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임진왜란 시기 전라좌수군의 전투구성원과 전투 수행

        제장명(Je Jang 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4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1

        This research is on the man-power and the battle flows to clear out the main role toward victories of the Left Navy Jella-Province Forces which did the most crucial role during the Imjin War. This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statues of the troops which means each solider’s work position and social statue which had not been handled importantly on previous studies. Also, I have thoroughly mentioned the strategies on the battle procedures and how the army system went on. Naval troops were from various social statues and they did their own role which was taken. First, the people in middle level, Jin-Moo(鎭撫) was a lower level of than military officers, however, they could be considered as a official class. Gap-Sa (甲士)was to be a kind of work soldiers in the early of Joseon period, and it start diminishing in public compensations by the dynasty in the later 16th century, and they were ask to participate to the battles in deteriorations of the social reputation. The very practical cause of the victories of the naval forces could be resulted due to the modest statue of the society. The lowest figures were the vanguard of the victories. The regular soldiers were in the Army troops and took the roles on the battles along breaking down the Jin-Gwan system. Another army group, Bo-In (保人)was not to be infiltrated to the battles, but in cases to figure out the battles temporarily, they were ask to take roles in the battles by the government systematically. Toh-Byeong(土兵) did a role to protect the sea shores in Southern Provinces as Japanese troops were about to invading the areas. The members of Toh-Byeong, Poh-Jak (鮑作)people were the lowest group even among the naval troops. The Poh-Jak people’s main role on the battles was to guide the sea route and they lead the practical use of the ships by driving tiny warships skillfully since they were kin on reading the sea ways. When the enemy appeared, they could immediately inform to the naval garrison. It helped the rapid process of preparing the battle of the garrisons. Of course, they fought and faced against the enemies as well. The Slavery statues, No-Bi, was out of the military services. The kinds of No-Bi (奴婢) group were Gwan-No(官奴), who belonged to the offices, Sa-No(私奴), who belonged to personnels, and the other Sa-No(寺奴) were the assets of temples, and all did their role which as much as they could do for the country by facing the battles. The modest figures of people were broadly positioned for the battles, mainly as gunners(砲手), shooters of bows(射夫), and rowers(格軍). Miscellaneously, monk groups and captives and surrendered Japanese soldier groups were ready for backing up the man-power. Naval Forces during the war kindly used the military strategy