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대 동중국해 사단(斜斷)항로에 대한 해양기상학적 고찰

        김성준,Kim, Sung-June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2

        최근 일부 연구자들은 9세기 장보고 휘하의 신라인들이 항해에 나침반과 첨저선을 이용하여 동북아 해역을 자유롭게 항해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항해에 나침반이 이용된 것은 중국이 11세기이고, 유럽이 12세기이다. 게다가 우리 선조들은 평저선을 사용하였다는 것이 학계의 중론이다. 이 논문은 중국 주산군도에서 흑산도를 잇는 동중국해 사단항로(서해남부 사단항로)의 이용 시점에 관하여 해양기상학적 관점에서 재검토해 보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고대 동중국해 사단항로에 관한 이제까지의 연구성과를 정리한 뒤, 동중국해의 해황(海況)을 바람과 해류, 안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뗏목으로 동중국해를 항해함으로써 장보고 선단이 동중국해 사단항로를 이용하였음을 입증하였다는 주장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해 보았다. 분석 결과 6 7월 해황은 동중국해 사단항로의 범주 항해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것도 기상 조건이 아주 유리했을 경우에 한하여 한정적으로 가능했음을 확인하였다. 뗏목 탐사의 경우 제시된 항로도와 실제 선위간 이동경로와는 다소 상이하였고, 속력 또한 1.7 2노트 내외로 빠르게, 그것도 직선에 가깝게 이동한 것으로 분석되어 아주 이례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명확한 사료와 확실한 근거가 없는 한 동중국해 사단항로는 1068년 이후 주항로로 이용되었다는 설이 견지되어야함을 재확인하였다. The ancient sailing routes between Silla Korea and Tang China have been a hot issue among the researchers. Some assert that the Korean seafarers under Chang Po-go sailed the East China Sea directly from China to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assistance of mariner's compass on boarding V-shaped vessels in the 9th century. As we all know, Chinese used the mariner's compass in the 11th century and Europeans in the 12th century. In this paper, the author analyzed the maritime meteorological condition for sailing ships to navigate in the East China Sea and retraced the rafting route by Yun in 1997.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author confirmed that the maritime meteorological condition might be favorable for the seafarers to be capable of navigating in the East China Sea from China to Korea in June and July. But even the sea condition might be favorable, it must be God's will for the ancient seafarers to reach the Korean Peninsula. On Yun's rafting account, the author found out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ailing route drawn by Yun himself and the actual drifted route and the raft drifted at 1.7~2.0 knots. This was quite an extraordinary speed considering the unfavorable sea condition and raft itself without keel. In conclusion, the author reaffirms that it was after the year 1068 for the seafarers to navigate in the East China Sea directly from China to Korea without any historical proofs or evidences.

      • KCI등재

        성호 이익의 유통,상업관 연구 -『성호사설(星湖僿說)』과 『곽우록(藿憂錄)』을 중심으로-

        김성준 ( Sung June Kim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3 해운물류연구 Vol.29 No.-

        이 논문에서는 『성호사설』과 『곽우록』에 표출된 이익의 유통·상업관을 추출해 보았다. 이익은 당대 풍속이 땅에 떨어지고 가난하게 되었으며, 그 근본적 원인을 사치 때문으로 보았다. 성호는 살아가는 데 먹고 입는 것(衣食)이 가장 중요하고, 사는 것(住)이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으로 보고, 이와 관련이 없는 사치는 철저히 억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치를 억제하기 위해 돈을 없앨 수도 있으나, 현실적으로 돈을 없애기는 어려운 만큼 반양전이나 은화 등의 고액화폐를 도입하거나 시장의 수와 영업시간을 제한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처럼 성호는 시종일관 抑末論的 입장을 견지했지만, 상인을 四民의 하나로서 그 존재를 인정하고 물화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는 데는 말, 수레, 배 등의 대형 유통수단의 장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 이처럼 성호가 억말론적 견해를 가졌던 것은 사치를 부정하고 검약을 강조하는 성리학적 경제관과 땅을 잃고 파산하는 농민들에 대한 애민정신을 가졌기 때문이었다. YI Ik, whose pen name is Seongho, was a Confucius scholar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in Chosun Dynasty. In this paper, the author made an attempt to summarize Seongho`s Views on Distribution and Commerce by analyzing his books Seongho Saseol( Seongho`s Memoirs on Many Subjects) and Kwakwurok(On Caring People`s Living). Seongho YI Ik regarded his times as the age of Crisis like "the ship in turbulent rapids." He considered that the social custom declined badly and the people fell into poverty. According to this views, the main root of these terrible situation was extravagance by which the farmers were went bankrupt due to losing their farmlands. YI Ik supposed that food, clothing and shelter are the most important things for the people to live, and stated that the extravagance excluding the purpose for these 3 things should be restrained. He claimed that money might or could be eliminated to suppress extravagance. But he admitted that it is actually difficult to remove money, proposed that it need to introduce high-valued currencies such as silver bar and 50 Jeon(錢) for decreasing the circulation of coined money. Furthermore, YI Ik proposed to decrease the number of public markets and to limit the business hours for reducing the extravagance. As summarized the above, Seongho YI Ik sticked to his views of anti-commerce through his life. But he conceded the existence and the role of merchants in society, and realized the advantage of large-scale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horse, cart and ship.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예선업의 전문산업으로의 성장

