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층모형을 적용한 거주시설 입소 장애인의 탈시설 욕구 영향요인 : 수원시를 중심으로

        조한라,한연주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1 GRI 연구논총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a multi-level model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deinstitutionalization needs of disabled people admitted to residential facilities. To this end,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15 residential facilities in Suwon City and data on survey responses from 133 people were combined. And it was analyzed using Stata 13.0 progra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17.2% of the deinstitutionalization needs was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Second,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functioning and the number of living space cohabitants had an influence on the deinstitutionalization needs. Thir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y, type of facility, number of workers, and operating entity had an effect on the deinstitutionalization need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disability removal facility policy and the operation of residence fac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거주시설 입소 장애인의 탈시설 욕구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수원시 소재 15개 거주시설 현황자료와 133명의 설문응답 자료를 결합한 후, Stata 1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시설 입소 장애인의 탈시설 욕구의 17.2%는 시설특성의 영향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개인특성 중에는 장애인의 기능 수준과 생활공간 동거인 수가 탈시설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설특성 중에는 시설에 대한 만족여부, 시설유형, 종사자 수, 운영주체가 장애인의 탈시설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탈시설 정책 및 거주시설 운영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장애여부에 따른 노인의 사회참여 격차 추이와 결정요인

        조한라,김준수,여영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노년기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노년기의 사회참여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간주되어, 이를 위한 다양한 인프라가 구축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장애여부에 따른 사회참여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노인의 사회참여 인프라의 효과성이 장애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의 3개년도 자료(2010, 2012, 2014)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각 년도 별 t-test를 통해 장애여부에 따른 사회참여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둘째,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장애/비장애 비표준화 회귀계수치의 년도 별 변화를 통해 노인의 장애여부에 따른 사회참여 영향력의 격차 추이를 살펴보았다. 셋째, 2010년에서 2014년까지의 자료를 통합하여 사회참여 결정요인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비장애 노인이 장애노인에 비해 사회참여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지만 전체 노인의 사회참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장애여부에 따른 사회참여 영향력의 격차는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평균 용돈, 종교, 주관적 건강상태, ADL 장애여부 등이 사회참여의 결정요인으로 확인되었다. With the population aging and the rapid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Among the various influencing factors of quality of life in the old age, social participation is regarded as a key factor, and various infrastructures focused on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have been constr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se infrastructures through examining the changes of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disability status of elderly people. To do this, the following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three waves(2010, 2012, 2014) of the KLoSA data. First, we examined the difference in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disability through each year t-test. Second, we examined the year gap in the degree of non-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by regression analysis. Third, we confirmed the determinants of social participation by integrating data from 2010 to 2014.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elderly who did not have disability showed higher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than the disabled elderly. However,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has increased continuously. In addition, the gap in social participation influence due to disability gradually decreased. Monthly average allowance, religi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DL disability were identified as determinants of social participation.

      • KCI등재

        사회서비스 이용자 정보가용성이 서비스 품질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대상으로

        조한라,여영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1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들 사이에 정보가용성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정보가용성이 품질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지역 이용자의 응답자료 466부를 활용하여 차이검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이용자의 성별, 가구 형태, 거주 지역, 학력,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정보가용성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정보가용성은 서비스 품질과 만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정보가용성의 하위요소 중 특히 서비스 내용에 대한 정보와 요구 가능한 내용에 대한 정보는 기타 정보가용성 하위요소 보다 서비스 품질 및 만족에 더욱 큰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각 이용자의 욕구와 상황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서비스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들 사이의 정보가용성이 서비스 만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 중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정보제공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the difference in information literacy among the elderly home care service users and to identify the impact of information literacy o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among service users. To achieve the goals, this study used 466 responses from the elderly home care service recipients in Jeollabukdo providence, and conducted t-tests, ANOVA and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ormation literacy by gender, household type, residence area, education level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service users. The study also found that service users information literac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and it confirms the importance of customized service. This study suggests that information literacy inequality exists among the elderly home care service users, therefore, the way to improve information delivery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for the information-poor elderly.