orders, 『O-wee Jin-bop』 『五衛陣法』and 『Je Seong Bang Ryak』 『制勝方略』for the battle formations. It can be seriously found those two formations were activated departmentally on the Secound Danghang-Poh Sea Battle on March of 1594. Pan-ok Seon, a house on the deck warship and Geobuk Seon, Turtle warship were dramatically developed and many gunpowder weapons such the cannons were settled into the warships, and troops showed various tactics. Spreading out the intended battle pictures according to the formations and implemented was to the progressive attack the commender ship of the enemy and the accuracy of the cannons were the core of the Joseon Naval Troops strategies. The formation, Je Seong Bang Ryak was cleary worked to the Joseon’s Naval Forces and the naval troops could repel the enemy. The allied forces of the three provinces leading by Left Jella Naval Forces could cut off the enemy’s advancing toward the west. 본고에서는 임진왜란 수군 승리의 주역인 전라좌수군의 승리요인을 밝히기 위한 한 방법으로 전투구성원과 전투수행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소홀히 다룬 전투구성원에는 어떤 신분과 직임을 가진 군사들이 활동하였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아울러 전투 수행 절차에 대해서는 어떤 전술을 구사하였으며, 방어체제는 어떻게 유지되었는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수군의 경우 다양한 신분계층이 참여하여 각자의 임무를 분담하여 수행하였다. 임진왜란을 맞이하여 정규군 외에 잡색군(雜色軍)들도 동원되어 전투에 참여하였다. 먼저 중간 계층의 경우 진무(鎭撫)는 군관보다는 아래 계층이지만, 한 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간부 계층으로 간주할 수 있다. 갑사(甲士)는 조선 전기 직업군인의 일종이었지만, 16세기 후반에 들어 명예나 국가의 물질적 배려는 없어지는 등 위상이 저하된 상태로 참전하였다. 승리의 실질적인 주역은 하위 계층이었다. 육군의 주 구성원인 정병(正兵)이 참여하고 있다는 것은 육군과 수군의 독자성을 부여했던 진관체제가 와해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보인(保人)은 실제 전투에는 참가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군사력의 확보 차원에서 유사시 보인의 참전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었다. 토병(土兵)의 경우도 왜구들의 침입이 예상됨에 따라 남방지역에도 배치된 이후 연해 방어에 일조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포작(鮑作)은 수군 하부 계층의 주 구성원이었음을 알 수 있다. 전투 현장에서 포작인들의 역할은 해로 사정에 밝아서 적선을 수색하거나 토벌할 때 수로 안내 역할, 소규모 전선을 잘 부리기 때문에 배의 운용에도 기여를 했으며, 적 출현 사실을 원해에서 알아내어 수군 진영에 신속하게 전달해주는 역할, 실제 전투에 참전하여 싸웠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노비(奴婢)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군역을 지지 않았지만 임진왜란이라는 대규모의 전란을 맞이하여 관노(官奴)ㆍ사노(私奴)ㆍ사노(寺奴)를 망라하여 모두 참전하고 있었다. 이들 하위계층은 당시 전선의 편제에 고르게 보직된 가운데 주로 포수(砲手), 사부(射夫), 격군(格軍))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밖에 전선의 편제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손실된 수군 구성원들의 충원 방안으로 항왜(降倭)와 승도(僧徒)도 수군에 동원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수군은 실제 전투 시 주로 『五衛陣法』과 『制勝方略』의 분군법을 활용하여 전투편제를 형성한 가운데 전투를 수행하였다. 특히 1594년 3월에 있었던 제2차 당항포해전에서는 오위진법과 제승방략제의 세분화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판옥선과 귀선이 개발되고 다양한 화포가 전선에 장착된 임진왜란 중에는 수군 전술 또한 다양한 형태로 구사되었다. 적 지휘선에 대한 집중 공격과 화포의 명중률 제고를 위한 진형을 형성하는 것은 당시 수군 전술의 핵심이었다. 이런 가운데 제승방략제의 분군법에 기초한 수군의 방어체제는 효과를 보면서 일본군을 물리치는 데 기여할 수 있었다. 즉 겨우 전력을 구비한 전라도 수군이 경상도에 부방(赴防)하는 방식으로 수군이 운용되었다. 특히 전라좌수군이 주축이 되어 3도의 수군이 연합하여 일본군의 해상 서진을 차단하였다.