        김성준(Kim, Sung-June)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2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7

        예선업은 ‘항만시설을 보호하고 선박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선박의 입출항을 보조하는 사업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예선은 항만시설의 일부로 간주되어 오랫동안 항만관리 주체인 정부가 관장해 왔다. 그러다가 1975년 항만법 개정으로 예선업이 법정화되어 민영화가 이루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예선업이 하나의 전문산업으로 성장하기까지의 역사적 과정을 추적했다. 연구 결과, 잔교와 선거 등의 항만시설이 갖추어지면서 선박의 접이 안에 예선의 도움이 필수불가결하게 되어 예선이 항만시설의 일부로서 관계당국이 관장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경제개발5개년계획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어 가면서 선박 입출항 척수가 증가하고, 선박의 대형화가 진행되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정부는 1970년 경부터 관유 예선 수를 증대하려고 했으나, 충분치 못한 정부 예산으로 늘어나는 예선 수요를 감당할 수 없게 되었다. 게다가 1974년 5월 인천갑문의 가동이 본격화되었다. 이에 정부에서는 1975년 4월 항만법을 개정하여 ‘예선업의 허가’를 법정함으로써 민영화되기에 이르렀다. 이 연구는 예선업이 해운업뿐만 아니라 항만산업의 파생수요라는 사실을 새로이 밝혀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tug business refers to a business that assists ships entering and leaving ports in order to ‘protect port facilities and ensure the safety of ships.’ In the case of Korea, tug had been considered a part of port facilities and its operation had long been controlled and operated by the government, which was the subject of port management. Then, in 1975, with the revision of the Harbour Act, the tug business was legalized and privatized. In this paper, the author traced the historical process of tug activities, which was a part of port facilities in Korea, until it grew into a specialized busines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s port facilities of jetties and locks were developed, the assist of tugs became indispensable for ships’ berthing and unberthing, and the relevant authorities began to take charge of tugs as a part of port facilities. Then, as the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progressed successfully, the number of ships entering and leaving ports increased, and the size of ships became large. To prepare for this, the government tried to increase the number of government-owned tugs from around 1970, but it was unable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for tugs due to insufficient government budget. In addition, operation of the Incheon lock began in earnest in May 1974. Accordingly, the government revised the Harbour Act in April 1975 and legalized the ‘licensing of tug business’, leading to privatization.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newly revealed the fact that the tug business is a derived demand of the port industry as well as the shipping industry.

