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지체 특수학교학생들의 음악교육을 위한 학습지도안 연구 : 초등부과정을 중심으로

        최은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Music has been used very valuably in special education. In particular,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music education have them purify emotion and experience an aesthetic world. It is also helpful for correcting hyperactive behaviors caused from frustration and retarded sense or power of locomotion. Therefore, the current study suggested lesson plans that can be effectively conducted in actual educational sites on the basis of music curricula of special schools such as perceptive activity, expressive activity and appreciative activity. Perceptive activity consists of expressive activity of sound and recognition of instrumental sound. Expressive activity of sound was designed to improve expressive ability and imagination through instrumental sound by having students express the feeling of sound using shape cards. The students can improve their imagination and concentration through repetitive various instrumental sounds and enhance their expressive ability about sound. Through recognition of instrumental sound, the students were asked to recognize instrumental sound and distinguish musical instruments through listening to them. In addition, it stimulated the students' interest with feelings after seeing musical instruments. Expressive activity consists of making sou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singing songs and making songs in two times, respectively. Making sound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can promote sociability, stimulate creativity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handle instruments. The study had the students learn the concept of triple time through a subject song and beat rhythm using the instruments and their body. The study taught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the concept of rhythm and that all articles around us can be used as musical instruments by having them playing in concert with rhythmical instruments using all items around us on the basis of the triple time rhythm. And the study was designed to teach them the concept of musical scales through human Doremi body activity using musical scales of a song after learning a subject song <New Shoes> in singing songs and making songs. In appreciative activity, the study combined music with art for the purpose of having the students feel beauty while listening to music and improving imagination by having them think for themselves. For this, the study suggested a lesson plan using <A little star variation> of Mozart and <Carnaval des animaux> of Saint-Saens. The current study aimed to improve learning effect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who had weak memorizing ability through direct experience and repetitive activity, not through simple theory teaching. 이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학생들의 음악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각 지도안의 제재곡 선정은 예능1 교과서의 제재곡을 토대로 하였고, 다양한 경험을 위해 교과서 이외의 곡을 선정하였다. 음악활동의 세가지 영역인 지각활동, 표현활동, 감상활동으로 나누어 학습목표에 따른 지도 방안을 작성하였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각활동에서는 소리의 표현활동과 악기소리 인식하기로 구성하였다. 소리의 표현활동은 악기의 소리를 통해서 표현력 및 상상력을 높이고 모양 카드를 사용하여 소리의 느낌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반복적으로 다양한 악기 소리를 통해서 상상력과 집중력을 키울 수 있고 소리에 대한 표현력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악기소리 인식하기는 악기의 소리를 들음으로써 악기의 소리를 인식하고 악기를 구별하여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악기를 본 후 느낌으로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도록 하였다. 표현활동에서는 소리 만들기와 악기 다루기, 노래 부르기와 노래 만들기를 각각 2차시로 구성하였다. 소리 만들기와 악기 다루기는 사회성을 촉진시키고 창의력을 자극하며 악기를 다루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다. 예능1교과서의 제재곡 우리나라 꽃을 통해 3박자의 개념을 익히고 악기와 신체를 이용하여 리듬치기를 하였다. 그 3박의 리듬치기를 바탕으로 생활 주변의 모든 소재를 악기로 만들어 리듬합주를 하여 정신지체학생들에게 리듬의 개념과 우리 주변의 모든 물건들이 악기로 사용될 수 있음을 학습하였다. 그리고 노래 부르기와 노래 만들기에서는 제재곡인 새신의 노래를 익힌 후 노래의 계이름을 통하여 인간 도레미 신체 활동을 통해 계이름이라는 개념을 배울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언어를 자극하여 정신지체 학생들의 언어의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고 발성을 통한 바른 음정감을 발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인간 도레미의 신체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놀이를 통한 즐거운 학습을 이룰 수 있다. 감상활동에서는 음악을 들으면서 아름다움을 느끼고, 생각하게 함으로써 상상력을 증진 시키는 목적으로 미술과 접목하였다. 그래서 모차르트의 작은 별 변주곡과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를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는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한 이론지도가 아닌 정신지체학생이 직접적인 체험으로 느낄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또한 반복적인 활동을 통하여 기억력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모든 학습에 반기는 노래가 설정되어 교사와 학생간의 유대감의 형성과 학습의 동기를 유발하였다. 정신지체 학생들이 음악할동에 있어서 흥미를 유발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음악교육자료가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또한 특수학교 교사들이 음악 수업보다 그리고 만들고 꾸미는 미술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예능교과는 주당 3시간 중 미술수업이 2시간, 음악수업이 1시간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정신지체 특수학교 음악교육활동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많은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모든 요소들의 문제점을 찾아 개선방안이 모색되어져야 될 것이다. 특히 교사들은 학생의 개인차를 고려한 학습계획을 세워 다양한 음악 경험을 할 수 있는 학습지도 프로그램을 세워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 이다. 또한 음악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무엇보다 교사의 준비가 철저해야 한다. 음악을 즐거운 수업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창의적인 방법을 가지고 수업을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생들을 위해서 다양한 음악 수업을 준비하여야 하고 또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반응을 보이는 학생들의 행동에 대해 적절한 대처방법을 준비하는 것은 교사에게 있어 필수적 요소이다. 교사는 한 사람 한 사람을 귀하게 여기는 안목을 가지고 학생들을 지도한다면 더욱 달라진 학생들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자기조절과 인지적 유연성이 특성분노 및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최은혜 대구가톨릭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cognitive- flexibility on trait anger and anger expression. The subject of this survey is 544 highschool students living in Daegu, Korea.