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용실 종사자의 행동유형에 따른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서예지 ( Ye-ji Suh ),고서영 ( Seo-young Ko ),권혜지 ( Hey-ji Kwon ),임미지 ( Mi-ji Lim ),박은준 ( Eun-jun Park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1 미용예술경영연구 Vol.5 No.3

        As the society’ s perception on the hair service is transforming and as the hair service industry is increasing in size as the businesses are growing, there is a greater need to develop the set of standards needed for the emotions that the hair industry employees express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customers to ensure improved service quality and to differentiate the service as well. In particular, in case of the hair industry employees, there are many instances in which individuals’ emotion is neglected or repressed due to the customer centered working environment. Thus, they are bound to experience significant amount of emotional labor while carrying out their work. Moreover, they are experiencing diverse set of job stresses due to the relationship with customers, repetitive work, long working hours and others. Accordingly, this research used DiSC Behavior Type to classify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hair industry employees, and sought to examine how emotional labor following each behavior type influences job stress. This research will hopefully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and academic data concerning the operation of the personnel in the hair service industry field going forth, to help carry out effective HR management. As for the research method, self-administered survey method was us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6.0. As for the analytical method applied to the data, they we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s a result, hair industry employees’ DiSC Behavior Type distribution was examined, which demonstrated that the share of the sociable type (Type i) which is the type that likes to socialize with others was the highest. Influence of the emotional labor by the DiSC Behavior Type on the job stress was identified. Job stress level also increased when the emotional labor level increased. The study was shown that the emotional labor following each behavior type of the hair industry employees exert different influence on the job stress. Likewis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effective HR management that factors in the type of individuals’ behavior for the employee management.

      • KCI등재

        COVID-19를 경험한 대학생의 우울 및 대인관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이지예(Ji Ye Lee),서예진(Ye Jin Seo),박정빈(Jeong Bin Park),이서정(Seo Jeong Lee),조은희(Eunhee J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 및 대인관계, 자살생각의 차이를 파악하고,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전북지역에 소재한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한 후 연구에 동의한 157명에게 2021년 9월 16일부터 2022년 1월 1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동의한 157명 중 응답이 미비한 7부를 제외하여 총 150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β=.46, p <.001), 대인관계(β=.31, p =.002), 경제 상태(β=-.15, p =.013), 성별(β=.13, p =.012) 순서이며, 자살생각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6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COVID-19를 경험한 대학생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우울 및 대인관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우울을 감소하고 대인관계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학교 내 자살예방 상담 프로그램뿐 아니라 대인관계 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uicidal thoughts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suicidal thoughts. The researchers explained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to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four universities in Jeollabuk-do. From September 16, 2021 to January 11, 2022, data were collected from 157 students who voluntarily enrolled in the study. The final analysis included 150 subjects, after excluding 7 with insufficient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0.0 program. The factors influencing a subjects suicidal ideation were sequentially determined to be depression (β=.46, p <.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 (β=.31, p =.002), economic status (β=-.15, p =.013), and gender (β=.13, p =.012) the explanatory power to explain suicidal ideation was 68%.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o reduce the suicidal thoughts of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COVID-19, a follow-up study on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suicidal thoughts is required. Moreover, schools need to develop suicide prevention counseling programs that help to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KCI등재

        여성의 결혼연차에 따른 헤어관여도 차이에 관한 연구

        임미지 ( Mi-ji Lim ),고서영 ( Seo-young Ko ),권혜지 ( Hey-ji Kwon ),서예지 ( Ye-ji Suh ),박은준 ( Een-jun Park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2 미용예술경영연구 Vol.6 No.3

        The study the comparison on the level of attention on the hair among women’s annual marriage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arried wo men and women to meet the needs of information and intended to provide scientific data. As for the research method, self-administered survey method was used. Collected data was analysis using SPSS 16.0. As a result The level of attention on the hair factor analysis was classified interest, rick perception, perception of others at the surrounding area, change of surroundings, information. And, Annual marriage was identity the level of attention on the hair factor that perception of others at the surrounding area, information. Likewis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effective beauty marketing to know needs of consumer.

