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사법에 있어서 헌법합치적 법률해석의 의미와 한계

        정진명 한국민사법학회 2018 民事法學 Vol.82 No.-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law has been developed for a long time in connection with the constitution, legal theory and the theory of public law, and its legitimacy is based on the unity of the constitutional superiority and the legal order within the scope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Recently,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law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for the constitution to function as a control and recognition norm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private law as a means of realization of fundamental rights. ‘Drittwirkung,’ based on the constitutional system of values, has a very wide range of normative effects of the Constitution in the way of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law.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law to abstract and conceptual private law is reflected in the area of family law and common law, and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the effect of violation of law act are discussed. But the private law is unlikely to be interpreted unconstitutionally due to the uniqueness of the legal system. In addition, interpretation beyond the words of the legal text and the will of the legislator is ineffective. As a result, the application of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law was relatively small in the private law system. 헌법합치적 법률해석은 오랫동안 헌법, 법이론 및 공법 이론과 관련을 맺으며 발전하여 왔으며, 그 정당성은 헌법 해석의 범위에서 헌법 우위와 법질서의 통일성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헌법합치적 법률해석은 “기본권의 방사적 효력”의 실현수단으로서 사법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 헌법을 통제 및 인식규범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즉 헌법의 가치체계에 기초한 기본권의 “간접적 제3자효”는 헌법합치적 법률해석의 방식으로 헌법의 규범적 효력을 사법에 매우 광범위하게 관철시키고 있다. 헌법합치적 법률해석은 추상적이며 관념적인 사법에 대해서는 가족법과 관습법영역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평등의 원칙과 비례의 원칙, 법률행위 방식 위반의 효력 등에 대하여 다루어지고 있다. 다만, 사법은 법체계의 독자성과 고유성으로 인하여 위헌적인 해석가능성이 많지 않으며, 또한 법조문의 문언과 입법자의 의사를 넘는 해석은 그 효력이 없으므로 사법에 대해서는 헌법합치적 법률해석의 적용이 상대적으로 적다. 헌법의 규범적 효력은 불확정한 법개념이나 일반조항을 통하여 사법에 적용되어 왔지만 헌법합치적 법률해석은 헌법이 “우위규율”로서 사법에 대한 일반적인 해석원칙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전제에 터 잡고 있다. 그러므로 사법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 헌법합치적 법률해석의 본질적 의미와 해석의 한계를 명확히 밝힐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헌법합치적 법률해석을 법률의 규범통제와 관련하여 헌법해석의 테두리 안에서 다루고 있는 헌법학자들의 입장과 달리 법규범의 해석과 적용을 논리적 고찰의 대상으로 하는 법학방법론의 입장에서 헌법합치적 법률해석의 의미와 한계를 검토해 보았다.

      • KCI우수등재

        블록체인 기술과 개인정보 보호의 법률문제

        정진명 법조협회 2019 法曹 Vol.68 No.2

        Legal problems related with blockchain arise from the blockchain technology itself. The blockchainin technology is characterized by password protected transaction information, persistent storage, non–changeable, time-tracking, and distributed verification. However, decentralization, immutability, and irreversibility, which are features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can be a significant barrier to privacy practices. For these reasons, an alternative is needed to find a balance between the use of blockchain technology and privacy practices. In the blockchain, the transac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a distributed manner among a plurality of nodes. In this case, whether transa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 chain corresponds to personal information is a problem. If the transac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personal information, It raises questions of how the information subject can exercise the rights specifi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Regulations in relation to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 chain and whether the block chain technology protects personal information is possible or not. Furthermore, in the case where a block of personal information is applied to a blockchain, it is a question of who is to exercise the rights specifi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rule and who should perform various compliance according to the protection policy. The main reason why the blockchain technology generates legal problems in relation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rule is that the curr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rule is composed of a discipline system based on the existence of a centralized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organization such as a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 And the blockchain is based on a decentralized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input to the block is distributed and stored. In addition, privacy policy protects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the protection of information anonymization, while blockchain technology secures transaction transparency through mutual authentication, and therefore access to information is differen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collision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rules that can be caused by the blockchain technology, and to suggest a solution. 블록체인 관련 법률문제는 블록체인 기술 자체에서 발생된다. 블록체인 기술은 거래정보를 암호로 보호하고, 영구적으로 저장하며, 변경을 허용하지 않으며, 시간 추적이 가능하며, 그리고 참여자에 의하여 검증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블록체인 기술이 가지는 거래정보의 영구적 저장, 불변경성, 그리고 투명성 등의 장점은 오히려 개인정보 보호에 장애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사유로 인하여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사이의 균형점을 찾기 위한 노력들이 요구되고 있다. 블록체인은 거래정보를 다수의 컴퓨터에 분산하여 저장하는데, 이 경우 블록체인에 저장된 거래정보가 개인정보에 해당하는지, 거래정보가 개인정보에 해당할 경우에 정보주체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대하여 어떤 방법으로 개인정보 보호 규범에 규정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지, 그리고 블록체인 기술은 기술설계를 통하여 개인정보 보호 규범을 준수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문제된다. 나아가 블록체인 기술에 개인정보 보호 규범이 적용되는 경우에 개인정보 보호 규범에 규정된 권리를 행사할 상대방이 누구인지, 보호 규범에 따른 다양한 준수사항을 이행해야 할 주체가 누구인지가 문제된다. 이 연구는 블록체인 기술이 야기할 수 있는 개인정보 보호 규범과의 충돌문제를 고찰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블록체인 기술 중에서 개인정보 보호 규범과 충돌이 예상되는 공개형 블록체인의 기술 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블록체인 기술이 개인정보 보호 규범에 대해서 야기하는 다양한 법률문제들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등가성 장애에 관한 연구 -독일법의 논의를 중심으로-