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ger control,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rait anger and anger expression. Second, each of cognitive-flexibility, trait anger and anger express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ger-control. Complexity preference, the sub-factor of cognitive flexibility,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ger-out. However, complexity preference i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ught diversity'.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regulation and cognitive-flexibility, the higher the level of anger-control and the lower the level of anger-out.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omparison groups. Fourth, Self-regulation as the most predictive variable of trait anger explains 5% of total variance of trait anger. Thought diversity explains 3% of total variance of trait anger. And complexity preference explains 2% of trait anger. Finally, complexity preference as the most predictive variable of anger-in explains 2% of anger-in. Self-regulation which shows 14% explanation power is the most predictive variable of anger-control. Moreover, self-regulation also explains 13% of total variance of anger-out.

      • 성공적인 문법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학습 전략에 관한 연구 : 중학교 학습자를 중심으로

        최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se days, learner oriented education is thought to be important at education field so that researchers actively researched learners' active learning attitude. So, researchers have investigated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have not concern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nough. This study examines learners' characteristics of grammar area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ince learners had a lot of difficulties at learning of Korean grammar among many subjects, it was motivated to focus on effective grammar learning. The author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ho could learn grammar successfully. The study examined common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grammar learners to let learners learn grammar successfully and to have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conditions, and to help learners retriev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for grammar learning.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grammar learners from point of view of learning motives and strategies. The study thus examines precedent studies on language learners' learning motives and strategies of learners who had close relations with grammar area. The study classifies the grammar learners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ree factors, that is to say, academic achievement of the grammar, interest in grammar area, and interest in grammar cla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20 grammar learners as subjects at the author's middle school who learned grammar subject successfully according to four types. The author interviewed 24 in-depth interviewees by video photographing who were picked up by questionnaire survey among 120 grammar learners. The author also interviewed Korean language teachers to hear objective and professional opinion on the grammar learners. The questionnaire survey, interview and video analysis were used to investigate learning motives and strategies of the grammar learners. The learners' grammar learning motives are examined from point of view of intrinsic and integrative motivation as well as extrinsic and instrumental motivation. The successful grammar learners and instructors thought that 'connection with actual life' is important at interest in grammar learning, and they thought that motivation at initial stage of grammar learning is also important. The grammar learners had different motivation depending upon four types. The learners' grammar learning strategies are investigated from point of view of not only resource control strategies but also cognition and meta-cognition strategies. At first, successful grammar learners made use of resource control strategies positively to solve problems of the grammar by themselves. The learners also made use of cognition and meta-cognition strategies actively, and they thought that they should firstly understand basic concept of Korean grammar to learn effectively. The learners made use of learning strategies of diagramming and use of examples. The learners had different grammar learning strategies depending upon four types to be same as learning motivation. This study that was focused on middle school learners could not generalize characteristics of all the grammar learners. In this research, it is worth in a sense of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ho successfully learned grammar even though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grammar learners have not been actively research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a critical role of finding out the optimization of conditions that learners could learn grammar successfully. 현재 교육의 장에서는 학습자 중심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교수 방법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학습 태도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그 바탕을 이루고 있으나, 현재 국어 교육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 교육의 여러 영역 중에서 문법 영역의 학습자 특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법은 국어의 여러 영역 중에서도 학습자들이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문법 학습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문법에서 성공적인 학습 경험을 한 학습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성공적인 문법 학습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성공적인 문법 학습자들이 지니는 공통적인 특성을 추출하여 일반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문법 학습 경험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 방법 및 학습 환경을 마련하며, 학습자들의 성공적인 문법 학습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문법 학습자의 특성을 학습 동기와 학습 전략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따라서 문법의 영역과 관련성이 높은 언어 학습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성공적인 언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학습 전략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문법 학업 성취도, 문법 영역에 대한 흥미도, 문법 수업에 대한 흥미도의 세 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성공적인 문법 학습자를 네 유형으로 설정하였다. 