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陽明의『中庸』觀 硏究 — 『傳習錄』을 중심으로 —

        임홍태 동양고전학회 2014 東洋古典硏究 Vol.0 No.54

        왕양명 철학의 개념과 구조는 『대학』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왕양명은 『대학』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여 마침내 주희의 『대학』해석과는 다른 자신만의 학문 체계를 형성하기에 이른다. 이와 더불어 그는 『중용』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도 희노애락 등 감정의 미발이발과 중화 등 『중용』의 개념 설명에서 주자와는 다른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왕양명은 『대학』과 『중용』의 관계에 대해 “자사가 『대학』전체의 뜻을 총괄하여 『중용』의 첫 번째 장을 지었다 .”고 평가할 만큼, 왕양명 사상에 있어 『대학』과 『중용』은 매우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하겠다. 『대학』과 『중용』은 공부 방법에 있어 같은 목적을 추구하고 있으니, 『대학』은 성의 공부를 통하여 지선한 경지에 오르는 것을 추구하고 있으며, 『중용』은 성신 공부를 통해 지성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대학』과 『중용』은 성실하게 한다[誠]는 하나의 공부를 통해 지극한 경지에 오르는 것을 공동의 목표로 삼고 있는 것 이다. 이처럼 양명에게 있어 『대학』과 『중용』은 서로 분리하여 말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양명의 『중용』관련 언급 가운데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 것은 『중용』1장에 관해서이다. 『중용』1장은 『 대학』의 전체 의미를 포괄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용』에서는 성(誠)이라는 개념을 통해 본체와 공부를 설명하고 있다. 양명은 『중용』1장을 풀이하면서 본체에 대한 깨달음보다는 수도 공부를 통해 본체를 파악하는 공부를 중시하는 입장 을 취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수도 공부로 ‘경계하여 삼가면 두려워한다’는 계신공구를 제시하고 있으니, 양명에게 있어 계신공구는 신독이고 치중화이며 치양지 공부에 다름 아니다. 여기에서 양명은 『중용』의 공부 방법을 『대학』의 그 것과 연관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용계와 서산의 사구교 해석

        임홍태 퇴계학부산연구원 2011 퇴계학논총 Vol.17 No.-

        양명이 그의 말년에 제시하고 있는 사구교가 내포하고 있는 내용은본체와 공부, 유무 문제 등으로, 이는 이후 왕문 후학 사이에 사구교의해석을 둘러싼 논쟁에 있어서의 중심 문제로 부상하게 되는 것이다. 사구교를 둘러싼 유무논쟁은 왕양명 생전에 이미 전개되었으니 전서산과 왕용계 사이의 본체와 공부에 대한 사유사무논쟁이 그것이다. 양자 사이에 사구교를 둘러싸고 벌어진 본체와 공부에 관한 유무논쟁은이후 왕문 후학이 분화하게 되는 결정적인 원인이 된다.왕용계와 전서산은 양명의 사구교에 대한 해석에 있어 각각 사유설과사무설을 정설로 삼고, 이에 따라 공부 방법에 있어서도 정심공부 중심과 성의공부 중심의 학문태도로 갈라지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하나는 본체에 대한 깨달음을 중시하고, 다른 하나는 공부를 통해 본체를 회복하는 태도를 보이게 된다.

