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조은미 ( Eun Mi Cho ),한안나 ( Ahn Na Ha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효과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학습몰입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2009학년도 2학기 A사이버대학에서 개설된 `인적자원개발론`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사회적 실재감과 학습몰입, 학습효과 변인인 성취도와 참여도, 만족도를 측정하여,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몰입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이며(ß= .791), 사회적 실재감의 하위요인에서는 상호지원 및 집중(ß= .477)과 개방적 커뮤니케이션(ß= .259)요인 만이 학습몰입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임이 밝혀졌다.둘째,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자의 성취도(ß= .435), 참여도(ß= .337), 만족도(ß= .764)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셋째,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효과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학습몰입을 통해서 학습효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본 연구결과는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나 학습몰입의 효과를 증진 시키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기 보다는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었다.본 연구는 사회적 실재감과 몰입의 관계,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효과와의 관계, 몰입과 학습효과와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social presence on learning flow, learning effects in online learning community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flow o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effects. Data from 150 students who are tak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subject in the 2nd semester of 2009 at A cyber universit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se variables were measured by social presence, learning flow,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of learners. The date was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social presence in online learning community as a variable predicting learning flow proved to be significant(ß= .791), and out of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only mutual support and empathy(ß= .477)and open communication(ß= .259) was a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learning flow. Second, the results of social presence in online learning community as a variable predicting learner`s achievement(ß= .435), participation(ß= .337) and satisfaction(ß= .764) proved to be significant. Third, it was proved that learning flow acted as a mediating variable. That is learning effects appeared to affect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flow. Therefore, learning effects could be evident when learner`s learning flow is high. This study focuses on whether the learner`s social presence has an effect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effects rather than suggesting methods of stimulating the learner`s socia lpresence, inducing learning flow.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flow,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effects, and learning flow and learning effects are investigated on the whole.

      • KCI등재
      •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은미(Cho, Eun-mee) 성신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15 경영관리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태도가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 사회적기업 제품 신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첫째, 사회적기업 태도가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고, 둘째, 사회적기업 태도가 사회적기업 제품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셋째, 사회적기업 제품 신뢰가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넷째,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다섯째, 사회적기업 제품 신뢰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소비자들은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로부터의 만족과 충성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사회적기업은 시장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제품 및 판매전략을 방안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사회적기업 태도는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와 사회적기업 제품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기업 제품 신뢰는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social enterprises’ attitude on attitude toward their products, reliability in their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as follows: first, to determine how social enterprises’ attitude affected attitude toward their products; second, to determine how social enterprises’ attitude affected reliability in their products; third, to determine how reliability in social enterprises’ products affected attitude toward the products; fourth, to determine how attitude toward social enterprises’ products affected purchase intention; and fifth, to determine how reliability in social enterprises’ products affected purchase intention.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was to allow consumers to feel satisfied with the purchase of social enterprises’ products and become loyal to the products and to induce social enterprises to develop products and sales strategies so that they could become competitive in the market. To put the results together, first, social enterprises’ attitude significantly affected attitude toward, and reliability in, their products. Second, attitude toward social enterprises’ products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Third, reliability in social enterprises’ products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attitude toward the products but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학습장애 현황 비교를 통해 본 한국형 중재반응모델 제언

        조은미 ( Eun Mi Cho ),변찬석 ( Chan Suk Byun ),최나리 ( Na Ri Choi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3

        본 연구의 동기는 한국과 미국의 학습장애 학생 출현율의 현저한 차이로 인하였다. 먼저, 두 나라간 학습장애 진단과 평가 현황에 대해 고찰하고 두 나라의 학습장애 정의 및 특수교육법, 그리고 판별과정과 교육의 현재 상황에 대해 검토하였다. 특히 지난 10년간 미국의 일반교육과 특수교육계에서 심각하게 논의되어 왔고 연구 및 적용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는 중재반응모델(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과 이를 위한 교육시스템의 인프라개혁 (infrastructure reform of the education system)을 위한 노력 및 그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이것들이 한국 내 학습장애 진단 평가 및 교육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중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 연구 및 다양한 통계자료 등을 통해 두 나라의 현황을 상호 비교ㆍ분석하고 한국 학습장애 학생 판정을 위한 중재반응모델의 성공적 실행요건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 부분 제언은 보다 정확한 한국 학습장애학생의 진단 및 평가와 적절한 교육방법을 위한 ‘한국형 중재반응모델’의 개발과 적용 그리고 체계모색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significant gap in the prevalence of Learning Disabilities(LD)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aused us to raise the inquiry of the cause. The inquiry led us to compare education laws, do literature reviews on LD evaluations and education, and check statistics related to the LD population between two countries. This paper critically compared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practices for students with LD in two countries. The comparison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ing and implementing the RTI(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as one of LD evaluation methods. It also explained how the state of Florida in the United States did its infrastructure reform of the education system to implement the RTI model successfully. Then later part of this paper, we made suggestions from the findings that we gathered from the comparisons to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field with a hope that they would be helpful in developing Korean RTI model.