현재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중학교 문법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성공적인 문법 학습자의 네 유형에 속하는 연구 대상자 120명을 선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120명을 대상으로 학습 동기와 학습 전략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유형별로 선별한 심층 연구 대상자 24명을 대상으로 면담과 관찰 비디오 촬영을 통한 심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자들을 가르치는 국어 교사들에게 면담을 진행하여 성공적인 문법 학습자들에 대한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견해를 듣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설문조사, 면담, 관찰 비디오 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문법 학습자의 특성을 학습 동기와 학습 전략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성공적인 문법 학습자의 특성 중 문법 학습 동기에 대한 결과는 내적․통합적 동기와 외적․도구적 동기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성공적인 문법 학습자와 교수자는 모두 문법 학습에 흥미를 느끼는 요소로 ‘실제 생활과의 연계성’을 중요 요소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문법 학습의 시작 단계에서 이에 따른 동기 부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공적인 문법 학습자의 네 유형별로 문법 학습 동기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문법 학습자의 특성 중 문법 학습 전략에 대한 결과는 자원 관리 전략과 인지․초인지 전략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우선 성공적인 문법 학습자는 자원 관리 전략을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문법 문제 해결 전략에서 자기 주도적으로 문제 해결을 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성공적인 문법 학습자들은 인지․초인지 전략도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문법은 다른 국어의 영역들보다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효과적인 문법 학습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체적인 문법 학습 전략으로 ‘도식화, 예시를 활용한 학습’ 등의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동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공적인 문법 학습자의 네 유형별로 문법 학습 전략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교 학습자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성공적인 문법 학습자 전체의 특성으로 일반화할 수는 없다. 하지만 문법 학습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특히 성공적인 문법 학습 경험을 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특성을 추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긍정적인 성취 경험을 할 수 있는 문법 학습 조건을 최적화하는 방안을 찾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최은혜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Owing to difficulty in self-accommodation, self-expression and self-opening caused by self-defense for handicapped children, their mothers usually suffer parenting stress which is much higher than that of normal children's mothers. Thu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nfluence that group art therapy has on the parenting stress of handicapped children's mothers. For this study, the mothers who got marks over 90 points in the parenting stress test among the handicapped children's mothers who use treatment room of D welfare hall in P area a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10 mothers. For experimental group,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enforced in 1 time a week (120-150 minutes a time) from September 2008 to October 2008, totalling 16 sessions. For study tool, parenting stress scale (PSI/S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developed by Abidin(1983) and used by Seo Hye Young(1991) and 'Person in the Rain'test developed and improved by Anold Abrams & Abraham Amchin(Hammer, 1958a, 1967b) were enforced and marked for use. With respect to analysis of materials, SPSS for windows Ver. 14 was used for statistical treatmen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marks of each pre and post inspection for each group was calculated and repetitious measurement ANOVA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reduces the parenting stress of handicapped children's mothers. Second, group art therapy reduces the lower area (parental distress, parent-child disfunctional interaction, difficult child) of fostering stress of handicapped children's mother. Third, group art therapy reduces the stress in the 'Person in the Rain' test of handicapped children's mother. Thus, it is judged that group art therapy in this study considerably changes overall stress level through total parenting stress, parenting stress in lower areas of 'Person in the Rain' test of handicapped children's mother, thereby positively affecting the reduction of parenting stress of handicapped children's mothers. 장애아동 어머니는 장애자녀로 인한 자기방어로 자기수용, 자기표현, 자기개방이 어렵고 이로 인해 일반아동의 어머니에 비해 양육스트레스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대상은 P지역의 D복지관 치료실을 이용하는 장애아동 어머니 중 양육스트레스검사에서 90점 이상인 어머니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10명씩 나누었다. 실험처치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2008년 9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주 1회 120-150분씩 총 16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Abidin(1983)이 개발하고 서혜영(1991)이 사용한 양육스트레스 척도(PSI/S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와 Anold Abrams와 Abraham Amchin(Hammer, 1958a, 1967b)에 의해 개발 발전된 ‘빗속의 사람’ 검사를 실시하고 채점화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통계처리를 위해 SPSS for windows Ver. 14를 사용하였으며,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처치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별 사전·사후 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반복측정 변량분산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하위영역(부모의 고통, 부모-아동간 역기능적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을 감소시킨다. 셋째, 집단미술치료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빗속의 사람’ 검사 상에서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전체 양육스트레스, 하위영역별 양육스트레스, ‘빗속의 사람’ 검사를 통한 전반적인 스트레스 수준에 두드러진 변화를 나타냄으로써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사료된다.

