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알람정보와 인접환경 분석을 통한 지하시설물 상황인식 시스템의 프로토타입 구현

        조성윤,홍상기,장석우,Cho, Sung-Youn,Hong, Sang-Ki,Jang, Seok-Woo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3

        도시의 기반 시설은 국가 또는 도시의 기술적인 발전 정도를 표현하는 지표적인 의미를 가지므로 이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u-City에서 지능적으로 도시의 지하 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한 상황인식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알고리즘 및 프로토타입(prototype)을 개발한다. 제안된 상황인식 시스템의 알고리즘 작성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환경에서 시설물을 관리하고 있는 각종 센서가 이상 신호를 감지하여 알람을 발생시킨 시점부터 상황인식 시스템이 발생한 알람의 원인을 찾아낸 후 그 결과를 도시공간정보 통합 플랫폼과 주변의 모듈에 전송해 주는 시점까지이다. 그리고 이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상황인식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한 후 단위 테스트를 수행하여 구현된 프로토타입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지하시설물의 관리를 위한 알고리즘과 프로토타입은 검증 및 수정 작업을 거친 후 실제적인 시스템 개발로 연결될 것이며, 도시의 여러 가지 시설물을 관리하는 관련 시스템들의 참조모델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Since urban facilities have a signigicant meaning that represents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nations and cities, it is very important to effectively manage and operate the facil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text-awareness system for managing urban underground facilities intelligently and develop its algorithm and prototype. The algorithm of the suggested system includes the period from the point when various sensors set up in USN environments sense abnormal signals and make alarms to the point when the context-awareness system analyzes the alarm and sends the analysis results to integrated platform and related modules. We then implement the prototype of the proposed context awareness system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by performing unit tests. Our developed prototype will become the basis of actual system development. We expect that the suggested system will be used as a good reference model of related systems managing various types of urban fac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가속도 센서 분석을 통한 가드레일 상황인식시스템의 개발

        조성윤(Sung-Youn Cho),장석우(Seok-Woo Ja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12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6

        The urban facilities of u-City can be mainly classified into ground and underground facil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text awareness system for effectively managing guardrails, based on the analysis of acceleration sensors. In the suggested guardrail context awareness system, alarms are made when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guardrail detects shock beyond a threshold value and the detected alarm are sent to the context awareness engine. The context awareness system then analyzes the scalar magnitude of the impacted shock, its acceleration values to the x, y, and z directions,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sensor, and threshold values, and determines if there are some contexts on the guardrail or no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uggested guardrail context awareness algorithm accurately recognizes guardrail contexts occurred in various environments.

      • KCI등재

        미크로네시아 지역의 제주인 연구 서설

        조성윤 ( Sung Youn Ch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5 탐라문화 Vol.0 No.48

        이 글은 오늘날 미크로네시아 지역에 해당되는 태평양 지역 섬들에 갔던 제주 사람들에 관한 연구이다. 아직 시작 단계이기 때문에 우선 그동안 수집된 자료를 통해서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이론적인 설명 틀을 먼저 제시하고, 그에 따라서 자료를 확보해 가는 방법도 있지만, 이 글에서는 이론 틀을 세우는 작업은 뒤로 미루고, 일단 자료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쪽에 먼저 중점을 두었다. 첫 번째로 태평양전쟁 시기에 강제 동원된 사람들의 명부를 중요한 자료로 판단하였다. 일본이 남양군도를 지배한 것이 1914년부터 1945년까지였으므로, 1940년대 이후는 마지막 시기이지만, 가장 많은 제주인들이 한꺼번에 이 지역으로 갈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왜 많은 제주인들이 갈 수 밖에 없었는지, 구체적으로 어디에서 무슨 일을 하며 지냈는지를 추적해 보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국가기록원이 갖고 있는 명부는 물론 최근 강제동원 위원회의 신고서 등 다양한 자료를 통해서 이러한 문제들을 밝혀 보는 작업이 앞으로 해야 할 중요한 작업 가운데 하나라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명부가 갖고 있는 한계를 보완하거나 뛰어 넘을 수 있는 자료는 자서전(회고록)과 구술 자료라고 생각된다. 이 글에서는 윗제섬에 갔다 온 이공석의 수기를 주요 대상으로 삼아 활용 방안을 검토해 보았다. 세 번째로 가능한 방법은 그 당시 남양군도에서 생활한 적이 있는 사람들을 찾아서 인터뷰를 하는 방법이다. 우선 관련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해서 자료를 확보한 경우는 1934생 고두성씨였다. 그는 현재의 미크로네시아 공화국의 얍(Yap) 섬에서 태어나 7살까지 살다가 1941년 부모가 제주도로 귀환하면서 같이 돌아왔다. 이처럼 일제시대 미크로네시아 지역에 갔던 제주인을 조사하는 작업은 여러 가지 방향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시도가 계속 이어져야 하리라 본다. 이 글은 이러한 작업의 방향을 모색해 본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the preliminary study of the migration and repatriation of the Jeju People at the Micronesia region of the Japanese Empire. I want to explore the possibility how to collect data that relate to the migration and repatriation of the Jeju People, instead of the setting the theoretical frameworkFirst of all, I think the record books on the list of the people that were involved in World War II when force was considered as an important material. National Archives of the list is, of course, I think you have to see this work out to these issues through a variety of sources, including notification of Forced Mobilization Committee recently one of the important work to do in the future. Secondly,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record books on the list of the people, We can use the autobiography (memoirs) and oral data. Lastly, We must explore the people that have experence had been to go to the Micronesia region of the Japanese Empire. If not, we can contect with the their families.

