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노클레이 첨가량에 따른 나노재료 시멘트 모르타르에 정착된 보강섬유의 인발성능

        오리온,박찬기,Oh, Ri-On,Park, Chan Gi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5 No.3

        Recently, it has been studied for the application of nano-materials in the concrete. Applied a small amount of nano-materials can achieve the goal of high strength, high performance and high durability. The small addition of nano clay improves strength, thermal stability, and durability of concrete because of the excellent dispersion. The present study has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when varying with the contents of nano clay, influencing the pull-out behavior of macro synthetic fibers in nano materials cement mortar. Pullout test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Japan Concrete Institute (JCI) SF-8 standard for fiber-reinforced concrete test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the pullout performance of the different nano clay. Nano clay was added to the 0, 1, 2, 3, 4 and 5 % of cement weight.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addition of nano clay led to improve the pull-out properties as of the load-displacement curve in the precracked and debonded zone. Also, the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pullout performance and of Mix No. 1 and No. 2 increased up to the point when nano clay used increased by 2 and 3 % contents, respectively, but decreased when the exceeded 3 and 4 %, respectively. It was proved by verifying increase of the scratching phenomenon in macro synthetic fiber surface through the microstructure analysis on the surface of macro synthetic fiber.

      • KCI등재

        GFRP plate를 적용한 섬유보강세그먼트의 휨성능 평가

        오리온,박성기,성상경,이재영,김황희,Oh, Ri-On,Park, Sung-Ki,Sung, Sang-Kyung,Lee, Jae-Young,Kim, Hwang-Hee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8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20 No.5

        본 연구는 GFRP plate 보강세그먼트를 TBM 터널 지보재로 적용하기 위한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세그먼트의 철근량 감소와 균열제어 및 파손 등의 국부적인 손상 방지를 위하여 최근 SFRC세그먼트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SFRC세그먼트에 사용되는 강섬유는 섬유 부식에 의한 내구성 저하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RC세그먼트와 비교하여 SFRC세그먼트의 최대 휨하중 감소는 TBM 터널 세그먼트의 폭넓은 적용범위를 저해하고 있다. 따라서 SFRC세그먼트의 최대하중 증가를 위한 보강재로 GFRP plate 고려하였으며, 강섬유의 대체재로 부식 우려가 없는 구조용 합성섬유를 사용하였다. 보강섬유의 종류 및 GFRP plate 두께를 주요 변수로 하여 세그먼트의 휨 성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보강섬유와 3 mm 두께의 GFRP plate로 보강한 세그먼트는 섬유로만 보강한 세그먼트와 비교하여 섬유 종류별로 최대하중이 21.78~23.03%, 휨인성은 0.5~7.96% 증가하여 우수한 휨성능 효과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GFRP plate reinforced segments for TBM tunnel support. Recently, the SFRC segment has been applied to prevent local damage such as reduction of the amount of reinforcing bars of the segment, crack control and breakage. However, the steel fiber used in the SFRC segment has a problem of durability deterioration due to fiber corrosion. Compared with the RC segment, the maximum flexural load reduction of the SFRC segment hinders the broad application range of the TBM tunnel segment. Therefore, GFRP plate was considered as a stiffener for the maximum load increase of SFRC segment, and structural synthetic fiber without corrosive concern was used as a substitute for steel fiber. The flexural performance of the segment was evaluated by using the type of reinforcing fiber and GFRP plate thickness as the main parameters. As a result, the maximum load and the flexural toughness were increased by 21.78~23.03% and 0.5~7.96%,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the segments reinforced with reinforcing fiber and GFRP plate of 3 mm thickness.

      • KCI등재

        하이브리드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보강섬유 종류에 따른 역학적 특성 및 충격저항성

        오리온,박찬기,Oh, Ri-On,Park, Chan Gi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5 No.4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depending on the types of reinforcing fibers being influential in view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impact resistance of hybrid fiber reinforced concrete (HFRC) for applications to precast concrete structure. Hybrid fibers applied therefor were three types such as PP/MSF (polypropylene fiber+macro synthetic fiber), PVA/MAF (polyvinyl alcohol fiber+MSF) and JUTE/MSF (natural jute fiber+MSF), where the volume fraction of PP, PVA and natural jute was applied with 0.2 %, respectively, while based on 0.05 % volume fraction of MSF. The HFRC was tested for slump,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impact resistance. The test result demonstrated that mixture of such hybrid fibers improve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impact resistance of concrete. Moreover, it was found that HFRCs to which hydrophilic fibers, i.e. PVA/MSF and JUTE/MSF, were mixed show more improved features that HFRC to which non-hydrophilic fiber, i.e. PP/MSF was mixed. Meanwhile, the finding that PVA/MSF HFRC exhibited better performance than JUTE/MSF HFRC was attributed from the former having higher aspect ratio than that of the latter.

