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 이후 온라인 수업 유형별 실재감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오정숙 ( Jungsook Oh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3

        2020년 COVID-19로 인해 상당수의 대학수업이 비대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대학의 여건, 교수자의 준비도, 학생들의 요구, 교과목의 성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온라인 수업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 비실시간 녹화강의, 그리고 실시간 및 비실시간의 학생 활동 등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2020학년도에 이루어진 다양한 유형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며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그리고 수업 성과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분석하였고, 다양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대해 어떤 인식과 요구가 있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해 응답자들은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그리고 수업 성과에 대해 가장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비실시간 녹화 강의가 그 뒤를 이었으며, 자료 및 활동 중심 수업에 대해 교수 실재감, 학습 실재감, 그리고 수업 성과 인식이 가장 낮았다. 둘째, 온라인 수업 유형별 효과 및 비효과적 요인은 다양하였다. 온라인 실시간 수업의 효과적 요인은 대면 강의와 유사하게 참여 시간의 제약이 있는 것이었고, 이는 동시에 비효과적 요인으로도 인식되었다. 비실시간 녹화 강의의 경우, 사전에 준비되어 체계적이며, 학습자의 수준과 상황에 맞게 반복 학습이 가능하고 편의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인식되었다. 반면, 주도성이 부족한 학생들은 수업을 미루다 한꺼번에 들어 학습의 질이 낮고 심리적 부담이 가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및 활동 중심 수업의 경우, 활동 참여 기회가 증대되었다는 긍정적 의견과 더불어 교수자가 직접 제작하지 않은 유튜브 등의 자료를 사용하다 보니 수업과의 개연성 및 체계성 부족과 과도한 활동 및 과제 부담이 지적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의 효과적 온라인 수업을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Owing to COVID-19, many virtual online classes were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2020. Online courses comprised real-time online classes, virtual recorded lectures, and student activity-based real-time and non-real-time classes. The choice depended on various factors, including university resources, instructors’ preparation levels, students’ demands, and features of the co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educational performance of various online classes, and their demands in the various types of online classes in the academic year 2020.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espondents perceived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and educational performance to real-time online classes the most positively. This was followed by virtual recorded lectures, resources, as well as student activity based on real-time and virtual recorded classes. The results further revealed that effectiveness and ineffectiveness factors varied based on the types of online classes. Constrained participation time was recognized as an effective factor in online real-time lessons. However, this time constraint was also recognized as an ineffective factor. The advantages of non-real-time recorded lectures included possible advanced preparation and the highest level of repetition. However, it may be ineffective for students with a lack of initiative because they tend to delay classes, resulting in poor learning quality and increasing psychological pressure. Where instructors used YouTube and other materials not produced by the processors for resources and student-activity based classes, the lack of connection in the classes required students to do excessive activities and tasks. The various implications of effective online classes have been sugg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