      • 여자 태권도선수들의 부상에서 복귀까지 겪는 심리적 경험 탐색

        최은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과거 부상을 경험하고 복귀에 성공한 여자 태권도선수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부상단계, 재활단계, 그리고 복귀단계에서 어떠한 심리적 경험을 했는가를 질적 연구방법 중의 하나인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자 태권도선수 총 5명으로부터 ‘부상에서 복귀까지 겪는 심리적 경험의 본질적 특성은 무엇인가?’, ‘부상에서 복귀까지 겪는 심리적 경험의 의미들은 어떻게 범주화 하는가?’ 등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반구조화된 질문들을 통해 자료들을 수집하였고,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Colaizzi의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부상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모두 불안정하고 부정적인 심리를 경험하였다. 하지만 힘든 상황에서 현실을 수용하려는 노력을 통해 재활단계에 진입할 수 있었다. 부상 단계에서는 현실 거부, 부정적 심리반응, 현실 수용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활단계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은 부정적 심리와 이러한 상황을 이겨내려는 노력과 의지가 드러났다. 연구참여자들은 재활 상황에서 힘든 경험을 하면서 부정적 심리를 경험하였지만, 빠른 복귀를 위해 긍정적인 생각을 하면서 마인드 컨트롤, 이미지 트레이닝 등의 심리적 전략을 사용하였다. 또한 주변의 도움을 통해 더 빠른 복귀가 가능하였다. 이는 재활 환경의 어려움, 부정적 감정, 긍정적 생각, 심리적 전략, 주변인들의 도움과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귀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부상 트라우마로 인해 복귀 후에도 불안정한 심리를 경험하였다. 이를 이겨내기 위해 스스로 몸과 멘탈을 관리하였고, 성공적인 복귀를 위해 노력하였다. 복귀단계에서는 부상 트라우마, 통합적 심신관리, 성공적인 복귀를 위한 준비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포츠 현장에서 지도자와 선수들에게 부상단계와 재활 및 복귀단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스포츠 심리상담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and pract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female taekwondo players who have experienced injuries for their successful recovery from injury to recovery.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of ‘What ar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from injury to recovery?’, ‘How can the meanings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from injury to recovery be categorized?’ were set from a total of 5 female taekwondo player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s. Afterwards,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laizzi's phenomenological approach,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the injury stage, all participants experienced unstable and negative psychology. However, through efforts to accept reality in difficult situations, I was able to enter the rehabilitation stage. In the injury stage, rejection of reality, negative psychological reaction, and acceptance of reality were shown. Second, in the rehabilitation stage, negative psychology and efforts and will to overcome this situation were revealed. Participants experienced negative psychology while going through difficult experiences in the rehabilitation situation, but used psychological strategies while thinking positively for quick recovery. Also, it was possible to return faster through the help of the surroundings. This was found in difficulties in the rehabilitation environment, negative emotions, positive thoughts, psychological strategies, and help and support from people around them. Third, in the return stage, participants experienced unstable psychology even after returning due to injury trauma. In order to overcome this, he took care of his body and mentality, and worked hard for a successful comeback. In the recovery stage, injury trauma, integrated mind and body management, and preparation for successful return were show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xplore in detail what kind of psychology female taekwondo players who experienced injuries experienced from rehabilitation to retur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hoped that the need for sports psychology counseling will be discussed for athletes who are experiencing injury, rehabilitation, and return, and that it will be helpful to athletes and coaches afterwards.

