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불안과 진로미결정간의 관계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홍혜영,안혜선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7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at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indecision, perfectionism, anxiety and career self-efficacy on high school students and mediating effects of career self-efficacy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decision and perfectionism, and also anxiety and career indecision. A survey is conducted on 326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nxiety and career indecis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was proved. Second, it turned out that students' personal standards had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ir career indecision, whereas parents' criticism had significant positive impact. Third, anxie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tudents' career indecision. Fourth, only goal choice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career indecision. Fifth, career self-efficacy were turned out mediating variabl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decision and perfectionism, and also anxiety and career indecision.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불안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완벽주의, 불안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3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와 진로미결정 간에는 부분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불안과 진로미결정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미결정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 성향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개인적 기준은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부모의 비난은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안이 진로미결정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목표선택만이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완벽주의와 진로미결정, 불안과 진로미결정 사이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진로미결정에 대한 완벽주의, 불안,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을 위한 효과적인 진로상담개입을 위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홍혜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videotaped role induction program, designed for Korean adolescent clients based on the findings of Korean adolesc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The participants (384 adolescents and 84 adolescent clients) were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groups: anexperiment group (the target program developed for this study), a control group (neutral), and comparison groups (provision of documents to introduce counseling).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clients' preparation for counseling, anxiety, satisfaction, and expected counseling sessions. The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the experiment group turned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one in increasing the client preparation for counseling and somewhat effective in decreasing anxiety.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ounseling accessibility and outcomes for adolesc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내담자 역할훈련 영상프로그램이 상담준비도, 불안, 그리고 상담성과(상담만족도, 상담예상회기수)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상담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대한 탐색적 조사결과를 토대로, 9분20초 길이의 영상물로 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상담경험이 없는 일반청소년 384명과 청소년내담자 8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본 프로그램), 통제집단(중성자극), 비교집단(상담안내지시문) 사전사후설계를 하였다. 일반청소년은 사전사후검사로 상담준비도와 불안검사를 하였고, 청소년내담자는 사전사후로 상담준비도와 불안검사를 하고, 1회 상담을 하고 나서 상담만족도와 상담예상회기수 검사를 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해 상담준비도와 불안은 구획분할교차요인설계를, 상담성과변인은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청소년과 청소년내담자 모두에서 본 프로그램이 상담준비도를 가장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불안수준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나,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상담성과변인에서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본 프로그램이 일반청소년과 청소년내담자 모두에게 상담준비도를 높이는데 가장 효과적이고, 불안을 감소시키는 유용한 상담개입전략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일반청소년의 상담이용가능성과 청소년내담자의 상담성과를 높이기 위한 개입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스튜디오 씽킹의 사고 습관 중심 교수・학습 지도 방안

