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2015 개정 초등교육과정'의 미술활동 연계성

        최혜림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7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ll art activities in the teacher’s guidebooks of the Nuri System and the textbooks and the teacher’s guidebooks of 2015 Revision Elementary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s according to art contents (exploring artistic factors or 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in art activities, and appreciating arts), types of expression (painting, sculpture, design, making and decorating, dyeing, photograph, installation, performance, and media art) for linki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addition, the purpose includes to analyze the connection between the Nuri System and 2015 Revision Elementary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s in terms of theme and the connectivity between art activities of them according to them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well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Nuri System and 2015 Revision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s in terms of theme established? 2. How well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Nuri System and 2015 Revision Elementary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s in terms of art activities established? This study is targeted on 341 art activities from all of 32 teacher's guidebooks of 3-5 Nuri system and 169 art activities from the textbooks and the teacher’s guidebooks of 2015 Revision Elementary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s, which are published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is study analyzes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art education curriculums in terms of theme and the connectivity between art activities according to theme, and has been reviewed by a kindergarten art education expert and a kindergarten and elementary art education expert. Since art contents in the Nuri system can be categorized into exploring artistic factors, expression in art activities, and appreciating arts, the analyzed result of Choi (2014), which is based on those categories, was used as the analysis of art contents in the art activities of the Nuri system. The art cont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ere analyzed with esthetic experience, which is corresponding to exploring artistic factors, expression in art activities, and appreciating arts. In order to discover tendency over such categories the analyzed result is re-categorized with the combinations of them again. The frequency (%) is counted according to each combination. Similarly, the analyzed result of Choi (2014) was used as the analysis of types of expression in the Nuri system. The tool proposed by Choi (2014) for analyzing types of expression was used for analyzing those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tool was made by combining design, performance, and media arts with types of expression proposed by various researchers, and it was reviewed by an elementary art education expert. According to Choi (2014), The types of expression in art activities are painting, sculpture, design, making and decorating, dyeing, photograph, installation, performance, and media art. The types of expression of art activities were counted with permission for repetition and analyzed with frequency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themes in 2015 Revision Curriculum are the same or much similar to those of the Nuri System. Even though the terminologies for representing theme are different in 2015 Revision Curriculum and the Nuri system, they have the same meaning. Therefore, there is connection between them in terms of theme. Since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art curriculums are affected by each main curriculum, there is also connection between them in terms of theme. In addition, they are connected due to the fact that theme-oriented inclusive education is commonly conducted in them. Secondly,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nnection between art activities according to themes i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art education, such connection is discovered across several themes. For example, art activities in ‘Country’ of the elementary art curriculum are related to ‘Our Country’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the kindergarten art curriculum. In addition, art activities in ‘Winter’ of the elementary art curriculum are related to ‘Spring·Summer·Autumn·Winter’ and ‘Our Country’ in the kindergarten art curriculum. Meanwhile, there are many too similar art activities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art curriculums, and retrogression is frequently observed. More specifically, art activities in the Nuri system for 5-aged children mostly have similar level of difficulty compared to those of the elementary art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s. Even there are easier art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art curriculum. Thirdly,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art contents of art activities in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art curriculums, while art activities consisting of exploring artistic factors and expression in art activities are the most frequent in the kindergarten art curriculum (Choi, 2014), art activities consisting of expression in art activities and appreciating arts are the most frequent in the elementary art curriculum. Art activities consisting of all the art contents are the second most frequent in both of the curriculums. While all the art contents i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show relatively uniform-like distributions, only expression in art activities and appreciating arts in the elementary art curriculum show uniform-like distributions except esthetic experience. Fourthly, all the types of expression are presented i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but only eight types of expression are presented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except dyeing. In addition, there is no dyeing or photograph activity for first grade and there is no dyeing activity for second grade. Media art activity is presented only once for each grade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Based on this observation, since there is degeneration over art activities in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art curriculums, they are not well connected with respect to dyeing and photograph. As the result of analyzing types of expression, making and decorating is the most frequent expression type and painting is the second most frequent in both of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curriculums. That is, there is remarkable bias in types of expression and the huge gap between the first/second and the third in both of the curriculums. Meanwhile, in the kindergarten art curriculum, the fourth expression type is performance and the fifth is installation. In the elementary art curriculum, the third is performance and the fifth is installation. In addition to them,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are uniformly presented over all ages and all grades in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art curriculums. These observations tells connectivity between them with respect to well-reflecting contemporary