      • KCI등재

        양명 사구교 해석을 둘러싼 본체⋅공부 논쟁의 전개과정 - ‘무선무악심지체’ 해석을 중심으로

        임홍태 한국철학사연구회 2010 한국 철학논집 Vol.0 No.28

        왕수인이 말년에 제출한 사구교는 왕문의 일대 공안이었을 뿐만 아니라, 왕학 분파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왕수인 사후에 왕학은 사구교의 해석을 둘러싸고 분화한다. 그 중 왕기를 중심으로 본체에 대한 깨달음을 중시하는 일련의 학자들이 나타나게 되니, 이들은 본체에 대한 깨달음을 중시하여 상대적으로 공부에 대해서는 등한시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명말 학술계의 병폐에 대하여 일련의 학자들은 왕학말류가 주장하는 ‘무선무악’에서 그 단서를 찾고 있었으니, 이는 자연스럽게 왕수인의 사구교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왕수인의 사구교를 계승 발전시킨 왕기의 사무설을 둘러싸고 이를 지지하는 학자와 이를 비판하는 학자 간의 논쟁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마침내 심체의 ‘무선무악’에 관한 문제는 명말 사상계에 있어서 핵심논제로 자리잡게 된다. 당시 왕학말류의 폐단이 극심했던 시기에 허부원과 고헌성은 성선설의 입장에서 심체의 무선무악 문제에 대해 격렬하게 반론을 펼쳐 왕학후학의 폐단을 극복하려 하였다. 이후 유종주는 사구교 자체가 양명의 사상이 아니고 왕기의 사상이라고까지 하였다. 유종주의 제자인 황종희는 {명유학안}을 통해 비록 사구교가 왕수인의 견해라고 인정하면서도 이에 대해 분명하게 설명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왕기의 사무설에 대해서는 항상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그들은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이러한 폐단의 원인을 직접 양명사상 자체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 KCI등재후보

        朱子·象山·陽明·지山의 공부론 비교- “大學”의 격물·치지·성의·정심을 중심으로 -

        임홍태 한국유교학회 200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21 No.-

        The search for ideal Humanity and Moral value in every day real life, by the self-human morality, are the common goals of Sung・Ming Neo-Confucianists. But they have another methodologies to take an ideal humanity, that is the self-cultivation theory, because of their different translations of Daxue(大學)self-cultivation theory. Everyone of this time schola's controversy centered on 4 themes, the Moralizing his own Mind・Faithful intention・Achieving morl self-Congnition・Taking the objective principles. This paper prospected the self-cultivation theory of Zhuxi(朱子)・Xiangshan(象山)・Yangming(陽明)・Jishan(蕺山) in this vein. They are commonly tried to get the Confucian Sage' Humanity, which means the harmoniously coordination of self-mind and heavenly principles. But their methodologies are different, Zhuxi(朱子) asserted to take the objective principles, Xiangshan(象山) accented on moralizing his own Mind, Yangming(陽明) centered on achieving morl self-Congnition, Jishan(蕺山) concentrated on faithful intention. These consequent process may be the evidence of internalizing self-cultivating theory. 현실생활에서 자신의 도덕 본심을 발현하여 도덕 가치를 성취함, 곧 이상인격을 확립하는 것이 송명이학가의 공통적인 목표이자 임무라 하겠다. 송명이학자는 비록 이상인격 완성이라는 공통된 목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방법을 통하여 이러한 이상인격을 확립하느냐 하는 공부론에 있어서 理學과 心學은 각기 다른 방법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니, 이러한 차이는 바로 대학의 공부론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을 둘러싸고 일어난 것이다. 이러한 대학의 공부방법에 대한 해석을 둘러싸고 당시의 학자들은 각자의 독특한 견해를 피력하기에 이르렀으니, 그 중에서도 이들이 중점적으로 논란의 대상으로 삼고 있었던 것은 ‘正心誠意致知格物’이라는 네 가지 항목이다.이 글에서는 그 중 주희육구연왕수인유종주의 공부론을 대학의 ‘正心誠意致知格物’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그들은 모두 ‘吾心과 天理가 혼연히 합일된 경지’인 성인의 경계를 추구한다는 동일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성인의 경계를 추구하는 구체적인 공부방법에 있어서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를 대체적으로 말하자면, 주희는 격물 중심, 육구연은 정심 중심, 왕수인은 치지 중심, 유종주는 성의 중심의 공부론을 각각 주장한다. 이러한 격물에서 정심으로, 정심에서 치지로, 치지에서 성의로의 변화과정은 공부론의 내재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 KCI등재후보