      • KCI등재

        방문요양서비스 기관 평가의 효과성 : 이용자 관점에서

        조한라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visiting care servic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o this end, data from a survey of 266 users collected through allocation sampling by region(14 cities and counties) in Jeollabuk-do and public data from 47 institutions were combined and analyzed using a multi-layered model.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five evaluation areas, the higher the score in the 'Rights·Responsibility' area, which is to give users a sense of rights and respect users, the higher the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Second, among the five evaluation areas, the ‘Rights·Responsibility’ area had an effect on loyal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Outcome' area for satisfaction with institutions and employees and changes in users had an effect on loyalty. Third, it was found that 'Institutional Management', 'Environment·Safety', 'Process' did not affect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loyalt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roposed to reorganize the evaluation scale that users can recognize and that is faithful to the purpose.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의 관점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서비스 기관 평가의 효과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내 지역별(14개 시·군) 할당표집을 통해 수집한 이용자(266명) 설문자료와 기관(47개) 자료를 결합하여 다층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개 평가영역 중 이용자에게 권리의식을 갖게하고, 이용자를 존중하는지에 대한 ‘권리·책임’ 영역의 점수가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5개 평가영역 중 ‘권리·책임’ 영역과 ‘급여제공결과’ 영역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관운영’, ‘환경·안전’, ‘급여제공과정’ 영역은 서비스 품질, 만족도,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형식적이고 정량적인 평가지표보다는 이용자가 인식할 수 있고, 방문요양서비스의 기본 목적에 충실한 내용으로 평가지표를 재구성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다층모형을 이용한 노인돌봄서비스의 이용자 만족과 후속행동 의도 영향요인 분석

        조한라,여영훈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노인복지연구 Vol.73 No.1

        본 연구는 노인돌봄서비스 이용자의 만족과 후속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그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노인돌봄종합서비스와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39개의 기관(level 2), 287명 이용자(level 1)를 대상으로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용자 특성을 통제하고 서비스요인 및 기관요인을 독립변수로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 만족의 영향변인으로는 선택권 정도, 신뢰성, 확신성이 확인되었으며, 후속행동 의도는 선택권 정도, 공감성, 지역, 기관유형, 서비스 수행기간, 기관평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족 보다는 후속행동 의도가 기관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만족과 후속행동 의도의 인과적 관계에 치중했던 선행연구의 한계를 벗어나, 만족과 후속행동 의도의 영향요인 차이를서비스요인과 기관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와 관련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and follow-up behavior of the elderly care service users.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a multi-level analysis of 39 institutions(level 2) and 287 users (level 1) who provide comprehensive services and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ustomer satisfaction was determined by the degree of choice right, reliability, and assurance. The degree of choice right, empathy, region, institution type, history, and evaluation result were found to affect follow-up behavior. Second, follow-up behavior was more influenced by institutional factors than satisfaction. This study overcomes the scope of the previous related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e determining factor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follow-up behavior separately.

      • KCI등재

        직급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소진 영향요인 : Alderfer의 ERG이론에 기반하여

        조한라,여영훈,김준수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1 No.3

        본 연구는 Alderfer의 ERG이론에 근거하여 직급별 사회복지사의 소진정도와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가인권위원회(2013)에서 실시한 ‘사회복지사 인권상황 실태조사’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차이분석을 통해 주요변수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둘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소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였으며 셋째, ERG 각 요인(존재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의 설명력을 확인하기 위해 R2 변화량을 확인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소진 수준은 실무자와 중간관리자가 최고관리자 보다 높았으며, 실무자, 중간관리자, 최고관리자 그룹 모두에게 관계욕구(R)의 설명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무자와 중간관리자의 경우에는 성장욕구(G)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 소진의 주요 원인이 직급에 따라 다르며, 직급별로 차별화된 방법으로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서비스 품질과 선택권 실현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한라,여영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hoice realiz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to elderly home care service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258 respondents who received elderly home care service in Jeollabuk-do. Considering the assumption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choice realization would be different by rural and urban areas because of the disparity of the elderly welfare infrastructure, the urban and rural areas were analyzed separately. The analyses showed that choice realiza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user’s service satisfaction for the service clients resided in urban area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choice realization for the service clients in rural area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selection realization is different in rural and urban areas because of the poor elderly home care facilities in rural areas. In order for aged people to actively express the effect of service user choice, it is necessary to solve welfare imbalance between regions through expansion of welfare infrastructure and policy support to rural area.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서비스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이용자의 선택권 실현정도에 달라지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지역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자 총 258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통한 선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전체 이용자에 대한 분석과 함께, 시와 군 지역 간 복지인프라 차이에 따른 이용자의 선택권 실현의 편차가 있을 것을 고려하여 시와 군 지역 이용자 각각을 대상으로 조절효과 분석 또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 지역 서비스 이용자들은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의 관계에서 선택권 실현정도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군 지역 서비스 이용자들은 선택권 실현정도에 따라 품질이 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적인 시장과는 다르게 이용집단이 취약하고, 서비스의 공공성이 강조되는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이용자 선택권 실현의 조절효과가 시와 군 지역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군 지역의 노인 재가복지 인프라의 취약성을 대변한다. 따라서, 노인 재가서비스 이용자 선택권의 효과가 적극적으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군 지역 재가복지 인프라 확충과 정책적 지원을 통한 지역 간 복지 불균형 해소가 필요하다.

