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수양개 VI지구 4문화층의 후기구석기 초기 돌날기술체계 연구

        이헌종,우종윤,이융조 한국박물관학회 2020 博物館學報 Vol.- No.39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lithic complex in the 4th cultural layer of Suyanggae Loc. VI, it is possible that it is a workshop for acquiring blades and making tanged point. The three main attributes within this technological system are: 1) a bifacial flaking system seen in a discoidal core with vestige of Levallois technology 2) the emergence of the sub-wedge shaped core making technique 3) the change in the technical system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lade core and blade represents the that indicates the early stage of the Upper Paleotithic period.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ade technological system and lithic industry of the 3rd and 4th cultural layers show the change of the blade technological system of this site, making it possible to verify the changes in the existing stone tool manufacturing system of modern humans in Northeast Asia. Therefore, the absolute dating and this aspect of the lithic complex of 4th cultural layer shows some of the technological system of the IUP which is based on the early blade technology and the remains of the Levallois techniques. The variant of lithic industry shows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Kara-Bom variant of Altai. More precisely, it can be shown as the last stage of the IUP, with some remains of Levallois technology, rather than a typical pattern of the IUP. According to the recent research,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traditional concept of IUP to various regions of Asia, which simply incorporates both chronolog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us, In order to comprehensively explain this period in Asian continent,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chronology of IUP with ‘Three IUP Variants Model’: 1) Variant I: Traditional IUP region, 2) Variant II: IUP hybridization region, 3) Varient III: Conservative region. This model is possible to broadly setting the various cultural features of the IUP from the Middle-Upper Paleolithic transition to the Upper Paleolithic. In addition, it will be helpful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emergence of modern humans, the diversity of stone tool production systems, and the convergence process of regional industries. Especially, for the interpretation of Variant II, It is necessary more detail studies on the 4th cultural layer of Suyanggae Loc. VI and the early stages of UP in Korea. Research in the early stages of the IUP in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of China, including Inner Mongolia, should also be conducted from this perspective. 수양개 VI지구 4문화층 석기군은 돌날 확보와 슴베찌르개 제작을 위한 석기제작소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문화층의 기술체계 내에서의 주요 세 가지 속성 즉, 1) 원판형 몸돌에서 보이는 양면박리체계와 르발루아 기술의 잔재 2) 측면몸돌 제작기술의 등장 3) 돌날몸돌과 돌날의 크기에 따른 기술체계의 변화 등은 후기구석기시대 이른 단계를 말해주는 특징이다. 특히 3, 4문화층의 석기문화의 성격은 이 유적의 돌날기술체계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어서 기존의 동북아시아 현생인류의 석기제작 체계의 변화에 대한 많은 검증을 가능하게 한다. 4문화층의 절대연대와 석기군의 양상을 통해서 보면 초기 돌날기술체계를 기반으로 하면서 르발루아 기술의 잔재가 남아있는 후기구석기시대 초기(IUP) 돌날석기문화의 기술체계를 보여주고 있다. 석기문화의 유형은 북아시아 알타이의 카라봄 유형과 유사한 특성을 보인다. 좀 더 엄밀히 말하면 전형적인 후기구석기시대 초기의 양상이라기보다 르발루아 기술의 일부 잔재를 갖고있는 후기구석기시대 초기의 마지막 단계로 볼 수 있다. 최근 연구는 단순히 편년과 문화적 특성을 함께 내포하고 있는 전통적인 IUP의 개념을 동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에 동일하게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말해준다. 따라서 아시아적 시각으로 이 시기를 통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아시아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중기-후기의 전환기와 후기구석기시대 초기의 문화상을 1) I 유형: 전통적인 IUP지역, 2) Ⅱ 유형: IUP 융합지역, 3) Ⅲ 유형: 보수적 지역으로 나눈 ‘ 후기구석기 초기 세 유형 모델(Three IUP Variants Model)’을 활용하는 것이 이 시기의 석기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 모델은 아시아의 중기-후기 전환기에서 후기구석기시대의 시작 시기의 다양한 문화상을 폭넓게 IUP로 설정하고 문화상을 세분화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현생인류의 등장, 석기제작체계의 다양성과 융합과정 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용이하다. 특히 수양개 Ⅵ지구 4문화층은 Ⅱ 유형의 해석에 많은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보다 세밀한 해석을 위해서 수양개 Ⅵ지구 4문화층과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이른 단계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중국 내몽고 지역을 비롯하여 중북부 지역의 후기구석기시대 이른 단계의 연구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전남지방 후기갱신세 주먹도끼의 다양성 연구 - 증산유적을 중심으로 -

        이헌종,김정배 호남고고학회 2022 湖南考古學報 Vol.72 No.-

        후기갱신세에 접어들면서 석영제 석재를 활용한 우리나라 구석기시대의 특징적인 자갈돌석기전통의 석기군에 다양한 기술형태적 변화가 나타난다. 특히 중기구석기시대에서 후기구석기시대로 전이되는 과도기와 후기구석기시대 이른 시기에 잘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인류의 등장과 다양한 석재의 활용, 그리고 새로운 석기제작기법들로 인해 그 다양성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발굴된 전남지방의 후기갱신세의 늦은 단계에 해당하는 유적에서 이 시기의 지표석기인 주먹도끼가 다수 출토되었으며 전통적인 주먹도끼에서의 정체성과는 다른 형태와 기술전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창 증산유적을 비롯한 전남지역의 주먹도끼를 분석하여 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다. 1) 석기제작 과정에서 새롭게 채택된 석재 변화, 2) 석기의 크기가 중·대형에서 중·소형으로 변화, 3) 석기가 두꺼운 소재 이용에서 격지나 판석 등을 현명하게 이용하는 구조로의 변화 4) 첨두형주먹도끼와 같은 특정한 형태의 주먹도끼 비율의 증가 5) 전형적인 형태를 추구하기보다 석기의 기능에 충실한 박리체계를 운용하는 양상이 확인된다. 이러한 변화의 속성들은 당시 석기제작자들의 지역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지화(Lithic Localization) 또는 다양성(Diversity)과 깊게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 무안 피서리구석기유적의 지질.고고학적 특성