        정진명 한국민사법학회 2013 民事法學 Vol.62 No.-

        Contract extinction is the ultima ratio that could be allowed in a casewhere proper contract benefits do not exist to each contracting party anymore. Contract extinction is determined by testing whether contractbenefits exist or not. Contract extinction include two types: rescission ofcontract and cancellation of contract. Rescission is to aim to putcontracting parties in the original positions before contract, consideringchanges of circumstances. Rescission applies only to a contract that couldbe performed in a short period of time. On the other hand, cancellation is to terminate contract relations in thefuture in a contract that should be performed continuously for certainperiod of time. However, the principle of pact sunt servanda should beobserved. The change of contract on special conditions must be recognizedonly in an exceptional case. Contracting parties are required to performoriginal obligations. Equivalence of contract is breached if a change ofcontract is allowed. Equivalence obstacle belongs to risk of contract whichcontracting parties should undertake. Amendment of equivalence obstacle,therefore, has exceptional characteristics. Two circumstances that couldlead to amendment of contract are 'change of circumstances' in contractand 'important circumstances' in cancellation.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legal regulation on contract extinctionfrom the point of view of change of contract. Especially, the 2009 civilcode proposals include the general regulation on cancellation and theprinciple of change in circumstance.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 of equivalence obstacle, the standard of equivalence obstacle, and especially,equivalence obstacle as a justification of cancellation of contract.

      • KCI등재

        계약해제시 원상회복의무의법적 성질

        정진명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42 No.3

        A contractual termination is a legal system in which a contracting party terminatesa contractual relationship if one party can no longer expect the payment to befulfilled due to the other party’s default. If the contract is terminated, the right toclaim for the benefit of the other party will be extinguished and the obligation topay the benefit will be waived. As a result, If the parties have not yet fulfilled thebenefit, it is not necessary to fulfill the benefit, and If the benefit has already beenpaid, the benefit received should be returned to the original cost. In this case, thequestion arises as to the legal nature of the obligation of the parties to return thebenefits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In the case of Korea, the legal nature of the obligation to restitute the originaldue to the termination of the contract is regarded as a special rule of unfairadvantage. However, the obligation to restitute is associated with the legal action ofthe contracting party, called the exercise of the right of termination. In other words,the liquidation of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for restitution is to clear the restituteobligation through the legal act of declaration of termination, not to clear the restituteobligation because there is no legal cause in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Thus, theclaim that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due to the termination of the contract is aspecial return of the unjust gain is a matter of the theoretical premise itself. The legal problems of Korean customs and lawsuits are that they limit the effectof the termination of the contract to the creditor’s effect and do not take intoaccount the position of the legislator admitting the obligation to recover damages andthe obligation to recover the default. This is the reason why we have counted theGerman doctrines surrounding the retroactive effect.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the duty to restitute the original in the GermanCivil Code and the Japanese Civil Code which became the model of the KoreanCivil Code, and then examine the legal nature of the duty to restitute the original inKorea. 계약해제는 계약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의 채무불이행으로 인하여 급부의 이행을 더 이상 기대할 수 없는 경우에 계약관계를 종료시키는 법적 제도이다. 계약이 해제되면 상대방에 대한 급부이행청구권이 소멸하고 자신이 부담하는급부의무도 면한다. 그 결과 계약당사자는 급부를 아직 이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급부를 이행할 필요가 없고, 급부가 이미 이행된 경우에는 수령한 급부를원상으로 반환하여야 한다. 이 경우 계약당사자가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급부를 원상으로 반환하여야 할 의무의 법적 성질이 무엇인지 문제된다. 우리나라의 통설과 판례는 계약해제로 인한 원상회복의무의 법적 성질을부당이득의 특칙으로 본다. 그러나 원상회복의무는 해제권 행사라고 하는 계약당사자의 법률행위와 결부되어 있다. 즉 원상회복을 위한 계약관계의 청산은 해제의 의사표시라는 법률행위를 개입시켜 반환채무를 지우는 것이지 계약관계에 법률상 원인이 없기 때문에 반환채무를 지우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계약해제로 인한 원상회복이 부당이득반환의 특칙이라는 통설과 판례의 주장은 그에 대한 이론적인 전제 자체가 문제로 된다. 우리나라의 통설과 판례가 가지고 있는 법적 문제는 계약해제의 효과를 채권적 효과에 한정하고, 채무불이행에 대한 손해배상의무와 원상회복의무의 병존을 인정한 입법자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계약해제의 소급효를둘러싼 독일의 학설을 계수한데 그 원인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 민법의모델이 된 독일민법에서의 원상회복의무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살펴본 다음,우리나라에서의 원상회복의무의 법적 성질을 법리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정보보호 키워드 기반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

