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불교의 생명 · 생태 사상과 그 실천 운동

        이도흠(Lee, Do-Heum)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1 No.-

        전 지구 차원의 환경 위기를 맞아 한국불교는 어떤 대안이나 지혜를 제시할 수 있는 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의상의 시간관을 생명론과 결합하면, 생명이란 구세(九世)의 업(業)에 따라, 기존의 경험과 기억과 업이 축적되어 DNA 사슬에 유전 정보가 새겨진 몸에 식(識)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다른 생명체 및 자연환경과 서로 조건이 되면서 상호작용을 하는 에코시스템 속에서 잠시나마 가유(假有)의 가합태(假合態)로서 오온(五蘊)을 형성하여 대사(代謝)를 하면서 현재의 삶에서 경험한 기억과 지은 업을 유전자와 알라야식에 담아 종족보존을 위한 자기 복제를 하는 가운데 서서히 진화하면서 윤회를 되풀이하는 유기체다. 원효의 화쟁철학을 응용하면, 모든 생명은 서로 하나도 아니고 둘도 아닌 관계다. 모든 생명은 선형적으로 서로 조건이 되는 것이 아니라 역동적으로 서로 조건이 되고 영향을 미쳐, 원인이 결과가 되고 결과가 다시 원인이 된다. 씨 스스로는 공(空)하지만, 땅에 떨어지면 싹이 나고 잎이 나고 꽃이 펴서 사과를 맺는 것처럼, 이 생명은 저 생명의 먹이가 되어 다른 생명을 살게 한다. 에코 시스템 속에서 공(空)이 생멸변화의 조건이 되고, 이 때문에 생태계의 순환과 균형이 가능해진다. 원효의 진속불이(眞俗不二)를 생태론으로 응용하면, 죽고 사라져 가는 생명의 아픔을 자신의 생명과 서로 상호작용을 하고 서로 조건이 되고 의지가 됨을 깨닫고 자신의 아픔처럼 공감(共感)하는 것이다. 죽고 병드는 생명들을 보면서 마치 내 몸이 죽고 병드는 것처럼 아픔을 공유하는 순간 내 몸 안에 자리하던 불성(佛性)이 드러난다. 이것이 생태계에 대한 깨달음의 눈이요[圓成實性], 이 순간 깨달은 자와 깨닫지 못한 자가 둘이 아니요 하나요, 중생이 곧 부처다. 이런 한국불교의 생태적 인식은 현재에까지 계승되어 도법과 수경 스님을 중심으로 강력하게 실천되고 있다. 도법과 수경스님이 펼친 생명?생태운동 및 평화운동은 무엇보다도 국민과 시민운동 진영에 생태적 패러다임과 삶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앞으로 이 운동은 개인의 깨달음과 시스템 및 체제의 개혁을 종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언제든 제국과 자본주의, 토건카르텔의 탐욕에 포획될 수 있기 때문이다. We face a global environmental crisis. Korean Buddhism offers the world wise and practical alternatives with which to meet this challenge. Addressing this possibility, this essay applied the Korean Buddhist philosophy of Wonhyo, Euisang, and Deahyun to ecology. It also examined the prospects and limitations of the practices that Reverend Dobeop and Rev. Sugyeong actively implemented in their life advocacy and environmental movements in the twenty-first century.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neither-the-same-nor-different (bul-ilbul-i)” contained in Wonhyo’s philosophy of Hwajaeng (和諍, harmonization) Buddhism, we can explain the connection between living beings and nature. The application at this point of Wonhyo’s “Discourse on the Non-Duality of Truth (Buddha) and Convention (sentient being)” opens a path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firmly establish a system of life ethics. The ecological movement, the peace movement, and the lives of Rev. Dobeop and Rev. Sugyeong have rendered many contributions. Firstly, these movements opened up new prospects for citizen movements through their exploration of ecological paradigms and the concept of an ecological lifestyle. Secondly, these movements offered an opportunity to link the Buddhist thought of life and theory of interdependent arising to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and to find a solution through that connection. Thirdly, these movements converted the cases of the Saemangeum development and the Four Major Rivers project into a social discourse regarding environmental and lifestyle issues. Fourthly, these movements promulgated the value of life. Fifthly, these movement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Korean people to engage in a form of communal self-reflection. Lastly, Rev. Dobeop’s community movement presents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model to a modern society. However, these movements demand certain improvements as well. For one, there is a need for the synthesis of systemic or structural reform and individual enlightenment. If we are compelled toward an awakening to the fundamental oneness of all creation through a conscientious social reformation, then at that time the enlightenment of the individual might make possible the simultaneous awakening of the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 문학에서 타자의 재현과 타자성의 구현

