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於于野譚 硏究

        최순재 大邱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 무기체계 시험평가 기술정보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최순재 충남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ystem is to design and construct to technical infromation system on the test and evaluation of the weapon systems. The materials and information of this system are composed of articles, introductory materials of Proving Ground and internet resources in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s Proving Ground. The construction of this technical information system is divided into six steps as follows; 1) Technical Information can be selected from technical articles, introductory materials of proving grounds and internet resources related to the test and evaluation of weapon systems. 2) The selected technical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four major sections and nineteen minor sec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ask on test and evaluation of the weapon systems. 3) The selected technical information is cataloged into sixteen data element, which provides the identification, guidance and linking of technical information based on Dublin Core data element. 4) For the indexing of selected technical information, Bibliographic database is created based on bibliographic data. Index term extracted from abstract and full-text of selected technical information is made by using cross-reference of defense scientific technical thesaurus published in ADD. 5) The full-text of selected technical information is supplied through four different formats: a) printed materials is scanned in TIFF file format, b) digital files are linked as they are, c) video materials are converted into MPEG-1, d) internet resources are linked using URL identifier. 6) The system prototype is designed to browse and retrieve the infromation selected by subjects. The retrieval result is displayed through outlined information and detailed information windows. The system layou is designed by HTML Bibliographic data base is connected with web with Active Server page(ASP) technique. In order to survey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system,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to twenty-six ADD users whose majors are composed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computer engineering and mechanical engineering etc. Respondents are satisfied with the information system by 95 percent. They expected this system to give some merits such as providing real-time full-text, saving retrieval time and expanding use of information etc. On the other hand, it is pointed out this system has to be upgraded to give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easier way to use and window layout. 32)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nferred in August 2000.

      • 초등미술과 시각문화교육을 위한 수업환경 개선 방안 연구

        최순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얼마 전 서울의 새 랜드마크로서의 포부를 가지고 계획된, 서울역 앞 대우빌딩 서울 스퀘어의 LED 전광판이 공개되었다. 빌딩은 어느새 커다란 캔버스로 변했고 캔버스 안의 작품으로, 영국작가 줄리안 오피(Julian Opie)의 그래픽컬하게 단순화된 사람들이 천천히 걷고 있는 움직이는 영상을 선 보였다. 이처럼 21세기의 미술계의 흐름은 영상 중심의 시대로, 종전의 정적인 표현활동에서 보다 다양한 동영상 중심으로 바뀌어 가고 있는 것이다. 이는 시각예술을 다루는 미술교과에서 시각문화교육을 앞장서서 실시하고 수업방식에도 새로운 변화를 일으켜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도 지금의 영상세대들의 삶의 일부가 된 텔레비전, 영화, 광고나 뮤직비디오, 컴퓨터 그래픽, 게임 등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시각적 현상까지도 포함해서 교육해야 한다는 시각문화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시각문화교육이 잘 실천되기 위해서 어떤 수업환경이 조성되어져야 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실제 학교 현장의 물리적 수업환경을 구성하는 정보화 기자재 및 컴퓨터 관련 프로그램 보유 실태를 알아봄과 동시에 시각문화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도를 함께 알아봄으로써 시각문화교육을 위한 수업환경의 개선점을 찾아내어 미술과 시각문화교육의 실천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본고에서는 먼저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에 나타난 시각문화관련 수업제재에서 활용 가능한 기자재를 살펴보고 미술과 시각문화교육을 위한 기자재가 학교의 정보화 기자재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게 한다. 다음으로 시각문화교육을 위한 기본적인 수업환경의 틀을 제시하기 위해 시각문화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능력을, 영상문화 이해, 정보탐색을 통한 문제해결, 이미지 제작 능력 함양, 이미지 변형 능력 함양, 창의적 조형 능력 함양, 매체 활용 능력 강화, 미술 정보 상호 교류, 비판적 수용 능력 향상 등 8가지로 추출하였고 이 8가지 능력 함양이 가능한 시각문화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수업환경에 관련되는 기자재 및 교사 역량을 제시하였다. 한편 1학년 즐거운 생활과에 들어온 시각문화 관련 단원 운영 실태 및 3, 4학년 실험본 교과서의 시각문화관련 수업 예상 운영 분석을 통해 차기 시각문화미술교육 실시에 있어 수업환경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제시하면서 설비기준 및 기자재 지원현황, 설문지 분석을 통해 현장의 시각문화교육을 위한 수업환경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로써 시각문화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수업환경과 현장의 실제 수업환경과의 차이를 인식함으로써 시각문화교육을 위한 수업환경 개선방안을 추출해 내었다. 