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과학기술정책 연구에 대한 관련학문의 영향 분석

        오현정 ( HyounJeong Oh ),이찬구 ( Chan-Goo Yi ) 한국정책학회 2021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계량서지학적 방법으로 한국 과학기술정책 연구에 대한 관련학문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학문정체성에 대한 합의는 부족하지만, 대부분 학자는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학제적 학문이라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어떤 학문 분야의 이론과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되고 있는가를 밝힘으로써 학문정체성을 탐색할 수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무엇이고 어떤 학문분야가 이들 연구에 이론과 방법론을 제공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지난 20여 년간 한국 과학기술정책 연구 분야에서 발표된 학술논문을 이용하여 계량서지학의 지적구조 분석방법인 저자동시인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한국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4대 연구분야 중에서 과학기술 정책과정과 과학기술 공공관리에 비하여 기술혁신과 연구관리가 월등히 많이 연구되고 있었으며, 경영학, 경제학, 정책학이 한국 과학기술정책 연구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는 주된 학문분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는 경영학과 경제학은 기술혁신과 연구관리 분야에, 정책학은 과학기술 정책과정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과학기술 공공관리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는 학문분야를 특정하기 어려웠다.

      •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학문적 융합구조 탐색: 연구자의 모母학문을 중심으로

        오현정(Oh, HyounJeong),이찬구(Yi, Chan-Go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정책현장과 학계에서 ‘과학기술정책학’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지만, 실제로 과학기술정책학의 학문 정체성에 대한 합의를 이루었다고 보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학문 정체성의 구성 요소 중에서 집단정체성을 일정 수준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내적 정체성의 구축은 미흡한 실정이다.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학문의 내적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유이론과 방법론을 확립해야 한다. 그러나 과학기술정책 연구는 다학제적(multidisciplinary) 성격을 갖고 있어 연구자들은 각자의 모(母)학문의 이론과 방법론을 채택하여 연구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독자적인 이론과 방법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기존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어떤 학문적 배경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과학기술정책 연구 전체에 대한 융합학문적 특성과 별개로, 연구분야 별로는 여전히 모학문 중심의 단일학문적 특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융합학문적 특성이 나타난다면 구체적인 특징은 무엇인지, 학자들의 모학문과 실제 사용한 이론의 배경학문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등을 밝혀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독자적인 이론과 방법론 구축 논의의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 KCI등재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의 정책도구 정합성 분석

        오현정 ( HyounJeong Oh ),이찬구 ( Chan-Goo Yi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4

        본 연구는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의 성과가 미흡한 원인은 정책도구의 올바르지 못한 선택과 적용일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에서 채택하고 있는 정책도구의 문제점을 밝히고 향후 발전적인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우리 정부는 과학기술인력 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여성과학기술인력에 주목하여, 2002년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2015년 현재 「제3차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에 관한 기본계획」이 시행 중에 있지만 그 성과는 부족한 것을 기존 연구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기존 연구는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의 성과가 부족한 원인을 밝히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의 부족한 성과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정책도구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의 특징을 기반으로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정책도구 분류 모형을 제시하고 정책에 사용된 정책도구의 특징을 밝혀 정책도구 정합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의 정책도구 정합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정책 전반에 걸쳐 정책 목표에 대한 소망성 부족과 정책목표-정책수단 부적합의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책목표-정책수단 부적합으로부터 유발되는 정책 부문별 문제점을 확인하여 실질적 정책도구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This work defines the problem of policy instruments used in the policy for woman into science and technology(S&T) and suggests the evolutive direction of policy for the future. It started from the cause of poor result in the policy for woman into S&T is attributable that the wrong policy instruments are selected and applied. Korean government was interested in the woman scientists and engineers to resolve the lack of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ersonnel. < The Act on Fostering and Supporting of Women Scientists and Engineers > was enacted in 2002 and the 3’rd master plan for it is currently in progress in 2015, but the performance of the policy for women into S&T is not enough. Previous studies have not yet identified, however, why the outcome of the policy for women into S&T was poor. So it tries instrumental approaches in order to analyse the reason of it. It proposes the policy instruments classification model that is suitable to analyse the policy for women into S&T based on characteristics of it and analyses the conformity of policy instruments with the features of policy instruments. The result shows that the conformity of policy instrument in the policy for women into S&T is low and the policy desirability is not enough over the whole policy. It also defines the drawback in each field of policy arising from the discordance between policy goal and policy instruments and tries to be the practical knowledge in building the policy for women into S&T.