      • KCI등재
      • KCI등재

        제주도의 평화 정책과 해군기지 문제

        조성윤(Sung Youn Cho) 제주학회 2011 濟州島硏究 Vol.35 No.-

        2005년 1월 27일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은 건설교통부 장관이 제출한 제주 세계 평화의 섬 지정 선언문에 서명함으로써 제주도를 평화의 섬으로 지정했다. 그러나 동시에 국방부는 제주도에 군사기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었다. 정부와 국방부가 군사기지 건설을 밀어붙이자, 제주도지사는 주민들 편에 서서 주민들의 이익을 대변하지 않고, 오히려 정부와 국방부의 대리인이 되어 주민들의 반대 주장을 억누르고, 건설사업을 밀어붙였다. 정부와 제주도 당국은 해군기지를 밀어붙이면서 평화의 섬 정책과 모순되는 점을 깨닫지 못했다. 때로는 제주에 해군기지가 들어서도 평화의 섬이 되는 데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고 발언했다. 그리고 해군기지가 들어오는 것이 제주도민들의 경제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까지도 폈다. 지역주민과 시민사회단체들의 해군기지 건설 반대운동이 계속되었지만, 2010년 들어 해군기지 건설은 확정되었다. 이 대립 속에서 제주도의 평화 정책은 대부분 중단 상태이거나 혼란 속에 놓여 있다. 이 글은 그동안 제주도가 진행시켜온 평화 관련 사업 내용을 검토하고, 그 의미를 정리한 다음, 해군기지 문제가 제주도의 평화정책 방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밝히고, 앞으로의 방향을 전망하였다. January 27, 2005, President Roh Moo-hyun at Chung Wa Dae assigned Jeju island as Island of World by signing a declaration specifying a peaceful island of Cheju. However, at the same time the construction plan of military bases on the island had been pushing by navy and central government. When the central government pushed the construction plan of military bases, the Governor of Jeju agree with that construction plan on thje spot. He had became an agent of the government and did not represented the interests of the people, They had pushed construction projects. During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Governor of Jeju pushed the construction plan of military bases, They did not realize the contradiction between peace policy and the naval base in Jeju island. They explan that there is no contradiction of the coexistence between two and insist on so far as to help improve Jeju economy, In spite of the anti-construction movement of the Naval Base had continued by residents and NGO groups, the construction plan of Jeju naval base for 2010 was finalized. In this chaos, most of the items of the peace policies lies halted. In this paper, I want to argue the peace-related projects in Jeju Province and review the contents and cleaned up its meaning. And I want to clarifiy the influence the problem of Jeju naval base to the direction of the peace policy.

