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중·고령자의 건강상태와 조기은퇴

        우혜경,조영태 韓國老年學會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2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건강상태와 조기은퇴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06년과 2008년에 구축된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패널조사자료를 사용하였다. 표본은 2006년 조사시점에 취업자였던 45세부터 58세까지의 중·고령자 총 2,165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기은퇴자는 2006년 조사시점의 일자리에서 은퇴하고, 더 이상 일을 할 의사가 전혀 없는 58세 이하의 대상자로 정의하였다. 건강은 주관적 건강상태, 장애, 만성질환, 활동제한 및 우울증 등의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였고, 조사시점 사이의 건강의 변화여부를 고려하였다. 연구결과, 추적기간 동안 총 88명이 조기은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노동이탈이나 은퇴의 결정요인으로 대부분 분석되었던 경제적 수준, 교육수준, 가족유형, 그리고 거주지역이 본 연구에서는 유의미한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다만, 육체노동자인 경우 불안정한 경력이동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고, 여성은 남성에 비해 조기은퇴 할 확률이 매우 높았다. 한편, 건강을 다양한 수준으로 측정하기 위해 활용되었던 건강지표 중에서 주관적 건강, 장애, 만성질환, 활동제한, 우울은 조기은퇴의 직접적인 건강결정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강사유에 의한 비자발적 은퇴상황은 고령자 개인차원에서 소득상실뿐만 아니라, 의료비용까지 감당해야 하는 이중고를 수반하게 되어 빈곤으로 이행되는 하나의 구조화된 경로가 될 수 있다. 불안정한 경력이동 및 조기은퇴로 인해 노동시장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건강문제를 가진 노동자가 노동시장에서 보호 될 수 있도록 관련제도를 검토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장애나 질병으로 인한 노년기의 사회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일할 수 있는 건강한 노년을 실현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대안은 국민의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 서비스의 확대를 통해 건강수명을 연장하는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status and early retirement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Data were obtained from a sample of the 2006 and 2008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The study subjects were 2,165 individuals aged 45 to 58 years who had been employed at the 2006 baseline surve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predictors of early retirement. People who were retired from the time of survey in 2006 and had no intention to work any longer were categorized as early retirement. For health conditions, various indicators such self-rated health, disability, chronic disease, activities limitation, and depression were used. And changes in health status were considered. A total of 88 individuals retir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Early retirement was associated with age, gender and several common health outcomes, but socioeconomic status, region and type of household were not related to early retirement. Common health outcomes such as self-rated health, disability, chronic disease, limitation of activity by health and depression are strong predictors of early retirement. Health interventions targeting these conditions may reduce the rates of early retirement, and encourage middle-aged and elderly workers to remain in the labor market.

      • KCI등재

        빅데이터와 모바일 헬스: 공공보건학적 가치와 향후 과제

        우혜경,심은영,조영태 통계청 2016 통계연구 Vol.- No.특별호

        Future healthcare is strong link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Recently, Health Information Technologies (Health IT) improvements including mobile health (mHealth), providing accurate and timely health information, play a vital role on novel health and healthcare solution in a variety of ways. mHealth and health big data are helping to improve access, reduce costs, and increase the quality in healthcare services. This paper discusses the concept of mHealth and health big data with an analysis of their values in public sector, and some of the existing activities and future opportunities related to mHealth and big data for healthcare services. In addition, this paper offers lessons learned and future directions for policy and strategy needed to implement emerging mhealth and health big data. 보건의료부문의 미래는 정보통신기술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모바일 헬스를 비롯한 건강정보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방법으로 보건의료부문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 고 있 다 . 무엇보다 보건의료비용 상 승 억 제 , 보건의료의 접근성 향 상 , 그리고 모 든 국민에게 양질의 적 정 보건의료서비스 의 보장이라는 국가의 미래지향적 보건의료 개혁방향에서 모바일헬스와 건 강 빅데이터는 획기적 인 원동력이 될 것이다. 이 논문은 광범위한 부문에서 보건의료의 높 은 생산성과 효율성을 뒷받침할 것으로 전망되는 모바일헬스와 건 강 빅데이터의 가치에 대하여 공공보건학적 의 미 분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터넷 기반 빅데이터와 모바일 헬스의 컨셉을 논의하고, 관련연구 및 활용영역과 관련 서비스산업 트랜드를 조망하였다. 아울러, 미국과 한국의 mHealth 및Health IT 정책 방향을 살펴보고 향후 정책적 과제에 기반 하여 공공보건을 위한 데이터 기술과정부의 보건의료 정보화 전 략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빈곤의 동태와 자살생각