      • KCI등재

        섬유보강 다공성 옥상녹화 황토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및 온도변화 특성 평가

        오리온,김춘수,김황희,전지홍,권완식,박찬기,Oh, Ri On,Kim, Chun Soo,Kim, Hwang Hee,Jeon, Ji Hong,Kwon, Wan Sig,Park, Chan Gi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5 No.4

        The physical, mechanical, water purification and temperature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porous hwang-toh green roof concrete have been evaluat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depending on replacement ratio of blast furnace slag to cement was investigated such that the replacement ratio is varied to 0 % and 30 %. Also, the replacement ratios of hwang-toh were 0, 20 and 30 %. The polyvinyl alcohol fiber was used for the reinforcing fiber. A series of pH test, unit weight, void ratio, compressive strength, after purification and variation of temperature test have been perform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water purification effect and temperature properties of the fiber reinforced porous hwang-toh green roof concrete. The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porous hwang-toh green roof concrete is affected by the replacement ratio of the blast furnace slag and hwang-toh contents. Results of purifying water showed that the water purification effect of porous hwang-toh green roof concrete is about 40 %. Also, the temperature properties test results indicate the green roof blocks using fiber reinforced porous hwang-toh green roof concrete have insulation and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 KCI우수등재

        이산화티타늄을 이용한 대기정화 블록의 질소산화물 제거 성능 평가

        오리온 ( Oh Ri-on ),김황희 ( Kim Hwang-hee ),박성기 ( Park Sung-ki ),차상선 ( Cha Sang-sun ),박찬기 ( Park Chan-gi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2 No.5

        This study evaluated the nitrogen oxide (NO<sub>x</sub>) removal efficiency by air purification concrete blocks with titanium dioxide (TiO<sub>2</sub>). The concrete in the mixtures had a 30% water:cement ratio, to which TiO<sub>2</sub> was added at 0%, 5%, and 10% of cement weight. The compressive strength reduction rate and removal efficiency of NO<sub>x</sub>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of the compressive strength test in the study indicated that addition rate of TiO<sub>2</sub> did not lead to signifcant effect. In terms of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NO<sub>x</sub>, mix No. 1 using a TiO<sub>2</sub> mixing ratio of 0% had a removal efficiency of 0 .57% on average; thus, the removal effect was not significant. For the other samples prepared by mixing,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ies for mix No. 2 (5% TiO<sub>2</sub>) were 58.86% and 62.05% for normal and washing surface treatments, respectively, and those of sample No. 3 (10% TiO<sub>2</sub>) were 59.94% and 67.61%. mixs No. 4 (5%) and No. 5 (10%), in which TiO<sub>2</sub>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was sprayed onto the block surface, had an average NOx removal efficiency of 61.72% and 68.48%, respectively. In terms of NO<sub>x</sub> removal efficiency, Mixs No. 3 and No. 5 with 10% TiO<sub>2</sub> were better than Mixs No. 2 and No. 4 with 5% TiO<sub>2</sub>. In addition, analyzing the NO<sub>x</sub> removal efficiency results from the fixing method, it was capable to apply mixing (washing) and the diluted spray method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diluted spray method applied in this study can be employed in any manufacture of air purification concrete blocks.