      • 이순신을 도운 경상우수영ㆍ충청수영 사람들

        제장명(Je, Jang 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5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3

        임진왜란 시기 해전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순신과 함께 해전을 수행한 각 도의 수군 활동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상대적으로 참전규모가 작아서 등한시 되었던 경상우수군과 충청수군의 활동에 대해서도 드러내는 것이 이순신의 수군활동을 제대로 파악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시간의 흐름 순서에 따라 경상우수군과 충청수군의 활약상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각 수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장수들이 이순신과 어떤 관계를 가지면서 해전을 수행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임진왜란 초기 경상우수군과 전라좌수군은 상호 협조체제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원균이 지휘한 경상우수군이 전력 규모는 매우 약했지만 나름의 활동을 통해 조선 수군의 전승(戰勝)에 기여할 수 있었다. 그것은 주로 경상도 지역의 정보 제공과 전투에서 선봉장 역할 수행을 통해 이루어졌다. 경상우수군의 대표적인 인물로 이운룡은 첫 전투부터 참전하였으며, 이순신과 오랫동안 함께 하였고 여러 가지 작전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영남도 임진왜란 초기에 이순신과 많은 접촉을 하면서 각별한 정을 나누는 관계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제만춘의 경우에는 일본의 도요토미를 측근에서 살펴본 인물로 고급 정보를 제공하여 이순신의 정세 판단에 큰 기여를 한 인물로 드러났다. 한편으로 충청수군은 한산도에 와서 부원하는 전선이 매우 적어서 전력에 큰 보탬이 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충청수군은 지휘관들의 능력이 이순신의 수군 운용에 도움을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를테면 이미 조방장으로서 이순신을 보좌했던 정걸이 충청수사로서 다시 인연을 맺으면서 그가 50년 무관 생활에서 쌓은 전문지식과 다양한 경험들은 이순신의 작전구사에 큰 힘이 되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사직은 이순신과 무과 동기로서 든든한 위안이 되었을 것이고, 임진왜란 전부터 이순신과 절친한 관계를 유지해 온 선거이가 한산도 진중에서 함께 함으로써 이순신에게 큰 위안이 되었을 것이다. 한산도 진영에서 오랫동안 활동한 충청우후 원유남도 이순신의 수군 운용에 적극적인 참여를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주요 지휘관들의 세밀한 행적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지만, 이순신 해전 승리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을 것으로 확신한다. To understand the naval battles precisely during the Imjin Wa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naval activities of each province which participated in the battles along with Yi Sunsin.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the activities of Gyeongsang Right Navy and Chungcheong Navy due to relatively small scale of their participation. Investigating their roles, however, can be a good way to understand Yi Sunsin’s naval acitivies accurately. The role played by Gyeongsang Right Navy and Chungcheong Navy is chronicled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Yi Sunsin and the commanders who played an essential role in each camp during the naval battles is also investigated. The mutual coordination between Gyeongsang Right Navy and Chungcheong Navy was made naturally in the early years of Imjin War. Although the military strength of Gyeongsang Right Navy commanded by General Won Gyun was weak, it contributed to a complete victory in its way. It offered the information about Gyeongsang area and was in the vanguard of the battles. Yi Unryong, a representative general of Gyeongsang Right Navy, engaged in the first battle, and planned a lot of strategies with Yi Sunsin for a long time. Yi Youngnam also had a lot of contact with Yi Sunsin and developed friendly relationship with him in the early years of Imjin War. Je Manchun spied on Toyotomi Hideyoshi closely in Japan and conveyed high-level information to Yi Sunsin. Yi Sunsin was able to judge the situation owing to his contribution. Meanwhile, Chungcheong Navy wasn’t able to do much to help the battle because it had few battleships to send to Hansando. So, it is generally appreciated that the commanders’ abilities were helpful for Yi Sunsin’s military operations. Among them was Jeong Geol, the former aid of Yi Sunsin, who had a special bond with Yi Sunsin as a naval commander of Chungcheong. His expertise and diverse experience as a military officer of 50 years served Yi Sunsin’s military operations. Gu Sajik who took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at the same time might be a reliable and comforting friend to Yi Sunsin. Seon Geoi who had been a close friend earlier than Imjin War also became a comfort to Yi Sunsin by staying in Hansando camp. It is verified that Won Yunam, Chungcheong Wuhu, who fought for a long time in Hansando camp actively participated in military operations. Even though the exact achievements of these commanders are not shown prominently, their efforts must have been key foundations of Yi Sunsin’s victories in the naval battles.

      • 임진왜란 시기 조선의 수군정책과 이순신의 수군 운용

        제장명(Je, Jang-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9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1