      •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 학부 도자예술전공의 교과편성 연구 : 1990년부터 2010년을 중심으로

        조은미 ( Eunmi Cho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0 陶藝硏究 Vol.- No.29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0년까지의 한국 현대 도예 흐름 안에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도자예술전공의 역할과 앞으로의 발전 모색에 있다. 한국 현대 도예 태동에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도자예술전공은 선구자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1959년 이화여대는 황종구 교수를 중심으로 한국 최초로 대학 내에 도자예술전공과 도예연구소를 개설하여 후계양성과 도자 연구에 매진하였다. 청자와 분청자를 중심으로 시작된 교육은 개념미술을 아우를 수 있는 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후 60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본 연구자는 한국 현대 도예의 흐름 속에 1990년대부터 2010년까지의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학부 도자예술전공의 교과편성 조사와 분석을 하였다. 미국 현대 도예와 달리 한국 현대 도예는 오랜 전통을 기반으로 발전되어 본질적인 문제에 과감히 접근하려는 실험적인 경향이 확대되어 발전되어 갔다. 이화여대 도자예술전공 또한 전통을 재현하는 방식의 수업을 시작으로 산업도자와 도자조형연구도 진행되었다. 연구소에서는 청자, 분청기법 연구와 소지개발에 매진하였다. 석고 캐스팅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품 연구와 도예 관련 포괄적인 연구와 상품개발도 이루어졌다. 이화여대 도자예술전공은 졸업생들을 중심으로 도림회를 설립하여 1979년 이후 해마다 동문전시를 통해 졸업자들의 작품 활동을 격려하고 후배 작가양성을 지원하고 있다. 1990년대 한국의 도예 관련 흐름은 전통을 기반으로 현대적 해석, 오브제 중심의 경향, 환경도예가 공존하였다. 전통으로 회귀의 경향도 보여졌으며 이는 전통과 현대가 서로 상호보안적 관계로 지속발전하도록 하였다. 1990년은 현대 미술의 정착기이며 현대도예를 세대별로 나누자면 3세대 또는 후기에 접어드는 시기이다. 규정지을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표현양상을 보였으며 기능에서 벗어나 조형 작업들이 증가하고 공예와 순수예술 간 공존과 동시에 대립이 나타나는 때이다. 전통도자에서부터 순수예술로서의 오브 제작품들은 다양한 도자예술의 형식과 내용을 보여주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도예과도 같은 맥락으로 교육이 이루어졌다. 2010년대부터는 미술대학에서 조형예술대학 공예학부로 변경되고 추후 예술대학 안에 음대와 미대의 통합됨에 따라 도예전공은 축소되고 시대성에서 오는 정체성 혼란을 엿볼 수 있다. 몇몇의 수업에서는 교수자들로부터 순수예술작품을 구현할 수 있는 인문학적 탐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수업과정을 통해 많은 전공자들에게 도자에 대한 담론의 장이 만들어졌으며, 조형성 이 전에 인문철학적 탐구가 이루어졌다. 이는 공예적 측면보다 순수예술가가 고려해야 할 자세이기도 했다. 공예에서 시작된 도자예술은 현재까지도 그 정체성에 대한 담론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공예의 실용성과 예술 철학적 사색을 통한 조형적 양식으로서의 도자는 그 기준에 따라 다르게 평가된다. 1990년부터 2010년대의 조형적 언어로서의 도자는 서툴렀고 현재까지 그 정체성을 찾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대학 전공에서도 수년 전부터 인문학 적 사고를 돕는 수업이 개설되어 머리와 마음과 손이 하나가 되어 발전되고 성숙된 조형 언어를 구현하는데 이바지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이화여자대학교 도자예술전공이 소속과 명칭 변경이 있었지만 1990년 이후 2010년까지 각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과 현대, 기법과 조형적 측면, 인문학적 사고확장까지 다양하고 총체적 예술교육을 제공하였음을 알 수 있다. 누락된 많은 본교 출신 작가와 그 작업 결과물을 본 연구에 포함 시키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또한 한국 최초의 도예전공이 대학에 개설된 학교로서 도자예술전공의 다양한 커리큘럼으로 여성 도예가를 배출함으로서 한국현대도예 현장에서 큰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졸업자들이 도자예술의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통해 여성 도예 작가, 예술가로서 활발한 활동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referred to as Ewha Womans University, Department of Ceramic Art in the stream of 1990 to 20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Ewha University Department of Ceramics. Ewha Womans University Department of Ceramics played a pioneering role in the birth of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In 1959, centered with professor Hwang Jonggu, Ewha Womans University opened the first ceramic arts department and ceramic art research institute in the university, and devoted to succession training and ceramic research. The education that begun with the center of celadon and the audience, is expanding to education that can encompass conceptual art. At this point, 60 years later, this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and analysis of the curriculum organization of the Department of Art and Design at Ewha Womans University from 1990 to 2010 in the stream of contemporary Korean ceramics. Unlike contemporary American ceramics,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a long tradition, and the experimental