      • KCI등재후보

        이어도에 관한 제주도 주민들의 이미지

        조성윤 ( Sung Youn Ch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1 탐라문화 Vol.0 No.39

        오늘날 제주도민들은 이어도 하면 적어도 그것이 제주도 바깥 어딘가에 있는 환상의 섬이자 낙원이며, 동시에 제주도를 대표하는 하나의 상징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이어도라는 명칭을 자주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이어도가 환상의 섬이지만, 동시에 도민들의 의식 속에서 사회적 실재(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로 작용하고 있다. 이어도가 도민들에게 지속적인 관심을 끌 수 있었던 주된 이유는 그것이 현실과는 전혀 다른, 꿈과 소망을 담은 이상적인 세계이기 때문이다. 즉 이어도는 제주도 주민들의 집합적으로 공유하는 기억으로서, 현실의 한계를 확인하고, 동시에 넘어서도록 하는 상징세계로서, 이미 제주도민의 의식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 제주도민들의 관념 속에 이어도라는 섬이 어떤 형태로 존재하며, 그것에 대해서 어떤 종류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이미지가 어떤 방식으로 전승되어 왔는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실제 생활 속에서 이어도에 대한 이미지를 얼마나 갖고 살아가고 있는지를 신문 등 각종 언론에 이어도라는 이미지가 어떻게 소비되어 왔으며, 어떤 방향으로 이미지가 작동해 왔는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신문 기사와 잡지 기사 검색과 함께 제주도민들이 갖고 있는 이어도 이미지를 부분적으로 조사하였다. 특히 이어도를 단체 명, 또는 상호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집중적인 조사 대상이었다. 가장 잘 알려진 문학작품은 이청준의 소설 ``이어도``이다. 이 소설은 큰 성공을 거두었고, 그 뒤 이와 비슷한 소설이 나오고, 시들도 쏟아져 나왔다. 그리고 이를 둘러싼 여러 가지 평론들이 나온다. 이런 것들이 이어도라는 이미지를 대중화시키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고 생각한다. 한편 이어도 이미지는 시와 희곡은 물론, 동화, 텔레비전 특집물 등으로 재생산되어왔다. 이어도를 환상의 섬, 파라다이스로 관념화한 것은 근대 지식인들이었다. 그들에 힘입어 고통 속에서 살아온 제주도민들의 삶이 형상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가고 싶어하는 환상의 섬 파라다이스가 만들어진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는 신문 잡지뿐만 아니라 라디오 텔레비전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서 빠른 속도로 전파되었다. 때문에 환상의 섬으로서의 이어도 이미지는 한국 사람들 모두가 공유하는 것이 되었다. 게다가 주목할 것은 제주도민들이 갖고 있는 이어도 이미지는 대부분 바로 이런 과정을 거쳐서 대중매체에 의해서 제주도민들에게 전달되고 교육되고 주입된 것이다. 오늘날 제주지역 주민들에게 이어도는 제주도 남방에 실재하는 섬이며, 그 위에 해양과학기지를 건설해 놓은 곳이다. 이제 이어도는 실재하는 섬이 되었다. 제주도민들이 그 섬을 찾아내서 현실로 만들었다기보다는, 자원 민족주의에 의해 해양 자원을 확보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진 탐사 결과 찾아낸 섬의 이름을 그렇게 이어도라고 붙이게 된 것이다. 제주도민들에게 더 이상 이어도를 환상의 섬으로 부르거나 꿈꾸는 일은 더 이상 허용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실제로 존재하는 섬이기 때문이다. Today Cheju islanders had been accepted that Ieodo is the island of the paradise, simultaneously representative symbol of the Jeju-do. This Ieodo is not only the island of fantasy, but social existence(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operating inside of the islanders. The most important reason that Cheju islanders have been interested in Ieodo is the their own paradise which puts in a dream and a desire. Ieodo as the collective memory which the Jeju-do residents owns jointly gather, to confirm the limit of actuality, in order to pass over simultaneously, as the symbolic world, is already forming the one part of Jeju-do. In this paper, I tried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frame of Ieodo of Cheju islanders. And I try to investigate how such image has led to the next generation. And from actual life how many have the images about Ieodo in newspaper and how the images is consumed and operates. The most famous novel about that is the "Ieodo" written by Cheong- Jun Lee. This novel put big success back and a novel akin to this came out after that, and the poetry also overflowed. And the various criticism with which this was surrounded come out. I think it contributed to making an Ieodo image as a reality be popularized decisively. On the other hand, Ieodo image has been reproduced by assimilation (animation and juvenile) and a television special drama as well as a play with poetry. Modern intellectuals conceptualized Ieodo as a Paradise which the Cheju islanders want to go. Such image was spread with fast speed through a mass media: radio, television, movie as well as newspaper magazine. So everyone is going to share Korean people for Ieodo image as an island of an fantasy. The Ieodo image of the Cheju islanders was educated and was poured by the mass media. Nowadays the most of the Cheju islanders understand Ieodo as a real, not just ideal. It means the image of Ieodo are changing. They can imagine the island where Ocean Research Station has been constructed on it. They believe Ieodo really exists. Cheju people`s find the island and making actually by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It could not permitted they calling Ieodo to an island of an fantasy any more and dreaming any more. Because that`s the island which exists actually.