        율곡 이이의 도통론과 도통의식-{성학집요}의 ‘성학도통’론을 중심으로

        임홍태 한국철학사연구회 2006 한국 철학논집 Vol.0 No.18

        도통론은 주로 儒家 聖賢의 말씀에 대한 사상적인 동일성을 기초로 하여, 유가사상을 정통으로 삼고 이외의 사상은 정통이 아닌 이단으로 간주하여 비판배척하는 측면으로 전개된다. 이는 결국 정통과 이단의 갈등이라는 양상으로 표출되고, 정치세력과 결탁하여 생사를 건 투쟁으로 비화되기도 하였다.조선에서의 道統에 관한 논의는 중국에서 원시유학 이전부터 본래 도통의 전함이 있었던 것과는 달리 성리학 수입 이후에 일종의 학통(學統)을 중심으로 한 사승(師承)관계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한국의 道學思想은 人道 정신과 義理 정신 중에서 특히 의리정신이 강조되었는데, 이러한 점이 한국 도학사상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하겠다.그런데 도학에 관해 구체적으로 학문적 이론을 제시한 이가 바로 栗谷인데, 그의 道學觀은 聖學輯要에 잘 나타나 있다. 성학집요는 聖人 帝王의 학문하는 本末, 정치하는 선후, 德을 밝히는 實效, 백성을 새롭게 하는 실적 등 율곡의 학문관을 집약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 중 ‘聖學道統’장은 율곡의 도통론과 도통의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율곡은 실추된 도학의 전통을 다시 확립하여 大同世界를 구현함을 학문의 목적으로 삼았으며, 또한 인간의 구체적 현실에서 正義와 正道를 구현하려 하였다. 이러한 율곡의 도학사상은 대내적으로는 사회의 비리와 부정을 비판하여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의 정의를 구현하려는 비판정신으로, 대외적으로는 외세의 부당한 침략과 무도한 패도에 항거하여 민족을 수호하고 국란을 극복하려는 강인한 저항정신으로 전개되었다.

      • KCI등재

        陶奭齡과 劉宗周의 4차 有無論爭

        임홍태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5

        증인사(證人社)는 명말에 전개된 당쟁이라는 특수한 시대배경 하에 유종주(劉宗周)와 도석령(陶奭齡)을 중심으로 하여 소흥부의 사신들이 주축이 되어 세워진 강학조직이다. 증인사는 내부적으로 강학을 주도하였던 유종주와 도석령의 사상적인 경향의 차이로 서로 다른 길을 걷기에 이른다. 즉 유종주는 독신(獨愼)·성의설(誠意說)을 중심으로 하여 심학(心學) 말류에 대해 혹독한 비판을 가하고 있으며, 말년에 이르러서는 또한 양명(陽明)의 양지설(良知說)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반면, 도석령을 중심으로 하는 증인사의 또 다른 부류는 왕기(王畿)와 주여등(周汝登)의 사상을 계승하여 본체에서의 깨달음을 중시하고 있다. 이들은 비록 사상적인 경향의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길을 걷기에 이르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사회에 대한 우려의식에 있어서는 공동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즉 양자의 우려 의식은 개과천선이라는 실천을 통해 사회도덕질서를 회복하려는 공동의 목표를 지향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결과 도석령을 중심으로 하는 이들은 공과격 사상에 대해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다. 반면 유종주는 선악을 함께 언급하고 있는 공과 격의 방법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며 「인보」를 통해 악만을 언급하고 선은 언급하지 않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證人社是在明末展開的黨爭這一特殊的時代背景下, 以劉宗周陶石齡爲中心, 由紹興府的學者爲主幹而成立的講學組織. 在證人社內部, 主幹講學的劉宗周陶石齡的思想傾向不同, 探詢各自的路 徑. 比如說劉宗周以獨愼誠意說爲主, 對心學末流有嚴려批判, 及至晩年, 對陽明的良知說也有着批判的立場. 與此相反, 以陶石齡爲中心的證人社령一箇集團, 他門繼承王畿與周汝登的思相, 重視本體上悟入. 他門雖然由思想傾向不同, 探詢各自的路徑. 然而對當時社會的憂患采取共同的辦法. 換句 話說, 他門對當時社會的憂患, 有着由通過改過遷善的實踐, 回復社會道德秩序的共同目標. 因此, 以陶石齡爲主的學者, 對於功過格思想非常傾倒. 然而, 劉宗周對善惡幷陳的功過格深表不滿, 他選擇以人譜相對抗, 强調只記惡不記善的方法.