      • 학교생활 부적응 지적장애 중학생을 위한 해결중심 단기상담 사례연구

        최은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해결중심 상담이 지적장애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에 영향을 준 치료적 요인은 무엇인지는 분석한 개인상담 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지적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단기상담을 실시하고, 이러한 해결중심 단기상담을 통한 변화와 치료적 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해 보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B시 소재의 W중학교 학생들로 현재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경도 지적장애(지적장애 3급 이하) 학생 3명이다. 해결중심 단기상담은 8월말부터 10월 초까지 사례 당 6회기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지적장애학생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소 구조적이고, 활동적인 내용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들은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진행되면서 인지, 정서, 행동적인 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먼저, 인지적인 면에서는 자아존중감의 향상으로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많이 향상되었고, 문제의 원인을 대부분 통제할 수 없는 외적통제요소로 돌렸던 것이 상담 후반부에서는 내적통제요소로 일부 변화되었다. 그리고 정서적인 면에서는 긍정적 정서가 확대되고, 타인에 대한 배려심도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행동면에서는 목표행동의 향상을 통해 각자의 문제행동이 줄어들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행동이 개선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해결중심 단기상담의 여러 가지 요인 중 희망의 발견, 구체적 행동방향 탐색, 관심과 지지라는 세 가지 요인은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었으며, 이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학교적응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해결중심 단기상담은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지적장애 학생 상담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학교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경도 지적장애 중학생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중에서도 여학생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장애 영역이나 장애 정도, 성별, 연령 등에 따른 영향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7주 동안 학생당 6회기의 상담을 실시하여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전반적인 영역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므로 활동이 다소 단기간에 집중되어 있으며, 지속적인 추수관찰 및 검증이 부족하였으므로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추후 상담연구에서는 장애학생들의 심리,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상담의 효과를 유지, 일반화시키기 위해서 좀 더 충분한 상담회기와 기간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상담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학교 부적응의 문제는 단지 장애학생 개인의 문제가 아니며, 가정 및 학교, 지역사회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파생된 부작용으로 보아야 한다. 그런데 본 연구는 개인 사례연구로 장애학생 개인만을 다루었으며, 그 외의 요인들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가정 및 학교, 지역사회 등을 고려한 종합적이고, 전문적인 상담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 Program annotation : L .V . Beethoven Sonata for Piano and Cello Op.102, No.1, J .Brahms Romanzen aus Magelone Op.33, C .Franck Sonata for Piano and Violin in A Major

        최은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본인의 석사과정 졸업연주 곡목인 D. Buxtehude의 Toccata F-Dur BuxWV 156, J. S. Bach의 Pr?ludium und Fuge h-Moll BWV 544, Ch. M. Widor의 Symphonie Romane Op. 73 中 I, II, IV, M. Durufl?의 Scherzo Op. 2, 그리고 T. Escaich의 ?vocation II 에 대한 작곡가와 작품의 해설이다. 북스테후데(Dietrich Buxtehude, 1637-1707)는 북독일 악파를 대표하는 인물로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친 음악가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그의 “Toccata F-Dur, BuxWV 156”은 5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즉흥적이고 자유로운 형식의 토카타 양식과 엄격한 푸가 양식의 반복을 통해 전개된다.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는 바로크 시대뿐만 아니라 전 시대를 통틀어 가장 중요하고 대표적인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이다. 그의 주요 후기 오르간 작품 중 “Pr?ludium und Fuge h-Moll BWV 544”는 화려하면서도 선율적인 면모를 고루 갖춘 장엄한 곡으로 바흐에게는 굉장히 의미심장한 나단조 조성으로 작곡 되었으며 초기 작품들과는 다르게 커진 규모와 형식을 알 수 있다. 비도르(Charles Marie Widor, 1844-1937)는 뛰어난 20세기 프랑스 오르간 심포니(Organ Symphonie)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이다. 그의 10개의 오르간 심포니 중 가장 후기에 작곡된 “Symphonie Romane Op. 73”은 단성성가의 선율 ‘Haec dies’를 사용하면서 음악적으로 성숙미와 깊이를 가진 훌륭한 작품이며 후기에 그레고리안 성가를 그의 심포니에 도입한 중요한 예이다. 비도르는 그레고리안 성가를 작품에 사용하기 시작한 작곡가로 꼽힌다. 듀르플레(Maurice Durufl?, 1902-1986)는 20세기 프랑스 오르간 음악에 큰 영향을 끼친 음악가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할 “Scherzo Op. 2 ”는 그의 스승인 뚜르느미어(Charles Arnould Tournemire, 1870-1939)에게 헌정된 곡으로 세 가지의 주제를 사용하며 전개된다. 도입부와 코다(Coda)를 포함하여 7개의 부분을 가지는 론도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스케쉬(Thierry Escaich, 1965- )는 현존하는 작곡가로 현재 파리 고등음악원(Concervatoire National Sup?rieur de Musique et de Danse de Paris)의 교수이며 즉흥 연주자이자 오르가니스트이다. 