즉 시각문화미술교육을 위해 교실 수업에서 필요한 기자재를 제시하였고 이때 부족한 기자재 활용을 위해서 학교 컴퓨터실과 연계한 미술 수업 운영을 근거와 함께 제시하였다. 학교 컴퓨터실 사용 시 사용 시간 확대 및 필요 프로그램 등을 제시함으로써 물리적 수업환경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설정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통한 교사 역량 실태 파악을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교사 역량을 동시에 고양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시대의 요구와 배경에 맞게 개정되어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시각문화교육을 담은 새 교육과정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필요한 수업환경이 반드시 조성되어져야 한다. Several days ago, LED electric board of Seoul square, former Dae Woo building in front of Seoul station, which had designed as a new landmark of Seoul, opened to the public. The building turned into canvas quickly, and special moving-image made its debut. In the canvas, graphically simplified people made by English artist Julian Opie were walking slowly. Like this, the currents of art world is changing into the period of image media and diverse video is replacing static expressive activities. It means that art education dealing with visual art have to lea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nd renew teaching method. Therefore, the practicing teachers in school come to feel keenly the necessity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cluding various visual conditions shown in TV, movie, advertisement, music video, computer graphic and game, which are the part of current moving-image generation's life.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what teaching environment will needed to perform successfully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emphasized by reformed national art curriculum. To accomplish this, I found the improvements of teaching environment and suggested basic materials for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y researching actual condition that school was equipped with information facilities and program related for computer as physical teaching environment, and teachers' perception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ased on that, in this study, I found available equipments in teaching materials related for visual culture art presented in reformed national art curriculum and learned that there had been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equipments of visual culture art and information facilities of school. After that, I classified the abilities that can acquire through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to 8 areas: comprehension on the visual culture, problem solving through information search, promotion of image creation, promotion of image transformation, promotion of creative modeling, reinforcement of media applications, sharing art information and improvement of critical taking skill. In addition, I suggested the basic frame of teaching environment for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y presenting the equipments and teachers' competency based on it. On one side,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management of the unit related for visual culture art in 'grade 1 Pleasant Life' and demonstration operation of teaching visual culture art in experimental grade 3~4 textbooks, there was a close connection between next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nd the teaching environment. Also, I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 of teaching environment for it through analysis of standard and support of the equipments, and questionnaire. B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the teaching environment for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nd the actual teaching environment, I extracted the improvements of teaching environment for it. That is, proposing the needful equipments in classroom instruction for it, I suggested the operation of art education linked with computer room in school for supporting short things, with a reliable source. Also, I set up the plan to consider physical teaching environment by presenting the program that requires expanded usage time and supplement when using computer room in school. And through analysis of questionnaire, I found the actual condition of teachers' competency and the problems,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s. As time goes by, curriculum cannot help being revised based on the periodical demand and background. Even so, to operate successfully reformed national art curriculum including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proper teaching environment will be necessary.