ar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even though a teacher teaches art curriculums according to theme, theme itself cannot be the main educational content. Instead, a teacher should consider art techniques, types of expression, and the diversity of appreciation materials. Secondly, even though 2015 Revision Curriculum is more recently constructed than the Nuri system, there are many duplicate art activities between them. Thus, in the next elementary curriculum revision, not only art activities having the same theme in the Nuri system, but also art activities on entire theme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some art activities in the Nuri system should be tuned to be easier and some art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art curriculum should be tuned to be harder. Thirdly, each art activity in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art curriculum is recommended to contain all the art contents, which are exploring artistic factors or 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in art activities, and appreciating arts. Especially, the elementary art curriculum should be reinforced with more art activities including exploring artistic factors. Fourthly,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art curriculum should harmoniously suggest various types of expression in art activities. For linking with the Nuri system, the elementary art curriculum should includes children-level art activities related to photograph and dyeing. In order to give children continuous exposure to various types of art expression and visual language, the elementary art curriculum should include art activities related to dyeing, photograph, and media arts in the next revision. By proposing fundamental materials and desirable direction for linking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art curriculums through this study, the confusion caused by changing the school system can be reduced and children can have high-quality art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유아-초등 미술 교육과정의 연계를 살펴보기 위해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해당하는「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저학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모든 미술활동을 미술내용(탐색 또는 미적체험, 표현, 감상), 표현유형(회화, 조소, 디자인, 만들기와 꾸미기, 염색, 사진, 설치, 퍼포먼스, 미디어 아트)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유아-초등 미술교육과정의 생활주제에 대한 연계성, 생활주제에 따른 미술활동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 저학년 미술교육과정의 생활주제에 대한 연계성은 어떠한가? 2.「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 저학년 미술교육과정의 미술활동 에 대한 연계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가 발행한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총 32권에 수록된 미술활동 341개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저학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미술활동 169개이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써 유아-초등 미술교육과정의 생활주제에 대한 연계성, 생활주제에 따른 미술활동의 연계성을 분석했으며 1명의 유아 미술교육 전문가와 1명의 미술교육 전문가이자 초등 미술교육 전문가에게 검토 받았다. 유아 미술활동의 미술내용은 크게 탐색, 표현, 감상으로 분류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분류를 바탕으로 수행된 최혜림(2014)의 연구결과를 유아 미술활동 미술내용 분석으로서 활용했다. 초등 미술활동의 미술내용은 초등교육과정에서 유아미술활동 미술내용과 대응되는 개념인 미적체험, 표현, 감상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분류에 따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위 분석 결과를 미적체험, 표현, 감상의 조합으로 재분류 했다. 각 범주에 따라 빈도(%)로 분석했다. 유아 미술활동 표현유형 분석은 최혜림(2014)의 연구 결과를 활용했다. 초등 미술활동의 표현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최혜림(2014)이 1명의 유아교육 전문가와 1명의 미술교육 전문가에게 검토 받아 만든 도구를, 1명의 미술교육 전문가이자 초등미술교육 전문가의 추가 검토를 받아 사용했다. 최혜림(2014)의 도구는 다양한 학자들이 제시한 표현유형에 디자인, 퍼포먼스, 미디어 아트를 추가하여 구성되었다. 최혜림(2014)에 의하면 미술활동 표현유형은 회화, 조소, 디자인, 만들기와 꾸미기, 염색, 사진, 설치, 퍼포먼스, 미디어 아트이다. 미술활동 표현유형은 각 미술활동 별로 중복 허용하여 체크했고 각 범주에 따라 빈도(%)로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초등 미술교육과정의 생활주제에 대한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과정의 대주제(생활주제) 8개가 누리과정 생활주제와 일치하거나 거의 유사하다. 비록 누리과정에서는 ‘생활주제’, 초등교육과정에서는 ‘대주제’라는 서로 다른 명칭을 지니고 있지만 이들이 주제를 의미하는 것은 같다. 따라서 누리과정과 초등교육과정의 생활주제는 연계성이 있고 유아-초등 미술교육과정도 각각의 교육과정의 영향을 받으므로 생활주제에 있어서 연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주제 중심의 통합교육을 한다는 점 자체에서도 유아-초등 교육과정은 연계성이 있다. 둘째, 유아-초등 미술교육과정 생활주제에 따른 미술활동 간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여러 생활주제에 걸쳐서 연계가 있었다. 예를 들면 초등학교 대주제 ‘나라’의 미술활동은 누리과정 생활주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교통기관’ 과도 관련되었고, 초등학교 대주제 ‘겨울’의 미술활동은 누리과정 생활주제 ‘봄․여름․가을․겨울’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와도 관련되었다. 한편 누리과정과 초등 저학년 미술활동은 너무 비슷한 활동이 많았고 역행, 퇴행이 빈번히 일어났다. 구체적으로 만 5세와 초등 저학년 미술활동은 대체로 난이도가 비슷하거나 일부 초등 저학년 미술활동의 난이도가 좀 더 낮다고 평가 할 수 있다. 셋째, 유아-초등 미술활동 미술 내용에 대한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유아 미술활동은 탐색․표현으로만 이루어진 활동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최혜림, 2014), 초등 미술활동은 표현․감상으로만 이루어진 활동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유아와 초등 미술활동에서 각각 탐색․표현․감상 혹은 미적체험․표현․감상이 모두 포함된 활동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 미술활동의 경우에는 탐색, 표현, 감상이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던 반면 초등 미술활동의 경우에는 미적체험을 제외하고 표현과 감상만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넷째, 미술활동 표현유형 분석 결과, 유아미술활동에서는 9개의 표현유형이 모두 나타났는데, 초등 미술활동에서는 염색을 제외한 8개의 표현유형이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초등 1학년에서는 염색, 사진 활동이 없었고, 초등 2학년에서는 염색 활동이 없었다. 초등 미술활동에서 미디어 아트 활동은 학년별로 1개씩만 있었다. 즉, 유아-초등 미술활동이 염색, 사진 표현유형에 대해서는 교육내용이 퇴행, 역행했으므로 잘 연계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유아 미술활동과 초등 미술활동의 표현유형은 둘 다 만들기와 꾸미기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회화가 많았으며, 만들기와 꾸미기, 회화에 편중되어 있고, 1, 2위와 3위의 차이가 크다는 공통점이 있다. 유아 미술활동에서는 4위가 퍼포먼스이고, 설치가 5위이고(최혜림, 2014), 초등 미술활동에서는 3위가 퍼포먼스, 설치가 5위였다. 또한, 설치와 퍼포먼스는 유아-초등 미술활동에서 전 연령, 전 학년에 걸쳐 비교적 고른 분포를 이루고 있는 등 현대 미술을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계성이 있다.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학급에서 교사들이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더라도 생활주제 그 자체를 교육내용으로서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가 지도하고 싶은 미술 기법, 표현유형, 감상 자료의 다양성 등을 생각해두고 이를 반영해야 한다. 둘째, 누리과정이 먼저 개발되고 2015 개정 초등교육과정이 개발되었는데도 누리과정과 초등 저학년 미술활동은 겹치는 활동이 많았는데 다음 번 초등 교육과정 개정시 누리과정을 참고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 때 누리과정과 생활주제(대주제)명이 같은 것뿐만 아니라 전체 생활주제의 미술활동을 참고해야 한다. 또한 만 5세 누리과정 몇몇 미술활동은 난이도를 낮게 하향조정 할 필요가 있고, 초등 1학년 미술활동은 일부 난이도를 높게 상향조정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누리과정에서는 같은 연령 다른 생활주제에서 겹치는 미술활동이 나타났는데 다음번 누리과정 개정 시 전체 미술활동을 총괄하여 연령별로 겹치는 활동이 있는지 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유아-초등 미술활동은 한 활동 내에서 탐색(미적체험), 표현, 감상이 모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등 미술교육은 미적체험이 포함된 활동을 더욱 활성화 시켜야 한다. 넷째, 유아-초등 국가수준 교육과정은 만들기와 꾸미기, 회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표현유형 활동을 균형 있게 제시해야 한다. 또, 누리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초등 1학년 미술활동에도 어린이 수준에 맞는 사진, 염색 활동이 있어야 한다. 누리과정을 통해 유아기에 다양한 미술 표현 유형, 다양한 시각언어에 노출된 것이 초등학교 입학한 후 퇴행, 역행하지 않도록 초등 미술교육에서도 저학년 어린이의 수준에 맞는 염색, 사진, 미디어 아트 활동들을 고안해내어 다음 번 초등학교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 반영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초등 미술교육의 연계를 위한 기초자료와 바람직한 지향점을 제시함으로써 학제가 바뀌면서 오는 교육과정상의 혼란을 줄이고 유아와 어린이가 질 높은 미술교육을 받게 될 수 있다.

      • ≪爾雅·釋고≫의 分析을 통한 意義關係 硏究