        정진명,박영호,Chung, JinMyeong,Park, YoungHo 한국산업정보학회 2022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7 No.5

        With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social issues are communicated through digital-based platform such as SNS and form public opinion.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big data from Twitter, a world-renowned social network service, and find out the public opinion. After collecting Twitter data based on 14 keywords for 1 year in 2021, analyzed the term-frequency and relationship among keyword documents wit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Data-mining Technology. Furthermore, the 6 main topics that on the center of information security field in 2021 were derived through topic modeling using the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techniqu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especially finding key agenda when establishing strategies for the next step related industries or establishing government policie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암호화폐의 민사법적 문제

        정진명 한국민사법학회 2022 民事法學 Vol.98 No.-

        Recently, as cryptocurrencies such as Bitcoin and Ethereum are recognized as investment and payment methods, social interest in cryptocurrencies is increasing. The reason is that cryptocurrency has a strong socio-economic influence as a new concept of goods that was not planned in the existing legal system, and above all, cryptocurrency provides various conveniences to users as a means of investment and payment. However, cryptocurrencies have high price volatility, lack of supply elasticity, and there is also the risk of illegal transactions due to the absence of pseudonymous guarantees and state control for users. Even though cryptocurrencies are exposed to social concerns and transactional problems, there ar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regulating the existing legal system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ryptocurrencies. Cryptocurrencies exist independently online, and there is no question that they have property status that can be held and used in transactions, and furthermore, investment is possible. However, it is not yet clear how to understand cryptocurrency, what discipline is required for cryptocurrency trading, and whether legal regulation of cryptocurrency is possible. Therefore, the issue of the legal status in civil law, which is the basis of private transactions, has become a key issue in the discussion of cryptocurrencies. In this article, the issues in Civil Law were reviewed with a focus on Bitcoin, a representative cryptocurrency. That is, what is the legal nature of cryptocurrency, what type of contract that uses cryptocurrency as the object of payment is considered, and what is the effect of the payment implemented in cryptocurrency was reviewed. 최근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같은 암호화폐가 투자 및 지급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암호화폐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이유는 암호화폐가 기존 법체계에서 예정하지 못했던 새로운 개념의 재화로서 사회경제적으로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암호화폐가 투자 및 지급수단으로서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암호화폐는 가격 변동성이 크고, 공급 탄력성이 부족하며, 이용자에 대한 가명 보장과 국가 통제의 부재로 인하여 불법 거래의 위험성도 있다. 이처럼 암호화폐는 사회적 관심과 거래상의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음에도 암호화폐의 고유한 특성들로 인하여 기존의 법체계로 이해하고 규율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암호화폐는 온라인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이를 보유하고 거래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투자가 가능한 재산적 지위를 가진다는 점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암호화폐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 암호화폐 거래에는 어떠한 규율이 필요한지, 그리고 암호화폐에 대한 법적 규제가 가능한지에 대해서 아직 명확하게 규명된 것이 없다. 따라서 사적 거래의 기초가 되는 민법상의 법적 지위에 대한 문제가 암호화폐에 대한 논의의 핵심 쟁점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민사법적 문제를 검토하였다. 즉 암호화폐의 법적 성격이 무엇인지, 암호화폐를 급부의 목적물로 하는 계약 유형을 무엇으로 볼 것인지, 그리고 암호화폐로 이행한 급부의 효력은 어떠한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SCOPUSSCIEKCI등재

        Parkinsonism을 주증상으로 한 션트 기능부전증 : 증례보고 Case Report

        정진명,조병규,황용승 대한신경외과학회 199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19 No.6

        Although extrapyramidal features in normal pressure hydrocephalus(NPH) are not uncommon, presentations with Parkinson's syndrome as the predominant feature are rare, especially in children, and may give rise to diagnostic difficulties. We presents a case of NPH manifested by Parkinson's syndrome cured by shunt revision. The patient had the long history of Parkinson's syndrome not responded by drug therapy. Failure of patients with parkinsonism to respond to therapy, should alert one to the possibility of shunt malfunction and NP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