      • KCI등재
      • KCI등재

        煌丕昌天銘 航海圖紋 高麗銅鏡에 새겨진 배의 국적

        김성준(KIM, Sung-June)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5 No.-

        한국 선박사에서 고려 선(船)은 사료의 부족으로 역사 속에 가려진 존재였다. 특히 1984년 완도선의 발굴 이후 현재까지 고려선이 계속 발굴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려 시대의 원양선박에 대한 자료는 2005년 중국에서 발굴된 펑라이(蓬萊) 고려고선(高麗古船) 외에는 전혀 없다. 이는 연구자들로 하여금 청동거울에 새겨진 배에 관심을 갖도록 했다. 한국선박사 연구자들은 고려동경에 새겨진 배를 고려선으로 간주하고 이 배의 선형에 대해 다양하게 해석해 왔다. 이 논문은 한국과 중국에서 발굴된 航海圖紋 銅鏡 30점(한국 23점, 중국 7점)에 새겨진 배의 외형(船形, ship’s hull shape)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한국과 중국의 동경 중 대표적인 선형의 배 2점씩을 선정하여 Photosho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배의 외곽선을 딴 뒤, 이를 겹쳐보았다. 그 결과 중국과 한국에서 발굴된 황비창천명 항해도문에 새겨진 배는 모두 동형선으로 확인되었다. 황비창천명 항해도문 동경이 중국에서 고려로 유입되어 널리 유행한 것을 감안하면, 동경에 새겨진 배를 고려선박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삼족오문 항해도문경(德壽 4927; 덕3194)은 평면형 저판 및 선수미, 중첩된 삼판, 갑판과 외판 접합부에 보이는 멍에(橫梁) 등 여러 면에서 원양항해용 평저선형 고려선박으로 볼 수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황비창천명 항해도문 동경이 기원지인 중국에 비해 고려에서 널리 모방, 변형, 재창조되어 활발하게 주조, 국내 유통 및 중국(금)으로 까지 수출되었다는 점이다. 유리판(于力凡)의 견해를 받아들인다면, 황비창천명 항해도문 동경은 북송의 徽宗(재위 1100-1125) 황제의 聖德을 讚揚할 목적으로 주조되었다. 그러나 이배근의 견해를 원용하면, 고려에서는 항해도문안을 태조 왕건의 조부인 作帝建의 설화로 해석하여 태조 왕건을 龍孫으로 지체를 높이기 위한 상징물로 활용했을 개연성도 있다. 이것이 황비창천명 항해도문 동경이, 중국에서 고려로 유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려에서 이를 모방 및 변형하고 독창적으로 재창조하여 널리 유통하게 된 사회문화적 배경이 되었을 수 있다. 이는 차후의 연구를 통해 밝혀내야 할 과제다. The details about the Koryo ship have been somewhat obscured in the past mainly due to lack of the historical documents and materials in the history of the traditional Korean ship. Especially, since the excavation of the Wando-ship in 1984, the information about the ocean-going vessel during the period of the Koryo Dynasty have not been found outside of the Penglai Koryo ship which was excavated in Penglai, China, in 2005. This situation sparked an interest for researchers in the sailing ship inscribed on the bronze mirrors containing an inscription of 4 Chinese characters(煌丕昌天), ‘Brilliant, Massive and Glorious Heaven.’ Most of 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ships has identified the ship inscribed on the bronze mirrors as a Koryo’s ocean-going ship. From these inscriptions, researchers have been to shed some light about the Koryo ship’s structure. This paper is a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shape of the ship engraved on 29 bronze mirrors excavated in both Korea and China. The author selected two representative ships on the bronze mirrors in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and after outlining each ship’s shape through use of Photoshop program, the outlines of the ships were superimposed upon one another. As a result of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 ship inscribed on the bronze mirrors excavated in both Korea and China had the same shape. Considering that the bronze mirrors were inscribed on a sailing ship that originated from the Northern Song(北宋), China and were widely imported into Koryo through its trade with the Northern Song and the Jin(金), the inscribed vessel cannot be regarded as a Koryo vessel. However, the sailing ship, carved on the bronze mirror(Collection No. Deoksoo 4927) possess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an be classified as a flat-bottomed ocean-going ship of Koryo in various aspects such as a flat bottom, flat bow and stern, sailing pole, overlapped side plates, and some indications of a Meongae(upper transverse beam). Compared to its Chinese origin, the bronze mirror inscribed on the sailing ship had been extensively molded, imitated and transformed in Koryo. According to YU Lifan(于力凡), the sailing ship was originally carved onto the bronze mirror for the purpose of praising and promoting the Emperor Huizong(徽宗, reign 1100-1125)’s virtue in the Era of the Northern Song. However, in Koryo, it was probable that the tale of Jakjegeon(作帝建), a grandfather of Wang Geon(王建), might be added to illustrate that Wang Geon, a founder of Koryo dynasty, was an offspring of the YONG(龍, Asian Dragon). This may have been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within which, despite the bronze mirrors inscribed on the sailing ship were introduced through the Northern Song and the Jin, those were copied, reproduced and circulated far and wide from the middle of the 12th century through the 14th century in Koryo. This is, however, area in which more clarity is needed, hence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 KCI등재
      • KCI등재