        최혜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23572;雅》是&#20256;&#32479;儒家&#32463;典"十三&#32463;"之一,在中&#22269;&#35757;&#35778;&#23398;史和文化史上有着崇高的地位, 是中&#22269;&#29616;存最早的一部解&#37322;&#35789;&#20041;的&#19987;著,也是第一部按照&#35789;&#20041;系&#32479;和事物分&#31867;&#26469;&#32534;纂的&#35789;典。自&#38382;世后,&#34429;有&#35768;多&#21382;代&#23398;者&#20026;&#23427;注&#37322;,但&#20174;&#23545;照原文&#36827;行的&#30740;究&#26469;看&#36824;&#36828;&#36828;不足。因此,本&#35770;文&#23558;&#22260;&#32469;《&#23572;雅》是否&#20026;一部同&#20041;&#35789;典,特&#21035;是在<&#37322;&#35778;>篇"&#34429;不&#26500;成同&#20041;&#20851;系,但也存在于一&#20010;&#26465;目中"的&#20869;容,&#23558;探&#35752;如下&#38382;&#39064;: 第一章主要&#20869;容&#20026;&#30740;究《&#23572;雅》的&#21160;机、目的、&#20869;容、方法,以及&#36807;去的&#30740;究&#21160;向。&#20256;&#32479;的&#35757;&#35778;&#23398;和&#35821;&#20041;&#23398;,&#23545;古&#27721;&#35821;&#35789;&#27719;无法&#32473;予科&#23398;的解&#37322;,本文旨在&#36816;用&#29616;代&#35821;&#20041;&#23398;的理&#35770;方法,&#21363;成分分析法。通&#36807;&#23545;&#36807;去的&#30740;究&#21160;向分析可&#35265;,&#30740;究《&#23572;雅》的&#23398;者&#34429;&#35748;&#20026;&#23427;是一部"同&#20041;&#35789;典",但也都承&#35748;其中存在着相&#24403;一部分"意&#20041;上有一定&#32852;系,但又不到同&#20041;程度的一&#32452;&#35789;",也就是&#35828;存在着非同&#20041;&#35757;&#37322;。 第二章主要考察了《&#23572;雅》的作者和成&#20070;&#26102;代、&#26500;成的&#20869;容和&#20307;制、&#21382;代&#30740;究&#29616;&#29366;,以及《&#23572;雅》的&#35757;&#35778;方法和特点。&#20174;古至今&#20851;于《&#23572;雅》的作者和成&#20070;&#26102;代的&#38382;&#39064;&#20247;&#35828;&#32439;&#32429;,大致有以下&#20960;&#31181;:①西周周公所作&#35828;; ②春秋末年孔子所作&#35828;; ③&#25112;&#22269;初年孔子&#38376;人所作&#35828;; ④&#25112;&#22269;末年&#40784;魯儒生所作&#35828;; ⑤秦&#27721;&#26102;儒生所作&#35828;; ⑥《&#23572;雅》非一人一&#26102;而成。由此可&#35265;,宋代以前有&#35748;&#20026;《&#23572;雅》&#20026;周公作、孔子等人增&#34917;,有&#35748;&#20026;《&#23572;雅》&#20026;孔子&#38376;人所作,宋代以后亦有秦&#27721;人作&#35828;,&#35748;&#20026;纂集者不止一人。明&#28165;和&#29616;代&#23398;者又明&#30830;提出是&#25112;&#22269;末期成&#20070;&#35828;。有的甚至于明&#30830;提出了《&#23572;雅》的作者和成&#20070;&#26102;代,或周公,或孔子,或子夏,或叔孫通等。但由于年代久&#36828;、文&#29486;散佚等原因,&#35770;者大多&#27809;有具&#20307;指明《&#23572;雅》的撰人&#20026;&#35841;,成于何&#26102;,&#23545;于《&#23572;雅》撰人和&#26102;代的&#35770;&#35828;多是根据一些&#24182;不能完全令人信服的&#38388;接&#35777;据作出推&#35770;或干脆就是一&#31181;主&#35266;的猜&#27979;。而《&#23572;雅》的十九篇按&#20869;容分&#20026;&#20004;大部分:<&#37322;&#35778;>、<&#37322;言>、<&#37322;&#35757;>三篇&#20026;普通&#35821;&#35789;(一般&#35789;&#35821;)部分,&#23545;古代的普通&#35821;&#35789;作&#35821;文上的解&#37322;,&#31867;似后世的&#35821;文&#35789;典;<&#37322;&#20146;>、<&#37322;&#23467;>、<&#37322;器>、<&#37322;&#20048;>、<&#37322;天>、<&#37322;地>、<&#37322;丘>、<&#37322;山>、<&#37322;水>、<&#37322;草>、<&#37322;木>、<&#37322;木>、<&#37322;&#40060;>、<&#37322;&#40479;>、<&#37322;&#20861;>、<&#37322;畜>十六篇&#20026;百科名&#35789;部分,&#23545;古代的&#19987;科&#35789;目作通俗的解&#35828;,&#31867;似后世的百科名&#35789;&#35789;典。根据&#21382;代的&#30740;究,&#29616;考察了古代流&#20256;下&#26469;的部分注&#37322;本,如郭璞爾雅注本、陸德明音義本、邵晉涵正義本、邢昺注疏本、&#37085;懿行義疏本等,&#24182;考察了&#20174;各方面&#23545;20世&#32426;《&#23572;雅》&#30740;究的&#35793;本。&#20851;于《&#23572;雅》的&#37322;&#20041;方式,本文分&#20026;10&#31181;&#31867;型。其中&#20026;部分名&#35789;&#27010;念下定&#20041;&#24182;&#23545;所&#37322;&#23545;象予以描述的做法多表&#29616;在<&#37322;&#20146;>以下16篇,多&#20041;&#35789;、同&#20041;&#35789;、同源&#35789;等方式多表&#29616;在<&#37322;&#35778;>、<&#37322;言>、<&#37322;&#35757;>三篇。 第三章主要考察了在&#30740;究《&#23572;雅》中的同&#20041;&#35789;&#26102;,至少&#24212;&#24403;&#32508;合考&#34385;以下四&#26465;原&#21017;: ①以&#20041;位&#20026;考察的基准; ②&#20041;位的中心&#20041;素相同; ③限定性&#20041;素相差不大; ④句法功能基本相同。 第四章主要考察了在《&#23572;雅&#8729;&#37322;&#35778;》中&#35757;&#35821;&#19982;被&#35757;&#35821;之&#38388;&#21457;&#29616;的非同&#20041;&#20851;系的&#35757;&#37322;。首先解&#37322;了何&#20026;非同&#20041;&#20851;系,&#23427;是指&#35757;&#35821;&#19982;被&#35757;&#35821;不是同&#20041;&#20851;系的&#35757;&#37322;,&#25442;句&#35805;&#35828;,&#35757;&#35821;&#19982;被&#35757;&#35821;无共同&#20041;位存在的。然后&#36816;用&#29616;代&#35821;&#20041;&#23398;的理&#35770;方法,&#23545;《&#23572;雅&#8729;&#37322;&#35778;》中&#35757;&#35821;&#19982;被&#35757;&#35821;在&#35789;&#20041;&#20869;部的&#20851;&#32852;&#36827;行了分析,主要分&#20026;以下三&#31181;情&#20917;: (1) &#35757;&#35821;&#19982;被&#35757;&#35821;&#35789;&#20041;&#20869;部有&#20851;&#32852; ① &#35757;&#35821;&#19982;被&#35757;&#35821;是上下&#20041;位&#20851;系 ② &#35757;&#35821;是用&#26469;揭示&#19982;被&#35757;&#35821;某方面的&#35821;&#20041;特征的 ③ &#35757;&#35821;&#19982;被&#35757;&#35821;的共同&#20041;素&#38544;藏于二者&#35789;&#20041;&#20869;部若干&#20041;素之中 (2) &#35757;&#35821;&#19982;被&#35757;&#35821;的&#35821;&#20041;&#32852;系在外部 ① &#35757;&#35821;&#19982;被&#35757;&#35821;&#35821;&#20041;上和&#35821;法上有必然的&#20851;系 ② &#35757;&#35821;&#19982;被&#35757;&#35821;之&#38388;,某&#31181;程度上反映了中&#22269;古代的社&#20250;&#21382;史文化 (3) &#35757;&#35821;&#19982;被&#35757;&#35821;无必然的&#35821;&#20041;&#32852;系 具&#20307;分析如下: (1)&#35789;&#20041;&#20869;部有&#20851;&#32852;是指&#35757;&#35821;&#19982;被&#35757;&#35821;&#34429;无共同&#20041;位存在,但&#36827;行分析之后,可以&#25214;到&#23427;&#20204;之&#38388;&#35821;&#20041;&#20869;部的&#32852;系。&#21363;有共同&#20041;素,&#26500;成二者相互&#27807;通、相互&#20026;&#35757;的&#26725;梁。(1)-①上下&#20041;位&#20851;系是指&#35757;&#35821;&#20026;上位&#35789;,被&#35757;&#35821;&#20026;下位&#35789;。&#23427;具有&#20004;&#31181;截然相反的包含&#20851;系:就&#35821;&#20041;特征的&#25968;量而言,每一&#20010;下位&#35789;除具&#22791;上位&#35789;的全部特征外&#36824;具&#22791;自身的自有特征,因此下位&#35789;的&#25968;量大于上位&#35789;的&#25968;量。因&#20026;&#35821;&#20041;特征是一&#20010;&#35789;的&#20869;涵,所以下位&#35789;必然包括上位&#35789;的全部&#20041;素。但就指&#31216;范&#22260;的大小而言,上位&#35789;的指&#31216;范&#22260;大于下位&#35789;。据此可以表示“下位&#35789;⊂上位&#35789;”, &#21363;是“被&#35757;&#35821;⊂&#35757;&#35821;”。(1)-②&#36825;&#31867;&#35757;&#35821;是用&#26469;揭示&#19982;被&#35757;&#35821;某方面的&#35821;&#20041;特征的。正是以&#35757;&#35821;的中心含&#20041;,去解&#37322;被&#35757;&#35821;的的局部&#35821;&#20041;特征。也就是&#35828;,&#35757;&#35821;的全部&#20041;素是被&#35757;&#35821;的部分&#20041;素,是解&#37322;被&#35757;&#35821;局部&#35821;&#20041;特征的&#20041;素。(1)-③&#36825;&#31867;&#35757;&#35821;&#19982;被&#35757;&#35821;的共同&#20041;素&#38544;藏于二者&#35789;&#20041;&#20869;部若干&#20041;素之中必&#39035;&#23558;&#35757;&#35821;&#19982;被&#35757;&#35821;的&#35789;&#20041;全部&#36827;行&#25286;分,才能&#21457;&#29616;二者共同的&#20041;素。 (2)&#35821;&#20041;的外部&#32852;系是指&#35757;&#35821;&#19982;被&#35757;&#35821;在意&#20041;上&#27809;有直接的共同点,但在&#35821;&#20041;外部存在着某&#31181;&#20851;&#32852;。(2)-①必然的&#20851;系是指&#35757;&#35821;&#19982;被&#35757;&#35821;&#35821;&#20041;相承。二者&#35821;&#20041;上存在着一&#31181;必然的&#20851;系,&#35821;法上有必然的&#32467;合&#20851;系。在判&#26029;&#35757;&#35821;&#19982;被&#35757;&#35821;&#35821;&#20041;上有无必然的&#32852;系&#26102;,一定要&#23547;&#25214;一&#20010;可&#38752;的&#26631;准。那就是&#35821;法&#32467;&#26500;&#20026;&#26631;准的方式,去判&#26029;&#35821;&#20041;之&#38388;有无必然&#20851;系。(2)-②反映中&#22269;古代的社&#20250;&#21382;史文化是指&#35757;&#35821;重在揭示被&#35757;&#35821;在社&#20250;&#21382;史文化上的&#20869;涵。&#36825;&#31867;&#35757;&#37322;,略具中&#22269;&#21382;史常&#35782;的人,稍&#32463;分析,便能理解其中的含&#20041;。相反,不具&#22791;&#36825;些知&#35782;的人,便&#20250;莫名其妙。 (3)&#35757;&#35821;&#19982;被&#35757;&#35821;无必然的&#35821;&#20041;&#32852;系是指&#38590;于&#35828;&#35757;&#35821;&#19982;被&#35757;&#35821;之&#38388;无任何&#20851;系,但至少&#27809;有直接的、必然的&#35821;&#20041;&#32852;系。&#35768;多&#35757;&#35778;&#23398;家在解&#37322;&#36825;&#31867;&#35757;&#37322;&#26102;,&#24635;是千方百&#35745;地&#32473;&#35757;&#35821;&#19982;被&#35757;&#35821;&#25214;点&#20851;系,但若&#32463;&#36759;&#36716;方才能相通的&#35805;,那&#20040;&#23454;&#38469;上&#35821;&#20041;早已不通。 &#20174;表面上看,&#23558;《&#23572;雅&#8729;&#37322;&#35778;》的非同&#20041;&#20851;系分&#20026;三大&#31867;; 但&#20174;分析方法、判&#26029;&#26631;准上看,&#24212;&#35813;分&#20026;&#20004;部分: (1)&#35757;&#35821;&#19982;被&#35757;&#35821;有共同&#20041;素,二者&#35789;&#20041;&#20869;部的&#32852;系; (2)&#35757;&#35821;&#19982;被&#35757;&#35821;无共同&#20041;素,二者无&#35789;&#20041;&#20869;部的&#32852;系。判&#26029;的&#26631;准&#20026;有无共同&#20041;素存在,&#35789;&#20041;&#20869;部有无&#20851;&#32852;。 如上所述,&#20851;于《&#23572;雅&#8729;&#37322;&#35778;》非同&#20041;&#20851;系的&#30740;究,只有在&#36816;用成分分析法,&#32467;合文字、音&#38901;&#23398;知&#35782;,&#23545;&#35757;&#35821;&#19982;被&#35757;&#35821;&#35789;&#20041;&#20869;,以及&#23545;外部&#20851;系&#36827;行分析考察之后,才能&#35748;&#35782;到《&#23572;雅&#8729;&#37322;&#35778;》非同&#20041;&#20851;系。如果&#32467;合&#20256;&#32479;&#35757;&#35778;&#23398;的&#20016;富&#36164;料,更&#20250;推&#36827;古&#27721;&#35821;&#35789;&#27719;&#23398;的&#30740;究。借此&#23545;《&#23572;雅&#8729;&#37322;&#35778;》非同&#20041;&#20851;系作以&#30740;究,希望&#20250;&#23545;&#35789;&#35821;解&#37322;和&#35789;典&#32534;纂起到借&#37492;意&#20041;。