        이헌종,정철환,박성탄,Lee, Heon-Jong,Chung, Chull-Hwan,Park, Sung-Tan 한국제4기학회 2010 제사기학회지 Vol.24 No.2

        무안 피서리유적은 최근 서남해안 일대에서 확인되고 있는 구석기시대 유적들에 대한 의미 있는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무안 피서리유적에 대한 층위 및 지질학적 분석결과는 토양쐐기의 특성이 토양의 굳기나 토양내부의 성분 함량 및 고지표면의 기복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해주고 있다. 피서리유적에서 중기 구석기 늦은 단계 또는 후기 구석기 이른 단계의 석기들이 함께 출토되었는데 이는 이들 석기가 산출되는 문화층이 최대 빙하 발달시기 이후에 형성되었다는 것을 고려해 볼 때 활발한 침식과 재퇴적에 의해 여러 시기의 유물이 함께 재퇴적된 결과일 가능성을 지시해 주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구석기 유물의 분포와 토양쐐기와 같은 토양층의 특성은 고지표면의 기복 및 기후환경과 같은 자연환경적 조건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The Piseo-ri site in Muan provides significant data in investigation on the Paleolithic sites i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Stratigraphic and geological analysis indicates that the characteristic of soil wedge can vary in accordance with soil property and relief of paleo-surface. Considering that the cultural layer was deposited after the Last Glacial Maximum, co-occurrence of the late Middle to early Upper Paleolithic stone tools suggests a possibility of redeposition of different ages resulted from active ero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Paleolithic tools and the property of soil wedge could be controll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relief of paleo-surface and climate.

      • KCI등재

        바이칼지역 후기구석기시대 세형돌날문화의 기술·형태적 특성과 주변지역과의 비교 연구

        이헌종,손동혁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6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0 No.1

        The first appearance of microblade industry in Baikal region can be assumed between 60-30ka. However, the stone tool group of micro core was not yet confirmed by techno-typological, and due to microblade core was found separately, additional group needs to be confirmed. Microblade industry which based on well formed micro core can be separated by first(20-15ka) and second (15-10ka) period. First period of microblade industry in Baikal region was mainly found wedge type core, and most of the stone were produced using long and thick blade as well as flake. This period is less quantity of microblade core, and also active use of microblade is not invisible. However, the range can be regarded as a step in the expanding process. Various microblade core has been excavated in second period such as wedge type core based on the bifacial flaking system, sub-wedge core, prismatic core, micro core have an indeterminate form etc. Stone group is similar to first period but smaller, and hunting tools like harpoon and leaf shape point a lot of appear is the character. Like this, in the appearance of ancient microblade core, microblade industry in Baikal is later than Yenisei basin, but earlier than Selemdga industry. However the appearance of typical microblade culture is assumed later than Selemdga indusrtry, but about same or bit earlier. The phase of Stone group is getting smaller as time goes to later period. But usage of special stone tool as point, end scraper, harpoon are marked, burin's usage is not really showing like in Yenisei basin and Selemdga industry. Also, micro core strongly keeps wedge type core until very end of the UP like Yenisei basin, but we can say it is following trend of North-East Asia. 바이칼지역의 세형돌날문화가 처음 등장하는 시기는 관점에 따라 약 60-30ka의 어느 시점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아직 기술·형태적으로 이 세형몸돌의 석기군이 확인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세형몸돌이 발견되어 추가적인 석기군의 확인이 필요하다. 체계화된 세형몸돌을 기반한 세형돌날문화는 세형돌날문화 1기(20-15ka)와 2기(15-10ka)로 구분된다. 바이칼지역의 세형돌날문화 1기에서는 쐐기형 세형몸돌을 주로 만들어 사용하였고, 대부분의 석기들은 격지와 길고 두터운 돌날을 이용해 제작하였다. 이 시기에서는 세형몸돌의 수량도 적고 세형돌날도 적극적으로 이용하려는 모습은 보이지 않지만 사용 범위가 확대되는 과정에 있는 단계라 할 수 있다. 2기에서는 세형몸돌은 양면박리원칙의 쐐기형몸돌을 비롯하여 준 쐐기형, 각주형, 부정형, 간단히 능 조정을 한 몸돌 등 다양한 몸돌이 출토된다. 석기군은 1기와 양상이 비슷하지만 소형화가 더 진행되었으며, 특히 작살이나 잎형찌르개 등의 사냥도구가 많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처럼 바이칼지역의 세형돌날문화는 원시적인 세형몸돌의 출현으로 본다면 예니세이강유역 보다는 늦은 시기에 나타나고 셀렘자문화 보다는 이른 시기에 나타난다. 하지만 전형적인 세형돌날문화의 출현은 셀렘자문화 보다는 늦으며, 예니세이강유역과는 비슷하거나 좀 더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석기군의 양상은 후기로 갈수록 소형화가 진행되는 양상을 보이지만 찌르개나 끝날긁개, 뼈로 만든 작살 등 특정 석기의 사용이 두드러지며 예니세이강유역과 셀렘자문화에서처럼 새기개의 적극적인 사용 경향은 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세형몸돌은 예니세이강유역처럼 쐐기형몸돌이 후기구석기시대 최말기까지도 강하게 유지되지만 동북아시아의 경향성을 따라간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