      • KCI등재

        알뜨르 비행장: 일본 해군의 제주도 항공기지 건설 과정

        조성윤 ( Sung Youn Ch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2 탐라문화 Vol.0 No.41

        이 글에서는 알뜨르 비행장, 정식으로 말하면 일본 해군 항공기지의 건설과 확충과정을 그동안 발굴된 일본방위성문서와 현지 조사에서 채록한 증언들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 비행장은 1933년도에 처음 「불시착륙장」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건설할 때만 해도 6만평 규모에 지나지 않았다. 해군항공대가 주둔하는 정식 항공기지로 서가 아니라, 중국과의 전쟁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임시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중간 기착지였다. 그러나 1937년 중일전쟁이 본격화되면서 일본 해군은 적극적으로 이 비행장을 활용하기로 작정하고, 증설계획을 세운다. 증설 공사가 채 진행되기도 전에 제주도 알뜨르 비행장은 중국 남경 등 중요도시를 폭격하는, 이른바 도양폭격의 중심 기지가 된다. 알뜨르 비행장은 이렇게 한동안 폭격기지로 집중 활용되다가, 1938년 이후 전선이 확대되고 대부분의 폭격기가 중국의 항공기지로 이동하면서 한가해졌다. 하지만 그 이후 알뜨르 항공기지에는 오무라 항공연습대가 주둔하고, 확장 공사도 계속되었다. 한편 태평양전쟁이 터지고 나서 알뜨르 비행장은 다시 중요성을 인정받아, 또 다시 확장공사에 들어가게 된다. 20만평의 항공기지를 60만평 다시 늘린, 80만평의 엄청나게 넓은 규모로 확장한 것이다. 제주도 알뜨르 항공기지를 일본내에서도 가장 중요한 오무라 항공기지와 같은 규모로 키우겠다는 것은 일본 해군이 제주도를 전략적 핵심 지역으로 파악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공사는 전쟁 막바지까지 계속되었고, 제주도민들을 여러 해 동안 동원하면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결국 알뜨르 비행장은 엄청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고도 사용해보지도 못한 채 전쟁이 막을 내리면서 그 역할을 끝내게 되었다. 이 지역은 1950년 한국전쟁이 터지자 한국 육군의 제1훈련소로 활용되었고, 그 이후 내내 국방부 소유로 묶여 있었다. 그러다가 1988년 한국 공군이 이곳에 군용 비행장을 건설하려다 제주도민들의 저항에 부딪쳐 포기한 바 있고, 현재도 공군이 이 지역을 공군 기지로 사용하려고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Alddreu Airfield, located in Daejeong-eup, Seogwipo City, Jeju Island was constructed by the Imperial Japanese Navy (IJN) when Korea was under the colonial rule of Imperial Japan (IJ). Hence, the IJN Airbase was the official name for the Alddreu Airfield. The paper reviews and analyzes the background,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the airbase, based on the accumulated extracts from the documentation of Japan`s Ministry of Defense (formerly Japanese Defense Agency) and statements collected in the field investigations. When it was first built in 1933 as an emergency landing field, the area of the airfield was no more than 60,000 pyeong (1 pyeong is equivalent to 3.3 square meters). Alddreu Airfield was not a formal naval air station. It was a way-station airfield to use temporarily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Japan was expecting a war against China. However, as the Second Sino-Japanese War broke in 1937 moved into a full-fledged phase, the IJN drew a plan to expand the Alddreu Airfield and use it more aggressively for the war. Even before the expansion construction had started, the Alddreu Airfield on Jeju Island became the central base for transoceanic bomb attacks on China`s major cities, such as, Nanjing. The Alddreu Airfield was used intensively for bombers until 1938. As the front lines of the war expanded, most of the bombers were moved to one of the airbases in China, freeing the Alddreu Airfield from intensive use. However, it was soon taken over by the Training Department of the Imperial Japanese Omura Navy Air Service. The construction to expand the airfield also continued. With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the importance of Alddreu Airfield was again recognized and the expansion project resumed. The two hundred thousand (200,000) pyeong airbase was expanded, first to six hundred thousand (600,000) pyeong, and later to an eight hundred thousand (800,000) pyeong airfield. The IJN wanted to build the Alddreu Airfield to the size of the IJN Omura Naval Air Service Base in Nagasaki, Japan. It is an indication that the IJN acknowledged the strategic importance of Jeju Island for its critical location. The construction continued until the final stage of the war. The residents of Jeju were forced to provide construction labor for many years. The Imperial Japanese Navy spent a massive amount of money and labor to build such a large airfield, but they never had a chance to use it. The war was over and the role of Alddreu Airfield, as intended by the IJN, expired, too.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1950, the first Korean army training camp was set in the area of Alddreu Airfield. The area is owned by the Ministry of Defense, Republic of Korea. In 1988,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ROKAF), made an attempt to build a military airport in the area. Due to strong resistance among the residents, the attempt did not have a chance to take off the ground. The ROKAF has never given up its intention to build a military airbase at the former IJN`s airfield.