      • 한국인 화자 영어 발음의 명료도, 이해도 및 억양도 : 모국어 배경이 다른 청자를 중심으로

        최순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elligibility is considered as a critical component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foreign accented speech is important for both theoretical inquiries and evaluation on the nature of intelligibility. Much of previous research, investigating Korean accented speech has been limited to measuring gross intelligibility or accuracy by English speaking listeners. This study examines the assessment of intelligibility, comprehensibility and accentedness of Korean speakers by different L1 background listeners. It also figures out the effect of pronunciation errors on intelligibility and compares the findings with Jenkins' Lingua Franca Core(LFC). This study elicited speech samples from 10 Korea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of varying proficiency and 1 English speaker. These speakers were recorded speaking freely about 4 different easy topics. 44 sentences were extracted and the stimuli were played to 20 listeners from 4 different L1 backgrounds(5 each Korean, Mandarin, Filipino and English listeners). They were asked to transcribe orthographically sentence level stimuli(Intelligibility) and also asked to judge each stimulus on 9 subjective Likert-type rating scales regarding how easy the stimulus was to understand(Comprehensibility) and how heavily foreign accented it was(Accentedness). Additionally participants checked the meanings of some key words which were considered to influence the intelligibility rating scores. They performed the lexical decision test(LDT) to assess each listener's lexical and orthographic knowledge. The effects of listener, speaker, LDT, and familiarity factors were compared by means of MANOVA and two-way ANOVA analysis. On intelligibility measures, the Korean listeners had significantly les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speakers with Korean accented speech than Mandarin and Filipino listeners. However, English listener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any other groups. All nonnative listeners who found the native speaker's stimuli less intelligible showed higher intelligibility scores on Korean speakers' stimuli. Familarity with Korean accented speech was found not to affect intelligibility scor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on measures of comprehensibility and accentedness among listener groups. Also,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on measures of intelligibility and accentedness, suggesting that heavy foreign accents are not strongly correlated with listeners' intelligibility. The researcher and an English instructor identified pronunciation and morphosyntactic errors. Rhythm and intonation were rated by two English instructors. Many pronunciation errors, frequent in Korean speakers, were found. The result shows that segmental errors had correlation to intelligibility scores of Korean and American listeners only. 8 out of 40 Korean speakers' stimuli were found to be more intelligible to English listeners than native speaker's stimuli. Good rhythm and intonation scores do not correspond to the intelligibility measures, which corresponds to Jenkins' study. The segmental errors and word-level intelligibility scores were also compar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ach segmental errors. Substitution and deletion had more detrimental effect on intelligibility than addition of a phome. Some vowels differing vowel quality and application of Korean phonological rules were found to be problematic, which differs from Jenkins' LFC. In conclusion, Korean speakers' stimuli had many errors and were less intelligible to Mandarin and Filipino listeners than Korean and American listeners. This suggests that in classrooms, pronunciation teaching needs to be enhanced both by focusing on accuracy and by giving students more opportunity to be exposed to various accents of English. 