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평가

        원진숙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0 한국초등국어교육 Vol.16 No.-

        이 논문은 제7차 국어과 수준별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바람직한 국어과 평가의 방향을 초등단계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그 구체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학습자의 개인차-학습 능력, 학습 속도, 관심사 및 흥미 등-를 인정하고 각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의미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해 주고자 하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평가는 무엇보다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는 발달직 관점에 토대를 두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본질 추구에 이바지할 수 있는 평가가 되기 위해서는 평가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전제 아래, 그 구체적인 대안으로 생태학적 평가 패러다임과 그 구체적인 평가 원리를 제안하였다. 교수·학습 과정과 평가의 통합을 특성으로 하는, 이 생태학적 평가는 학습자마다 개인차가 존재한다는 점을 인정하고 획일적인 평가보다는 좀더 다원화되고, 개별화된 평가를 통해서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을 도보하는 데에 가치를 둔다. 따라서 일회적인 결과적 수행보다는 일정 기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학습자들이 교수·학습 과정에서 보여 주는 다양한 수행 국면들을 포착하여 해석하고 기술해 가는 평가 방식을 지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esirable evaluation direction based on the 7th Korean Literacy Curriculum. 7th level-based Curriculum presupposes individual differences-learning capacity, learning pace, interests etc-to affect the Korean literacy. So the 7th Curriculum is intended for giving th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appropriate to each student's level. The focus of level-based curriculum is developmental view to aim the growth of each students. In this paper, I propose an ecological assessment paradigm as an alternative and several kinds of concrete literacy performance-based principles. Ecological assessment paradigm is based on the developmental view. For assessment to be ecological, it must be ongoing and integrated with instruction and learning-part of the classroom ecosystem. In this paradigm, teachers who are creating authentic literacy environments assess ecologically by capturing, describing, and interpreting authentic literacy events and behaviors.

      • KCI등재

        미래 사회 대비 국어 문식성 교육의 역할과 과제

        원진숙 한국국어교육학회 2019 새국어교육 Vol.0 No.118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Korean literacy education which is needed to actively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characterized by the speed of change and the period of uncertainty. Methods : I have searched the roles and tasks of Korean literacy education that can critically examine and prepare future society, which is a super-connected intelligence society trigger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he David Barton’s ecological approach. Results : In this study, as an alternative to Korean language literacy education that can cope with the future society, we suggested strengthening adaptability of digital literary environment through new literacy education, capacity of social literacy practice through critical literacy education, creative thinking ability through humanities literacy education. Conclusion :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Korean literacy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is based on the empowerment model that fosters literacy can ‘adapt’ to a new literary environment, and develop the ‘power’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not do. 목적 :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국어 문식성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 국어 문식성 교육 자체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미래 사회의 급격한 사회 문화적 역동성과 문식 환경의 변화를 ‘지금 여기’의 생태학적 조건으로 파악하여 접근하는 David Barton의 생태학적 접근법을 통해 현 국어 교육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국어 문식성 교육의 역할과 과제를 탐색해 보았다. 결과 :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국어 문식성 교육의 대안으로 신문식성 교육을 통한 새로운 디지털 테크놀로지 기반 문식 환경에 대한 적응력 강화,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통한 사회적 문식 실천 역량 강화, 인식적 문식성 교육을 통한 인문학적 소양과 창의적 사고 역량 강화를 제안하였다. 결론 : 이제 국어 문식성 교육은 인간 소외를 극복하고 당당한 문식 실천 주체로서 인공지능이 할 수 없는 것을 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권한 부여적 차원의 접근을 통해 미래 사회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학령기 다문화 배경 학습자 대상 KSL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주요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원진숙,김희동 한국국어교육학회 2015 새국어교육 Vol.0 No.10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of KSL education conducted for school-age multicultural learners for 10 years and to explore i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is, the research results of KSL education carried out for school-age multicultural learners i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were analyzed with a meta quantitative statistical method. As a result of analyzing its periodic research trends, the related studies has been quantitatively developed and showed its sudden development with the introduction of <2012 KSL Curriculum>. As a result of analyzing its thematic research trends, it was found to be pedagogy>contents>policy and status. The overwhelmingly high performance of pedagogy is deeply related that KSL education support system has been intensively established for the sudden increased multicultural learners in schools. 본고는 최근 10여 년간 학령기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KSL 교육의 연구 동향을 살피고 향후 바람직한 연구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술연구정보 서비스(http://www.riss.kr)를 활용하여 국어교육 분야와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학령기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KSL 교육 연구 성과들을 주요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메타적인 양적 통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시기별 연구 추이 분석 결과, 관련 연구가 10년도 안 되는 기간 동안 양적으로 꾸준한 발전을 보이다가 <2012 한국어(KSL) 교육과정> 도입을 분수령으로 급증세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제별 연구 추이 분석 결과, 교수학> 내용학> 정책 및 현황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교수학 연구의 성과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은 학교 안에 갑자기 늘어난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KSL 교육 지원 시스템 구축 차원의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온 것과 관련이 깊다.