      • 태안군 일대의 수서곤충 다양성 및 특이종 분포 양상

        정상우 ( Sang Woo Jung ),민홍기 ( Hong Ki Min ),황호성 ( Ho Sung Hwang ),서예지 ( Ye Ji Seo ),배연재 ( Yeon Jae Bae ),백운기 ( Woon Kee Pae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태안군은 충청남도 서해안에 위치(36°23′47″~36°58′42″N, 126°06′36″~126°26′48″E)하고 있으며 강한 조류 및 북서풍의 영향으로 대부분 모래 퇴적지형으로 나타나고 부분적으로 니질(mud) 퇴적물이 우세하게 분포하고 있다(한국해양연구소, 1989). 연평균기온 12.49℃, 연강수량 1,423mm로 몬순기후(monsoon climate)에 속하며 국내 유일한 해안국립공원(328.99㎢)과 천연기념물(제 431호)의 해안사구 및 람사르습지로 지정(2007)되어 있는 두웅습지가 있어 다양한동·식물상 뿐 만 아니라 희귀 동·식물의 서식처로도 알려져있다. 최고해발고도의 백화산(284m)을 제외하면 대부분 해발 100m 안팎의 완만한 경사의 구릉성 산지로 유량이 많은큰 규모의 하천이 발달하지 못하고 대부분 염분이 있는 저수지 형태의 담수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 수서곤충은 담수생태계에서 개체수가 풍부하고 종다양성이 높으며, 다양한 수환경에 적응하여 나타나는 분류군이다. 이에 따라 저차 소비자로서의 먹이사슬 연구, 기후변화연구, 생태독성 평가, 수질환경을 대표하는 지표생물 개발등 다양한 응용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정수지역에 높게분포하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노린재목(Hemiptera), 잠자리목(Odonata)은 서식처의 먹이 풍부도에 따라 서식처를 이동하는 무리로 수서곤충이 살아가는 먹이순환 및 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생물이다. 국내 수서곤충의분류 및 생태적인 연구는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지만 본격적으로 1980년 후반부터 활발히 연구가 시행되었다. 하지만 유충 분류의 어려움 및 소수의 전공자들로 아직까지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분류군의 분포 및 생태학적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번에 조사된 태안반도지역은 태안군 전체에 위치하고있는 담수생태계를 중점으로 수행하였으며 태안구역 15개지점(태안 St.1~St.15), 안면도구역 10개 지점(안면 St.1~St.10)으로 1차(2015년 6월 8일~6월 11일), 2차(2015년 8월 24일~28일)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 방법으로는 태안반도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원형뜰채(Hand net, mesh size = 1.0 mm)와 사각뜰채 (40 × 20cm, mesh size = 0.2mm)를 이용하여 가능한 다양한 미소서식처에서 채집하였다. 수환경조사는 일부 지역에서 수질측정기(YSI Professional WQM, USA)를 이용하여 수온(Water Temperature),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DO), 염도(Salinity)를 측정하였다. 채집된 표본은 현장에서 96% Ethanol에 고정한 후, 연구실에서 걸러내기(Sorting) 및 동정(Identification) 과정을거친 후 80% Ethanol에 보관하였다. 채집된 수서곤충의 동정은 윤 등(1988, 1995), 원 등(2005), 박 등(2008), 정(2011), 김 등(2013), 권 등(2013)을 참조하였으며, 연구에사용된 모든 표본은 국립중앙과학관 수장고 안에 보관하였다. 조사결과 태안군 전체에서 수서곤충은 총 6목 30과 72종이 조사되었다. 이중 정수지역에 출현빈도가 높은 잠자리목(Odonata)이 22종(30.56%)으로 가장 많은 종수가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딱정벌레목(Coleoptera) 21종(29.17%), 노린재목(Hemiptera) 17종(23.61%), 파리목(Diptera) 8종(11.11%)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하천에서 풍부하게 서식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날도래목(Trichoptera)는 각각 2종(2.78%)로 매우 낮게 출현하였으며, 청청수역을 대표하는 강도래목(Plecoptera)과 유수지역에 서식하는 뱀잠자리목(Megaloptera)는 출현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출현양상은 일반 내륙지역의 수서곤충상과는 다른 해양생태계에 인접한 태안군 담수지역의 독특한 수서곤충상을 반영하고 있다. 수서곤충 전체의 섭식기능군(Functional Feeding Groups: FFGs)과 서식기능군(Habitat orientation groups: HOGs)을 분석한 결과 하천과는 달리 정수지역에 서식하는 잠자리목(Odonata), 딱정벌레목(Coleoptera), 노린재목(Hemiptera)이 우세하게 출현하여 Predators(48종, 66.67%)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하천에서 대부분 출현하는Shredders, Scrapers, Filtering-Collecters는 출현 빈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서식기능군에서는 Swimmers(24종, 33.33%), Climbers(18종, 25.0%), Sprawlers(12종, 16.67%)가 대부분 차지하였으며, 이는 대부분 섬(Island)과 같은 정수지역에 서식하는 무리의 구성으로 내륙지역의 수서곤충 무리와는 단절된 구성을 나타냈다. 주목할 만한 종들은 환경부적색목록(2013) 범주에 각각 위기(Endangered, EN), 준위협(Near Threatened, NT), 취약(Vulnerable, VU) 범주에 포함되어 있는 “동쪽애물방개(Cybister lewisianus Sharp), 투구물땡땡이(Helophorus auriculatus Sharp), 단발날도래(Agrypnia pagetana Curtis)” 3종이 번식하며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국외반출승인종 2종(Ceriagrion auranticum Fraser, Paracercion melanotum (Selys)), 기후변화 생물지표종(Ischnura elegans (Van der Linden)), 분포특이종 3종(Diplonychus esakii Miyamoto & Lee, C. lewisianus Sharp, H. auriculatus Sharp)의 서식처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분포특이종 및야생에서 높은 절멸 위기에 직면해 있는 4종에 대해서는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2006년~2012년) 자료를 포함하여 국내 전국의 분포지도를 작성하였다. 이번 태안군 일대의 수서곤충의 종구성 및 분포 자료는 국내 내륙지역과 섬지역의 수서곤충 분포 및 비교 활용자료로 그 가치가 높으며, 독특한 해양기후에 적응하여 나타나는 수서곤충의 생물다양성, 지리적 이동 및 진화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기본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한국산 멸종위기종 두드럭조개의 분포와 개체군 동태