그의 오르간 작품 중 “?vocation II ”는 작게 시작해서 점점 커지며 클라이막스로 향하는 것이 굉장히 효과적으로 작곡된 작품으로 이를 통하여 곡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각 건반의 효과적인 사용을 볼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discusses the composers and their works that this investigator performed at the master’s program graduation recital which includes Toccata F-Dur BuxWV 156 by D. Buxtehude; Pr?ludium und Fuge h-Moll BWV 544 by J. S. Bach; Movements I, II, & IV of Symphonie Romane Op. 73 by Ch. M. Widor; Scherzo Op. 2 by M. Durufl?; and ?vocation II by T. Escaich. Buxtehude (Dietrich Buxtehude, 1637-1707), a representing active of North German School, greatly influenced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His Toccata F-Dur, BuxWV 156, which was studied in the present research, consists of five parts and it unfolds via repetition of spontaneous and unrestrained toccata and strict fugue styles. Bach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who was born in a musical family, was the most important and representative composer and organist not only in Baroque but also throughout the entire music history. His important organ piece, Pr?ludium und Fuge h-Moll BWV 544, which was composed in his later days, is a majestic piece with glamorous and melodic aspects. It is composed in the key of B minor that is meaningful to Bach and unlike his early works, scales and formats are larger. Widor (Charles Marie Widor, 1844-1937) is an outstanding French composer of organ symphonies as well as an organist in the 20th century. Symphonie Romane Op. 73, which was composed in the last period among his ten organ symphonies, uses the melody of the plain song "Haec dies", and considered as a great work with musical maturity and depth. Durufl? (Maurice Durufl?, 1902-1986) is a musician who greatly influenced the French organ music of the 20th century. Scherzo Op. 2, which will be studied in this research, was devoted to his teacher Tournemire (Charles Arnould Tournemire, 1870-1939), and it unfolds using three themes. It consists of seven parts including the introduction and coda. Escaich (Thierry Escaich, 1965- ) is an existing composer who is currently a professor at the Concervatoire National Sup?rieur de Musique et de Danse de Paris as well as an improvisator and an organist. Through one of his organ pieces, Evocation II, it can be seen that the musical theme is gradually expanding throughout the entire piece via the effective use of each key and his own distinctive registration.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자연과학계열 전공 기본어휘 선정

        최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select fundamental vocabularies of natural science? a list of the most essential vocabularies for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ho major in natural science at the universities in Korea. The creation of the fundamental vocabulary list has been conducted in 3 stages: The purpose of the first one was to extract the words that were used in both the questions from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CSAT) and the science glossary of the Ministry of the Education in Korea. The science glossary is the index of words that is used to guide the publisher of textbook in Korean schools. The CSAT is a requirement for any Korean student in order to go to the university. Finding the common vocabulary of these 2 entities allows to generate a solid base of words that has been recognized necessary by bot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Academic professors in charge of making the questions, hence necessary for a student that desire to attend the courses at the university. From the analyze of the frequency, range and dispersion of the words used in the question between the years 2011 to 2015, a record of 313 items in physics, 356 items in chemistry and 491 items in biology has been produced. In the second stage, our list has been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Kang et. al, 2012, 2013) in order to verify the percentage of words that belong to the basic vocabularies in the fundamental vocabularies of natural science. Finally in the last stage of the construction of, the 멲cademic vocabulary lists for natural science? the data extracted previously has been matched with the list of words established by Shin (Shin, 2004a) to constitute the academic word list. This study also differs from previous researches by its new methodology: Firstly, the construction of the corpus has been achieved using a new computer program that searched the specific words in the CSAT questions line by line. It demonstrates how researches in Language education can benefit from new technologies and advancement in IT. Secondly, the usage of the science glossary and CSAT to ensure that the list meet the base of knowledge that each Korean student is expected to have acquired during their secondary education. The aim of the work was to produce a list of word that can significantly help the foreign students to have a better grasp on the vocabulary they should know in order to attend Korean universities. 