이해 가능한 발음 습득의 필요성과 함께 명료도(intelligibility)라는 개념이 제 2 언어 학습에서 중요한 목표로 인식되고 있다. 그동안 비원어민 청자를 대상으로 한국인 화자의 발화가 얼마나 이해 가능한지에 대한 국내연구가 없었고 명료도에 영향을 주는 발음 자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충북 청원군 소재 K대학교 한국인 10명과 원어민 1명의 발화를 한국인 청자, 중국인 청자, 필리핀 청자 및 원어민 청자 각 5명이 듣고 명료도, 이해도 및 억양도를 평가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보고자 하였다. 이때 한국인의 액센트에 익숙한 청자들이 그렇지 않은 청자들보다 더 명료하게 받아들이는지 살피고자 하였다. 또한 개별발화에서 드러난 분절음, 리듬, 억양 및 문법오류가 구체적으로 청자의 단어수준의 명료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를 Jenkins의 공통어발음자질(LFC)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피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 발화를 기준선으로 보고 한국인 발화의 명료도를 청자 집단별로 살핀 결과 한국인 청자는 중국인 청자나 필리핀 청자보다 한국인의 발화에 대해 더 명료하게 받아들였다. 원어민 발화 명료도가 낮은 중국인 청자, 필리핀 청자는 모두 한국인 발화에 대해 더 명료도가 높았으나 60점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는 원어민 발화를 더 명료하게 받아들였다. 원어민 청자는 원어민 발화를 더 명료하게 받아들였으나 한국인 발화 명료도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청자 집단사이에 유의한 이해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고 억양도의 차이도 발견되지 않았다. 상관계수를 살핀 결과 이해도와 억양도가 의미 있는 상관이 나타났으나 명료도와 억양도는 유의한 상관이 드러나지 않았다. 둘째, 청자의 한국인의 액센트가 있는 발화에 대해 익숙하면 청자의 명료도에 높아지는지 살펴본 결과 다른 청자 집단 모두에게서 익숙도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청자의 단어와 음철법에 대한 어휘판별검사(LDT) 점수가 원어민 발화 명료도에만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인의 발음오류나 변이와 명료도 및 이해도에 대한 상관관계를 밝힌 결과 한국인 청자와 원어민청자에게서만 음소적 오류가 있을 때 문장명료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리듬과 억양은 전체 청자의 억양도와 상관이 있음이 드러났다. 넷째, 개별 발화의 발음오류를 분절음, 리듬 및 억양 수준에서 살펴본 결과 한국인의 흔한 발화 오류가 잘 드러났다. Jenkins의 연구와 비교한 결과 모음의 질을 달리한 몇 몇 경우와 한국어의 음운규칙을 적용한 경우에 단어수준 명료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으나 대체로 비슷한 결과를 가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의 발화에서 빈번한 발음오류가 나타났고 원어민을 제외한 다른 L1을 가진 청자들의 명료도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국인 학습자들이 다른 비원어민들은 잘 알아듣지 못하는 발음으로 서로에게 투입(input)되면 결과적으로는 명료도가 떨어지는 발음으로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교육현장에서 초·중급 수준의 학습자를 위한 정확성에 기초한 발음 교육과 더불어 다양한 영어의 변이를 경험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청소년의 학교폭력선도프로그램 참여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 사랑의 교실 참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최순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경찰과 청소년상담복지센터와 연계하여 실시하는 학교폭력 선도프로그램인 “사랑의 교실”을 진행하면서 나타나는 가해학생들의 반응을 관찰하고 가해학생들의 태도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사랑의 교실”의 근본 목적이 인성교육을 통한 재범 방지 및 비행예방에 있으므로 인성교육을 중점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나타나는 참여자들의 반응을 관찰하여 그 변화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선도프로그램 참여 청소년들의 참여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폭력 선도프로그램 참여 청소년들의 태도변화 과정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2015년 7월과 10월에 D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각각 진행된 ‘사랑의 교실’에 참여한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으로 7월에 참여한 A집단과 10월에 참여한 B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하고자 했다. 집단은 같은 유형의 비행과 연령을 고려하여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이라는 주제로 ‘사랑의 교실’ 집단프로그램을 총 5회기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의 반응과 태도, 종결 후 나타나는 효과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비행의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환경적 특성과 가해자들의 심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앞에서 살펴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랑의 교실’ 참여자들은 학년이 낮고 초범일수록 프로그램의 참여도나 변화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이 높을수록 자신의 생각과 가치관이 고착화 되어 변화의 의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랑의 교실’ 참여자들에게 끊임없는 관심과 공감대 형성은 이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A·B그룹은 성향과 학년이 다른 집단이지만 자신의 진로에 있어서는 공통적인 관심을 갖고 있었다. 참여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킨 정보를 제공하고 관심을 보이자 참여자들이 적극적 자세로 참여하며 변화 된 모습을 보였다. 셋째, ‘사랑의 교실’ 참여자들은 학교폭력을 겪으며 부모님과의 관계가 더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의 가해자이지만 자녀를 믿어주고 따뜻한 마음으로 자녀를 안아주는 부모들의 특별한 사랑이 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여 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