      • 복합문화공간 인지도 향상을 위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디자인 제안 :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를 중심으로

        최혜림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going through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long with the rapid economic growth, the people’s living awareness and standard have considerably increased, but the sudden change of paradigm in the society has become the chances to provoke many social issues and stress for modern people. These days, due to these changes, the cultural life to the modern people has become essential and very important. They are relieving their stresses, which they feel in daily life, in their own ways, living getting the physical and mental rest through the new cultural space. While the cultural life in the past was recognized as only the certain stratums enjoyed the movies, performances, plays, and so on, based on the arts, in the modern cultural life, it is in the situation where the new cultural space would be required as the range may alter comprehensively and diversely. In these days, as the lifestyles of hobbies, art activities, education experience, leisure, relaxation, etc. change, a variety of facilities and institutions are concentrating on creating the complex cultural space. However, when entering the modern time, the cultural space is constantly developing and changing, whereas it is now in the situation where the utilization of identity system which could represent the attributes, such as the fusion, complexation, diversification, etc. of complex cultural space would not be conducted well. Through the ‘Cultural recycling project for abandoned industrial facility’ hosted by Ministry of, Sports and Tourism in 2014, the open recruitment project was carried out to make the unused space within the industrial complex into the cultural art space. Of those, Gwangmyeong up-cycle art center, located in Gwangmyeong-si, was created to enjoy the diverse cultural experiences, such as education, exhibitions, performances, events, etc., as the complex cultural space planning the various programs by utilizing ‘up-cycle’ as a core value. However, the identity currently being used does not reflect the inherent features well which the Gwangmyeong up-cycle art center has, and it is in the situation where the proper identity system is not fulfilled. As it is the complex cultural space where the variable programs are being carried out, after apprehending the necessity of new identity development in order to express this effectively, it was selected as the object of this study. Therefore, now, this paper is going to suggest through the flexible identity in order to clearly reveal the identity of Gwangmyeong up-cycle art center, a current complex cultural space. As the flexible identity has flexible and variable attributes, it is expected that it could express the diverse and fluid programs of complex cultural space effectively. In addi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y which only this center has by highlighting the up-cycle, a core keyword of Gwangmyeong up-cycle art center and also,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visitors through the flexible identity, due to this, it could be expected that it ma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images of this center and increasing the awareness effect. In this paper, the advent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flexible identity were examined through the literature and examples, and the current state of Gwangmyeong up-cycle art center was investigated. Furthermore, the problems of current identity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presented, and the new flexible identity system of Gwangmyeong up-cycle art center was proposed based on the images which the visitors may prefer. 과거 영국 산업혁명을 시작으로 급격한 경제적 발전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대량생산이 활기를 띄게 되었다. 현재는 공산품들을 어디서나 손쉽게 구할 수 있고 그로인해 인간의 삶은 풍요로워졌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사람들은 이득이 될 만한 자원을 무분별하게 파괴하기 시작하면서 많은 환경문제들을 일으켰다. 결과적으로 급속한 경제발전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소비자의 이목을 끄는 여러 형태의 대량생산된 디자인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과거 아름다움을 추구했던 디자인이 과소비를 부추기게 되었다. 결국 이러한 과소비는 환경문제를 초래하는 또 다른 문제점으로 번지게 된 것이다. 1962년, 미국의 해양생물학자인 레이첼 카슨(Rachel Carson)은 『침묵의 봄』이라는 책을 통해 작물을 대량생산하기 위해 무분별하게 뿌리는 살충제 사용 실태와 그 위험성을 세상에 알리면서 환경문제를 전 세계적인 사회운동 이슈로 만드는데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이태용(2015),『디자인으로 말하다』(서울: 날마다), pp.151-152. 현재 환경문제에 대한 위기의식은 디자인업계에서도 이미 널리 퍼져있는 실정이다. 환경을 생각하는‘착한 소비’와‘지속 가능한 디자인’은 우리 모두가 공생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기 때문이다. 산업혁명을 통해 이미 수많은 공산품들이 포화상태인 현 시점에서 더 이상의 자원낭비를 일으키지 않는 업사이클은 국가와 기업, 개인에 있어서도 의식해야만 하는 새로운 생산형태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로 업사이클이 주목받으면서 다양한 국가에서 이를 이용한 단체와 브랜드가 출현하기 시작했다. 국내에서는 최초로 광명시에서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으로 2014년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를 개관하였다.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는 현대의 경제수준과 문화의식의 발전에 따라 교육, 예술, 여가 등 시민들의 문화생활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그동안 사용하지 않았던 자원회수시설 홍보동을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사용하여 이 공간에서 교육·공연·전시 등 시민들을 위한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문화생활을 위해 각각의 다른 공간을 찾아 다녀야 했던 과거와는 달리 한 공간 안에서 새로운 체험과 학습, 교육 등을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문화적 흐름의 변화로 인해 대중들은 한 공간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고 직접 참여하며 소통할 수 있는 교류의 장을 맞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의 변화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현재에도 새로운 방향의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아이덴티티는 과거 고정적 요소로서 브랜드의 상징을 나타냈다면 현대에 출현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는 상황에 맞게 변화하며 대중들과 함께 소통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의 가변성은 복합문화공간에 필요한 다양한 정체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중들과 문화공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청소년의 낙관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방어기제 유형의 조절효과