        지금까지 임진왜란 수군사 연구는 이순신의 판단과 능력에 의존하여 수군이 성과를 거두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었다. 그러나 사실상 한 나라의 무력단체인 수군을 운용하는 것은 조정의 수군정책에 따라 운용되었다. 본고에서는 임진왜란 중 조선의 수군정책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고 이라한 조정의 방침에 대해 이순신은 어떻게 반응하면서 수군을 운용했는지 알아보았다. 임진왜란 초기 남쪽의 수사들은 나름의 대적 수군활동을 전개하여 성과를 보았다. 조선 조정에서도 수시로 공문을 시달하여 행동지침을 주었다. 그리하여 이순신의 주도하에 임진왜란 초기 해전에서 4차례의 출전으로 전승을 거두어 해상에서의 일본군의 보급지원을 철저히 차단하는 데 성공하였다. 초기의 불리했던 전황은 명나라 군의 참전에 의해 평양성을 탈환하면서 조선에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조정에서는 일본군이 남하하는 것을 기회로 수군으로 하여금 해상 퇴로를 차단하여 복수하도록 지사하였다. 이에 따라 이순신이 지휘한 조선 수군은 부산 쪽으로의 진출을 시도하였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1593년 9월부터 삼도수군이 한산도에 주둔한 가운데 일본군의 견내량 침입을 막는 형태로 수군이 운용되었다. 이 시기 이순신은 전력증강 계획을 세워 추진해 나갔지만, 1593년 하반가부터 시작된 흉년과 전염병으로 수군병력의 손실이 극심해져 계획 달성이 차질을 빚게 되었다. 강화교섭시기 내내 조선은 수군을 거제도 쪽에 진출시키려고 했지만 사정이 여의지 않아서 모든 방책들이 무산되었다. 일본군들이 강화 교섭 시기에 철수를 신속하게 단행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어려운 난관에도 이순신은 나름의 수군전력 재정비를 위한 노력을 힘겹게 추진해 나갔다. 결국 강화교섭은 결렬됨으로써 일본의 재침에 대비하여 여러 가지 대책을 강구하였다. 먼저 수군진에 대한 통폐합을 단행하였다. 거북선을 많이 만들도록 하였다. 수군병력을 확충하기 위해 천민들도 수군에 전속시키도록 하였다. 일본군의 전술이 야간 기습작전임을 알고 이에 대비하도록 하였다. 한편으로 조선 수군을 거제도에 전진 배치하고자 했지만, 수군 병력의 부족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결국 강화교섭 시기 초반에 입은 자연재해로 인한 수군 병력의 손실은 이후의 수군 운용의 발목을 잡는 근본 요인이 되었으며, 이러한 상황은 정유재란이 벌어질 때까지도 복원되지 못했다. 이는 당시 조선 조정과 수군이 처한 한계였다. Most of the studies on the naval history of the Imjin War have shown that the navy made achievements thanks primarily to Yi Sun-sin s judgement and ability. In fact, however, the operations of the navy, the country s military forces were employed in accordance with the naval policy of the government. This paper examines how Joseon naval policy was implemented during the Imjin War and how Yi Sun-sin coped with the government s policy while he was managing the naval forces. In the early years of the Imjin War, the division commanders carried out their own counter attacks against Japanese army and got results. Joseon government drew up guidelines for naval activities and frequently sent official documents. Thus, the Joseon Navy had successive victories in the early four naval battles under the leadership of Yi Sun-sin. As a result, Joseon was able to successfully cut the supply line of Japanese army at sea. The early unfavorable war situation developed in favor of Joseon by recapturing Pyongyang fortress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Ming army. The government order the navy to block the retreat of Japanese army on the sea when they moved to the south and take revenge on them. Thus, Yi Sun-sin and Joseon Navy attempted to advance toward Busan but did not achieve great success. The naval troops of three provinces were stationed in Hansando in September 1592 where they hindered the Japanese army from invading Gyeonnaeryang since. During this period, Yi Sun-sin set up a buildup plan to increase the military strength. The navy, however, suffered severe losses due to a poor harvest and infectious diseases that began in the second half of 1593 so the plan was not able to be successfully achieved. The government tried to advance the navy to Geojedo throughout the peace talks but all the measures foundered on various circumstances. Above all things, the Japanese troops did not swiftly withdraw during the peace talks. Despite the difficulties, Yi Sun-sin struggled to reorganize the naval forces. In the end, the peace talks broke down, and vanous measures were taken to prepare for the reinvasion of Japan. First, the consolidation of the naval camps was carried out. A lot of the Turtle Ships were built. In order to reinforce the navy, the lowly slaves were assigned to the navy. Moreover, the navy recognized that the Japanese military tactics were nighttime hit-and-run raids so they took steps to prepare against Japanese attacks. Meanwhile, the government tried to forward-deploy the Joseon Navy to Geojedo, but it could not be done due to a lack of naval troops. In the end, the lack of naval troop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during the early peace talks was an underlying cause dragging naval operation down. It was not restored even until Jeongyoojaeran(the second invasion) broke out. That was the limitation of J oseon government and navy at that time.

