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飜譯) 및 주석(註釋) : 樸通事新註新譯(二)

        이육화 ( Youk Hwa Lee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1 中國學論叢 Vol.34 No.-

        ≪老乞大≫近二萬字, 分上、下卷。此書以高麗商人來中國經商爲線索, 用對話的形式,表現道路見聞、住宿飮食、買賣貨物等等, 中間揷入一些宴飮、治病的段落。≪樸通事≫的字數近三萬字, 約比≪老乞大≫多三分之一, 分成上、中、下三卷。全書用對話或一人敍述的方式, 介紹中國社會生活的各個方面, 涉及宴會、買賣、農業、手工業、詞訟、宗敎、遊藝、景物等多項內容。兩書的史料價値, 非常之高。正如著名學者楊聯升敎授所說:「從史學看, 有許多難得的關於元、明兩代風俗事物的記載。從語學看, 有흔多珍貴的元末明初的口語史料。」從元代到淸代的≪老乞大≫、≪樸通事≫系列, 是硏究元代到淸代漢語變化寶貴資料。≪樸通事≫與≪老乞大≫同爲高麗、朝鮮兩朝人學習漢語的兩部會話敎科書。關於二書原著者的生平時代, 雖不可詳考,但根據書中文字內容及其他參考資料,仍可大致認定此二書的最初編著年代爲元代, 最初刊行約在公元1346年間(1998年在韓國發現所謂的舊本≪老乞大≫本子, 韓國學者稱之爲≪原本老乞大≫)。傳世的≪樸通事≫主要有三種: ≪飜譯樸通事≫(上; 1517年)、≪樸通事諺解≫(上、中、下; 1677年)和≪樸通事新釋≫(1765年)。其中≪飜譯樸通事≫爲崔世珍對≪樸通事≫所作的諺解, 這是今天所見最早的≪樸通事≫板本, 可惜已經不全(只存上卷, 缺中、下卷)。≪樸通事諺解≫則是朝鮮顯宗時期邊暹、樸世華等十二人對≪飜譯樸通事≫所作的修訂。≪飜譯樸通事≫≪樸通事諺解≫的漢文部分除少數文字有差異外, 內容基本一致, 由於≪飜譯樸通事≫已經不全, 所以本譯註採用≪樸通事諺解≫本爲藍本。崔世珍譯註的≪樸通事諺解≫(原書後所附≪老乞大集覽≫和≪單子解≫, ≪樸通事諺解≫有許多雙行小註), 卽所謂的"夾註")一書, 是一빈"解釋詳明, 徵引繁富"的珍貴資料, 對硏究漢語語言、文化和讀동原文頗有價値。幷且近來韓國、中國、日本等國家的學者, 全面而不同角度對這兩系列書進行硏究, 取得了相當可觀的成績。因此本譯註以≪樸通事新註新譯≫爲題目, 力求在前人硏究的基礎上, 希望有所彌補與進一步發展, 幷給與硏究≪樸通事≫、≪老乞大≫一系列硏究者的小小的推動。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의 타구고(打毬考)

        이육화 ( Lee Youk-hwa ) 중국어문연구회 2016 中國語文論叢 Vol.0 No.76

        In the 94th chapter of Baktongsa eonhae(≪朴通事諺解≫), the so called “da qiu (打毬)” was the popular “chui wan(?丸)” recorded in Song and Yuan Dynasty (宋ㆍ元代) which was similar to the present golf. “fei bang shaor(飛棒杓兒), gunzi(滾子), ying jui(鷹嘴), jiqiqiur(擊起毬兒)” was the club which were used when hitting the golf ball and it was similar to the present golf ball arm. As for the court facilities of “chui wan(?丸)”, it was the same as what is now “woir(窩兒)”, and there were “woir(窩兒)” at every other palace or on flat land or on stairs, which were as same as modern sand trap, deep grass, trees, road and other barriers. What was said in Tnnals of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about “bang xi(棒戱)” or “ji bang(擊棒)” is just “chui wan(?丸)”. This new game liked by palace as well as royal families was spread to common people and it is still spreading among common people as the name of “Jangchigi(장치기)”.

      • KCI등재
      • KCI등재

        번역(飜譯) 및 주석(註釋) : ≪박통사신주신역(朴通事新註新譯)(일(一))≫

        이육화 ( Youk Hwa Lee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1 中國學論叢 Vol.33 No.-