      • KCI등재

        한국 과학기술정책학의 학제적 구조 탐색: 연구자의 모(母)학문을 중심으로

        오현정(HyounJeong Oh),이찬구(Chan-Goo Yi) 한국기술혁신학회 2021 기술혁신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계량서지학적 방법으로 연구자의 모(母)학문을 중심으로 한국 과학기술정책학의 학제적 구조를 탐색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정책현장과 학계에서 ‘과학기술정책학’이라는 용어가 통용되고 있지만, 실제로 과학기술정책학이 학문정체성을 확립하였다고 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과학기술정책학의 학문정체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 과학기술정책학의 학제적 구조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기술혁신학회지와 기술혁신연구에 지난 20여 년간 게재된 논문을 이용하여, 계량서지학의 대표적인 지적구조 분석기법 중의 하나인 저자서지결합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한국 과학기술정책학은 4대 연구분야 중에서 기술혁신과 연구관리 분야를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과학기술 정책과정과 과학기술 공공관리 분야가 일부 연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 과학기술정책학 전체에 걸쳐 가장 중심이 되는 모학문은 경영학, 경제학, 정책학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는 기술혁신과 연구관리 분야는 경영학과 경제학이, 과학기술 정책과정 분야는 정책학이 주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e of interdisciplinarity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S&T) policy studie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pective researcher’s disciplinary background with bibliometrics to analyze the academic identity of that. Although the term ‘S&T policy studies’ is commonly used in the policy fields and the academic community in Korea, the question has been raised whether that has an academic identity. Thus, this study conducted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ABCA) on research papers published over the past 20 years. As a result, the S&T policy studies in Korea has been focusing on "R&D management" and "technology innovation" among the four main research area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t much research in ‘policy process of S&T’ and ‘public management of S&T’. Business administration, economics, and policy sciences have been the most central discipline backgrounds of the S&T policy studies in Korea. In particular,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conomics have been leading the study of technology innovation and R&D management. Policy sciences has been leading the study of policy process of S&T.

      • KCI등재

        한국 과학기술정책 연구에 대한 학문 공동체 인식 탐구

        오현정 ( Hyounjeong Oh ),이찬구 ( Chan-goo Yi ) 한국정책학회 2023 韓國政策學會報 Vol.32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tellectual structure and academic ident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studies (STPS) in Korea as perceived by academic community members, and to offer recommendations for advancing i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ixteen Korean STPS professionals, we analyzed the current academic identity of STP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STPS in Korea has exhibited a limited academic identity, tended to be centered around specific topics, and needed more interdisciplinary engagement. These outcomes show the earlier bibliometrically derived intellectual structure of Korean STPS, objectively reflecting its current state. Furthermore, this research expects to enhance comprehension of STPS’s academic identity and its prospective growth in Korea by merging the contextual situation of the intellectual structure formation process and the perceptions of academic members.

      • KCI등재

        과학기술정책학의 패러다임 논의

        이찬구(Yi, Chan-Goo),오현정(HyounJeong Oh),김은미(EunMi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1

        이 논문은 2017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과학기술정책학 또는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독자적인 학문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출판된 과학기술정책 관련 단행본 19권을 대상으로, 학문 패러다임 형성의 핵심요소인 학문적 정의와 핵심 연구범위의 논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현 시점에서의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학은 패러다임 형성 이전의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결론에 근거하여 연구자들은 향후 과학기술정책학의 패러다임 완성에 필요한 학문적 정의와 연구범위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과학기술정책학은 ‘과학기술 활동 및 과학기술과 관련된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제반 현상을 연구・분석함으로써, (1) 과학기술 자체의 발전을 도모하면서 (2)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국가와 공공 부문의 문제해결 능력을 높이고자 하는 정책지향적인 학문’으로 정의하였다. 과학기술정책학의 ‘연구범위’는 (1) 과학기술 정책과정, (2) 과학기술 공공관리, (3) 연구관리, (4) 기술혁신의 4대 부문으로 제안하였다. 이 중에서 ‘과학기술 정책과정’과 ‘과학기술 공공관리’는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과학기술정책학의 정의를 반영하는 새로운 내용이며, ‘기술혁신’과 ‘연구관리’는 기존 연구들도 대부분 포함하고 있는 과학기술정책학의 연구범위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has been motivated by the awareness that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do not have an independent academic identity in Korea as of 2017. This research has been analyzed 19 books that have covered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published in Korea and explored whether those have a definition of discipline and core research scope which are the key elements forming academic paradigm. As a result, this study concludes provisionally that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 Korea are still at a stage that has not yet formed a paradigm. Therefore, this work newly proposes the definition of discipline and research scope necessary to complete the paradigm of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based on this conclusion. This paper has firstly defined that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re the policy-oriented discipline. It is (1)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tself by studying and analyzing the various phenomena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activities as well as science and technology and (2) makes the national and public sector improve problem-solving competence using science and technology. This work also proposes a research scope consisting of four research areas such as (1) policy pro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2) public manag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3) R&D management and (4) technology innovation. ‘Policy pro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public manag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mong four research areas are the new research ones reflecting the definition of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proposed in this paper. Additionally ‘R&D management’ and ‘technology innovation’ are the traditional research areas which have also included existing researches regarding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