        최혜림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낙관성과 방어기제 유형 및 안녕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낙관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방어기제 유형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낙관성과 방어기제 유형 및 안녕감의 일반적 경향 및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 그리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청소년의 낙관성과 방어기제 유형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낙관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방어기제 유형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1, 2, 3학년 청소년 445명이다. 낙관성을 측정하는 도구로써 먼저 성향적 낙관성은 Sydney과 그의 동료들(2005)의 YLOT(the Youth Life Orientation Test)를 김주용, 이지연(2007)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낙관적 설명양식을 측정하기 위해 Seligman의 제자인 Kaslow와 Tanenbaum이 제작한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Questionnaire(CASQ, 1990)를 우리나라에서 박노용(1999)이 번안한 아동 및 청소년용 낙관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방어기제 유형 측정에는 Bond와 그의 동료들(1983)이 개발하고 조성호(1999)가 번안하여 타당화한 한국판 방어유형 척도(K-DSQ: Korea Version of Defense Style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해 Keyes(2005)가 개발한 SWBS(Subjective Well-Being Scale)을 이현주, 이미나, 최인수(2008)가 한국적 상황에 적합하게 번안하고 타당화 과정을 거쳐 만 12세부터 만 18세용으로 고안한 K-SWB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먼저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청소년의 낙관성, 방어기제 유형, 안녕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낙관성 유형 중 하나인 성향적 낙관성과 방어기제 유형, 그리고 안녕감은 성별, 학년, 출생순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낙관성의 또 다른 유형인 낙관적 설명양식은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낙관성과 방어기제 유형 및 안녕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성향적 낙관성, 낙관적 설명양식과 적응적 방어기제, 그리고 안녕감의 하위유형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반면 미성숙‧자기 억제적‧갈등 회피적 방어기제 유형은 낙관성의 두 유형과 안녕감에서 모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청소년의 낙관성과 방어기제 유형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성향적 낙관성과 낙관적 설명양식, 그리고 적응적 방어기제는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는 성향적 낙관성이 제일 크고, 그 다음 낙관적 설명양식과 적응적 방어기제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반면, 미성숙‧갈등 회피적 방어기제 유형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등 회피적 방어기제 유형보다 미성숙한 방어기제 유형이 더 높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낙관성, 방어기제 유형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본 연구에서는 성향적 낙관성, 낙관적 설명양식, 적응적 방어기제 유형만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시 성향적 낙관성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다. 넷째, 청소년의 낙관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방어기제 유형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성향적 낙관성과 미성숙‧자기 억제적‧갈등 회피적 방어기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적응적 방어기제는 조절효과를 나타났다. 그러나 낙관적 설명양식과 안녕감의 관계에서는 방어기제의 네 가지 유형 모두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낙관성과 적응적 방어기제가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성향적 낙관성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 방어기제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신체적‧정신적인 변화와 성장, 갈등으로 인해 혼란을 겪는 청소년들의 부적응을 낮추는 소극적인 연구에서 벗어나, 안녕감을 예측할 수 있는 긍정적 성격요인과 누구나 사용하는 방어기제 유형의 적응적 기능을 탐색하여 보다 행복한 삶을 위한 기제를 찾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낙관성과 성숙한 방어기제가 청소년의 안녕감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강점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그동안 방어기제는 부적응과 신경정신질환을 유발하는 부정적 요인으로 고려되어 적응적인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못했고, 더욱이 긍정적인 성격 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안녕감을 높이는 과정에서 위계에 따른 방어기제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연구가 미비했던 점을 고려한다면, 본 연구는 방어기제의 적응적인 측면을 재조명할 수 있었던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낙관성’이라 지칭되지만, 인지과정의 차이로 그 의미와 역할이 구분되는 성향적 낙관성과 낙관적 설명양식에 대해,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각각을 따로 살펴보지 않고 한 가지 유형만을 다뤄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낙관성의 두 접근을 모두 살펴봄으로써 낙관성 유형간의 차이와 역할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다. 청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 between two types of optimism(dispositional optimism, and optimistic explanatory style), defense mechanism style, and well-being,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defense mechanism style on the relation between optimism and well-being of adolescent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general tendencies and demographic differences of optimism, defense mechanism style and well-be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Also, we found out correlations between their optimism, defense mechanism style and well-being.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optimism and defense mechanism style on well-being. Finally, the study investigated moderating effects of defense mechanism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well-being in adolescents. This research participated 445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five school located in Incheon and GyeongGi-Do. To measure adolescent's well-being, we used "Korean Subjective Well-Being Scale (K-SWBS)" by Hyun-Joo Lee, Mi-Na Lee, In-Soo Choi (2008), which is a Korean version of SWBS(Subjective Well-Being Scale) by Keyes(2005). Also, To measure adolescent's dispositional optimism, we used “the Youth Life Orientation Test (YLOT)” by Joo -Young Kim, Jee-Yon Lee(2007), which is a adapted of YLOT by Sydney et al(2005). And, To measure adolescent's optimistic explanatory style, we used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Questionnaire (CASQ)" by Noh-Yong Park(1999), which is a adapted CASQ by Kaslow and Tanenbaum(1990). Finally, to measure adolescent's defense mechanism style, we used "K-DSQ (Korea Version of Defense Style Questionnaire)" by Seong-Ho Cho(1999), which is a Korean version DSQ by Bond et al(1983).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n the tendencies of optimism, defense mechanism style and well-being regarding to the grade difference, sex difference, birth rank showed the following. Female student's optimistic explanatory style level got higher than the male students. Except the abovementioned results, other significant effects were not discovered. Second, the correlations between optimism, defense mechanism style and well-being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is study found ou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variables of adolescent's well-being and dispositional optimism, optimistic explanatory style and adaptive defense style. Also, this study found ou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mmature, self-inhibiting, conflict-avoiding defense mechanism style and all variables of well-being and two types of optimism. Third, dispositional optimism, optimistic explanatory styl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dolescent's well-being. And the rank in the positive influence of optimism on adolescent's well-being was dispositional optimism and optimistic explanatory style. Also, defense mechanism style influence on adolescent's well-being was follows. Adaptive defense mechanism style had positive influence on adolescent's well-being. And immature, self-inhibiting, conflict-avoiding defense mechanism styl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adolescent's well-being. And the rank in the negative influence of defense mechanism style on adolescent's well-being was immature defense mechanism style, conflict-avoiding defense mechanism style and self-inhibiting defense mechanism style. And when the two types of optimism and defense mechanism style had influence on well-being at the same time, dispositional optimism, optimistic explanatory style, and adaptive defense mechanis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dolescent's well-being. And the rank in the positive influence of optimism and defense mechanism style on adolescent's well-being was dispositional optimism and optimistic explanatory style, and adaptive defense style. Forth, the moderating effect of adaptive defense mechanism on the relation between dispositional optimism and well-being of adolescents was significant. In particular, if people used more adaptive defense style although they had lower dispositional optimism level, they experienced higher level of well-being.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the important role of defense mechanism styles and researched the route of making effect of positive personality traits higher.