      • 노량해전의 역사적 의미

        제장명(Je, Jang Myu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6 이순신연구논총 Vol.- No.7

        Sea battle at Noryang, which was the last naval battle of Imjin-Waeran, had achieved the most brilliant war results over 100 of naval battles for 7 years. This sea battle is very different from other battles because of many reasons. For example, It was the only battle that Ming navy played the active part in the battle, and it is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joint operation between Joseon and Ming, And Yi sun-sin, who was the most great admiral of world history, died a glorious death in a battlefield. And this sea battle is also important because the other countries made much of Joseon s navy due to the victory of this battle. As a result, Japan could not try to invade the south sea of Joseon for about 280 years. As we can see above, sea battle at Noryang should be considered to one of the most great battle in history of naval warfare. Although it is premodern sea battle, 400 years ago, it is worth of notice. and we need to learn a lesson from this sea battle, with mourning for the dead who died in this battle.

      • KCI등재
      • 거북선의 복원(復元)에 관한 소고

        제장명(Je Jang Myu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6 이순신연구논총 Vol.- No.6

        2006년 7월 현재 우리나라 해안 부두에는 총 4척의 복원된 거북선이 계류되어 있다. 이 거북선들은 모두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의 전‧유적지와 관련이 있거나 이순신의 후예들이 전기를 갈고 닦는 곳에 위치하여 그의 정신을 선양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특히 남해 충렬사 앞에 있는 거북선은 연평균 15만 명의 관광객이 찾고 있으며, 해군사관학교의 거북선은 군항제 때 관광객들의 단골관람 코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외형적인 모습과는 다르게 최근 들어 거북선에 관한 구조와 기능 면에서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이러한 논란은 학계에서 수십 년간 지속되어 온 것이지만, 최근에는 거북선을 관광하는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심심찮게 일어나고 있다. 먼저 구조면에서 볼 때 현재 우리나라의 복원거북선들은 임진왜란 당시의 거북선이라고 설명하면서도 사실상 임진왜란 당시의 거북선의 모습을 재현하지 못하고 있다. 그 예로써 기록과는 다르게 용두(龍頭) 내부에 현자총통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점과 선체 내부에 노군과 전투원이 한 곳에서 활동을 하도록 만들어져 있다는 것 등이다. 이와 함께 거북선이 철갑선인가 하는 의문도 계속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점들이 문제점으로 부각되는 가운데 최근 들어 임진왜란 당시의 거북선을 새롭게 복원하려는 움직임이 일부 학자들 사이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들은 아직까지도 거북선에 관한 정확한 연구 성과가 없다는 것을 의시 이전의 구조로 복원된다면 이는 다시금 논란거리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거북선에 관한 문헌들을 검토하여 몇 가지 고려할 점들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거북선 복원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여기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한계가 있다. 즉 제목에서도 소고(小考)라고 했듯이 조선공학적 차원에서 검토해야 할 전문 분야를 포함하여 체계적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다. 여기서는 다만 거북선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와 문헌들을 토대로 거북선의 구조와 기능을 살펴본 후 거북선 복원시 고려요소를 필자의 주관적 견지에서 제기해 보고자 한다. The Turtle ship is the special type of warship that was invented by Admiral Yi Sun Shin just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rendered great service to destroy enemy ships in naval warfare during the invasion. In modern times, to restore the Turtle ship, progressive experiments from many historians were conducted but since we are not restoring the Turtle ship to proper Japanese invasion era quality, the proper structure of the turtle ship is controversial. In order to settle the problem, with my investigation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turtle ship that are listed in naval tactics and old documents, I surmised under careful consideration to restore the turtle ship. As a result, looking at the tactical sides or pictures of the Turtle ship from old documents gave me a strong belief that the structure of the turtle ship consists of 3 floors.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is structure, the position of the dragon head and iron-clad problems in the rear side will be able to be solved.