        항해용 지남기에 관한 A.v. 훔볼트 테제 비판

        김성준 ( Kim Sung-june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7 역사학연구 Vol.66 No.-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1847년 출판된 『코스모스』(Cosmos) 제2권에서 `중국에서 발명된 지남기(compass)가 아랍을 경유하여 유럽으로 전해졌다`는 설을 정식화하였다. 이 논문은 컴퍼스에 관한 이른바 `훔볼트 테제`의 사실성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한 것이다. 훔볼트는 콤파스가 “인도양과 페르시아와 아라비아 해안 전역에 걸쳐 일반화되고 난 뒤에 동양에서 유럽으로 도입되었다”고 밝혔다. 그가 이렇게 주장하게 된 데는 클라프로스(Klaproth)의 보고서의 오류와 그 자신의 오독이 중첩적으로 상호작용하였다. 한자를 해독하지 못했던 훔볼트는 일본 전문가인 클라프로스에게 중국 컴퍼스의 역사에 대해 조사해 달라고 의뢰하였고, 클라프로스는 1834년에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클라프로스는 `3-4세기의 晉代에 중국인들이 지남기구를 이용하여 인도양까지 항해했다`는 『패문운부』의 기록을 인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클라프로스는 “晉(265-419) 왕조 하에서 『패문운부』 대사전에 (이 사실이) 언급되어있다”라고 적었고, 이를 오독한 훔볼트는 『패문운부』가 진대에 간행된 것으로 오해 하였다. 결과적으로 훔볼트는 `중국 배들이 3-4세기에 지남침을 이용하여 인도양까지 항해하였다`고 단정하였다. 하지만 『패문운부』는 청대인 1711년에 간행되었을뿐만 아니라, 그 책에 `진대에 자석을 이용하여 남쪽으로 항해한 배들이 있었다`는 내용 자체가 없다. 나아가 클라프로스는 지남거(Char magnetique), 지남귀(Tchi Nan Kiu), 수부침(boussole a eau)을 각각 구별할 수 있었던 것과는 달리, 훔볼트는 south-pointing needle(사남) = compass(컴퍼스) = mariner`s compass(항해용 컴퍼스)가 동일한 것으로 혼동하였다. 훔볼트의 이전 유럽에서는 컴퍼스의 중국 기원설, 게르만 기원설, 유럽 항해용 컴퍼스의 중국 유입설 등의 주장이 제기되었고, `컴퍼스가 중국에서 발명되어 아랍인을 경유하여 유럽에 전해졌다`는 훔볼트 테제는 그렇게 일반적인 것이 아니었다. 하지만 훔볼트의 명성과 영향력에 힘입어 `중국의 컴퍼스가 아랍을 경유하여 유럽에 전해졌다`는 주장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훔볼트의 주장에 다수의 오류가 내포되어 있다는 점과 항해에 지남 부침을 사용한 시기가 중국 1100년 전후, 유럽 1187년, 아랍 1282년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중국의 지남기가 아랍을 경유하여 유럽에 전해졌다`는 주장은 역사적 사실에 부합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Alexander von Humboldt stated that the `compass` invented by the Chinese was introduced to Europe by Arabic people in his great book Cosmos, A Sketch of A Physical Description of the Universe in 1847.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validity of Humboldt`s opinion. Humboldt argued that `the compass was introduced to Europe from the East after its use had become general throughout the Indian Seas and the coasts of Persia and Arabia` in his book Cosmos, Book II. In his argument, the error of M.J. Klaproth`s personal report of Lettre a M.A. de Humboldt, sur l`Invention de la Boussole(1834) and his own misreadings overlapped. Humboldt asked M.J. Klaproth, an expert on Japanese history,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the Chinese compass, and Klaproth submitted the report to Humboldt in 1834. Klaproth cited a record of the Poei Wen Yun Fou(佩文韻府), a grand encyclopaedia, stating that “the Chinese sailed to the Indian Ocean under the Tsin(晋) dynasty(265-419).” Humboldt, however, misinterpreted this sentence and misunderstood that the “Poei Wen Yun Fou(佩文韻府)” was in fact published in the Tsin dynasty. As a result, Humboldt asserted that `the Chinese ships had sailed to the Indian ocean by using mariner`s compass throughout the 3rd and 4th centuries. However, not only was the Poei Wen Yun Fou(佩文韻府) published in 1711, but also in the book, there is no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that `the Chinese ships sailed South by using magnets.` Furthermore, M.J. Klaproth was able to distinguish between Char magnetique(指南車), Tchi Nan Kiu(指南龜), and floating needle(boussole a eau, 水浮針), while Humboldt had confused a south-pointing needle(司南) with a compass or a mariner`s compass. Before the period of Humboldt in Europe, there were several claims about the origin of the compass from China, Germany and about the European mariner`s compass transmission to China, but the claim that `the compass was invented in China and transmitted to Europe via the Arabs` was not so common. However, thanks to Humboldt`s reputation and academic influence, the claim that "the Chinese compass was transmitted to Europe via the Arabs" became widespread. Considering the facts that the floating needle, a kind of compass, was used for sailing around 1100 in China, 1187 in Europe, and 1242 in Arabic world respectively, and many mistakes were implied in Humboldt`s claim, the view that the Chinese invented compass was introduced to Europe through Arabic people is not in accordance with the historical facts.