      • 모바일 기반 채팅과 학습자 특성이 성인 학습자의 온라인 영어 학습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최혜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온라인을 기반으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외국어 학습은 이제는 일상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학습 방법으로, 점차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기반의 영어 학습이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며 국내외에서 활발히 개발되며 연구되고 있다. 컴퓨터를 매개로한 의사소통 도구는 특히 영어 말하기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국내에서는 오프라인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오프 블렌디드 러닝의 학습 방식이 널리 적용되었고(김희진과 허광, 2013), 동시성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하지만, 모바일 기반의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언어 학습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많이 논의되지 않은 편이다. 앞으로 대학이나 교육 기관의 벽을 넘어서 순수한 온라인 기반의 영어 학습에 대한 수요가 늘 것으로 전망되나(마크로밀 엠브레인, 2018), 오프라인 거점 없는 온라인 기반의 영어 학습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는 많지 않은 편이다. 또한, 기존의 동시서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영어 학습에 대한 연구가 주로 PC를 기반으로 진행되었던 반면, 현재 우리가 매일 접하는 디지털 환경은 이미 PC 기반에서 모바일 기반으로 상당부분 이관되었다. 따라서, 모바일 기반의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제2언어 학습에 대한 연구가 촉구된다.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영어 학습의 관점과 더불어, 제2언어 습득에 있어서 중요한 연구 분야인 학습자 개별 특성에 대한 관점에서도 진행되었다. 다양한 학습자 개별 변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언어 학습을 하는 데에 개인마다 다른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학습자 개인이 내재하고 있는 다양한 속성 중에서, 학습 성향(시각형, 청각형, 운동형)과 내외향성 기질을 중심으로, 이러한 속성을 가진 학습자가 어떤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하여 학습하게 될 때 언어 학습의 성취가 더 향상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8주간 성인 여성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학습 성향과 기질에 따라 집단을 분류한 뒤에, 각 집단별로 문자 채팅 및 음성 채팅으로 학습하도록 설계하였다. 학습자는 매주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총 4회의 유투브 강의를 통한 개별 학습을 하고 과제를 제출한 뒤, 금요일에는 4일간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자 채팅 또는 음성 채팅을 하고, 그 과정은 모두 녹화하여 온라인상에서 과제로 제출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기반 의사소통 도구의 종류가 온라인 영어 학습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다. 지필 평가에 있어서 문자 채팅 집단과 음성 채팅 집단 모두 사후 평가에 있어서 향상된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말하기 유창성에 있어서, 문자 채팅 집단과 음성 채팅 집단 모두 사전 평가보다 향상된 사후 평가 결과를 보였다. 말하기 정확성에 있어서는 문자 채팅 집단에서는 정확성에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나, 음성 집단은 사전-사후 평간 결과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어휘의 다양성에 관하여, 어휘 풍부성 및 어휘 밀집성 모두 각 집단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지 못했다. 둘째, 학습자의 개별 특성에 따른 모바일 기반 의사소통 도구의 종류가 온라인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자의 학습 성향에 따른 시각형, 청각형 및 운동형 집단에서의 결과를 살펴보면, 지필 평가에 있어서 각 집단내 문자 채팅과 음성 채팅 도구의 차이로 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말하기 유창성의 결과도 채팅 방식과 관련이 없었다. 정확성에 있어서는, 청각형 집단에서만 음성 채팅 학습자기 문자 채팅 학습자보다 더 높은 가능성을 갖고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어휘 다양성은 청각형 집단에서 음성 채팅 집단이 문자 채팅 집단보다 더 높은 사후 성취도를 보였으며, 다른 학습 성향 집단에서는 채팅 방식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학습자의 기질에 따른 내향형, 외향형의 집단에서의 채팅 방식이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외향성 학습자 집단은 음성 채팅을 한 집단이 문자 채팅을 한 집단보다 더 높은 사후 지필 평가 점수를 보였다. 말하기 유창성의 경우도 역시, 외향성 집단은 음성 채팅 집단의 학습자들이 문자 채팅 집단보다 더 높은 향상을 보였으나, 내향성 집단은 채팅 방식에 따라 학습 효과가 다르지 않았다. 말하기 정확성과 어휘의 다양성은 내향성 집단과 외향성 집단 모두에서 채팅 방식에 따른 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다. 셋째, 모바일 기반 의사소통 도구의 종류가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영어 학습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에 관하여, 음성 채팅 집단에서 외국인과의 의사소통 의지가 줄어든 것으로 보아, 음성 채팅 집단의 불안감이 올라가면서 의사소통 의지는 줄어든 것으로 해석된다.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는 두 집단 모두 높아졌다. 영어 자신감에 관한 인식은 문자 채팅 집단에서 사후 높아졌는데, 이것은 문자를 통한 학습이 복습 효과가 크고 정확성에 도움이 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유창성과 정확성을 기준으로 한 영어 말하기 능력에 대한 인식은 두 집단에서 모두 변화되지 않았으며, 이것은 비교적 짧은 8주간 동안에 학습자들이 스스로 영어 말하기 실력이 늘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기반 의사소통 도구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음성 채팅 집단의 학습자는 채팅이 영어로 말할 기회를 주고, 말하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었으며, 문자 집단에서는 이에 대한 인식이 변하지 않았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채팅을 통한 학습이 자신감에 도움이 된다는 것과 전반적인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이 점에 대해서는 사후 인식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모바일 기반 의사소통 도구의 종류에 따른 실험 참여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설문을 통해 본 결과, 문자 채팅 집단은 정확성에 도움이 되며, 복습할 기회가 있는 것을 장점으로 꼽았으며, 말하기 연습 기회가 부족한 것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했다. 음성 채팅 집단은 채팅을 통한 말할 기회에 대한 장점을 언급하며, 음성 채팅 역시 복습의 좋은 기회가 됨을 언급하였고, 일부 학습자들은 자신감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나, 영어 말하기에 부담감을 느낀 학습자도 있었다. 학습자 중심의 학습, 자기 주도적 학습, 맞춤 학습 등 학습자 개인이 스스로 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정하는 패러다임으로 학습 방식의 흐름이 바뀌어 가고 있으며, 학습 환경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PC 기반에서 모바일 기반으로 급속하게 변해가고 있다. 이런 변화에 맞추어, 학습자 개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방식의 학습 방법을 제시하고 도와주는 것이 교수자들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이 되었다. 따라서, 학습자 개별 특성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와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자 개인의 특성과 주어진 교육 환경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교수법을 활용하는 것이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살아가는 교육자들에게 주어진 과제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개별 특성에 적절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를 보였기에,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첨단 도구를 활용하는 예를 영어 교육 연구분야에서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도출되는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나 학습자는 학습자 개별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언어 학습 방식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문자 언어 또는 구두 언어의 유창성, 정확성, 어휘 다양성 등 교수 학습 목적에 맞추어 테크놀로지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비슷한 성향과 학습 방식을 갖고 있는 학습자이더라도 어떤 방식의 학습을 하는가에 따라서 다른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셋째, 학습자 개별 특성을 고려하여,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영어 학습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learners can achieve better language learning outcomes when they learn English through mobile-based communication tools in terms of different learning styles and degrees of extroversion. Foreign language learning using online-based technology is now a method frequently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Various types of online based English learning with different technologie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everywhere. A mobile-based communication tool is an important mediator in teaching – learning design especially for English speaking learning. A volume of research on using offline communication tools, as a form of blended learning for offline college students, has been completed, Research on entirely online based English learning, however, is limited so far. Furthermore, while the study of English learning through existing synchronous communication tools has been conducted mainly on the basis of PC, the recent digital world, including online English, learning has considerably been transferred from PC-based to mobile-based. Thus, researches on second language learning tools through a purely mobile-based communication tool is justified. This study has also been conducted from the viewpoint of English learning using technology as well as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arners, which is an important field of study in second languages acquisition. Individual variables are complexly acted in the research, which brings individually different results in language learning. This study was undertaken over a period of 8 weeks with adult female English learners. After grouping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and personality, each group undertook learning by text chat or voice chat. The learner practiced and submitted a task individually through four lectures on YouTube from Monday to Thursday each week. On Friday, subjects practiced a conversation based on the contents from the previous four days via text chat or voice chat. Participants recorded the whole process and submitted it onl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f the types of mobile-based communication tools on the online English learning, both the text group and the voice group showed improved results in the written evaluation. Also, in speaking fluency, both groups improved. In speaking accuracy, the text group showed improvement, but with the voic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Lastly, regarding vocabulary diversity, neither vocabulary richness nor vocabulary clusterin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either group. Secondly, with regard to the effects of the types of mobile-based communication tools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of learners on online English learning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visual, auditory and kinesthetic groups in conjunction with the learners’ learning attitudes did not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xt chat and the voice chat in each group. The results of speaking fluency were also irrelevant to the chatting method. In terms of accuracy, in the auditory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xt chat and voice chat, but the voice group seems to show higher improvement than the text group. In the auditory group, the voice group did better than the text group for vocabulary diversity. In the effect of the chatting method in the group of the introvert and extrovert according to the learner’s personality, the voice group achieved higher than the text group in the extrovert group in the written evaluation. In regard to speaking fluency, the voice group showed higher improvement than the text group in the extrovert group,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voice and the text in the introvert group. In case of the accuracy of speech and the vocabulary diversity, the chatting method did not affect either introvert or extrovert group. Thirdly, the effects of the type of mobile-based communication tools on learner’s affective attitude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general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the voice group showed the level of anxiety was increased and the “will to communicate” was decreased as their will to communicate with foreigners decreasing.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increased in both groups. Confidence with English in the text group increased, which is interpreted to suggest that learning through written text is effective and helpful for accuracy. The perception of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on the basis of fluency and accuracy did not change in either group, and it can be inferred that they did not think that their English speaking ability would not have improved over a relatively short 8 week period. In th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mobile-based communication tools, the learners of the voice group respond that the voice chatting method gave them opportunities to speak English and helped to improve their speaking ability, and their perception of mobile-based communication tools changed positively. However, the text group’s perception was unchanged. In both groups, there was no change in perception of the question that learning through chatting tools was helpful to self-confidence and that it was helpful in improving overall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According to a survey following the study, the text group found their method to be helpful for accuracy, and the best aspect was being able to review, despite lacking in speaking opportunities. The voice group found it useful to be able to practice speaking and were also satisfied to be able to review their work. Some learners found it uncomfortable to speak English, while others thought it helped their confidence. It has been a long time since the shift toward a new paradigm where a learner determines what to learn and how to learn, that is learner-centered, self-directed and customized. It has become very important for current educators to present and help learners in ways that best suit individual learners. Therefore, the task for educator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o use teaching methods that are responsive to learner differences and also provide learning opportunities based on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of learners. From this viewpoint, this study has illustrated a new attempt to utilize technologie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it provides meaningful examples of how to use using advanced tools based on human understanding in English education.