      • 임진왜란 시기 안위의 수군활동과 역사적 평가

        제장명(Je, Jang-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0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2

        전북 김제 출신으로 임진왜란 시기 수군 장수로 큰 활약을 한 안위장군은 그동안 세간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것은 조선 수군이 가장 중요한 활약을 한 임진년(1592년)의 해전에 안위가 참전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안위도 다른 장수에 못지않은 전공을 이룬 인물로 평가된다. 난중일기에 이순신과 안위가 접축한 내용이 총 55회나 보일 정도로 이순신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안위는 1594년 거제현령 직을 수행하면서 당항포해전부터 전부장이라는 전투편제로 참가하여 활약하였다. 이후 장문포해전과 원균이 지휘한 칠천량해전에도 참가하였다. 이어서 백의종군에서 복직한 이순신이 지휘한 명량해전에서는 큰 공을 세웠으며, 이후 전라우수사로 진급한 후 노량해전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전투에 모두 참가한 역전의 용장이다. 안위는 당대 조정으로부터 명량해전의 수공자로 인정되었으며, 전후 논공행상 시 선무원종일등공신 중에서도 수위에 기록될 만큼 높게 평가된 인물이다. 조선후기에 들어서 청렴하지 못한 근무태도 때문에 탄핵을 받기도 했지만, 분명 역전의 용장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안위의 활약상을 오늘날 드러내고 그의 업적을 선양할 필요가 있다. 안위를 선양하는 가장 기초적인 작업은 바로 그의 활동상을 드러내어 논문화한 후 일대기를 편찬하는 것이다. 그런 후 기존 인물들의 선양방법과 유사한 형태로 보다 진일보한 단계를 밟아나가는 것이 선양의 바람직한 방법일 것이다. Admiral Ann Wi was born in Gimje, Jeonbuk and he played a great part as a naval commander during the Imjin War. Nevertheless, he has not been well known to the public. It’s because he did not participate in the naval battles in 1592 when the Joseon naval forces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However, he was as great as other commanders and distinguished himself in war. Admiral Yi’s War Diary, Nanjung Ilgi shows that Ann Wi and Yi Sun-shin contacted each other 55 times, which indicates they had a close relationship. He was the local official, Geoje Hyeonryeong in 1594 and participated in Danghangpo Battle as Jeonbujang(前部將) in a military unit organization and played an active part in the battle. Later, he participated in Jangmunpo Battle and the Battle of Chilchonryang, which was led by Won Gyun. He then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Battle of Myeongryang led by Yi Sun-sin, who was reinstated in his former post after fighting as an enlisted soldier. After being promoted to the commander of the Right Jeolla Naval District, he participated in all of the important battles and won come-from-behind victories including the Battle of Noryang. His exploit of Myeongryang Battle was recognized by the royal court and he was awarded rewards according to his merits. He was highly regarded enough to be ranked in the top of the Seonmu Wonjong Ildeung Gongsin(宣武原從一等功臣). Although he was impeached for his corrupt attitude in work in the late Joseon period, he was absolutely honoured as a brave veter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eal his performance and exalt his achievements. The most basic way of enhancement is to uncover his activities in research papers and compile his biography. After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take a more advanced step and enhance his achievements in a similar manner to the way the existing figures were enhanced.

      • 임진왜란 終戰後 李舜臣 幕下人物의 활동

        제장명(Je, Jang Myu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6 이순신연구논총 Vol.- No.7

