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국제관계학에서의 감정 (예비)이론화 : 집단감정은 어떻게 유발되는가?

        은용수 한국정치학회 2018 한국정치학회보 Vol.52 No.2

        I argue that IR needs to pay greater attention to the theorisation of emotion, and that a focus needs to be on having a rich understanding of the ‘generalisable’ mechanisms through which a state’s ‘collective emotions’ are triggered and produced. I posit that the generation of collective emotions is affected by whether and how much the symbols or symbolistic cues of a ‘superior’(or ‘master’) national identity are manifested visually and persistently in our daily lives. Based on the forgoing discussions, I make three basic theoretical propositions and four IR-sensitive assumptions about when a state’s collective emotions are generated and how they are related to the state’s external actions. I end this article with discussion about what remaining challenges in emotion IR studies are and how to address them. 본 논문은 국제관계학(IR)에서의 감정연구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이론화(theorization)를 수행한다. 물론 소논문이라는 짧은 글에서 이론설립을 완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본논문에서는 이론화를 위한 ‘예비’단계로써 이론적 개념, 가정, 그리고 인과적 명제 도출을 주요한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우선 감정의 이론화를 가로막았던 인식론적 장애물을 파악하고 이들의 논리가얼마나 타당한지 검토한다. 또한, IR에서 감정이론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개별사례의 특수성을 넘어‘일반화’된 집단감정의 발생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임을 논한다. 이를 위해 사회심리학이론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연구를 원용하여 집단감정 발생 메커니즘과 탈개인화(depersonali- zation) 과정이 밀접한 양(positive)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주장한다. 나아가 이러한 상관관계를 ‘국제정치적’ 맥락에서 좀더 세밀하게 보완한다. 우선, IR의 감정이론 설립을 위해서는 탈개인화와 함께 탈개별 집단화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중요함을 지적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회 ‘전체’ 수준에서공유되고 있는 국가정체성을 시공간적으로 재현(represent)하는 상징물(symbols)이나 서사(narratives) 의 표상(表象)적 활성화 여부가 집단감정 발생에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음을 논증한다. 물론국가정체성은 다양한 범주들로 구성되며 이들이 발휘하는 집단결속력은 결코 등가적이지 않다. 따라서 IR에서 감정이론은 국가에 대한 소속감을 환기시키고 사회적 결속력을 담보하는 능력이 가장큰 ‘우위’(주인) 정체성과 이것의 ‘표상적’ 활성화를 핵심변수로 삼을 필요가 있다. 상기한 논의를모두 종합하여 본 논문은 집단감정이 국가/사회 차원에서 유발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집단감정의발생 정도에 인과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변수들을 도출하고, 이를 이론적 가정(명제)으로 만들어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여기서 다루지 못했거나 혹은 좀 더 확장될 필요가 있는 남은 연구과제들을 상술하는 것으로 본고를 마무리 한다.

      • KCI우수등재

        존재론적 안보(ontological security)의 동학: 미국의 대중 강경책과 미중경쟁

        은용수,김성철 한국국제정치학회 2022 國際政治論叢 Vol.62 No.2

        Through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ontological security, this article examines the factors that trigger US-China conflict in terms of US "identity anxiety." To this end, it explains what ontological theory is and what theoretical implications it has. Based on this, it is revealed that the ontological security theory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realism in analyzing the US-China conflict and provide an insightful perspective. To elucidate this, this article discusses how the US identity, largely formed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has experienced ruptures and crises going through the September 11 terror, the 2008 financial crisis, and the Trump election. This article finds that the US has dealt with its identity anxiety by externalizing it into a fear of “China threats,” resulting in strong bipartisan support for a tough stance on China. Ultimately, how the US copes with its identity anxiety contributes to US-China competitions and the instability of the contemporary international system.

      • 미 ⋅ 중 세력 경쟁 속의 한국외교 재성찰 : 전략적 딜레마 극복을 위한 비판적 논의

        은용수 제주평화연구원 2015 JPI 정책포럼 Vol.2015 No.18

        21세기 동아시아지역의 국제정치질서는 흔히 미국과 중국의 대결구도로 묘사되며, 여기서 한국은 이른바 “전략적 딜레마”라는 프레임 ‘내부’에서 외교적 고민을 해야만 하는 ‘객체’로 여겨지곤 한다. 본고는 이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한국의 외교적 목표와 실행에 관한 대안적 입장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국제정치학의 비판이론을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그것이 ‘실행적’ 차원에서 어떤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는지를 한국외교의 맥락에서 고찰한다. 결론적 으로, 본고는 “전략적 딜레마”가 기존의 냉전적 질서 속에서 도출된 질문과 언어의 재생산 및 확산으로 비롯된 ‘담론적’ 성격을 내재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극복함으로써 한국외 교가 좀 더 창의적이고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JPI정책포럼 세미나(2015.07.09) 발표자료