      • Polya의 발견술을 이용한 문제해결 지도방안 연구

        최혜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수학교육의 동향은 단편적인 지식에 의한 문제풀이의 기능 숙달에서 벗어나 수학적 사고력의 향상으로 지적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인간의 육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수학교육의 목적은 수학적으로 사고하고 문제해결 능력의 신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학교의 수학교육은 입시위주의 학습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olya의 문제해결 단계를 이용한 교사와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을 강조하고 소그룹 협력학습을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 그러면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교사들은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해 문제해결을 지도할 때 수학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으로 Polya에 의해 제시된 문제해결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발견술을 고려하였다. Polya의 발견술과 문제해결 4단계를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또한 Polya의 여러 가지 발견술을 적용한 수학적 문제해결의 학습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학습지도 방안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고 교수 방법의 개선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Recent trends in mathematics education emphasizes to cultivate self-regulating and creative person, who deviate from mastering of solving problem skills by a fragmentary knowledge, and who can create intellectual value by enhancing power of mathematical thought. According to this trends, the goal of mathematics education is enhancing abilities of mathema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However,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school cannot be against the putting an entrance examination first. To settle this problem, we should emphasize communica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using Polya's solving problem process, and apply the small-group studying properly. Then we can increase effects of their achievement. Teachers should make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can enhance the students' solving problem abilities. In this thesis, we consider basic principles and heuristic for problem-solving proposed by Polya, which can apply in mathematics class when teaches solving problems to enhance problem-solving abilities. It is expected to help students for solve problems by applying Polya's heuristic and 4 steps for solving problems. And propose the teaching plans f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based on various heuristic of Polya. It is expected the proposed teaching plan contribute to enhancing students' power of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improving teaching methods.

      •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및 스마트폰 과몰입이 배려에 미치는 영향

        최혜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및 스마트폰 과몰입이 배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중학생 대상의 배려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 및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연구방법과 절차에 있어서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 소재 중학교에 재학중인 중학생 1, 2, 3학년을 대상으로 636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3가지로서, 가족기능은 김정운(2016)이 개발한 청소년용 가족기능척도로 5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전체 26문항 4점 리커트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 경우 가족기능이 원활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스마트폰 과몰입은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에서 개발한 청소년용 자가진단 척도로 4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전체 15문항 4점 리커트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 경우 스마트폰 과몰입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배려는 조규판·주희진(2013)이 개발한 청소년용 배려척도로 3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전체 20문항 5점 리커트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배려수준이 높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스마트폰 과몰입, 배려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스마트폰 과몰입, 배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 및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 사후검증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특성, 중학생이 지각한 스마트폰 과몰입 및 가족기능이 배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스마트폰 과몰입, 배려의 경향성을 살펴보면,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의 전반적인 경향은 4점 리커트 척도 상에서 평균 3.15(표준편차 .45)로 하위영역에서 ‘정서지지’, ‘성장지원’, ‘가족화합’, ‘의사소통’, ‘가족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의 전반적인 경향은 애정과 친밀감을 바탕으로 가족구성원 간에 규칙 및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자녀의 성장지원을 위한 물리적 지원 등이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족갈등의 경우 대체적으로 비난이나 원망, 책임전가 등 없이 원만한 해결을 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폰 과몰입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본 결과 4점 리커트 척도 상에서 평균 2.00(표준편차 .53)으로 하위영역에서는 ‘내성’, ‘일상생활장애’, ‘금단’, ‘가상세계지향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학생이 지각한 스마트폰 과몰입의 전반적인 경향은 스마트폰 사용이 현실세계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대인관계를 불편하게 느끼지는 않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을 중단할 경우 불안감을 느끼지는 않았고 스마트폰 사용을 더 많이 할수록 만족감을 느끼는 내성의 경우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종합적으로 스마트폰 과몰입은 높지 않은 수준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려의 전반적인 경향은 5점 리커트 척도 상에서 평균 4.02(표준편차 .66)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 ‘행동’, ‘정서’, ‘인지’ 순으로 나타나 이는 중학생들은 배려를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는 반응이 가장 높았고, 상대를 이해와 공감하고 배려가 필요한 상황에 대해 인지하는 수준 또한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인구사회학적 특성, 개인심리적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 스마트폰 과몰입, 배려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의 차이를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학년, 지역, 학업성적이 개인심리적 특성은 자기자신만족, 또래관계만족, 스트레스정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종교와 성별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음으로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과몰입의 차이를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학년, 지역, 학업성적이, 개인심리적 특성은 자기자신만족, 또래관계만족, 스트레스정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종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배려의 차이를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학년, 지역, 학업성적이, 개인심리적 특성은 자기자신만족, 또래관계만족, 스트레스정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종교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특성, 중학생이 지각한 스마트폰 과몰입 및 가족기능이 배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먼저, 조사대상자의 특성 중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별과 학업성적은 배려의 하위영역 인지, 정서, 행동 배려전체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은 배려의 하위영역 인지, 행동 및 배려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인심리적 특성에서는 또래관계만족이 배려의 하위영역 인지, 정서, 행동, 배려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폰 과몰입의 하위영역 중 일상생활장애와 내성은 배려의 인지, 정서, 행동, 배려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금단은 배려의 하위영역 행동에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족기능의 정서지지는 배려 하위영역의 정서, 배려전체에, 가족화합은 배려 하위영역 인지, 행동에, 의사소통은 배려 하위영역 정서, 행동, 배려전체에, 가족갈등은 배려 하위영역 인지, 정서, 배려전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종교, 자기자신만족, 스트레스정도, 스마트폰 과몰입 하위영역 중 가상세계지향성, 가족기능의 하위영역 중 성장지원은 배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 및 스마트폰 과몰입은 배려에 비교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기능 강화교육 및 스마트폰 사용교육, 배려 프로그램 개발은 물론 청소년 관련 현장에서의 적극적인 실천이 요구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functioning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care,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care improvement programs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preparing opportunities of using them. In the method and procedure, this study target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Korea; the data surveyed from 636 students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re were 3 kinds of measurement tools: To measure family functioning, the family functioning scale for adolescents developed by Kim Jeong-un(2016) was used. It was the 4-point Likert scale with 26 questions composed of 5 kinds of subdomains; higher scores can be understood smoother family functioning. For smartphone overindulgence, the self-diagnosis scale for adolescents developed by NIA(2011) was used. It was the 4-point Likert scale with 15 questions composed of 4 kinds of subdomains; higher scores mean higher level of smartphone overindulgence. For care, the care scale for adolescents developed by Cho Gyu-pan and Ju Hui-jin(2013) was used. It was the 5-point Likert scale with 20 questions composed of 3 kinds of subdomains; higher scores can be understood higher level of care.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20.0 program, first,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endencies of family functioning,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car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o find out differences in family functioning,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car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s the post hoc test were carried out. Third, to find out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family functioning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car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summarized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endencies of family functioning,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car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he general tendency of family functioning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as 3.15 on average on the 4-point Likert scale (standard deviation = .45); subdomains were found in the order of emotional support, support for growth, family harmony, communication and family conflict.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tendency of family functioning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regulations and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were smooth based on affection and familiarity and the physical support for supporting children’s growth went on well. Family conflict can be understood to be settled amicably without accusation, resentment or buck-passing in general. Next, as a result of finding out the general tendency of smartphone overindulgence, the score was 2.00 on the 4-point Likert scale (standard deviation = .53); subdomains were found in the order of tolerance,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s, withdrawal and virtual life orientation. Through this, the general tendency of smartphone overindulgenc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as found that using smartphones did not make trouble in the real life or make interpersonal relationship uncomfortable. In addition, students did not feel anxiety when stopping using smartphones. Tolerance, which they feel satisfaction when using smartphones more, was found a bit higher, but smartphone overindulgence can be understood not high in general. Lastly, the general tendency of care was found 4.02 on average on the 5-point Likert scale (standard deviation = .66). Subdomains were found in the order of behavior, emotion and cognition, which mean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se of putting care into specific behaviors was the highest and th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sympathizing with others and recognizing the situation that needs care can be also understood high.