        ≪老乞大≫近二萬字, 分上、下卷。此書以高麗商人來中國經商爲線索, 用對話的形式,表現道路見聞、住宿飮食、買賣貨物等等, 中間揷入一些宴飮、治病的段落。≪朴通事≫的字數近三萬字, 約比≪老乞大≫多三分之一, 分成上、中、下三卷。全書用對話或一人敍述的方式, 介紹中國社會生活的各個方面, 涉及宴會、買賣、農業、手工業、詞訟、宗敎、遊藝、景物等多項內容。兩書的史料價値, 非常之高。正如著名學者楊聯升敎授所說:「從史學看, 有許多難得的關於元、明兩代風俗事物的記載。從語學看, 有흔多珍貴的元末明初的口語史料。」從元代到淸代的≪老乞大≫、≪朴通事≫系列, 是硏究元代到淸代漢語變化寶貴資料。≪朴通事≫與≪老乞大≫同爲高麗、朝鮮兩朝人學習漢語的兩部會話敎科書。關於二書原著者的生平時代, 雖不可詳考, 但根據書中文字內容及其他參考資料, 仍可大致認定此二書的最初編著年代爲元代, 最初刊行約在公元1346年間(1998年在韓國發現所謂的舊本≪老乞大≫本子, 韓國學者稱之爲≪原本老乞大≫)。傳世的≪朴通事≫主要有三種: ≪飜譯朴通事≫(上; 1517年)、≪朴通事諺解≫(上、中、下; 1677年)和≪朴通事新釋≫(1765年)。其中≪飜譯朴通事≫爲崔世珍對≪朴通事≫所作的諺解, 這是今天所見最早的≪朴通事≫板本,可惜已經不全(只存上卷, 缺中、下卷)。≪朴通事諺解≫則是朝鮮顯宗時期邊暹、朴世華等十二人對≪飜譯朴通事≫所作的修訂。≪飜譯朴通事≫、≪朴通事諺解≫的漢文部分除少數文字有差異外, 內容基本一致, 由於≪飜譯朴通事≫已經不全, 所以本譯註採用≪朴通事諺解≫本爲藍本。崔世珍譯註的≪朴通事諺解≫(原書後所附≪老乞大集覽≫和≪單子解≫, ≪朴通事諺解≫有許多雙行小註), 卽所謂的"夾註")一書, 是一빈"解釋詳明, 徵引繁富"的珍貴資料, 對硏究漢語語言、文化和讀동原文頗有價値。幷且近來韓國、中國、日本等國家的學者, 全面而不同角度對這兩系列書進行硏究, 取得了相當可觀的成績。因此本譯註以≪朴通事新註新譯≫爲題目, 力求在前人硏究的基礎上, 希望有所彌補與進一步發展, 幷給與硏究≪朴通事≫、≪老乞大≫一系列硏究者的小小的推動。

      • KCI등재
      • KCI등재

        《雙漸小卿諸宮調》硏究

        李陸禾 중국어문연구회 2001 中國語文論叢 Vol.20 No.-

        "諸富調"라는 문체는 비록 宋朝 ·金朝 두 時期에 한 때를 풍미했지만, 그러나 元朝 이후에는 급격한 衰落과 傳本의 稀少 등의 원인으로 體制조차도 알 수 가 없었다. 王國維가 編壽한《宋元纖曲考》에서 처음으로《董西廂》이 "諸宮調"임을 규명한 후, 오랫동안 끊이지 않았던 논란이 비로소 그치게 되었다. 그 뒤로 비록 부분적인 논란이 제기 되었지만, 그러나《董西廂)》이 諸宮調라는 사실에는 별 다른 異論이 없었다. 現存하는 3개월 諸宮調作品 가운데, 諸宮調의 特性을 가장 잘 보여 주고있고 또한 最古의 作品으로 考證되는《劉知遠諸宮調》는 1901年 發掘이 되고, 1920년경에 日本과 中國에 手 □ 本이 절해지면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金代의 木刻本으로 많은 부분이 毁損되었지만 그 당시 通用되던 口語體와 俗語 그리 고 諸宮調의 발생시기 體制 등의 연구에 획기적인 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이 문헌상의 자료가 크게 부족한 상태에서 새로운 자료의 발굴과 규명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雙漸少卿諦宮調≫ 는 書生인 雙漸과 倡女인 蘇少鄕의 사랑 이야기로 商宋이후 紹興年間(1131-1162)에 널리 유행 演唱되었던 題材이다. 최초로 張五牛가 지은 ≪豫章城雙漸□蘇□≫ 諸宮調를 기점으로 ≪雙漸蘇□≫ 諸宮調 · 金院木의 ≪調雙漸≫ · 傳奇文 ≪蘇少卿≫ 商正淑의 ≪雙漸小漸≫ 등의 많은 관련된 작품들이 宋 · 元代에 걸쳐 존재했지만 애석하게도 失傳되어 볼 수 없고, 다만 우리가 현재 볼 수 있는 것은 楊立薺가 楊玉를 위해 지은 ≪雙漸蘇卿諸宮調≫의 引辭 뿐이다. 대만의 학자인 汪天成은 ≪雍熙樂府≫ 에서 " □蘇卿" "蘇卿" "蘇卿題恨" 등의 제목을 가진 10여 개의 □曲을 고증하여, 그중 8개 □曲 雙漸蘇卿과 관련 있는 引辭나 諸宮調라고 하였고 ≪□蘇鄕諸宮調≫ 등으로 命名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자료들을 근거로 고증하고 귀납하여 ≪雙漸小卿 諸宮 의 遺文을 輯佚하려는 것이다. 이에 먼저 ≪雙漸小卿諸宮調≫의 首創者인 張五牛와 商正叔의 관계, 작품의 형성시기 등을 유추해 보았고, 宋 · 元시기에 널리 애창되어온 본 작품이 지금은 元曲의 □數나 小令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을 뿐이므로 이에 散在되어있는 자료들을 참고하여 本事의 전말과 影響 등을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