        이도흠 ( Lee Do Heum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 Vol.0 No.73

        필자는 한국, 중국, 일본 문학에서 타자로서 일본인과 한국인, 중국인을 재현한 양상과 타자성(alterity)를 도모한 것에 대해 박경리의 ≪토지≫, 모옌(莫言)의 ≪홍까오량가족≫, 오에 겐자부로의 ≪만엔 원년의 풋볼≫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박경리가 ≪토지≫에 설정한 동일성은 ‘생명’이고 타자는 ‘반생명’이다. 작가는 생명성을 추구하는 한국문화를 예찬하고 반생명의 폭력을 추구하는 일본문화를 비판한다. 작품은 반생명의 근원인 인간의 폭력성, 죽임의 문화, 전쟁과 학살을 추구하는 권력과 집단에 맞서서, 조선인이든 일본인이든, 생명을 살리려는 이들의 숭고하고 장엄한 서사를 펼치고, 대신 이를 방해하는 조선인과 일본인을 타자화한다. 모옌의 ≪홍까오량가족≫에서 원초적 생명성과 대륙적 영웅성을 결합한 것이 동일성이고 타자는 이런 생명성과 영웅성을 말살하는 일본인과 이를 상실한 소시민으로서 중국인이다. 이 소설에서 작가는 주인공과 인물들의 무지하고 폭력적인 행위는 원초적 생명성을 지닌 대륙적인 영웅의 기개로 미화하며, ‘붉은 수수’의 은유로 비유한다. 반면에, 작가는 근대적 도시인들을 이를 상실한 소시민으로 묘사하고, ‘잡종 수수’의 은유로 비유하며, ‘종(種)의 퇴화’로 규정한다. 오에 겐자부로의 ≪만엔 원년의 풋볼≫에서 동일성은 일본, 골짜기, 전통문화, 고귀함, 공동체이다. 타자는 조선, 도시, 소비문화, 천박함, 개인주의 사회다. 주인공인 다카시는 이 타자화를 통하여 슈퍼마켓 천황과 조선인을 약탈하고 강간해도 좋은 대상으로 간주한다. 그가 자살하는 것도 죄책감이 아니라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져서 실존을 완성하려는 것이다. 세 작가 모두에게서 아쉬운 점은 동일성을 해체하는 대대(待對)의 차이와 타자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에 앞으로 동아시아 문학에서 크게 네 가지가 필요하다. 첫째, 객관적으로 공정하게 현실을 재현한다. 둘째, 동일성을 해체하는 대대(待對)의 차이를 획득한다. 셋째, 서발턴과 호모 사케르의 입장에서 타자성을 획득하고 결을 거슬리는 읽기와 쓰기를 한다. 넷째, 호모 사케르가 스스로 눈부처-주체가 되어 목소리를 내고 저항한다.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I analyzed three works, Kyung-ri Park’s Land, Moyan’s Red Sorghum, Oe Kenzaburo’s The Silent Cry, on the representation of Japanese, Korean, and Chinese as others, as well as promoting alterity. In Park’s Land, the identity is life, and the other is anti-life. She praises Korean culture that pursues vitality. However, she criticizes Japanese culture that pursues the violence of anti-life. The writer unfolds a sublime and epic narrative of those who are trying to save their lives, whether Koreans or Japanese, against human violence, a culture of killing, and powers and groups that pursue war and slaughter, which are the roots of anti-life. On the other hand, the writer otherizes the Koreans and Japanese who interfere with those. In Moyan’s Red Sorghum, identity is the combination of primitive vitality and continental heroism. However, the others are the Japanese who obliterate this vitality and heroism. The writer glorifies the ignorant and violent acts of the protagonists with continental heroism and primitive vitality. And he metaphors them as red sorghum. On the other hand, the writer describes modern city dwellers as petit-bourgeois who have lost them. And he metaphors them as hybrid sorghum, and defines them as degeneration of species. In Oe’s The Silent Cry, the identity is Japan, valley, traditional culture, nobility, and community. The other is Korea, city, consumption culture, frivolity, individualistic society. Takashi, the protagonist, regards the supermarket-emperor and Koreans as good targets to pillage and rape through this otherization. He commits suicide, not feeling guilty for the death of Koreans, but taking responsibility for his actions to complete his existence. What is regrettable for all three writers is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of Daedae (待對) and alterity that dissolves identity. Therefore, four major things are needed in East Asian literature in the future. First, it represents reality objectively and fairly. Second, it acquires the differences of Daedae(待對) and alterity that dissolves identity. Third, from the standpoint of subaltern and homo sacer, they acquire alterity and read and write against the power-elite. Fourth, homo sacer becomes the subject of Buddha-in-other’s-pupil and speaks out and resist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문학의 변화와 지향점