        홍혜영,손지현 한국조형교육학회 2022 造形敎育 Vol.- No.83

        Since the post-corona era, we are more interested in education that can develop competencies in the lives of students rather than knowledge. In addition, the relativity and diversity of knowledge emphasize the integrated cognitive function of art subjects. Harvard University's Project Zero, which is still being researched in this context and is expanding and publicizing project research around the world, collaborates with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overseas institutions in the United States to create a global Continuing research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educational use in the field. After examining various classes of Studio Thinking, which is one of the art practical class methods, among the various projects being promoted by the Project Zero, we reconfigured the teacher's questions centered on Studio habits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is, a 3-week project study was carried out for 6th grade art gifted students with artistic potential. Through studio habits-centered art practical classes, this is an attempt to expand the cognitive side of Goodman's ability to think. In other words, In linking practical art and Studio habits, we will confirm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thinking power of gifted students and try to establish a research base for studio habits of mind centered instruction.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이후 우리는 지식 자체보다 학생들의 삶에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에 더 관심을 두고 있다. 또한 지식의 상대성과 다양성으로 미술 교과의 통합적 인지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금도 연구되고 전 세계로의 프로젝트 연구 확장 및 홍보를 거듭하고 있는 하버드 대학교의 프로젝트 제로는 미국의 많은 교육 기관 및 해외 기관들과도 연계하여 범세계적 연구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연구로 현장의 교육적 활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프로젝트 제로 팀이 진행 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 중 미술 실기 수업 방법의 하나인 스튜디오 씽킹(Studio Thinking)의 다양한 수업 사례를 살펴본 후 사고 습관 중심의 교사 발문을 교육 현장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미술적 잠재력을 지닌 6학년 미술 영재원 학생을 대상으로 3주에 걸친 프로젝트 학습을 실행하였다. 이는 스튜디오 씽킹의 8가지 사고 습관(Studio habits of mind)중심의 미술 실기 수업을 통해 굿맨이 말하는 인지주의적 측면의 사고력을 확장하고자 했다. 즉 미술 실기와 사고 습관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영재 학생들의 사고력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고 스튜디오 씽킹 사고 습관 중심 지도의 연구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음악치료활동이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대인관계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홍혜영,정광조,최애나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치료 활동이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대인관계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구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사회복귀시설 센터를 이용하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36세-63세의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8명(남자 5명, 여자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는 DSM-IV(APA, 1994) 진단기준에 의거하여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환자들이 선택되었고 그들은 6주 동안 주 2회에 걸쳐 60분간 음악치료 활동에 참여하였다. 측정도구는 대인관계(RCS)척도와 사회성 발달 척도지를 사용함으로써 음악치료를 시행하기 전과 후에 반복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음악치료 활동에 참여한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대인관계와 사회성에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음악치료 활동이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정서적 이완과 스트레스 감소, 인지행동변화 유도에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으며, 대인관계와 사회성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아울러 좀 더 나은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the progress of sociality improvements and relationships of rehabilitant. This observation is upon 8 analysands(5 man, 3 women), 36-63 aged rehabilitants who agreed to take part in this research in D city. In this research, schizophrenics, who are selected on the basis of diagnostic criteria called DSM-IV, partook in the music therapy for 60 minutes over 6 weeks, 2 times a week. Relationship Change Scale and Social Skills Rating System are used to examine before and after music therapy.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of rehabilitant's relationships and socialities. Therefore, music therapy could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emotional relaxation, stress reduction, and perception behavior change. Also, music therapy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후보

        남자대학생의 군 의무복무계획 수준에 따른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홍혜영,강혜영 대한공업교육학회 201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8 No.2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and career barrier recognition as well a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how students perceive mandatory military service as a potential barrier to their future careers(career barrier recogni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the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level among male college students. For the purpose, inquiries for the subject were set up as follows. 1. What are the levels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and career barrier recognition?2. Is there a difference in career barrier recogni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3. Is there a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ur depending on the level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This study found out the level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military barrier recogni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284 male students from 4 universities in Daejeon and Chungnam area. Along with that, descriptive statistic,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with SPSS 1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79.2% of male students have higher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than the average value. Meanwhile, considering 3 sub-factors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the ratio of those with high scores in practicality is lower than importance and concreteness. Based on this, it is assumable that they have a low perception for practical and concrete behaviors such as data collection in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which indicates their awareness has not developed into concrete behaviors even though the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lanning. Also 73.9% of male students responded higher career barrier recognition than the average value shows that they recognize mandatory military service as a barrier relatively highly. Especially, those who answered "Very much" (7 scores) for every inquiry in career barrier recognition accounted for 16.9%, which forms the biggest group. and considering the response by each inquiry, it is ascertained that they consider the absence by mandatory military service time or military service as the biggest difficulty. Second, the difference in career barrier recognition between the top 30% and bottom 30%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n terms of importance and the sub-factor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a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in career barrier recognition is shown. In other words, to join the military is recognized as an obstacle in their career barrier recognition regardless of the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level. Also, a group which considers the importance of the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highly recognizes the military as the bigger obstacl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which are not considered in this way. Third, the difference in career barrier recognition between the top 30% and the bottom 30% of the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eed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is marked by the fact that those with a high level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show stronger career barrier recognition than those without plans. Through the study, the need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is suggested to both male students and career consultants considering the mandatory military service from a perspective of career based on Korean reality. Also, as precedent studies on pre-inducted men can be hardly found current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ccumulating empirical data about mandatory military service,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career development process. 본 연구는 남자대학생의 군 의무복무계획과 진로장벽인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군 의무복무계획 수준에 따른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대전‧충남지역 남자 대학생 284명을 대상으로 군 의무복무계획, 진로장벽인식, 진로준비행동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고 군 의무복무계획과 진로장벽인식 정도, 군 의무복무계획수준에 따른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남자대학생의 79.2%가 군 의무복무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전체적인 군 의무복무계획의 수준은 높은 편이지만 계획을 세우기 위한 실제적‧행동적 노력을 행하는 남자대학생들은 비교적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남자대학생의 73.9%가 진로에 있어 군 의무복무를 장벽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이 최대 집단(16.9%)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문항별 응답분포를 통해 군 의무복무 시기의 문제, 시간에 대한 기회비용과 남들보다 뒤쳐질 수 있다는 어려움을 높게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군 의무복무계획 상·하위 집단 간 진로장벽인식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인 중요성의 경우 상·하위 집단 간 진로장벽인식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시말해서, 남자대학생에게 군 의무복무라는 장벽은 군 의무복무계획 수준과 상관없이 자신들의진로과정에 있어 방해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군 의무복무계획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군 의무복무를 더 큰 장벽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군 의무복무계획의 상·하위 집단 간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군 의무복무계획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진로준비행동을 보였다는 것은 군 의무복무계획의 필요성을 시사해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남자대학생과 진로상담자에게 군 의무복무계획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군 의무복무 전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을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에서 한국적진로발달과정의 독특한 특성인 ‘군 의무복무’에 관한 경험적 자료를 축적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근단부 크기에 따른 customized master cone의 치근단 밀폐효과에 관한 연구