        전용락 ( Yong Lak Jeon ),박영준 ( Young Jun Park ),서예지 ( Ye Ji Seo ),윤희남 ( Hee Nam Yoon ),박성준 ( Seong Joon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2014년에 본 연구자들은 한국산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인 두드럭조개의 국내 최대 규모 서식지로 금강 중상류지역인 천내습지를 중심으로 645㎡면적에 300여 개체가 서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종은 우리나라에서 담수에서 수질이 양호하며 유속이빠른 하천 중ㆍ상류지역에 서식하는 우리나라 토종 민물조개로 수생태계내에서 여과섭식, 납자루 및 중고기과 어류의 산란숙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Lee & Min, 2002). 최와최(1965), 최 등(1967) 및 김(1969)에 따르면 한강 중류지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지난 1987년 한강 본류에서 33개체가 채집된 이래 1990년대 이후 관찰된 기록이없어 한강에서는 절종(絶種)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인위적인 교란에 따른 서식지 축소로 개체수가 크게 줄어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됐다. 두드럭조개의 서식지는 수질이 좋고 유량이 풍부하며 모래와 자갈이 혼합되는 지점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있는데, 한강수계는 이러한 화학 및 물리적 조건이 이전보다많이 교란되어 그 서식지가 감소하여, 현재에는 서식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 진다. 최근 하천 공사 등으로 금강을 비롯한 다른 하천들도 많은 교란이 발생되어 두드럭조개와 같은 보호 및 관리되어야 할 종들이 금강 및 섬진강 수계의 극히한정된 지역에 소량 분포하고 있으며 개체수와 미소서식지가 감소하고 있다(김 등, 2015). 최근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연구기관들이 참여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종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장기모니터링 및 서식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연 상태에서 두드럭조개의 서식조건을 비롯한 생태학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금강 본류(용담댐-대청댐 구간)에서 10Km 구간당 1지점, 총 12개 조사지점(S1~12)을 선정하여 분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개체수가 많고 항시 관찰이 가능한1개 지점(S6)을 고정조사구로 선정하여 다중 재포획법을 사용하여 개체수 추정과 서식 형태 및 생태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생패가 출현한 5개 지점(S2, S5, S6, S8,S11)과 패각이 발견된 4개 지점(S3, S7, S9, S12)이 두드럭조개의 서식 또는 서식가능지역으로 추정된다. 특히, 고정조사구(S6)에서 조사기간 동안 총 296개체의 출현을 확인하였고, 개체군 규모를 추정한 결과 95% 유의수준에서 최소 1,571에서 최대 36,133±4개체가 서식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는 고정조사구(S6) 내에 여울, 소 및 유수역등 다양한 서식지 형태가 모두 포함되어 있고, 유속도 다양하며, 하상은 모래, 자갈, 호박돌 등으로 다양한 물리적 환경을 형성하고 있어 많은 수의 두드럭조개가 서식하는 것으로보인다. 현재 고정조사구 모니터링과 서식지에 대한 연구 등을 추가로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두드럭조개의 생태적 특징을 파악하고 개체군 보존을 위하여 이지역과 같은 미소서식지역의 자연성을 유지하는 방안 마련을 포함한 서식지 보전 및 복원에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태안군 일대의 수서곤충 다양성 및 특이종 분포 양상

