지와 만족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공적인 온라인 토론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 과제가치 및 메타인지를 고려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즉, 교수자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토론 주제를 선정하며, 학습자의 메타인지를 촉진시킬 수 있는 전략을 고안하는 방향으로 온라인 토론학습을 설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learners` task value, metacognition, and social presence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resence between learner`s task value, metacogni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Participants were 43 undergraduate students in A university in Seoul, Korea. They responded the following surveys: task value, metacognition, social presence, and satisfaction. Baron & Kenny (1986)`s mediation analysis approach with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his study. Finding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ask value, metacognition, social presence,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task value, metacognition,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ing satisfaction. Social pres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ask value and satisfaction, and between metacognition and satisfaction. This findings imply that social presence, task value, and metacognition should be valued to enhance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discussion learning.

      • KCI등재

        청소년 기업가정신 척도개발 및 타당화

        이우진(Lee Woo jin),오혜미(Oh Hye Mi),김도현(Kim Do hyeon),김종성(Kim Jong Sung),윤성혜(Yoon Seong 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기업가정신을 진단하고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청소년 기업가정신의 측정에 대한 중요성을 기술하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는 데 있다. 청소년 기업가정신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 및 2회의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와 3회의 델파이(Delphi) 조사를 통해 조작적 정의를 도출하여 72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이후 전국 중·고등학생 모집단에서 지역 및 설립 구분을 기준으로 비례 배분하여 학교별 모든 학년의 1개 반씩 총 3개 반, 총 78개교, 5,074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여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개발된 척도는 청소년의 효과적이고 실천적인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기존 정책의 효과성을 검토하고 바람직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importance of measuring the entrepreneurship of adolescents and increasing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to develop appropriate measures to diagnose entrepreneurship of adolescents. In order to develop the entrepreneurship scale for adolescents, 72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y deriving operational defini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wo rounds of FGI (Focus Group Interview) and three rounds of Delphi with experts. For validation of the items, a total of 3 classes of each school were sampled by proportionately distributed by school based on the regional and establishment types in the nationa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population. The data from 78 schools and 5,074 people were colle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The developed scale from this study can be us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policies and to suggest desirable policy directions for effective and practical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for adolescents. Moreover, the scale is expected to be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dolescent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contents.

      • KCI등재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초등학교 스마트 교육에서 21세기 핵심역량을 예측하는 변인 분석

        이영미 ( Lee Young Mi ),강명희 ( Kang Myung Hee ),윤성혜 ( Yoon Seong Hye ),박주연 ( Park Ju Yeo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6 초등교육연구 Vol.29 No.4

        기술 발전 및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로 21세기 초등학생 핵심역량이 교육의 지향점이 되고 있다. 인지, 정의, 사회를 아우르는 총체적 역량인 21세기 초등학생 핵심역량은 대안적 교수-학습 방법을 요구하고 있으며, 스마트 교육이 하나의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1세기 초등학생 핵심역량을 기르기 위한 교육 방법적 접근으로서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스마트 교육을 실시하고, 21세기 초등학생 핵심역량을 예측하는 변인을 규명하여 효과적인 스마트 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및 교수전략 수립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스마트 교육의 맥락에서 21세기 핵심역량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와 자기주도학습력을, 학습과정 변인으로 매체 활용교육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몰입을 상정하였다. 이들의 예측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의 사립 초등학교에서 스마트 교육을 실시한 후, 4학년 학습자 9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스마트 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자기주도학습력, 몰입은 21세기 초등학생 핵심역량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몰입이 디지털 리터러시 및 자기주도학습력과 21세기 초등학생 핵심역량 간 관계를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초등학교 스마트 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자기주도학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전략과 학습과정에의 몰입을 촉진시키기 위한 개입 전략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the advent of a knowledge-based society, the 21st century skills have become a new goal of elementary education. The 21st century skills, which include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factors, require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with smart learning emerging as one of the alternativ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smart-learning using smart-pads as an educational method approach to develop the 21st century skills and aimed to provide the basis for teaching design and teaching strategies for effective smart-learning through identifying the variables that predict the 21st century skill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hose digital liter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s the variable to predict the 21st century skills and flow as the learning process variable. Data were collected from 94 fourth-grade priv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s a result, digital liter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flow predicted 21st century skills in elementary school smart-learning using smart-pads. In addition, flow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21st century skill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21st century skills.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omote and digital liter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low are needed to improve 21st century skills in elementary school smart-learning.

      • KCI등재

        초등 국어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의 학습효과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의 예측관계 분석

        강명희,이정민,구진아,윤성혜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0 교과교육학연구 Vol.14 No.4

        Many K-12 schools in Korea select digital textbooks as the medium of instruction. There are very few guidelines, however, when teachers use digital textbooks in their classrooms. When teachers use digital textbooks, they should consider learners’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fficacy. Since digital textbooks allow self-directed learning, learners could easily lose their confidence and motivation. Moreove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eaching presence,” or a learner’s perception of being present in or as a part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s important because learners’ accomplishments and perceptions could differ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of teachers’ rol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computer self-efficacy, and teaching presence affect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presence between learner’s self-efficacy and learning outcomes. Participants were 89 fifth-grade students in D-elementary school in Incheon, Korea. They responded to the following surveys: academic self-efficacy, computer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and satisfaction. Judd & Kenny (1981)’s mediation analysis approach using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to this study. Findings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however,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omputer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Teaching presence mediates academic self-efficacy, computer self-efficacy, and learning outcomes, but does not mediate learner'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본 연구는 초등 국어 디지털교과서 활용에서의 학습효과를 예측하는 주요 변인으로 기존 문헌연구에 기반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컴퓨터 자기효능감을 학습자특성 변인으로 교수실재감을 학습과정 변인으로 상정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인천 소재 D 초등학교 5학년 3학급 8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교수실재감과 만족도 및 성취도로 측정된 학습효과 모두를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컴퓨터 자기효능감은 교수실재감과 만족도만을 예측하였다. 또한 교수실재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컴퓨터 자기효능감이 만족도를 예측할 때에 이들 관계를 매개하였으나, 성취도를 예측할 때에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디지털교과서 활용에서의 학습효과 향상을 위해서는 사전에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컴퓨터 자기효능감을 높여주는 준비 전략의 실행이 바람직하며,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은 만족도에 영향을 주므로 학습내용의 명료한 제시와 학습촉진 전략이 디지털교과서 안에 설계를 통해 내재되어 있을 뿐 아니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중 교사의 격려와 지원을 통해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만족도를 성취도에 연결시킬 수 있는 전략 역시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