        홍혜영,최호영,최기운 大韓齒科保存學會 2002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ustomized mater cone on apical sealing in various apical size of prepared root canals, that is MAF(Master Apical File) and to know at which apical size the apical leakage is to be significantly reduced using customized master cone. 120 extracted single rooted premola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ir apical size(MAF), #30, 40, 50 and 60. And then,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three in accordance with three obturation methods, lateral condensation with standardized master cone, lateral condensation with chloroform-dipped customized master cone, and continuous wave of obturation technique. Resorcinol-formaldehyde resin was used for the microleakage test of this study. Teeth were sectioned horizontally at 1.5mm(Level 1), 2.5mm(Level 2), and 3.5mm(Level 3) from the anatomical root apex using low speed microtime. All sections were examined under ×40 magnification with a stereomicroscope, photographed, and then scanned. With the scanned images, resin-infiltrated area presenting the microleakage was calculated using SigmaScan/Image, and the ratio of leakage to the total root canal area of each group was analyze statistically(one 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groups of MAF #3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mean leakage ratio among three obturation methods at all three levels. 2. In groups of MAF #40, thre group using lateral condensation with customized master cone had the lowest mean leakage ratio at all three leve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re obturation techniques. 3. In groups of MAF #50, the mean leakage ratio of the group using lateral condensation with standard master cone was the highest among those of three obturation techniques at level 1,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4. In groups of MAF #60, the groups using lateral condensation with standard master cone had also the highest mean leakage ratio at all leve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level 1 and 2. At level 3, the leakage of the group using lateral condensation with standard master con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using continuous wave of obturation(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obturation method using customized master cone or the continuous wave of obturation is more effective for apical sealing than that using standardized master cone when MAF is larger than #50.