        This researh is conducted to find out activities of Admiral Yi s officers who played important part during the Imjin-Waeran(1592~1598), and how government of Joseon dynasty estimated those figures. For the research, we divided Admiral Yi s subordnate into three group. The fisrt, activities of those who worked with Admiral Yi when he was commander in chief of navy of Jeolla left province. The second, Activities of Yi sun-sin s staffs and their descendants. And the third, Activities of officers who carried out the war under Admiral Yi s command during Jungyou-Jaeran(1597~1598, Janpanese second invasion). we can find out that some of Admiral Yi s subordinates did not work in the government, and lived a life in seclusion, But many of Yi s subordinate were appointed in high position in the millitary, and played the important role. Yi s men carried out their duty as an army commander, as well as navy commander faithfully, and goverment of Joseon dynasty also set a high value on their millitary merits. Especially, Lee sun-sin(李純信) and Kwon jun(權俊) was appointed as a meritorious retainer and You hyung(柳珩), Woo chi-juck(禹致績) and Lee woon-ryong(李雲龍) played important part in the millitary, as navy commander of three province and other key positions

      • 광복 직후 이순신 선양과 표준 영정의 봉안

        제장명(Jang-Myeong Je)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7

        어느 국가나 영웅을 기리는 행위를 통해 국민통합을 이루고 자 한다. 영웅 선양사업은 정권의 체제유지와 긴밀한 연관을 갖고, 국민들의 의식과 정서에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한국 역사상 가장 존경받는 영웅으로 이순신 장군을 손꼽는데는 이견이 없다. 이순신은 임진왜란 이후 우리나라 역사에서 꾸준히 기억되어 왔으며, 오늘날 우리나라 최고의 영웅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일제로부터 광복한 직후 이승만 정권 시기를 중심으로 이순신 선양사업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정리해 보았다. 특히 당시는 광복 직후의 혼란기였고, 6·25전쟁이 있었던 국가 위기 상황이었다. 어느 때보다 국민 통합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이순신은 통치에 가장 유용한 수단으로 기능하였다. 이승만 정권의 이순신 선양 배경에는 반일과 반공이라는 두 가지 이데올로기가 있었다. 이 논리를 뒷받침하기 위해 이순신 기념활동의 제도화가 다방면으로 추진되었다. 특히 충무공기념사업회가 조직되어 이순신 선양활동을 활발히 전개해 나갔다. 이승만도 직접 이순신 전적지를 참배하고 각종 기념식과 동상 제막식 등에 참석하였다. 충무공기념사업회가 주관하는 각종 선양활동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이순신 상(像)도 새롭게 형성되었고, 나아가 오늘날 표준 영정도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요컨대, 이순신이라는 역사적 영웅에 대한 선양활동은 국가체제 유지에 가장 유용한 수단으로 기능하면서 국민 통합을 이루는 데 핵심적 기능을 수행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Any country seeks to achieve national unity through acts of honoring heroes. The hero promotion project is closely related to the maintenance of the regime and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nsciousness and emotions of the people. There is no doubt that Admiral Yi Sun-sin is the most respected hero in Korean history. Yi Sun-sin has been steadily remembered in Korea's history sinc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is recognized as Korea's best hero today. This paper summarized how the Yi Sun-sin promotion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focusing on the Rhee Seung-man regime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particular, at that time, it was a period of confusion right after liberation, and it was a national crisis situation where there was the Korean War. At a time when national unity was more required than ever, Yi Sun-sin served as the most useful means of governance. There were two ideologies behind the Rhee Seungman regime's promotion of Yi Sun-sin: anti-Japanese and anti-communist. To support this logic, institutionalization of Yi Sun-sin's commemorative activities was promoted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the Chungmu Gong Memorial Association was organized to actively promote Yi Sun-sin. Rhee Seungman also visited Yi Sun-sin's battlefield and attended various ceremonies and statue unveiling ceremonie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various enhancement activities organized by the Chungmu Gong Memorial Association, Yi Sun-sin's statue was newly formed, and furthermore, today's standard portrait was also made during this period. In shor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motion activities of Yi Sun-sin, a historical hero, performed a key function in achieving national unity while functioning as the most useful means for maintaining the national system.