      • KCI등재

        전쟁의 기억과 재현

        조성윤(Sung Youn Ch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1 현상과 인식 Vol.35 No.1·2

        이 글에서는 일본 내의 대표적인 전몰자 추도 공간의 하나인 오키나와(沖繩) 현립 평화기념공원(平和祈念公園) 내에 있는 자료관 전시 내용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전쟁 기억의 재현을 둘러싼 행위 주체들 간의 대립, 갈등을 분석한다. 평화기념 자료관의 전시 내용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는데, 그것은 단순한 변경이 아니라 오키나와전의 기억을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 하는 점을 둘러싼 정치 세력들 간의 대립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1975년 개관 당시에는 천황을 위해 싸우다 전사한 일본군을 추도하고, 그들의 행위를 찬미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고, 오키나와 주민의 희생은 무시되었다. 그러나 1976년에 다시 오픈했을 때는 전쟁의 비참한 실상뿐만 아니라 주민들을 전쟁에 말려들어가 죽게 만든 일본 군국주의 지도자들의 책임을 묻고, 일본군의 주민 학살까지 전시하고 있기 때문에, 방문자들이 전쟁의 참상과 평화의 필요성을 자연스럽게 교육받는다는 점에서 대표적인 평화교육센터로 자리 잡았다. 보수 세력은 이 자료관을 반일기념관이라고 공격하였다. 1998년 선거에 의해 지사가 진보인사인 오타에서 보수적인 이나미네로 바뀌었다. 그 뒤 전시 내용을 보수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려는 시도가 나타났고, 이를 둘러싸고 대립이 심화되었다. 오늘날 오키나와에서 보수 세력의 민족주의 경향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일본군의 잘못을 그대로 드러내고 비판하는 평화기념관의 전시가 반일기념관으로 몰리면서 공격의 대상이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일본 보수 정치인들에 의해 기념공원의 성격도 점차 야스쿠니 신사와 비슷해 질 것이다. In this paper, I want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of a representative peace Museum in Japan, Okinawa(??) Prefectural Peace Memorial Park. And I want to reveal the conflict between actors which have the different interests surrounds the representation of war memory.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of the Peace Memorial Museum was changed several times during the 4decades, it showed us that the conflict between political forces are continued and will be reproduced. It was opened in 1975. At that time,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was focused to look back upon the memory of Japanese troops who died fighting for the emperor. But the sacrifice of the people of Okinawa have been ignored. But when re-opened in 1976, the standpoint in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was changed. The contents contains not only the realities of the battle Field but also the Japanese military leader’s responsibility to the Japanese army’s massacre the inhabitants. During the two decades after reopen, This Museum had become a representative of Peace Education Center in Japan. The other side, Japanese conservative politicians regard Okinawa Peace Museum as the Anti-Japan Memorial Museum. Today, the nationalistic tendency is strengthened little by little in Japan, the Peace Memorial Museum will be the target of the attack by Japanese conservative politicians. If so, in the near future, the character of Memorial Park will become increasingly similar to the Yasukuni Shrine.