        우혜경,조영태 한국보건사회학회 2013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4

        South Korea’s suicide rate has increased rapidly in the past two decades. Thepurpose of our study is to explain the socio-epidemiological relationship ofpoverty and suicide. The idea of our study is to get an answer to specificquestions like, “how could poverty lead to suicide?”, instead of trying to get theanswer that the cause of suicide is “poverty”. For our study, we used two wavesof data from the Seoul Welfare Panel Survey from 2009 to 2010. And A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argeting a total of 5,749subjects of over 15 years ol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follows. First, the suicidal ideation and poverty status of individuals can changerapidly in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in one year, but when looking at awhole group, the size of the poverty group and the rate of suicidal ideationgenerally remained constant. Second, we found that poverty was a significantfactor of suicidal ideation from cross-sectional analysis of first wave. Third, the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in the poverty group at the time of first wave wasreduced at a rate 2.26 times more than that of the highest level of householdincome group at the time of second wave. Fourth, the suicidal ideation ofindividuals who belonged to the poverty group at the first wave but had escapedfrom poverty at the second wave ceased having suicidal ideation at a rate 2.05times higher than members of the non‐poverty group. Through the results of suchstudies, we found that suicidal ideation is concentrated in the poverty group andthe transition of suicidal ideation is sensitive in this group. Also, the fact that the process of escaping from poverty leads to the disappearance of suicidal ideationdemonstrates that the problem of poverty lies on top of the centric context ofsuicidal ideation. 본 연구는 빈곤과 자살생각의 사회역학적 관계를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빈곤의 동태가 어떻게 자살생각과 연동되는지 개인적 특성들을 고려하여 살펴보고자하였다. 자료는 2009년부터 2010년까지 구축된 서울복지패널 조사자료를 사용하였으며, 15세 이상의 표본 총 5,74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개인들의 빈곤상태와 자살생각은 불과 1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매우 활발하게 변화되는 동태적 특성을 지닌다. 하지만, 관찰 단위를 전체 집단으로 옮겨보면, 집단의 자살생각의 비율이나 빈곤율의 크기는 관찰기간 동안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었다. 둘째, 빈곤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1차 조사시점에서 단면적으로 분석해 보았을 때,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고찰되었던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하더라도 빈곤은 자살생각의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셋째, 가구소득수준에 따른 자살생각의 변화를 살펴보면, 빈곤층에서 자살생각이 소멸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빈곤층의 자살생각이 단면적으로 높으나, 짧은 추적기간 동안 자살생각이 소멸되는 확률 역시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넷째, 빈곤층에서 자살생각이 소멸되는 이유를 알기 위해 빈곤의 동태를 반영하여 살펴보았고, 그 결과는 빈곤을 탈출한 집단에서 자살생각이 소멸될 확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자살생각이라는 위험생애사건의 발생가능성이 빈곤층에 집중되어 있고, 빈곤층이 자살생각의 변화에 민감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빈곤의 탈출이 곧 자살생각의 소멸로 이어지는 과정은 빈곤의 문제가 곧 자살생각의 중심적 맥락 위에 있다는 것을 명시한다. 따라서 자살을 예방하거나 중재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으로 빈곤문제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자살예방정책은 빈곤정책과 유기적으로 상호 연계되어야 한다. 또한 자살예방을 위한 정신건강 서비스의 지원대상에서 빈곤층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 건강한 삶의 변화를 이끄는 `스마트헬스`: 쟁점 및 정책과제