        제1부: 학술논문 : 블렌디드 러닝에서 요구되는 교사 역량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중요도와 준비도의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오정숙 ( Jungsook Oh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3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을 특수교육 환경에서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특수교육 분야에서 블랜디드 러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블렌디드 러닝에서 특수교육교사에게 요구되는 4가지 역할과 23가지 역량을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예비특수교사들 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준비도 수준을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설계자 역할에서는 특수아동의 학습자 특성 분석이, 학습활동 촉진자 역할에서는 적절한 피드백 제공과 참여 독려 항목이, 기술지원자 역할에서는 장애특성별 시스템 구성 및 인터페이스 이해 항목이, 그리고 평가자 역할에서는 학습자 반응 및 만족도 평가 항목이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준비도가 낮은 항목들은 교수설계자 역할에서는 다양한 교수 매체 활용 전략 항목, 학습활동 촉진자 역할에서는 특수아동 특성에 따른 상호작용 전략 차별화 항목, 기술지원자 역할에서는 장애특성별 온라인/오프라인 의사소통 기술 지원 항목, 그리고 평가자 역할에서는 온라인/오프라인 활동에 적합한 평가 전략 수립 항목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준비도의 차이는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개발, 특수아동의 특성에 따른 상호작용 전략 차별화, 장애특성별 시스템 구성 및 인터페이스 이해, 그리고 장애특성별 온라인/오프라인 의사소통 방법 활용의 4개 항목들은 중요도는 높지만 준비도는 낮아 관련 역량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etencies in blended learning. For this study, the list of 4 roles and 23 competencies that are required for special educators in blended learning were drawn from literature review of prior research. Based on the list, th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their level of preparedness of the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respondents perceived that analyzing learner’s characteristics w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while they indicated they were least prepared to utilize various instructional media for the role of instructional designer. For the role of facilitator, they thought that giving appropriate feedback and encouraging student’s participation were the most important competencies but they thought that they were least prepared to provide differentiated interactions with the learners with special needs. For the role of technical supporter, they thought that constructing the unique system and interface to match to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w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but they thought they were least prepared to provide differentiated communication methods to the disability type and level. Lastly, for the role of evaluator,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was evaluating the response and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but they thought that they were least prepared to establish the appropriate on and off line evaluation. The results of important-prepar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filed of special education need to develop teaching-learning strategy, to differentiate interaction strategy, to construct the system and interface, and to support communication method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ith special needs in terms of the competency in blended learning.

      • KCI등재

        수학과 과학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인식 연구

        오정숙(Jungsook Oh)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캐나다의 수학 및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것과 관련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은 한국어와 영어로 개발되었으며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한국과 캐나다의 응답자 212명과 109명 중 성실히 응답한 175명과 8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과 캐나다의 교사들은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해 여러 면에서 인식 차이를 보였다. 우선, 학습자 중심 교수철학의 전반적 수준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세부 항목 중 교수목적과 교수전략에서 캐나다의 교사들이 한국의 교사들 보다 학습자 중심적인 철학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TPACK의 여러 요소에 있어서도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수지식과 테크놀로지지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캐나다의 교사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의 중요도를 보였고, 내용지식, 교수지식, 그리고 테크놀로지 지식 모두에서 캐나다 교사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수준의 자신감을 보였다.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는 목적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한국의 교사들은 학생의 교과 지식을 높이기 위해 테크놀로지를 사용한다는 항목에 가장 높은 응답을 나타내었고, 캐나다 교사들은 테크놀로지를 수업에 활용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학생들의 개별화된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서를 꼽았다.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는 제한점으로는 한국과 캐나다의 교사들이 공통적으로 기술 지원의 부족을 꼽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of a quantitative study that investigated how STEM educators view the roles of technology in their teaching. The study incorporated the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Deliberate Pedagogical Thinking with Technology frameworks to emphasize that in addition to the relevant knowledge necessary for effective use of educational technologies, teachers have to acqui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ir impact on student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ccording to the self-reports of 285 STEM educator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y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levels of pedagogical, content and technological knowledge, as well as are offered significantly different opportunities for incorporating technology in their teaching. The opportunities for support and technology-relate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STEM teaching also vary dramatically among the participants. Most importantly, STEM educators have disparate perceptions of the role of technology in STEM. While the sample of this pilot was rather limited, this study identifi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