      • KCI등재

        고려 초기 나주선의 톤수 추정과 검증

        김성준 ( Kim Sung-june ),김경옥 ( Kim Kyeong-ock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0 역사학연구 Vol.79 No.-

        2004년 나주 영산강 유역에서 발굴된 나주선은 이제까지 발굴된 한선 가운데 최대선으로 추정된다. 선행연구에서는 나주선을 전장 32-42m에 이르는 초대형선이나 고려시대 초마선으로 추정했다. 문헌상 고려의 배는 누선, 초마선, 과선, 일본원정선 등 4종으로 대별할 수 있다. 과선은 여진족의 해적을 소탕하기 위해 동북방면에서 활용되었던 군선이고, 일본 원정선은 일본을 공략하는 데 이용된 배다. 발굴된 지역을 고려하면 나주선이 과선이나 일본 원정선일 개연성은 적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연구에서처럼, 나주선을 고려의 조운에 이용된 초마선으로 가정할 경우 왕건의 누선일 가능성은 원천적으로 배제될 수 밖에 없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만곡부재를 갖춘 고려 발굴선과 기타 한선의 주요 제원간 구성비율을 추출함으로써 나주선의 잔존부재인 만곡종통부와 저판재를 바탕으로 나주선의 크기를 추정해보고자 했다. 2에서는 만곡부재를 갖춘 고려선박의 사례를 살펴보고, 3에서는 나주선의 잔존부재인 저판재와 만곡부재를 통해 저판장을 가정한 뒤, 한선의 주요 제원간 구성비율을 적용해 길이, 너비, 깊이 등을 추산해 나주선의 톤수를 계산해보고, 이를 검증해 보았다. 연구 결과 나주선은 총톤수 230총톤으로 추정되었다. 이 경우 저판장은 22m, 저판폭(저판재 9장)은 6.81m, 상갑판장 31.46m, 상갑판 폭 12.34m, 깊이 4.97m(만곡부재 포함 외판재 7열)가 된다. 이 연구는 잔존한 소량의 부재를 활용한 추정치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나주선이 고려 태조 왕건이 나주 공략시 활용한 누선일 가능성을 구체적인 수치로 제시해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Najuson ship, which contains 9.2 meters bottom plate and 5.6 meters L-typed bottom stringers and was discovered at the basin of Yeongsan River in 2004, is presumed the biggest Korean ship of the excavated Korean ships.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es, Najuson ship was estimated to be a super-larger Korean ship with a total length of 32 ~ 42 meters, or Choma ship which was grain-tax carrying vessel in the Koryo dynasty. Koryo ship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 King Taejo’s Nuson(big flag ship), Kwason(spike and ram ship), Chomason ship, and Japan Expedition ship. Kwason was a naval ship for defending against the Jurchen pirates along the sea coasts of the Northeast area during the 11th century, and Japan Expedition ships were used for invasion of Kyushu, Japan by Yuan-Koryo allied navies at the end of 13th centur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robability that Najuson ship is Kwason or Japan Expedition ship is relatively low. Also, as in the previous study, assuming that the Najuson ship is a Chomason ship, the possibility that it was a King Taejo’s Nuson might be basically excluded. In this paper, the author is trying to estimate the gross tonnage of Najuson ship by extracting and applying the composition ratios of the main ship’s particulars from the excavated Koryo ships with L-typed stringer and from other Korean traditional ships. Section 2 reviews the excavated Koryo ships with L-type stringers such as Sibidongpado ship, Wando ship, and No 2 Daebudo ship. In section 3, after assuming length of keel of Najuson ship through the remaining bottom plate and L-typed bottom stringer parts, the author calculates and verifies the tonnage of Najuson ship by estimating the length and width of main deck, and depth. As a result of estimation and verification, it is estimated that Najuson ship was about 218 gross tons. Since this tonnage is a abbreviated figure calculated by applying the calculation of the ship’s tonnage under 24 meters, it results in approximately 230 gross tons by adding about 5 % to convert it to the ship’s tonnage over 24 meters. In this case, the length of bottom plate of Najuson ship is 22 meters, the width of bottom plate 6.81 meters, the length of main deck 31.46 meters, the width of main deck 12.34 meters and the depth 4.97 meters.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is only an estimate using a small amount of residual ship’s parts. However, it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in that Najuson ship might be King Taejo’s Nuson which was used to attack Naju in the 10<sup>th</sup>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