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family functioning,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car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as for the difference in family functioning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chool year, region and school record, while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self-satisfaction,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tress level. On the other hand, religion and gend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Next, as for the difference in smartphone overindulgenc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der, school year, region and school record, while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self-satisfaction,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tress level.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ligion. Lastly, as for the difference in car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der, school year, region and school record, while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self-satisfaction,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tress level.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ligion. Third, as for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family functioning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care, first, it was found that i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the school record influenced all subdomains of care ― cognition, emotion, behavior and overall care, and region influenced subdomains of care ― cognition, behavior and overall care. In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influenced subdomains of care ― cognition, emotion, behavior and overall care.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s and tolerance among the subdomains of smartphone overindulgence were found to influence cognition, emotion, behavior and overall care. Withdrawal was found to influence a subdomain of care ― behavior. Lastly, emotional support of family functioning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ubdomains of care ― emotion and overall care; family harmony on subdomains of care ― cognition and behavior; communication on subdomains of care ― emotion, behavior and overall care; family conflict on subdomains of care ― cognition, emotion and overall car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religion, self-satisfaction, stress level, virtual life orientation among the subdomains of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the support for growth among the subdomains of family functioning did not influence care. In summary, family functioning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influence care relatively. Therefore, this study demands enthusiastic practice in the adolescent-related field as well as development of programs for family functioning reinforcement education, smartphones use education and care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 전통무용이 중년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최혜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Lots of social problems are arising from the changes of body and family life cycle of middle-aged women which results in the mental changes such as solitude, despondency, anxiety, loss of self-concept, and depression. It will be basic data for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traditional dance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problems on the mental health of middle-aged women through the traditional dan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and mental health of the middle-aged women b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argeting the middle-aged women aged 41-61 who regularly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dance in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culture center, and art center located in Busan, and accordingl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reviewing the motivation of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dance b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had difference in the age, educational standard and income level, while i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tus of spouse. Second, reviewing the motivation of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dance b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t had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health promotion by the period of participation, and by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t had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self-developm ent, hope for guidance, health promotion, while i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of participation. Third, reviewing the mental health of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dance b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had difference in the status of spouse, educational standard, income level, while it had no difference in the age. Fourth, reviewing the mental health of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dance b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t had difference in the somatization, anxiety, hostility, paranoia by the period of participation, and by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t had difference in the somatization, obsess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phobic anxiety, while it had difference in the hostility by the time of participation. Fifth,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for traditional dance and mental health,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health promotion, the lower the paranoia of the mental health factor was, while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self-development, the higher the depression was. Also,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sociality, the higher the somatization, depression and hostility were. Sixth, reviewing the effects of motivation of the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dance on their mental health, the factor of motivation had no effect on the mental health. Summing up these findings, the traditional dance turned out to have a good effect on the mental health regardless of a certain motivat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traditional d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change of mental health and sociopsychologically expected effects by a constant physical activity in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aspect of the middle-aged women. It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the middle-aged women for them to have confidence in daily life, express their feeling, and perfoming the traditional dance steadily, when they experience a sense of alienation and isolation at home and in the social relationship in our society. 중년여성의 신체적인 변화와 가족주기에 대한 변화는 고독감, 허탈감, 불안감, 자아개념 상실과 우울증 등의 정신적인 변화로 이어져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되고 있다. 중년 여성들에게 이러한 문제점들이 전통무용을 통해 정신건강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전통무용의 평생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을 소재하는 평생교육원, 문화원, 문화회관에서 정기적으로 전통무용에 참여하고 있는 만 40세 이상 ~ 만 60세 이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중년여성의 전통무용 참여정도와 참여동기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으며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전통무용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는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배우자유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전통무용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참여정도에 따른 참여동기는 참여기간에 따라 성취,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었고 참여빈도에 따라 성취, 자기개발, 지도희망,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참여시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전통무용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은 배우자유무,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연령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넷째, 전통무용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참여정도에 따른 정신건강은 참여기간에 따라 신체화, 불안, 적대감, 편집증에서 차이가 있었고 참여빈도에 따라 신체화,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증, 불안, 공포불안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참여시간에 따라 적대감에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전통무용의 참여동기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참여동기 중 건강 증진에 대한 동기가 높을수록 정신건강 요인 중 편집증이 낮아지는 반면 자기개발에 대한 동기가 높을수록 우울증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성에 대한 동기가 높을수록 신체화, 우울증, 적대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전통무용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참여동기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참여동기 요인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사실들을 종합해 볼 때, 전통무용은 어떠한 동기에 상관없이 정신건강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나타났다. 중년여성에게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에서 지속적인 신체적 활동으로 전통무용은 사회 심리적인 기대효과와 정신건강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가정과 사회관계 내에서 고립감과 소외감을 경험할 때 중년여성들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일상생활에서 자신감을 갖는 것과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지속적으로 전통무용을 할 수 있는 인내심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한국어 교육에서의 다의 동사 ‘뜨다’에 관한 인지언어학적 연구

        최혜림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ognitive Linguistic Study on Korean Verb “TTEU-DA”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was developed. Teaching vocabulary, however, has been neglected in real education field because of the thought that learners should learn vocabularies for themselves. Therefore, it has great significance to discover the aspect of meaning extension of polysemy, which is demanding for foreign learners, in view of human universal cognitive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relations between meanings of polysemy, ‘TTEU-DA’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The previous studies on polysemies have a limit that they focused on classification of various usages rather than relationship between their meanings. The outline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backgroun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the polysemy ‘TTEU-DA’ are described and the trend of preceding cognitive linguistic studies on polysemy verbs is discussed as well as their limits. Theoretic concepts (such as Base and Profile, Trajector and Landmark, Image-schema) required for the cognitive linguistic approach to analyze the meaning of ‘TTEU-DA’ are investigated in chapter 2. It is verified that ‘TTEU-DA’ is a polysemy by analyzing forms and usage of ‘TTEU-DA’ appeared in the middle Korean in chapter 3. And then, each meaning of ‘TTEU-DA as an object of study is selected. And a prototypical meaning of ‘TTEU-DA’ is postulated on the basis of selection standard for the prototypical meaning. In chapter 4, several examples of ‘TTEU-DA’ syntax are collected by types and classified. Base on the examples, feature of arguments making a pair with ‘TTEU-DA’ are analyzed and attempt to analyze concrete meanings is made based on the meaning analysis frames introduced in chapter 2. Based on the result of chapter 4, semantic network is proposed that shows directionality with which prototypical meaning has been developed to extended meanings. Finally, chapter 5 is devoted to a brief summary of each chapter’s results and presenting a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is study. This study would help foreign learners recognize meanings of Korean polysemy verbs and guess the meaning of them appearing in several conversation. Teachers could use this result as an important material when they teach foreign learners about polysemous word in Korean education field. Finally, I hope that studies on more variety verbs from a cognitive linguistic viewpoint will be performed actively hereafter and it will enable us to find the stereotyp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ver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