      • KCI등재

        초등학생의 방과 후 시간 사용의 잠재전이분석과 영향요인 탐색

        홍혜영,김재철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d the after-school time use profi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DELS(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as well as the transition process between latent groups, and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m. To do this, latent profile analysis, latent transi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data from 2,633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both the first and third surveys in 2017 and 201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groups for after-school time use pattern of the elementary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types of the first survey(a Inactive group, a Self-direct group, a Over-media group, a Private education-oriented group), and three group types in the third surveys(a Inactive group, a Private education-oriented group, a Over-media group). Second, most of the latent groups in the first year showed a pattern of transfer to the non-private education group(46.1%) and the Private education-oriented group(49.2%), and the transfer to the Over-media group was somewhat low at 4.7%. Third, factors influencing latent transition were gender, academic self-efficacy, SES, parental education and social support. Suggestions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방과 후 시간 사용에 따른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시간의 변화에 따른 방과 후 시간 사용의 전이 양상과 그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구교육종단연구(DELS) 초4 패널 초4(1차), 초6(3차) 자료를 활용하여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2,633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 잠재전이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 후 시간 사용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초등학교 4학년은 비활동형, 자기주도형, 미디어과잉형, 사교육의지형의 4개, 초등학교 6학년은 비활동형, 사교육의지형, 미디어과잉형의 3개 잠재집단으로 각각 분류되었다. 둘째, 잠재전이분석 결과, 초4 잠재집단은 대부분 비활동형(46.1%)과 사교육의지형(49.2%)으로의 전이 양상을 보였으며, 미디어과잉형으로의 전이는 4.7%로 다소 낮았다. 셋째, 잠재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부모 SES, 자녀교육지원 및 관심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메이커 사례 및 인식조사를 통한 메이커 활성화 및 성공 요인 분석

        홍혜영,남정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development plans for education, culture, infrastructure, and government-support area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makers' perception of domestic makers and makers' movements, major makers' FGI, and local makers' cases. In addition, a detailed step by step execution plan was formulated by deriving growth stages (Zero to Maker, Maker to Maker, Maker to Market), education, culture, infrastructure, government support plan of domestic and overseas Makers' movement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Korean model of the Maker movement. As a consequ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ults of the Maker's survey were derived differently by the following stages; the stage of interest, the stage of progress, and the stage of start-up. Enjoyment was the reason for interest in the stage of interest, the sense of accomplishment was the reason in the stage of progress, and in the stage of start-up the highest level of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 of an idea was shown. And in addition the main purpose was interest. Hobbies were the reason in the stage in progress, and job changing was the main purpose in the stage of start-up which shows that the outcome appeared differently in each stage. Also, the frequency of makers' activity was the highest at the stage of the start-up, about two to three times a wee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 and satisfaction rate of Maker space, it i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the private institu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experience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ivity are ‘ordinary level’. In regards to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system, the stage of interest and the stage of progress appeared ‘necessary’ and the stage of start-ups’ result was ‘very necessary’. This study thus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customized Maker education for each growth stage, and it is required that the education of Maker and sharing of information online, as well as the strengthening of the education platform to spread Maker culture and Maker invigoration. 본 연구는 국내 메이커 및 메이커 운동에 대한 메이커 당사자들의 인식조사, 주요 메이커별 FGI, 국내 메이커 사례 수집 및 분석을 통해 메이커 교육, 문화, 인프라, 정부지원방안 등 영역별 발전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국형 메이커 운동의 방향을 수립하기 위해 국내·외 메이커 운동을 분석하여 메이커 성장단계별(Zero to Maker, Maker to Maker, Maker to Market) 교육, 문화, 인프라, 정부지원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단계별 세부실행계획을 수립하였다. 그 결과 메이커 인식조사는 메이커 관심단계, 메이커 활동단계, 창업단계로 결과가 다르게 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이커 활동 동기는 관심단계에서는 ‘재미’, 활동단계에서는 ‘성취감’, 창업단계에서는 ‘아이디어 표현 가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주된 목적은 관심·활동단계에서는 취미생활, 창업단계에서는 전업활동 목적으로 단계별 다른 결과를 나타났다. 메이커 활동 빈도는 메이커 창업단계가 주 2~3회 정도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이커스페이스 경험에 따른 만족도는 민간기관 및 정부기관 모두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통합시스템 구축필요성은 관심단계 및 활동단계에서는 ‘필요하다’, 창업단계에서는 ‘매우 필요하다’로 나타났다. 메이커 문화 확산과 메이커 활성화를 위해서는 메이커 교육의 성장단계별 맞춤형 교육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며, 온라인을 통한 메이커 교육 및 정보의 공유 활성화 및 교육 플랫폼 강화가 요구됨이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