      • KCI등재후보

        황종희의 송명이학논쟁 평가에 대한 검토(1)

        임홍태 (재) 우계문화재단 2023 牛溪學報 Vol.45 No.-

        본 연구에서는 송원학안 과 명유학안 양 학안에 나타난 송명 시기에 펼쳐진 학술 논쟁의 전모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양 학안 가운데 송명 시기 학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논쟁을 펼쳤던 학술적인 내용에 대해 살펴보는 작업이다. 학술사적으로 볼 때, 송명 시기에 전개된 논쟁은 매우 다양하고, 그 내용 또한 풍부하다. 황종희는 이러한 논쟁의 내용을 양 학안을 통해 자신만의 관점을 가지고 하나하나 분석하고 평론하고 있다. 그는 각 논쟁에 대해 분석하고 평론함에 있어 비교적 객관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으나, 결과적으로는 어느 한 편을 옹호하고 어느 한 편을 비판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황종희의 분석과 평론 내용에 보이는 적지 않은 오류에 대한 검토를 통해, 송명 이학의 논쟁 주제에 대한 황종희의 관점을 객관적으로 재평가하고자 한다.

      • KCI등재

        王守仁의『大學』觀 硏究

        임홍태 동양고전학회 2009 東洋古典硏究 Vol.35 No.-

        왕수인 철학의 개념과 구조는 대학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왕수인 심학의 체계성은 대학에서 언급하고 있는 심⋅의⋅지⋅물이라는 네 가지 개념의 관계상에서 구축된 것으로, 「대학문」은 사구교와 마찬가지로 대학의 8조목 가운데 특히 심⋅의⋅지⋅물이라는 네 개의 개념을 체계로 하는 일련의 공부과정이다. 대학 공부론에 대한 왕수인의 사고를 더듬어보면, 초기의 격물 중심에서 성의에로, 다시 성의에서 치지로 그 공부방법이 바뀌어 감을 알 수 있다. 이는 그의 사상의 심화과정이자 교학사상의 변화과정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는 또한 왕수인 공부론의 내재화 과정이기도 하다. 왕수인은 초기에 주희의 격물론에 심취하여 내 마음 밖에서 이치를 구하는 방법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외향적인 공부방법은 이후 용장오도를 통해 ‘심즉리’를 주창하면서 점차 내향적인 방법으로 전환하기에 이른다. 왕수인은 「대학문」에서 대학의 정심⋅성의⋅치지⋅격물에 대한 해석을 통해 심⋅의⋅지⋅물을 일물一物로, 정⋅성⋅치⋅격을 일사一事로 파악하고 있다. 이는 이전의 격물 중심의 공부에서 성의 중심의 공부로, 다시 성의 중심의 공부에서 치지 중심의 공부로의 변화과정을 총괄하여 모든 공부의 합일을 주장하기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 이 글에서는 「大學問」 이전과 「大學問」 이후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왕수인의 대학관이 시기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고, 각 과정에서의 공부의 중점은 어디에 있으며, 이는 왕수인사상의 변화과정 가운데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왕수인의 대학관에 대한 전반적인 조명이 가능할 것이다. A general idea and the structure of Wangshouren's philosophy is intimately associated with Daxue. Systemicity of Wangshouren's Xinxue stand on the basis of a mind, intention, innate knowledge and things. 「Daxuewen」is a series of a process of gongfu. It stand on the basis of a mind, intention, innate knowledge and things, same as Four-Sentence Teaching. Wangshouren's gongfu theory of Daxuechanges from gewu to chengyi, from chengyi to zhizhi again. It is deepening of Wangshouren's philosophy and is the change of education. It is also that Wangshouren's gongfu theory internalize anything. He spent his younger life in pursuit of Zhuxi's gewu. Through a lecture of LongChang, Wangshouren's gongfu theory of Daxuechanges from extroversion to introversion According to Wangshouren' opinion, 「Daxuewen」is the tenet of the XinXue, same as Four-Sentence Teaching. This papers mainly emphases two points: one, to analyze the thinking system of Wangshouren's 「Daxuewen」, make a comparative study of befour「Daxuewen」and after「Daxuewen」. another, through this work we can understand thoroughly Wangshouren's viewpoint of Daxue.

