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시대를 위한 철학 : 종교문화 속에서 초월 - 초월에 대한 열정과 그 형식 -

        최한빈(Han Bin Choi)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0 시대와 철학 Vol.11 No.2

        각 시대마다 종교가 갖는 다양한 형식과 형태를 종교문화라 할 수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이러한 종교문화 중 초월에 주목하여 그 일정한 특징을 살펴보고 그것의 문화철학적 함의를 제시하는 데 있다. 초월 체험은 의식-비의식의 형식을 통해 이루어지고 초월적 지향은 외재적 초월과 내재적 초월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형식과 지향은 시대에 따라 강조를 달리 한다. 현대 사회와 문화는 초월 체험에서는 비의식적인 면을, 초월의 지향에서는 내재적 초월을 더 주목하고 있다. 이것은 이미지 문화로 대표되는 현대 사회와 문화가 새로운 가능성을 위해 인간의 비의식적 잠재 능력에 주목하고 있는 것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러나 현재 일련의 활동들은 이 능력에 대해 가치판단을 유보한 채 그 현상 자체에만 몰입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태도는 자본주의의 새로운 팽창논리에 함몰되어 새로운 억압과 예속의 상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종교문화가 가지고 있는 초월의 다양한 경험과 정보는 인간의 비의식적 능력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현대 종교 역시 현대 문화가 미쳐 가보지 못한 미지의 영역에 대해 이미 다양한 경험을 선취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현대 종교는 단순한 이데올로기서의 역할이 아닌 다른 의미를 현대 사회와 문화에 줄 수 있다.

      • KCI등재

        인성교육에 대한 인문학적인 고찰과 비판 -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 『국가』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을 중심으로 -

        최한빈 ( Choi Han Bi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1

        플라톤의 대화편 『프로타고라스』에서 드러난 소크라테스와 프로타고라스간의 논쟁, 즉 덕의 교육 가능성에 대한 논쟁은 현재 인성교육에 대하여 참조할 바를 제공한다. 덕과 앎의 일치를 주장하면서 덕의 교육을 부정하는 소크라테스는 일반적인 앎과 다른 앎으로 덕을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프로타고라스가 일반적인 앎과 덕을 분리한 것은 덕이 일반적인 앎과 달리 교육되어야 함을 주장한 것으로 보인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민교육은 이러한 프로타고라스의 견해를 따르며 나아가 시민교육은 여타의 교육과 달리 철학 교육과 함께 할 때 가능한 것으로 본다. 인성교육이 여타의 교육과 차별을 갖는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프로타고라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를 따라서 훌륭한 시민을 양성하는 교육이 되어야 하며 그러한 교육은 인문교양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종교사학은 여타 대학에 비해 교양교육을 통해 인성교육을 차별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고유한 환경에 있는 만큼 시민교육으로서의 인문교양교육을 실시하기에 보다 유리하다. 특히 기독교 사학의 경우, 기독교적인 시민양성을 교양교육 목적으로 삼는 것이 종교사학의 차별적 인성교육이 될 수 있으며 그러한 교육은 신앙교육이나 종교교육만이 아니라 인문교양교육과 함께 수행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amous debate of the education of virtue between Protagoras and Socrates on `Protagoras` the Plato`s dialogue is worth to review for the character building programs of university recently in Korea. On the dialogue, Socrates who insisted the virtue can not be educated, considered that virtue and knowledge is the one, but the knowledge he mentioned is not like usual knowledge. Protagoras who distinguished the virtue from knowledge considered that the virtue is not usual knowledge so it should be educated differently as other knowledge. Aristotle looks like have same aspect with Protagoras. He insisted the civic education for good human life which depends on the good society, should be proceeded differently than other skill and knowledge. Aristotle`s civic education is not like professional skill but sort of liberal arts accompanied with philosophy. This Aristotle`s idea has implication on the character building programs of university in Korea. It should be more like civic education or it is easy to out to be another self-improvement. It is worth to focus on private religious colleges which seem to have more advantage for character building programs in liberal arts curriculum. But the curriculum which could also give a chance to secure religious college identity used to assign for chapel and religious education for missionary purpose. If the religious college, for instant, christian colleges have more concern for civic education in character building programs of liberal arts curriculum, it would have aim to achieve both the good believer and good citizen.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기독교철학의 정체성에 대한 일고 - 박형룡의 경우

        최한빈 ( Han Bin Choi ) 기독교학문연구회 2007 신앙과 학문 Vol.12 No.2

        이 논문은 한국에서의 기독교철학의 정체성을 밝히기 위한 한 연구이다. 이 논문은 한국이 처음 서양의 근대적 문화를 수입하였던 시기, 특히 일본이라는 문화적 필터(filter)를 통해 서양의 문화를 수입하였던 일제강점기를 대상으로 삼는다. 서양의 대표적인 학문이요 문화라 할 수 있는 서양철학의 한국 수입은 일제 강점기라는 한국인들의 현실적인 문제 상황에서 이루어진다. 서양철학의 영향은 당시 한국의 일반 지식인들뿐만 아니라 한국 개신교 지도자들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한국의 기독교철학의 정체성은 바로 이 두 가지 요소, 즉 일제 강점기라는 역사적 상황과 한국 개신교에게 찾아볼 수 있는 서양철학의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 논문은 이 당시 서양철학의 깊은 영향을 받은 일제강점기의 개신교 지도자들, 그 중 대표적인 인물인 박형룡을 주목하여 한국기독교철학의 정체성을 찾아보려는 시도이다. This paper aims to research for the identity of Korean Christian Philosophy in the period of Korea under Japanese Rule. The period was also in accord with inflow of modern western culture and thought So. the Korean intelligence of that time were under two important influence. One was Japanese occupation and the other was modern western culture. At that time, for the Korean intelligence, Japanese occupation was a real problem to solve and modern western culture was a kind of real method to use. Modern western philosophy had a special meaning because the philosophy gave new sights to understand the reality and world itself. Because of those all condition, we could expect special features of Korean Philosophy which reflected major subject for the intelligence in those days. Under the main purpose, the paper focuss on Christian intelligence in those days. They could be considered representatives who had influence of modern western thought(philosophy and theology) and culture, and tried to apply it to their own reality in many way. This paper is only to research a representative person of Korean reformed Christian leaders and Korean presbyterian theologist in the period, Park Hyung N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