        이도흠 ( Lee Do Heum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 Vol.0 No.65

        우리는 이 시점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하여 호들갑을 떨지 말고 차분하고 냉철하게 인문학적 성찰을 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은 기업과 국가는 물론, 인류 문명자체의 대전환을 야기할 것이다. 문학도 이 흐름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인간의 마음과 유전자와 뇌신경세포는 서로 연기적 관계에 있다. 인간의 마음이 유전자와 뇌신경세포의 소산이지만, 몸 전체의 네트워킹이 유전자와 뇌신경세포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인공지능은 인간을 100% 완벽하게 대체하지 못하겠지만, 강 인공지능 로봇은 대략 2050년 경에 기술적 특이점을 돌파하여 지능폭발을 하고 초지능을 습득할 것이다. 인공지능은 여러 분야에서 인간을 대체함은 물론, 인간의 본성과 정체성에도 혼란을 가져올 것이며, 이 경우 인간, 기계, 인공지능, 사이보그의 네 존재가 서로 대립과 모순의 관계를 형성할 것이다. 이 경우 도구와 인간/창작자의 위치가 전복되어 네비게이션처럼 인간은 초기입력이 끝나는 순간 이를 보조하는 노예나 행위자로 전락할 것이다. 문학은 인공지능과 구분되는 인간의 본성, 생명성, 영성을 추구하고 이를 구현하는 차이의 글쓰기와 읽기를 해야 한다. 발달된 가상현실로 인하여 우리는 점점 더 원격현존을 경험하고 있다. 이로 가상과 실재의 경계가 무너지고 재현의 위기는 증대한다. 앞으로 가상현실이 문학의 리얼리티를 넘어설 것이다. 그럼에도 문학의 리얼리티의 영역은 남을 것이다. 이의 지향점은 가상과 현실 사이에서 진동하면서 끊임없이 틈을 내고 진리를 추구하는 ‘틈과 참의 리얼리즘’이다. 지금 세계는 거의 모든 사물과 공간, 데이터들이 지능을 가진 것처럼 서로 인터넷을 매개로 연결된 초연결사회로 전환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을 통한 초연결사회가 한계비용이 0인 공유사회의 영역을 늘릴 것이며, 이는 문학의 장에서도 마찬가지로 작동할 것이다. 초연결 사회에서 작가들은 홀로 동떨어져 존재하는 사물들이 아니라 네트워크에서 스스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사물들에 2차적 의미를 부여할 것이다. 이의 지향점은 노마드적이고 여성적인 글쓰기를 하는 것이다. 결국, 인간은 가상과 실상, 원본과 복사본, 현실과 비현실, 현존과 원격현존과 사이에서 진동하면서 고뇌하고 방황하지만, 인공지능과 공진화를 모색하며 생을 이어가고 이를 문학으로 표현할 것이다. At this point, we should not be fussy abou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t should give a humanistic reflection on this matter in a calm and cool mann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bring about a massive transformation of the civilization itself, as well as corporations and the nation. Literature can not escape from this flow. The human mind, genes, and neurons are connected in the relationship of dependant origination with each other. Although the human mind is generated from genes and neurons, networking of the whole body also affects genes and neurons. Therefore, human beings have free will.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not replace humans perfectly, but strong AI Robot will break through technological singularity around 2050, making intelligent explosions and learning super-intelligence. AI will not only replace humans in many fields, but also confuse human nature and identity. In this case, the four beings of human, machine, AI, and cyborg will form a relationship of conflict and contradiction. In literature, tools and creators’ positions are overturned, and humans will fall into slavery or agents as the initial input ends. Literature must pursue human nature, life, and spirituality, which are distinct from AI. To achieve this, writing and reading should be done to create difference. We are experiencing more and more tele-presence because of the improved virtual reality. This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virtual and real and the crisis of representation increases. In the future, virtual reality will transcend the reality of literature. Nevertheless, the realm of literary reality will remain. The alternative of these matters is the “realism of teum(the gap) and cham(the ultimate truth)” that constantly makes a gap and pursues the truth while vibrating between the virtual and the reality. Now the world is transforming into a super-connected society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et as if almost all objects, spaces, and data have intelligence. The hyper-linked society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will increase the scope of a shared society with zero marginal cost, which will work in the field of literature as well. In a hyper-linked society, writers will give secondary meaning to objects that have their own meaning in the network, not objects that exist alone. Its aim is to make a nodal and feminine writing. In the end, humans will live and create literature in search of co-evolution with AI, while agonizing and wandering between the virtual and the real, the original and the copy, presence and tele-presence.