      • KCI등재

        황도주의 주륙관 연구

        임홍태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40 No.-

        주희와 육구연 간의 논쟁은 송명이학의 전개 과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학술논쟁이다. 양자 간의 사상적인 이견(異見)으로 인해 전개된 논쟁은 이후 양대 학술 유파 간의 분쟁에 영향을 미쳤다. 송대에서 명대를 거쳐 대부분의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온 주륙이동논쟁은 각 학파의 편견으로 인해 서로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황도주는 주자와 육상산의 철학을 객관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양자의 화해를 시도하였다. 황도주는 주자학을 기본 토대로 하여 육학을 수용하고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두 사상의 조화를 꾀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입장에서 그는 주자학에 대해서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선별 취사하여 새롭게 해석하고 있다. 그는 기본적으로 주자학과 육학을 조화의 입장에서 이론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엄격하게 말하자면 그는 주자학적 입장에서 육왕학을 수용하고 있다 하겠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주자학에 대해 무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주자학과 육학이 추구하는 것은 다르지 않다고 단정짓고, 서로의 장점으로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려고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황도주의 연구는 주자와 육상산 사이에 전개된 논쟁 이후 진행되어 온 주륙동이논쟁의 지평을 한 단계 넓이고자 하는 시도이다. The debate between Zhu Xi(朱熹) and Lu Jiuyuan(陸九淵) is the most important academic debate in the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The debate developed by the ideological disagreement between the two influenced later disputes between the two academic schools. The controversy, which was continued by most scholars from Song to Ming, did not recognize each other because of the prejudice of each school. In this situation, Huangdaozhou(黃道周) tried to reconcile between the two by objectively comparing the philosophy of Zhu Xi and Lu Jiuyuan. Huangdaozhou accepts Luxue(陸學) based on Zhuzixue(朱子學). Also, through this, he tried to harmonize the two ideas. From this standpoint, he does not accept unjudgmentally about Zhuzixue(朱子學), but rather interprets Zhuzixue(朱子學) newly. He basically develops the theory of Zhuzixue(朱子學) and Luxue(陸學) from the standpoint of harmony. Strictly speaking, he accepts Luxue(陸學) from the standpoint of Zhuzixue(朱子學). This does not mean, however, that it simply takes an uncritical position on Zhuzixue(朱子學). What a and b pursue is to conclude that they are not different and try to make up for each other's shortcomings with each other's strengths. His research attempts to expand the horizon of the Same & Difference on Zhu Xi and Lu Jiuyuan's Philosophy debate that has progressed since the debate between Zhu Xi and Lu Jiuyuan.

      • KCI등재후보

        왕양명의 교육론

        임홍태 한국철학사연구회 2006 한국 철학논집 Vol.0 No.19

        유가(儒家)에서는 구체적인 도덕실천을 통해 인격을 완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왕양명(Wangyangming)은 어려서부터 어떻게 하면 성인(聖人)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을 학문의 중심으로 삼았으며, 그의 교육관 역시 이러한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유가사상에서 성인의 경지에 오르기 위한 방법은 원론적인 입장에서는 고정불변하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에 있어서는 다양하다. 왜냐하면 (도덕)실천에 있어서는 얼마든지 특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사람들의 능력과 기질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각각의 상황과 대상에 따라 가르침의 방법 또한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특수한 상황과 사람들의 차별성을 고려한 적당하고 적절한 가르침이 필요하니, 왕양명은 상황과 대상에 따라 적절한 공부방법을 활용할 것을 강조하였다. 주지하다시피 왕양명 사상은 그의 일생을 통해 몇 번의 변화과정을 거쳐 완성되는데, 이는 용장(龍場)에서의 깨달음을 경계로 전삼변(前三變용장에서의 깨달음 이전의 세 번의 변화)과 후삼변(後三變용장에서의 깨달음 이후의 세 번의 변화)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삼변이란 그의 학문이 완성되기 전에 겪은 내용과 취향이 서로 다른 세 차례의 이질적인 변화과정을 말하며, 후삼변이란 용장오도(용장에서의 깨달음) 이후의 세 차례 동질적인 학문변화과정을 말한다. 왕양명 사상의 변화과정은 동시에 교육사상의 변화과정을 의미한다. 연보(年譜)에 의하면, 왕양명의 교육방법은 용장에서의 깨달음을 계기로 지행합일(知行合一)→정좌→성의격물→치양지→사구교에 대한 가르침의 순으로 전개되고 있다. The theory of teaching in Wangyangming / Lim hongta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