      • KCI등재

        헐거운 브레이크: 창가학회와 공명당의 관계

        조성윤 ( Sung Youn Cho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6 종교문화비평 Vol.29 No.29

        창가학회는 일본 내에서 다른 종교 단체들과는 달리 공명당이라는 정당을 만들어 성공적으로 의회에 진출했고, 오랫동안 제3당으로서 자기 위치를 확실하게 다졌을 뿐만 아니라, 지난 20년은 자민당의 제안을 받아들여 연립여당으로 정치권력을 행사하는 위치에 있었다. 공명당이 이처럼 활발하게 정계에서 활약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창가학회 회원들의 절대적인 지지가 있었다. 창가학회 신자는 대부분 공명당에 투표할 뿐만 아니라 다른 지지표를 모으는 이른바 선거 지원 활동도 활발하면서 대중과의 접촉도 많아졌고, 이 때문에 관심도 많아졌지만 동시에 비난이 쏟아지기도 했다. 그러나 종교단체의 정치 참여라는 점에서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2011년 3월 11일 이후 일본 사회는 지진, 쓰나미와 함께 방사능 유출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최근에는 자민당이 집단 자위권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재무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치닫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시민운동은 원자력 발전 반대를 넘어서 반전운동으로 확대되었는데, 2015년에는 시민운동의 새로운 물결로 발전하고 있다. 언론은 공명당이 연립여당으로서 평화헌법을 폐기하고 군사 재무장의 방향으로 가려는 자민당을 견제하는 브레이크 역할을 공명당이 해주리라 기대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공명당이 그런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였다. 때문에 창가학회 회원들 중 일부가 공명당을 비판하거나, 종교 단체의 틀을 벗어나 시민운동에 참여하겠다고 나서는 등 공명당과의 거리가 크게 벌어지고 있다. 일본 신종교 중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정치무대에 진출했다고 평가를 받는 창가학회가 계속해서 자신들의 신념을 정치적 차원에서 실현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이 글에서는 그 이유를 창가학회와 공명당의 관계에서 찾았다. 그동안 창가학회의 요구를 받아들여 정치적 차원에서 실현하기 위해 정책을 제시하던 공명당이 최근에는 오히려 먼저 정책을 제시하고 창가학회에게 동의를 요구하는 형태로 권력관계가 바뀐 것이다. 이는 결국 여당 프리미엄을 갖고 싶어하는 공명당 지도부의 조직 보존의 논리가 우세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 창가학회와 공명당은 더 거리가 벌어질 것이며, 내부 균열이 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Unlike other religious bodies in Japan, Soka Gakkai created a political party named Komeito Party that successfully entered the National Assembly and solidified its place there as the third largest party. Furthermore, over the last 20 years, by accepting the suggestion of LDP (Liberal Democratic Party), Komeito Party has been in the position to wield political power as part of the ruling coalition. The backing behind the brisk political activities of Komeito Party has been the absolute support from the members of Soka Gakkai. Most Soka Gakkai believers have not only voted for Komeito Party, but have also actively supported the so-called election campaign to secure the votes and have increasingly contacted with the public. Owing to these reasons, the party has become the object of both interest and blame, drawing public attention to the issue of the political involvement of a religious organization. Since March 11, 2011, the Japanese society has been suffering from the aftermath of the earthquake, tsunami, and horror of radiation leaks. Recently, as LDP passed a bill on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Japan has started heading in the direction of reinforcing the rearmament. In this situation, civil movements get extended to anti-war movements and movements against nuclear power generation, embodying a new wave of civil movements in the country. The media have expected Komeito Party to play the braking role on LDP that wants to destroy Peace Constitution and head into the direction of military rearmament. However, Komeito Party did not play this role. Therefore, some members of Soka Gakkai have been criticizing Komeito Party and announced that they would take participate in civil movement outside of the framework of the religious organization, so that to distance themselves from Komeito Party. It seems to be difficult for Soka Gakkai, which has been evaluated to enter the political arena most successfully among the new religious bodies to continuously realize its faith on the political level. This article seek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ka Gakkai and Komeito Party. The power relation has been changed from the previous pattern for Komeito Party to suggest the policy to realize on the political level by accepting the request of Soka Gakkai into recent pattern for Komeito Party to offer the policy firsthand and then request Soka Gakkai`s consent. The final reason for this is that the logic of organization preservation was predominant among the leaders of Komeito Party who want to keep the ruling premium.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hat the distance between Soka Gakkai and Komeito party will increase in the future and that internal disagreements will get wo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