      • 이산화타이타늄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블록의 질소산화물 저감 특성

        오리온 ( Rion Oh ),김황희 ( Hwanghee Kim ),이재영 ( Jaeyoung Lee ),성상경 ( Sangkyoung Sung ),박성기 ( Sungki Park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호흡기 질환 유발, 광화학 스모그,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대기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을 제거, 저감하고자 광촉매 반응으로 각종 오염물질 분해 능력을 갖는 화합물을 생성하는 이산화타이타늄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로 포장재나 블록 등 콘크리트 2차 제품에 광촉매 소재인 이산화타이타늄을 첨가하여 이산화타이타늄의 치환율 및 고정 방법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질소산화물 저감 콘크리트 실험 배합은 물/시멘트비 40%, 라텍스/시멘트비 2.7%, 라텍스 고형분율 47%, 이산화타이타늄 치환율 0%, 5%, 10%로 설정하였으며, 질소산화물 저감효과는 이산화타이타늄의 치환율 및 고정방법에 따라 질소산화물 저감 효과의 차이가 있어 치환율 및 고정방법에 따라 시편을 제작하였다. 고정방법은 시멘트와 잔골재를 1분간 건비빔한 후 이산화타이타늄 분말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방식과 이산화타이타늄 분말을 물이나 알코올에 희석 후 블록 표면에 분사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실험방법은 질소산화물 오염물질 반응기를 이용한 KS L ISO 22197-1 「파인세라믹스-반도성 광촉매 재료의 공기 정화 성능 측정방법-제1부:산화질소제거」에 의하여 질소산화물 저감 특성을 평가하였다. 오염물질 반응기는 시편에 시험가스를 접촉하기 위한 장비로 UV-A램프와 BLB램프를 달아 광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310×310×265mm의 박스로 제작하였으며, 시험가스인 질소산화물을 1.4ppm의 농도로 유입시킨 후, 시험가스 출구에 질소산화물 측정기를 통하여 질소산화물량을 측정하였다. 질소산화물 제거 시험결과, 이산화타이타늄의 치환율이 0%인 Plain배합의 질소산화물 저감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이산화타이타늄의 치환율이 5%인 배합의 질소산화물 저감율은 최소 50~ 최대 69%이며, 이산화타이타늄의 치환율이 10%인 배합의 질소산화물 저감율은 최소 60~ 최대 70%로 치환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산화타이타늄 분말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방식보다 이산화타이타늄 분말을 물이나 알코올에 희석 후 분사하는 방식의 저감율이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감율이 최대 70%까지 높게 나온 이유는 오염물질 반응기의 크기가 작고 질소산화물 가스의 농도가 1.4ppm으로 소량씩 주입되어 반응이 빠르게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 홀직경 및 홀개수에 따른 직투수 포장블록의 우수유출 특성 평가

        오리온 ( Rion Oh ),김황희 ( Hwanghee Kim ),이재영 ( Jaeyoung Lee ),성상경 ( Sangkyoung Sung ),박성기 ( Sungki Park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지금까지의 빗물관리 방식은 빗물을 하수도나 지표면을 통해 하천과 바다로 유출시키는 방식으로 자연적인 물순환에서 벗어났을 뿐만 아니라 빗물관리의 한계에 이르렀다. 따라서 개발이전의 수문순환체계를 회복하고 유지시키기 위하여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방식인 소규모 분산식 시스템(침투, 저류, 여과, 증발)을 활용되고 있다. 이에 최근 블록 전면에 투수시켜 빗물을 땅 속으로 환원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투수블록이 적용되어져 왔으나, 공극 폐쇄에 의한 막힘현상 발생으로 투수효율 감소, 유지관리 문제 및 하부 저류공간의 부재로 인한 투수 후 표면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고자 직투수홀을 가진 빗물 침투·저류 블록을 개발하여 우수유출을 유도하고 블록 내부 공간으로 침투하여 저류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빗물 침투·저류 상판블록에 직투수홀의 최적 홀직경과 홀개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인공강우장치를 이용한 우수유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변수는 홀직경 3mm, 5mm, 7mm, 블록 당 홀비율 0.18%로 정하였다. 실험 진행시 기울기를 0%, 2%로 주었으며, 강우강도 50~600mm/hr로 실험하였다. 이와 같은 빗물 침투·유출시험 결과, 기울기 0%일 때는 빗물이 고여서 천천히 전량 침투되었으며, 기울기 2%일 때, 강우강도 400mm/hr이하의 경우, 유출이 발생하지 않았다. 500mm/hr일 때는 홀직경 7mm>3mm>5mm 순으로 유출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600mm/hr의 경우 홀직경 3mm>7mm>5mm 순으로 유출이 많이 발생하였다. 이는 홀직경 3mm의 경우 직경이 너무 작아 침투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았고, 7mm의 경우는 홀직경과 상관없이 면적당 홀비율에 따라서 계산된 홀개수가 적어 유출이 많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홀직경 5mm가 유출이 가장 적게 발생되어 직투수홀 직경 사이즈로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직투수 포장블록은 일시적 폭우에도 침수되지 않고 투수성이 유지되며 물순환을 위한 침투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