        정상우 ( Sang Woo Jung ),민홍기 ( Hong Ki Min ),황호성 ( Ho Sung Hwang ),서예지 ( Ye Ji Seo ),배연재 ( Yeon Jae Bae ),백운기 ( Woon Kee Pae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2015년 6월부터 8월까지 2회에 걸쳐 충청남도 태안군 일대의 담수생태계를 중점으로 수서곤충의 다양성, 섭식기능군, 서식기능군 및 분포특이종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태안군 전체에서 수서곤충은 총 6목 30과 72종이 출현하였다. 분류군별 출현종수는 정수지역에서 출현빈도가 높은 잠자리목이 22종(30.56%)으로 가장 높게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딱정벌레목 21종(29.16%), 노린재목 17종(23.61%), 파리목 8종(11.11%) 순으로 나타났다. 하천에 풍부하게 서식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과 날도래목(Trichoptera)은 각각 2종(2.78%)으로 매우 낮게 출현하였으며, 청정수역을 대표하는 강도래목(Plecoptera)과 유수지역에 서식하는 뱀잠자리목(Megaloptera)은 출현하지 않았다. 섭식 기능군은 잠자리목(Odonata), 딱정벌레목(Coleoptera), 노린재목(Hemiptera)이 우세하게 출현하여 Predators(48종, 66.67%)의 비율이 높았고, Shredders와 Scrapers는 출현빈도가 낮게 나타났다. 서식기능군은 Swimmers(24종, 33.33%), Climbers(18종, 25.0%), Sprawlers(12종, 16.67%)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부분 섬과 같은 정수지역에서식하는 무리의 구성으로 내륙지역의 수서곤충 무리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환경부지정 분포특이종 및 위기(EN), 준위협(NT), 취약(VU) 종으로 적색목록 범주에 포함되어있는 동쪽애물방개(Cybister lewisianus), 투구물땡땡이 (Helophorus auriculatus), 단발날도래(Agrypnia pagetana), 각시물자라(Diplonychus esakii) 4종의 서식처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국외반출승인종인 새노란실잠자리(Ceriagrion auranticum)와 작은등줄실잠자리 (Paracercion melanotum) 2종,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인 북방아시아실잠자리(Ischnura elegans) 1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분포특이종 및 야생에서 절멸 위기에 직면해 있는 4종에 대해서는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 (2006년~2012년) 자료를 포함하여 국내 전국 분포지도를 작성하였다.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diversity of aquatic insects, functional feeding groups (FFGs), habitat oriented groups (HOGs), and species-specific distribution in the Taean area in Korea from June to August, 2015. As a result, a total of 72 species belonging to 30 families and six orders were identified in all the investigated regions. Odonata (22 spp.: 30.56%) was the largest group in species richness followed by Coleoptera (21 spp.: 29.16%), Hemiptera (17 spp.: 23.61%) and Diptera (8 spp.: 11.11%) while for Ephemeroptera and Trichoptera, only two species (2.78%) were found. In addition, Plecoptera and Megaloptera inhabiting clean and flowing waters were not found. In the FFGs, predators (48 spp.: 66.67%) were relatively larger as represented by Odonata, Coleoptera, and Hemiptera, whereas shredders and scrapers were lower in proportion. The dominant groups of HOGs were swimmers (24 spp.: 33.33%), climbers (18 spp.: 25.0%), and sprawlers (12 spp.: 16.67%), which were characterized as aquatic insects community of island. Four species: Cybister lewisianus Sharp, Helophorus auriculatus Sharp, Agrypnia pagetana Curtis, Diplonychus esakii Miyamoto & Lee that are designated as Endangered, Near Threatened, and Vulnerable (Korean Red List) have been found to inhabitthe Taean area. Also, two species belonging to the exportable species group (Ceriagrion auranticum Fraser, Paracercion melanotum (Selys)) and one species belonging to the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group (Ischnura elegans (Van der Linden))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four significant species including the Endangered are presented on the Korean distribution map based on the information in the national ecosystem survey accumulated for 7 years (2006-2012)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 ‘숙명역사관’뮤지엄 아이덴티티 개선을 위한 마케팅, 디자인 전략 수립 -특별 기획전, 홍보, 기프트 샵을 중심으로-

        박민지,박한빛,서예,이진민,장미정,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7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디자인과 마케팅이 이분법적으로 나누어질 수 없음을 인식하고, 디자인과 마케팅을 융합하여 스페이스 디자인 마케팅을 통한 뮤지엄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3월~6월 총 15주간 숙명여자대학교 환경디자인과 ‘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수업에 서 진행된 결과물로서 작업물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4개(物, 事, 人, 場)의 주제 중, 장소(場)를 중심으로 ‘숙명역사관’의 그래픽, 제품, 공간을 개발하는 브랜드 매뉴얼과 연관하여 한정한다. 이에 본 연구는 ‘숙명역사관’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컨텐츠와 가치를 통해 현재 상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숙명역사관’의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디자인 전략과 해결 방안을 통해 디자인과 마케팅의 융합을 꾀하였다. 아울러 SWOT 분석을 통해 로고, 명함부터 새로 기획하는 숙명역사관 기프트샵, 인테리어디자인, 디스플레이, 공간연출과 그 안의 제품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일관성과 통일성을 추구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뮤지엄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창의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고찰하며, 이를 바탕으로 개발 매뉴얼을 총체적으로 정리함에 있어서 뮤지엄 브랜딩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