        우혜경,조영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보건복지포럼 Vol.199 No.-

        인터넷 및 스마트기기 보급 확대에 힘입어 보건의료분야에서도 정보 및 스마트 기술이 접목되어 개선 및 발전될 수 있는 많은 가능성들이 논의되고 있다. 스마트기기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나(anytime & anywhere) 정보통신을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서비스에 접근 가능하게 한다는데 큰 유용성을 가지고 있다. 서비스 제공 및 활용의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하여 대상자의 서비스 접근성이 확대 될 수 있다는 장점은 질병관리뿐만 아니라 건강증진 및 관리 서비스와 융합되어 보건의료서비스제공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당한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마트기술을 바탕으로 공공보건사업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가 다양하게 창출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보건의료서비스 환경도 많은 변화를 겪게 될 것이라고 전망된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변화들의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부차원이나 의료기관 및 기업차원에서 방향성을 잘 잡는 것이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이 글은 공공보건의료서비스에서 논의되고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의 개념을 되짚어 보고, 이것이 어떻게 국가 공공보건서비스사업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또한 국민들의 건강한 삶의 변화를 이끌어 가기 위한 스마트 헬스의 기대효과를 공공차원의 관점으로 논의 하였다.

      • KCI등재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와 소득수준에 따른 건강차이

        우혜경 ( Hye Kyung Woo ),문옥륜 ( Ok Ryun Moon ),박종혁 ( Jong Hyock Park ) 한국보건행정학회 2009 보건행정학회지 Vol.19 No.2

        최근 노동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다양한 건강결정요인들과 이들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에 따른 건강차이에 가구소득수준의 효과를 살펴보고, 노동자의 건강결정요인으로서 고용형태와 소득수준의 영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상대적으로 취약한 노동계층의 근로자들이 불건강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기에 고용형태에 따른 근로자들의 건강격차를 더욱 뚜렷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소득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육체노동을 하거나 고용형태가 불안정한 대상자가 소득까지 낮은 경우 불건강은 더 심화되었고, 같은 고용형태의 조건을 가진다고 해도 소득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으면 더 불 건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용형태와 소득수준이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복잡한 구조와 기전을 가지고 계층 간, 그리고 계층 내의 건강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고용시장에서 노동자의 건강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근로빈곤층 감소를 위한 정부정책이 우선되어야 하겠지만, 장기적으로 불안정한 고용시장에서의 차별 완화 및 해소방안이 광범위하게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정규직과 비정규직, 남성과 여성의 차별을 해소하여 노동강도, 임금격차, 사회보장 혜택 및 고용의 불안정성 등에서 양산되는 건강불평등을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용시장에서 정부의 노동 및 건강정책은 단순히 자활사업이나 사회적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의 미봉책으로 근본적인 해결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며, 정책적 기본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노동시장을 통한 고용안정성 촉진과 사회보장체계의 점진적 확대를 통한 소득보장이 일정한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향후 정부의 어떤 중재방안이 근로빈곤층을 감소시키고 고용시장에서 노동자의 건강불평등을 완화하는데 가장 적절한지, 중재를 위한 기준(criteria)은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그 기준은 어디까지여야 하는지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 노동자의 삶의 질은 국가 차원에서 행해지고 있는 각종 사회정책의 내용(특히 사회불평등의 정도와 취약계층의 보호정도)과 그 정책의 효율적인 실행성에 의해 그 수준이 일차적으로 결정된다. 본 연구는 노동자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합리적인 노동 및 보건정책을 수립하고, 근로취약계층을 노동시장에 안정적으로 통합하여 안정된 소득을 보장하고 더 나은 일자리로 상향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health status is different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and income level in wage-earners. We analyzed wage-earners of 2199 men and 1194 women aged 30-64 years, using data from the 2006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The difference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and income level was compared with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d the standardized concentration index of ill-health. The risk of ill-health was high when waged-earners had low income. The same is true for poor employment status when their employment status was unstable as in manual laborers, irregular workers, temporary, daily workers or part?time workers. furthermore, the wage-earners with lower income and a relatively disadvantageous employment status showed the lowest health status compared to other groups. Ill-health was relatively more concentrated in lower income group and poor employment status. This study identified the existence of health inequality among various employment status of wage-earners. It is suggested that policies that deal with the inequality in social class may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health of the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