      • KCI등재

        초등 국어과 교수 학습 모형 개발 연구 :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원진숙 국어교육학회 2001 國語敎育學硏究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elementary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instruction model of writing based on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developing the learning and Instruction model of writing, we mus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factors of learner and teacher, recent writing theory and the goal of curriculum. Learning and instruction model of writing workshop emphasizes publication of writing as an product through the actual writing performance of students. This model consists of the phases as like a pre-writing, writing, revision, editing, publication. In this process of writing, the guidance of teacher plays a very important role of scaffolding. This learning and instnzction model of writing is running by 5 major principles-ecological learning and instruction environment, various experiences of writing, balanced process and product, gradual turning over responsibility to the students, and interactional principles. This learning and instruction model of writing can improve the writing ownership and creative expressive writing power of students by emphasizing student-centered meaningful writing experiences and balanced process and product.

      • KCI등재

        작문 교육과정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원진숙 한국작문학회 2019 작문연구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volutionary process of school writing curriculum from the viewpoint of evolution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sirable writing education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The school writing curriculum has been changed, grown and developed through 11 revisions over the past 70 years in the ecosystem condition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ocial needs of the time, the change of the writing education theory,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directions of the writing curriculum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based on empowerment model. First, it cultivates practical writing skills that will enable learners to develop writing abilities in academic and business field. Second, it strengthens ability for critical thinking competencies in digital literary environment through the new literacy education. Third, it makes individuals to have healthy identity by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ng with one self through the expressive writing for self-management. 이 논문의 목적은 진화론적 관점에서 학교 작문 교육과정이 해방 이후 교수요목기로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변천 과정을 겪어 왔는지를 시기별로 개관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바람직한 작문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학교 작문 교육과정은 당대의 사회적 요구와 작문 교육 이론의 변화, 문식 환경의 변화 등 제반 변인들로 조건화된 생태계 안에서 지난 70여년간 무려 11차례의 개정 작업을 통해서 변화와 성장, 발전을 거듭해 왔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이러한 검토 작업에 기반하여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작문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권한 부여적 차원에서 첫째, 학습자들로 하여금 장차 대학과 직장 생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학문 글쓰기 능력이나 직무 글쓰기 능력을 길러주는 실용의 차원, 둘째, 신문식성 교육을 통해 디지털 문식 환경에 대한 적응력과 비판적 사고 역량 강화의 차원, 셋째, 자기 자신을 반성적으로 성찰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통해 건강한 자아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게 해 주는 자기 관리의 차원에서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 시대 우리 사회의 언어 소수자 자녀를 위한 언어 교육 정책

        원진숙 우리말학회 2014 우리말연구 Vol.39 No.-

        전세계적으로 국가간 인구 이동이 늘어남에 따라 이민자 가정의 자녀 등 다문화 배경 학습자 대한 언어 교육 정책이 중요한 국가적 의제 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앞서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여 오랜 시행착오 과정을 거쳐 다문화주의에 입각하여 언어 소수자 자녀를 위한 언어 교육 정책을 펴고 있는 주요 여러 나라-캐나다, 호주, 미국, 중 국-의 사례를 관련 문헌 자료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최근 우리 나라에서 교육부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언어 교육 정 책을 주로 KSL 교육과정 실행 및 이중언어 강사 양성 사업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다문화 사회에 진입하여 새롭게 당면한 언어 소수자 자녀들을 위한 언어 교육 문제를 주요 다문화 국가의 사례와 우리 나라에 서 교육부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일련의 정책들을 점검해 보는 작업은 보다 거시적이면서도 장기적인 차원에서 우리 한국 사회의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언어 교육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있어 중요 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고에서는 결론적으로 다문화 시대 우리 사회의 언어 소수자 학생을 위 한 바람직한 언어 교육 정책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장기적인 관점에서 학교 교육을 통해 언어 소수자 학생을 미래 의 가치로운 인적 자원으로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언어 교육 지원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 사회의 언어 교육 정책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주류 문화권의 언어인 제2언어와 함께 소수 문화권의 언어인 계승어를 함께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언어 교육을 고려하면서 그 균형점을 찾는 방향에서 이 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공교육 안에서 우리 사회의 언어 소수자 자녀를 위한 언어 교육 정 책을 지속적이면서도 안정적으로 추진해 나가기 위해선 이를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언어 소수자 자녀를 위한 언어 교육 정책을 공교육 안에서 안정적으 로 추진해 나가기 위해서는 지속적 재정 확보와 행정적 지원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