        중심키워드를 활용한 새로운 자기주도 학습도구 개발 및 적용

        김미옥(Miok Kim),오정숙(Jungsook Oh)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이론 중심 교과목의 획일적이고 일방적인 수업방식에서 탈피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가 더불어 함께하는 창 의적인 교수학습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도와줄 수 있는 선행조직자가 되는 학 습도구를 개발하여 대학 현장에 다양하게 활용 보급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영양사 국가시험은 기존의 암기형 위주 의 문항에서 직무중심 문제해결형의 문항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지금까지의 이론중심수업의 수동적 인 학습이 아니라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발표하여 학습효과를 증가시키는 교수학습방법의 개 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목의 중심키워드를 활용한 학습도구로 출석과 예습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스마트카드와 수업에  적용하는 중심키워드개념도, 그리고 복습이 가능하도록 지식뱅크노트를 개발하여 약 16주의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  방식은 기존의 수업방식과는 차별화되도록 중심키워드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예습-수업-복습을 연계하여 자기주도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방식이다. 학습자가 스마트카드를 활용하여 미리 중심키워드를 선별하여 예습하고, 수업이 시작되면 중심키워드개념도를 통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가 상호작용수업이 진행되도록 하였으며, 수업의 마무 리에는 수업시간에 학습한 중심키워드를 활용하여 지식뱅크노트를 활용하도록 구성하였다. 그 결과, 수업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높이고, 학습태도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켰다. 또한 학습자가 학습활동을 스스 로 관리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높은 만족도가 확인되었다. This research presents a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requires  collaborative participation from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is new learning tool  for self-directed learning may work as an advanced organizer for application and  distribution in colleges. The latest Registered Dietician’s Examinations stress the  needs of practical and problem-solving competence. It proves the necessity of new  teaching method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by encouraging  students’ active class participation, not by the current theory-based passive  learning. First of all, the new learning tool using the keywords in subject matter employs a  Smart Card which can check attendance and help with class preparation. A key  word map and an information bank note for review were used in class. This method  was designed for self-directed learning in connection with class preparation and  class review for the students in class. The student can use the Smart Card  selecting the key words in advance to prepare for class and interact with instructors  during class with the key word map. The student can take advantage of the  information bank note using the key words at the end of the class. As a result, the use of keywords in class increased the student’s participation, and  improved learning attitudes and self-efficacy. The student also displayed a higher  satisfaction rate given the opportunity to fost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which  they can manage their own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학교현장실습 기간 중 e-멘토링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와 실습지도교수의 인식

        백상수(Sangsu Baek),차정호(Jeongho Cha),오정숙(Jungsook Oh)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e-멘토링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 및 실습지도교수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경북 지역에 위치한 사범대학의 4학년 학생과 실습지도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학교현장실습을 마친 후인 4학년 6월 초에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전공 영역의 예비교사 134명(남 33명, 여 101명)과 실습지도교수 23명(남 13명, 여 10명)의 응답을 얻었다.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은 e-멘토링을 통해 교육활동 계획, 실시, 평가에 대한 지도 요구가 가장 높았고, 멘토에게는 정기적이고 규칙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역할에 대한 기대가 가장 컸다. 또한 멘티는 실습지도교수와 동료들로부터 적극적으로 배우는 역할을 해야한다고 인식하였고, 바람직한 교수와 학생 비율은 교수 1명과 실습생 2-3명이었다. 실습지도교수들의 경우, e-멘토링을 통해 교육활동 계획, 실시, 평가에 대한 지도 요구뿐 아니라 실습생의 어려움을 듣고 나누고자 하는 요구가 가장 높았고, 멘토에게는 실습생이 직면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도록 지원하는 역할에 대한 기대가 가장 컸다. 또한 멘티는 실습지도교수 및 동료들과 정보를 교류하고 공유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였고, 바람직한 교수와 학생 비율은 교수 1명과 실습생 4-5명이었다. 동료간 멘토링과 선배교사의 멘토링에 대한 요구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advisors on e-mentoring after their student teaching. A survey was distributed to 185 pre-service teachers and 34 of their advisors in early June after their student teaching experience. One-hundred thirty-four (33 male and 101 female) preservice teachers and 23 advisors (13 male and 10 female) returned the survey. Pre-servic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need more instructions on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of lessons through e-mentoring. They also expected more regular and systematic feedback from their mentors. They perceived that mentees have to be more proactive in their learning from their mentors and colleagues. They indicated that desirable a mentor-to-mentee ratio would be 1 to 2-3. Advisor respondents perceived that inquiring about students’ struggles and providing support to students’ problem solving is important in addition to their lessons. They also indicated that mentees have to share information with their colleagues and cooperating teachers. They indicated that a desirable mentor-to-mentee ratio would be 1 to 4-5. Peer mentoring and alumni mentoring were also examined. Based on these results,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