      • KCI등재

        존재론적 안보론과 북미관계: 이론과 현상, 새롭게 보기

        은용수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24 한국과 국제정치 Vol.40 No.1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 preliminary foundation for theorising change in ontological security, commonly understood as states' pursuit of stable identities. Over the past two decades, ontological security studies(OSS) have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discipline of IR; yet, as OSS has evolved, tensions within the scholarship have emerged, particularly regarding how to conceptualize changes in stable identities. While retaining core theoretical elements of ontological security, more recent OSS challenge the early scholarship's emphasis on stability and continuity. Drawing on poststructuralist insights into the relational and transient nature of identity, recent OSS propose that changes or discontinuities in autobiographical narratives or routines do not necessarily result in ontological insecurity. Instead, they demonstrate that reflexive social actors can invoke new identifications in their pursuit of ontological security, exercising a 'healthy' basic trust in response to everyday anxiety. A key question, then, is under what conditions such change is facilitated or constrained. This paper delves deeply into this question, exploring the scope conditions for change, particularly within the context of bilateral inter-state relations. Through this theoretical inquiry, the paper underscores that the manifestation of existential anxiety, closely linked to states' pursuits of ontological security varies significantly based on the "(inter)dependence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s" in the bilateral relationship. Drawing from this novel concept, the paper articulates three different bilateral types in ontological security, including a type marked by asymmetry of existential anxiety. It concludes by elucidat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changes are facilitated or constrained within each type, and provides real-life cases that correspond to each type.

      • KCI등재

        비판이론의 학술적 공헌과 실천적 함의: 한국외교를 중심으로

        은용수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5 국제지역연구 Vol.24 No.3

        Although Critical Theory still remains at the margins of International Relations (IR), it can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improving our understandings of world politics and foreign policy. In particular, it is argued here that Critical Theory can offer meaningful implications for South Korea’s foreign policy practice.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Frankfurt School as well as contemporary IR studies on Critical Theory while comparing them with mainstream IR theories, namely neorealism, neoliberal institutionalism, and conventional constructivism. More importantly, the article shows what contributions and implications that Critical Theory has for South Korea’s foreign policy in East Asia. 주지하듯 비판이론은 국제정치학계(IR)에서 비주류에 속하는 이론적 시각이지만, 본 논문은 비판이론이 학술적 차원과 실천적 차원 모두에서 매우 중요한 공헌을 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특히 한국 외교의 ‘실제(practice)’에 관해 비판이론이 제공하는 시사점에 주목한다. 비판이론적 시각에서 볼 때 한국은 동북아시아의 경쟁적 질서 ‘내부’에서 도출된 정책(미국 중심 vs. 중국 중심, 혹은 이른바 연미화중) 중에 하나를 선택할 것이 아니라, 그 대결적 질서의 ‘변형’을 목표로 삼고 이를 위해 무엇보다 먼저 그러한 질서가 ‘구성된’ 사회역사적 조건을 파악해야 한다. 특히 여기서 한국외교는 비판이론이 강조하는 행위자의 언어 및 지식의 구성(인과)적 기능과 지식권력의 문제를 보편적 차원에서성찰하여 지난 수십 년간 외교적 실천의 내용과 범위를 제한했던 ‘담론적 제약’에서 해방되어야 할것이다

      • 미,중 세력 경쟁 속의 한국외교 재성찰: 전략적 딜레마 극복을 위한 비판적 논의

        은용수 제주평화연구원 2015 JPI 정책포럼 Vol.170 No.-

        21세기 동아시아지역의 국제정치질서는 흔히 미국과 중국의 대결구도로 묘사되며, 여기서 한국은 이른바 "전략적 딜레마"라는 프레임 ``내부``에서 외교적 고민을 해야만 하는 ``객체``로 여겨지곤 한다. 본고는 이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한국의 외교적 목표와 실행에 관한 대안적 입장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국제정치학의 비판이론을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그것이 ``실행적`` 차원에서 어떤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는지를 한국외교의 맥락에서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전략적 딜레마"가 기존의 냉전적 질서 속에서 도출된 질문과 언어의 재생산및 확산으로 비롯된 ``담론적`` 성격을 내재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극복함으로써 한국외교가 좀 더 창의적이고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JPI정책포럼 세미나(2015.07.09) 발표자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