      • KCI등재

        문학과 예술이론에서 재현의 아포리아와 대안

        이도흠 ( Lee Doheum ) 한국언어문화학회 2023 한국언어문화 Vol.- No.82

        본고는 문학과 예술이론에서 재현의 아포리아에 대하여 그리스시대, 근대, 탈근대로 나누어 핵심을 다루고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플라톤은 시를 이데아를 왜곡하는 그림자에 비유하며 시인을 공화국에서 추방하라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오히려 시가 보편적 진리를 담고 있다면서 시를 옹호하였다. 자본주의 체제 이후 불평등, 계급갈등, 물화와 소외, 상품 물신주의가 심화하자 타락한 세계를 인식하고 이에 맞서려는 문제적이고 예외적인 개인들이 속속 출현하였다. 이들은 리얼리즘을 통하여 타락한 세계의 모순과 부조리를 객관적으로 묘사하고 진정한 가치를 드러내려 하였다. 하지만 현실은 기호의 한계, 형식의 매개, 이데올로기, 세계관, 권력 등에 의하여 왜곡되기에 실제 현실과 재현된 현실은 늘 차이가 크다. 디지털 시대에서 가상과 실제 현실 사이의 경계가 무너지고 가상이 현실을 구성한다. 인간은 결코 순수하게 객관적인 세계에서 살 수 없다. 그럼에도 우리는 현실과 재현, 가상현실과 실제 현실 사이에 ‘세계의 틈’을 창출하여 이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고 아름다움을 느끼면서 참에 다가갈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key points and seeks solutions for aporias of representation in literature and art theory by dividing it into the Greek period, modern times, and post-modern times. Plato compared poetry to a shadow that distorted the Idea and insisted that poets be expelled from the Republic. On the other hand, Aristotle defends poetry by saying that poetry contains universal truth. As inequality, class conflict, and alienation deepened since the capitalist system, problematic and exceptional individuals emerged one after another, recognizing the corrupted world and trying to confront it. Through realism, they attempted to objectively describe the contradictions and absurdities of the degrading world and reveal its true values. However, because the limitations of linguistic expression, mediation of form, ideology, world-view, and power distort reality, there is always a big difference between actual and represented reality. In the digital age, the boundary between virtual and physical reality collapses, and virtuality constitutes reality. Humans can never live in a purely objective world. Nevertheless, we can approach the truth by creating a ‘room of world’ between reality and representation, between virtual reality and real reality, and newly interpreting its meanings and feelings of beauty.

      • KCI등재
      • KCI등재

        『나마스테』에 나타난 타자성의 두 양상

        이도흠 ( Do Heum Lee ) 한국기호학회 2013 기호학연구 Vol.34 No.-

        I analyzed aspects of diaspora and alterity in Bumsin Park`s novel, Namaste, from two standpoints. The one is alterity rooted in conceptual difference, and the other is alterity in nunbuchoe(Buddha-in-eye)-difference. The conceptual difference is returned to identity finally. Nunbuchoe (Buddha-in-eye)-difference is not returned to identity. This difference is an absolute and ultimate difference, and it can be reached by sensibility and transcendental experience. It makes him to throw away his identity and to reveal self as the other. In the reason of the difference in Buddha-in-eye, the distinction between this and that falls apart, the power, the discourse of exclusion and the violence which held inside of it loose their strength gradually. In the light of alterity in conceptual difference, this novel is a good work. Park, having multi-culturalism and buddhist world-view, not only described objectively the miserable reality of migrant laborers in Korea but also presented a tragic vision. However, he could not reach to the alterity in nunbuchoe-difference, and regarded migrant laborers as the object of mercy. It is the othering of migrant laborers. Park represented hero, Kamil as a very highly good man. Even though Korean break his leg and cut off his finger, Kamil do not hate and blame Korean. Kamil is not a subject as a subaltern but a good other represented by writer. That is the violence of representation. Such writer`s views are in accord with Korean bourgeois`s ideology that they should respect difference as long as migrant laborers are a good other. This work substitutes ethnic contradiction for class contradiction in capitalist society. Existentialist sufferings and various wrinkles and folds of life in contradictory reality are simplified to ethnic problem. Finally, this work solves problems to return to the mythic world, Kailas. The writer, without a keen recognition and confrontation for irrationality of world, looks migrant laborer in the view of conceptual difference and Korean bourgeois ideology. I suggest that the novel about migrant worker should create a character and narrative, and the world of work from the paradigm of the alterity in nunbuchoe-dif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