      • 이순신과 경상좌수사 이운룡

        제장명(Jang-Myeong Je)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3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8

        임진왜란 시기 수군 활동에 있어서 이순신을 도운 주변 인물들의 활동도 전쟁 극복에 큰 기여를 하였다. 본고에서는 임진왜란 시기 경상좌수사를 역임하여 전쟁 극복에 힘쓴 이운룡(李雲龍)의 활동상을 이순신과의 관계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운룡은 임진왜란 시기 경상우수사 휘하 옥포 만호, 웅천 현감을 거쳐 경상좌수사로서 수군활동을 수행하였다. 좌수사 이순신과 잦은 접촉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다가 이순신과 최초로 접촉을 한 시점은『난중일기』의 기록을 볼 때 1594년 1월 20일이었다. 이때는 이운룡이 웅천 현감이었을 때다. 이순신과 이운룡이 접촉을 했지만 초기에는 거의 단순한 만남 위주였다. 그러다가 날이 갈수록 이순신과 접촉 빈도가 잦아들면서 함께 활도 쏘고 식사와 놀이도 함께 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중요한 업무와 전투 참전도 이루어졌다. 이러한 접촉 기록이『난중일기』에 보면 모두 51회이다. 이후 경상좌수사로 부임한 이운룡은 한산도와 경상좌도 사이에 일본군의 점령지가 가로막혀 있어서 직접 접촉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통제사 이순신의 지침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경상좌도의 전쟁 상황에 맞춰 명군 지휘부와 도원수 및 도체찰사 등의 지시에 따라 활동해야 했다. 그는 소수의 전력으로나마 제1, 2차 도산성 전투에서 나름의 활약을 하였다. 요컨대 이순신과 이운룡은 소속은 달랐지만 임진왜란 초기부터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해전 승리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리고 한산도에 통제영 행영을 설치하면서부터 둘 사이가 밀접해 짐에 따라 상호 인간관계가 돈독해 진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이순신은 이운룡의 능력과 인품을 인정하여 경상좌수사로 천거함에 따라 이운룡이 큰 활약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During the Imjin War(1592~1598), the activities of the surrounding figures who helped Yi Sun-sin also contributed greatly to overcoming the war. In this paper, we looked at Lee Un-ryong's activities in terms of his relationship with Yi Sun-sin, who worked as a Gyeongsangjwasusa(慶尙左水使) during the Imjin War(1592~1598). During the Imjin War(1592~1598), Lee Un-ryong served as a naval officer as a commander of the Gyeongsang-Jwasusa(慶尙左水使) through Okpo Manho(玉浦萬戶) and Ungcheon hyungam (熊川縣監). Lee Woon-ryong was born in 1563 and is 18 years younger than Yi Sun-sin. In the early days of Imjin War(1592~1598), he was a key subordinate of Gyeongsang-Wususa(慶尙右水使) Won Gyun, As a result, in the early days, he did not show frequent contact with Jeolla-Jwasusa(全羅左水使) Yi Sun-sin. Then, the first contact with Yi Sun-sin was on January 20, 1594, when looking at the records of “Nanjung Ilgi.” This was when Lee Un-ryong was the Ungcheon hyungam. Yi Sun-sin and Lee Un-ryong made contact, but in the beginning, they were mostly simple meetings. Then, as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Yi Sun-shin decreases as the days go by, you can see him shooting arrows, eating and playing together. And important work and combat participation were also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Nanjung Ilgi, these contact records are 51 times in total. Lee Un-ryong, who was later appointed as Gyeongsang-Jwasusa, was unable to contact directly because the Japanese military's occupied area was blocked between Hansando Island and Gyeongsang-jwado (慶尙左道). Therefore, it was not necessary to follow the guidelines of controller Yi Sun-sin, but to operat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Myeonggun command, the head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the conductor in accordance with the war situation in Gyeongsangjwa-do. He played his own role in the first and second battles of Dosan-Fortress(島山城), even with a small number of troops. In short, Yi Sun-sin and Lee Un-ryong had different affiliations, but contact was made from the beginning of the Imjin War, contributing greatly to the victory of the naval battle. In addi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mutual human relationship has become stronger as the two have become clos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rol management center on Hansan-Island(閑山島). In addition, Yi Sun-sin recognized Lee Un-ryong's ability and personality and recommended him as a Gyeongsangjwasusa, allowing Lee Un-ryong to play a great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