본 연구는 한국에서 학위 취득을 목적으로 유학중인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자연과학계열 전공 한국어 기본 어휘’를 선정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휘 목록을 구축하기 위해 첫째로 2011년부터 2015까지 출제된 대학수학능력시험 과학탐구영역 물리, 화학, 생명과학 문제지와 편수자료를 비교하여 이에 공통된 항목을 추출하였다. 편수자료는 교육부에서 교과용 도서를 편찬하며 교과 학습 내용과 교수·학습 상황에 사용되는 학술 용어를 통일하고 편수 업무에 도움이 되는 사항들이나 자료를 정리하여 편찬한 자료로서, 중등 교육과정 중에 학습자들이 배우는 개념을 어휘 항목 단위로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편수자료와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지를 비교하면 대학 전공 수업을 듣기 시작하는 신입생들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전공 기본 어휘 목록을 구축할 수 있다. 그 결과 물리 313 개, 화학 356개, 생명과학 491 개 항목이 추출되었다. 또 편수자료와 공통된 어휘 목록 내에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개발(강현화 외, 2012, 2013)에서 제시한 한국어 교육용 기초어휘를 따로 표시하여 자연과학계열 전공 기본 어휘 내 기초어휘의 비율을 알아보았다. 두 번째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지에서 사용된 사고도구어를 알아보기 위해 신명선(2004a)에서 제시한 사고도구어와 문제지를 비교하여 자연과학계열에서 사용하는 351 단어의 사고도구어 목록을 제시했다. 추출한 자연과학계열 기본 어휘와 사고도구어는 사용 빈도, 사용 범위, 사용 분포를 계산하여 중요도를 표시하였다. 본 연구는 어휘 목록 작성을 위해 기존 말뭉치 구축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JAVA를 이용하여 개별 행에서 해당 어휘를 검색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공통 어휘를 걸러내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그리고 국가 수준의 학력 평가인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를 한국어교육 영역에 적용함으로써 전문가들에게 검증된 공교육 자료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L’objectif de cette étude est de créer une liste de ‘vocabulaire fondamental de science naturelle ‘, une liste de mots recouvrant le vocabulaire essentiel pour un étudiant du langage coréen qui poursuit un cursus universitaire en science naturelles en Corée. La création du ‘vocabulaire fondamental de science naturelle’ a été conduite en 3 étapes : Le but de la première a été l’extraction des mots à la fois dans les questions qui composent l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CSAT, l’équivalent du Baccalauréat en Corée) et le glossaire des sciences du ministère de l’éducation coréen. Le glossaire des sciences est un index de mots visant à guider les maisons d’éditions qui s’occupent des manuels scolaires coréens. Le CSAT est un examen requis pour les étudiants coréens afin de pouvoir entrer dans un cursus universitaire. La recherche du vocabulaire commun à ces 2 entités permet de générer un base solide de mots qui a été reconnu nécessaire à la fois par le ministère de l’éducation coréen et par les professeurs académiques en charge de la rédaction des questions du CSAT, et permet donc d’établir une liste de mots qu’il est nécessaire de connaitre pour tout étudiant qui désire entrer à l’université. L’analyse de la fréquence, de l’amplitude et de la dispersion des mots utilisés dans les questions pendant les années 2011 à 2015 a permis d’enregistrer 313 unités en physiques, 356 en chimie et 491 en biologie. Durant la seconde étape, la liste établie précédemment a été comparé aux résultats des études «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 (Kang et. al, 2012, 2013) afin de vérifier le pourcentage de mots ‘basiques’. Finalement, la dernière étape avait pour but d’orienter la liste sur un vocabulaire académique. Pour cela, les données obtenues précédemment ont été recoupées avec la liste de mots établie par Shin (Shin, 2004a). Cette étude apporte aussi des nouveautés en termes de méthodologie par rapport aux recherches précédentes dans le même domaine : Premièrement, la construction du corpus a été effectuée en utilisant un nouveau programme informatique qui a recherché ligne par ligne des mots spécifiques dans les questions du CSAT. Cela permet de montrer comment de futures recherches dans le domaine de l’enseignement des langages peuvent bénéficier des nouvelles technologies et des avancements en informatique. Deuxièmement, l’utilisation du glossaire des sciences et des questions du CSAT permettent d’assurer que a liste correspond à une base de connaissance que chaque étudiant coréen et sensé avoir acquis durant son éducation secondaire. Le but de ce travail est de produire un liste de mots permettant d’aider significativement les étudiants étrangers afin d’avoir une meilleure connaissance du vocabulaire qu’ils se doivent de connaitre pour entrer dans une université coréenne.