tendency to boldly approach essential problems, expanded and developed. Ewha University Department of Ceramics also started with a class of reproducing traditions and conducted research on industrial ceramics and ceramics. The research center devote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eladon and Bunchung techniques. Various product research, comprehensive research and product development that is related to ceramics were also conducted using the plaster casting technique. Ewha University Department of Ceramics has established a Dorim Association centered on graduates, and has been encouraging graduates' work activities through alumni exhibitions every year since 1979 and is continually supporting the cultivation of junior artists. In the 1990s, Korean ceramic art-related trends co-existed with modern interpretation, objet-oriented trend, and environmental ceramics based on tradition. The trend of return to traditional was also seen, which allowed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to continue to develop in a mutually secure relationship. 1990 is the settling period of contemporary art, and when contemporary ceramic art is divided by generation, it is the period of entering the third or later period. It is a time when various forms of expression are shown beyond the definition, and formative works increase beyond function, and coexistence and confrontation between craft and fine art appear. Objects from traditional ceramics to pure art can be said to be a period to show various forms and contents of ceramic art. Ewha University Department of Ceramics was also taught in the same context. In the 2010s, as the College of Fine Arts was changed to the Faculty of Crafts of the College of Art and Design, and as the College of Music and the College of Art were merged into the College of Arts, the major of ceramics was reduced and the identity confusion from the times can be seen. In some of the classes, a humanistic inquiry was conducted by instructors to realize works of fine art Through this course, many majors have created a forum for discourse on ceramics, and a humanistic philosophical inquiry was conducted before formative formation. This was an attitude that fine artists should consider rather than the craft aspect. Ceramic art, which started as a craft, continues to discuss about its identity to this day. Ceramics as a formative style through the practicality of crafts and artistic philosophical reflection are evalu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riteria. Ceramics as a formative language from 1990 to 2010 were poor, and efforts to find their identity have been made to this day. In this university major, closes to help humanities have been established since several years ago, contributing to the realization of a developed and mature formative language by uniting thoughts, minds) and hand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from 1990 to 2010, the affiliation and name of Ewha University Department of Ceramics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eramic art required by each era. This was followed by a changing curriculum. However, it can be seen that comprehensively; it has provided a variety of comprehensive art education including tradition and modern, techniques and formative aspects, and expansion of humanities thinking. There is a limitation in not including many missing authors and work results in this study. In addition, as Korea’s first pottery major was opened at the university, it was an opportunity to analyze the works of graduates of the university and the role of the pottery institute’s activities in contemporary Korean pottery. I hope that artists from this university will be the leading role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ceramic art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