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단실 가압과 승강로 가압 제연방식의 성능 비교 연구

        박경환,소수현,윤명오,Park,Kyung-Hwan,So,Soo-Hyun,Yoon,Myung-Oh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5

        고층건물에서 연기가 승강로와 계단을 통해 건물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계단실 가압과 승강로 가압을 사용한다. 특별피난계단 부속실과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을 겸하는 아파트 건물에서 계단실 가압과 승강로 가압시험을 실시하였다. 승강기 가압시험에서 모든 문이 닫힌 상태에서 50 Pa의 기준 차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공기량은 150 CMM이었다. 승강기 문이 1개 개방되었을 때에는 세대 문에 평균 풍속이 0.75 m/s 기준값을 초과하였고, 비개방층에서도 10 Pa 이상의 압력차를 유지하였다. 반면 계단실 가압의 경우에는 180과 360 CMM으로 급기를 하여도 저층부의 문이 개방되면 비개방층에서 10 Pa의 압력을 유지할 수 없었다. 고층부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비개방층에서 10 Pa의 차압을 형성하였지만 저층부에서는 과압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두 가지 제연방식을 비교한 결과, 고층 건축물에서는 승강로 가압이 계단실 가압에 비해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Pressurization of stair and elevator shaft is used to prevent the diffusion of smoke over the whole building through the elevator shaft and stair in high rise building. At the apartment which combines the vestibule of a special evacuation stair and the platform of an emergency elevator, the pressurization test of stairway and elevator shaft was carried out. At the elevator pressurization test, the amount of air was 150 CMM, which was necessary to sustain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standard, 50 Pa, at the condition of all closed doors. When an elevator door was opened, the average velocity went beyond the standard value, 0.75 m/s, at the swelling door and kept the pressure difference of 10 Pa was sustained at the non-opened floo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surization of stairway, when a low-floor door was opened, the pressure difference of 10 Pa could not be kept at the closed floor even though the amount of air of 180 and 360 CMM was supplied. When a high-floor door was opened, the pressure difference of 10 Pa was made at the non-opened floor, but the overpressure was caused at the low-floor. Therefore, the comparision result of two methods of smoke control showed that the pressurization of elevator shaft have better performance than that of the pressurization of stairway.

      • Firestop의 문제점 분석 및 관리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송우승(Song, Woo-Seung),윤명오(Yoon, Myung-Oh)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춘계

        화재발생시 방화구획의 실패는 대형화재사고의 주요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실정으로, 대규모 화재확산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행 관계법령의 미비와 관리방안의 부재 등의 이유로 현실적 개선이 미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소방방재청에서는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현행 Firestop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건설공사 현장의 중대 위험요인 화재안전관리 체계 모형 개발 연구

        배덕곤(Deok-Gon Bae),윤명오(Myung-Oh Yo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5 No.5

        본 연구에서는 NFPA Code의 화재안전계층도(FSCT)를 기반으로 건설공사 현장의 중대 위험요인에 대한 화재안전관리 체계 모형을 개발하였다. 먼저 화재 통계와 다수 인명피해 사례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과 성장, 인명피해의 주된원인으로 작용한 중대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관련 법규를 분석하여 화재안전관리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화재안전계층도의 기본구조에 따라 발화 방지와 소화 및 피난 관리로 구분하여 건설공사 현장의 특성이 반영된차별화된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현장의 철저한 점검과 관리를 위해 화재안전관리 전담인력을 배치토록 하였다. 이모형은 현행 화재안전관리상의 문제점을 개선⋅보강하는 차원에서 개발하였으며, 향후 건설공사 입법 관계자, 사업책임자, 현장 관리⋅감독자, 작업자 등이 화재안전 전략들의 기능과 역할, 상호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authors developed a fire safety management system model for critical risk factor assessment inconstruction sites according to the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code Fire Safety Concepts Tree (FSCT). First, thefire statistics and heavy casualties were analyzed, and the critical risk factors as associated with the key causes of fireincident and break out and life-threatening damages were derived. Furthermore,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ereanalyzed, and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fire safety management were noted. Next, according to the basicstructure of the FSCT, a differentiated strategy was present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site bydividing it into fire prevention and extinguishing and evacuation management. In addition, the fire safety managementpersonnel were proposed to be assigned for thorough site inspection and management. This model was developed to improveand reinforce the current challenges in fire safety management. In the future, legislators of the construction work, projectmanagers, site managers, supervisors, workers, etc. would use this model as a tool to understand and practice the roles andinterrelationships of fire safety strategies more systematically.

      • KCI등재

        ZONE MODEL을 이용한 아파트에서의 화재 해석

        박진국,김충익,유홍선,윤명오 (社團法人)韓國火災·消防學會 1997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11 No.2

        화재 위험성을 조사하기위해 우리나라의 주거형태에서 가장 보편적인 공동주택을 사용하여 실물 화재실험을 하였다. 화재 실험에서는 우리나라의 실제 생활에 사용되는 가구와 가연성물질등을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현실에 적합한 화재 위험성을 평가해 보았다. 이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C-FAST라는 해석모델을 사용하여 얻은 예측치와 비교하였다. C-FAST의 제한성 때문에 거실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해서만 결과를 비교해보았다. 실물 화재실험에서는 flash-over가 약 30초 경에 Zone-Model에서는 약 420초 경에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 외의 모든 실험 결과와 예측 결과에 의해 피난시간을 도출하면 화재 실험과 Zone-Model 모두에서 250초 이내에 피난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Fire hazards in an apartment building that represents the average households in Korea were investigated by conducting a full-scale experiment. This experiment attempts to analyze fire hazards using materials, and furnishings common to Korean housing stock. Experimental results are compared to the predictions of the C-FAST fire and smoke transport computer model. Comparisons between experimental data and C-FAST data are performed only to a living-room fire. Flashover occurred at approximately 380 seconds in a fire experiment, and at approximately 420 seconds in Zone-Model. Based on all of data between experimental data and Zone-Model data, it is concluded that the safe egress time is at least 250 seconds.

      • KCI등재

        밀폐 공간내에서의 화재에 의한 연기의 유동

        노재성,유홍선,김충익,윤명오 (사단법인)韓國火災 ·消防學會 1996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10 No.3

        In foreign country such as USA and Japan, considerable research has been done regarding the spread of smoke in room of fire involvement by using computer. but, in our country it has not been, so, this paper presents a detailed qualitative description of phenomena which occure during typical fire scenarios through numberical analysis. The governing equations are solved by using FVM method with non-staggered grid. The SIMPLE method for pressure-velocity couple and power-law scheme for convection terms are used. It shows that a plume is formed, hot plume gases impinge on the ceiling and they spread across it. then, it eventually reaches the bounding walls of the enclosure. It takes 20s for smoke to fill the enclo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