      • 어머니의 놀이신념 군집유형에 따른 어머니-유아 어휘 상호작용과 창의적 가정환경 특성

        최은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놀이에 대한 어머니들의 신념을 군집유형으로 분류하여 군집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어머니-유아 어휘 상호작용과 창의적 가정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만 3, 4,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297명으로 임의표집과 눈덩이 표집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어머니의 놀이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Fogel(2003)이 개발하고 이현지(2016)가 번안‧수정한 ‘부모 놀이신념 척도(Parent Play Beliefs Scale: PPBS)’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유아 어휘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정수지와 최나야(2020)가 개발․타당화한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 척도(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Scale for Preschoolers: PLIS-P)’를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창의적 가정환경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Amabile(1989)의 창의적 가정환경 체크리스트를 참고하여 오미형과 최보가(2006)가 개발하고 이송희(2019)가 수정한 ‘창의적 가정환경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해 군집 수를 정한 뒤 비계층적(K-means)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어머니의 놀이신념을 군집유형화 하였으며 군집유형에 따른 어머니-유아 어휘 상호작용과 창의적 가정환경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일원변량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놀이신념을 ‘학습중심 집단’, ‘놀이의 학습도구화 집단’, ‘혼란적 집단’, ‘놀이중심 집단’ 4개로 군집유형화 하였다. 구체적으로 군집 1은 학습중심은 높으나 놀이지지와 놀이선호가 낮게 나타나 ‘학습중심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군집 2는 학습중심과 놀이선호가 높고, 놀이지지가 중간수준으로 놀이를 학습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하여 ‘놀이의 학습도구화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군집 3은 놀이지지는 중간수준이고 학습중심과 놀이선호는 낮은 수준으로 놀이에 대한 모순적 태도를 보여 ‘혼란적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군집 4는 놀이선호와 놀이지지가 높고, 학습중심이 가장 낮아 ‘놀이중심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놀이신념 군집유형인 학습중심 집단, 놀이의 학습도구화 집단, 혼란적 집단, 놀이중심 집단은 어머니-유아 어휘 상호작용의 하위 변인인 상위어휘지도, 관습적 지도, 비계설정, 어휘자극, 어휘정교화, 놀이활동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세부적으로 어휘정교화, 놀이활동은 놀이중심 집단이 학습중심 집단보다 높았다. 다음으로 상위어휘지도, 어휘자극은 놀이중심 집단과 놀이의 학습도구화 집단이 학습중심 집단보다 높았다. 그리고 비계설정은 놀이중심 집단, 혼란적 집단, 학습중심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습적 지도는 학습중심 집단이 놀이중심 집단과 혼란적 집단보다 높았다. 셋째, 어머니의 놀이신념 군집유형인 학습중심 집단, 놀이의 학습도구화 집단, 혼란적 집단, 놀이중심 집단은 창의적 가정환경 하위 변인인 아동존중, 풍부한 학습환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가족의 압력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세부적으로 아동존중은 놀이중심 집단이 가장 높고 놀이의 학습도구화 집단과 혼란적 집단이 중간수준이며 학습중심 집단이 가장 낮았다. 풍부한 학습환경은 놀이중심 집단과 놀이의 학습도구화 집단이 혼란적 집단과 학습중심 집단 보다 높았다. 이상과 같이 어머니의 놀이신념을 군집으로 유형화하여 이전까지 수행되었던 어머니 놀이신념의 놀이중심 대 학습중심의 이론적 구도에서 벗어나 복합적 특성을 가진 어머니의 놀이신념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놀이신념 군집에 따라 어머니-유아 어휘 상호작용의 유형과 창의적 가정환경 마련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부모들의 특성을 고려한 어휘 상호작용 지도 방법과 창의적 가정환경 마련의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mother-child lexical interaction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luster type of the mother’s belief in pla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97 mothers who had children aged 3 and 5 years old. Random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To measure the mother's play beliefs, I used the ‘Parent Play Beliefs Scale(PPBS)’ developed by Fogel(2003) and translated by Lee Hyunji(2016). In order to measure mother-child lexical interaction, the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Scale for Preschoolers(PLIS-P)’ developed by Jeong Suji and Choi Nana(2020)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creative family environment, the 'Creative Family Environment Scale' developed by Oh Mihyung and Choi Bogo(2006) and modified by Lee Songhee(2019) was us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22.0. To determine mother’s belief in play clusters, a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and non-hierarchical K-means clustering were conducted. To test for differences in mother-child lexical interaction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based on the mother’s belief in play cluster,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post-hoc test were conduct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ur parenting style clusters were derived based on the mother's play beliefs: ‘academic focused group', ‘a means of play for academic group', ‘confusing group', and ‘play focused group'. Second, mother-child lexical interaction sub-factors such as ‘meta-lexical instruction’, ‘conventional instruction’, ‘scaffolding’, ‘vocabulary exposure’, ‘word elaboration’, ‘play activ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other’s belief in play. Except for conventional instruction, ‘play focused group' was higher the others. Third, creative home environment sub-factors such as ‘respect for the child’, ‘enriched learning environ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other’s belief in play.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family pressure’. Similarly Mother-child lexical interaction ‘play focused group' was higher the others. Based on these result, The Mother's Play Beliefs were categorized into clusters to provide a logical basis for specifically grasping the mother's play beliefs with complex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clusters of mother-child lexical interaction and the preparation of a creative family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lus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