      • 방문요양 서비스의 품질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양보호사 및 사회복지사와의 관계의 다중매개 효과

        조한라,여영훈 한국노인복지학회 2019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 서비스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품질이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요양보호사 및 사회복지사의 관계가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방문요양 서비스 이용자 213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구조모형 분석결과 품질, 요양보호사 관계, 성과 사이의 경로와 품질, 사회복지사 관계, 성과 사이의 경로가 모두 유의하였다. 둘재, Bootstrap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요양보호사와 사회복지사의 관계는 품질과 성과 사이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팬텀변수를 활용하여 요양보호사 관계와 사회복지사 관계 각각의 특정간섭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사 관계만 품질과 성과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동안 노인돌봄 영역에서는 요양보호사와의 관계만 강조되어왔지만 사회복지사화의 관계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서도 주목해야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1인 가구의 지역사회보장 욕구 분석: 수원시 사례를 중심으로

        조한라,용준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3 GRI 연구논총 Vol.25 No.2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local social security needs and the priority of socialsecurity needs by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For this purpose, T-test and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data of 589 single-personhouseholds in Suw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tenance of basic living’policy was found to be the most urgent. Second, women rated the effort level lower than thepolicy urgency of ‘physical health’ and ‘protection and safet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policiesin the areas of ‘employment’ for young and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aintainingbasic livelihood’ for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the most urgent. In addition, thearea where the urgency of the policy and the difference in effort between cities, counties anddistricts are the greatest is ‘residence’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employment’ for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And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identifiedas maintaining basic livelihood’. Based on these results, a customized policy according to the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as proposed. Finally, unlike previous studies thatfocus on the individual need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is study analyzes the communitysecurity need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a context where local governments have assumedthe responsibility of social service providers due to decentralization. 본 연구는 목적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 맞춤형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1인 가구의 특성(가구 유형/성별/생애주기)에 따라 지역사회보장 욕구의 차이와 지역사회보장 욕구의 우선순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원시 지역사회보장 조사 설문자료 중 1인 가구 589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평균차이 분석(T-test)과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가구의 공통적인 지역사회보장 욕구로는 ‘기초생활유지’ 영역의 정책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보장 분야 중 정책의 시급성과 시·군·구의 노력 정도의 차이가 가장 큰 분야는 ‘주거’로 확인되었다. 둘째, 여자 1인 가구의 경우 ‘신체건강’ 영역과 ‘보호·안전’ 영역에서 정책의 시급성보다 시·군·구의 노력 정도를 낮게 평가했고, 남자와 여자 모두 ‘주거’, ‘고용’ 분야의 정책 시급성은 높지만 시·군·구의 노력 정도가 낮아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한 중점 개선 영역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층과 중장년층 1인 가구는 ‘고용’ 영역의 시급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노년층 1인 가구는 ‘기초생활유지’ 영역의 정책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정책의 시급성과 시·군·구의 노력 정도의 차이가 가장 큰 분야는 청년층은 ‘주거’, 중장년층은 ‘고용’, 노년층은 ‘기초생활유지’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1인 가구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정책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동안의 선행연구는 1인 가구의 개별적인 어려움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지방분권화로 인해 지방자치단체가 사회복지사업 제공자의 책임을 맡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1인 가구의 지역사회보장 욕구를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