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공주 수촌리 토기의 계통 연구

        신희권 ( Hee Kweon Shin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4 백제문화 Vol.1 No.50

        공주 수촌리 고분 Ⅱ지점에서는 50점, 15개 기종의 백제토기가 출토되었는데, 12개 기종은 한성지역 백제토기와 일치한다. 그 중 광구장경호가 18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직구단경호를 비롯한 직구호류, 대호류, 유개고배 등의 순으로 출토되었다. 한성지역 백제토기의 대표 기종인 광구장경호와 직구단경호, 유개고배의 특징과 변천 과정을 고찰한 결과 수촌리 토기는 기형적으로 한성지역과 대단히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기종별 세부 문양이나 양식 등은 수촌리 유적만의 독창적인 요소들도 나타나고 있다. 기타 소량이나마 외반구연평저호, 유개합, 파수대부직구소호 등도 출토되었다. 수촌리 유적이 분묘유적임을 감안하면 수촌리 분묘의 조영집단은 다양한 토기문화를 영유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마도 수촌리 유적이 조성될 단계에 이미 한성지역 토기문화의 영향이 지대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수촌리 유적의 토기는 시간적으로 한성기 후기에 속하며, 공간적으로는 한성지역과는 차별화된 지역화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There are 50 of Baekje potteries that are classified into 15 types from Ⅱ spot of Gongju Shchon-ri ancient tomb, and 12 types are correspond with Baekje potteries of Hanseong area. Among the potteries, 18 of jars with wide mouth and long-neck are the most in the number, and these are many in orders; jars with short-neck and upright rim, jars with upright rim, big jar and pedestal dish with lid. Suchon-ri pottery is significantly similar style with Hanseong area, after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and change process of the represented types of Baekje pottery from Hanseong area such as jars with wide mouth and long-neck, jars with short-neck and upright rim and pedestal dish with lid. However, Suchon-ri pottery has unique factors of specific patterns and styles. In addition, flat bottom jars with outward everted rim, bowls with lid and small pedestal jars with handle and upright rim are excavated as well although in few number. The Suchon-ri mound tomb builder is estimated to have diverse pottery culture in consideration of tomb site. Pottery culture of Hanseong area had to spread when Suchon-ri site had constructed. In conclude, the Suchon-ri pottery is included in the later period of Hanseong in the time concept, and entered into the unique rationalization step which is different from Hanseong area in the space concept.

      • 風納土城 출토 文字와 符號 探論

        신희권(Shin, Hee-kweo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3 한국고대사탐구 Vol.15 No.-

        백제의 첫 도읍인 ‘하남위례성’으로 인정되고 있는 풍납토성에서는 백제 한성기의 문자와 부호 자료가 다량 발굴되었다. 풍납토성의 발굴조사 결과 ‘道’자로 추정되는 글자가 새겨진 벽돌이나 ‘大夫’ 및 ‘井’자가 새겨진 항아리, 그리고 ‘X’자 모양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부호들이 발견됨으로서 해서 당시의 문자 생활에 대한 일말의 추론이 가능하게 되었다. ‘道’자가 새겨진 벽돌이 출토된 유구는 제의와 관련된 폐기 수혈로서, 함께 출토된 유물의 연대를 고려할 때 ‘道’자명 벽돌은 늦어도 3세기 후반 이전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道’라는 글자는 지금까지 발견된 백제시대 최고의 문자에 해당된다. 이는 백제가 문자로 역사를 기록했던 근초고왕대보다 이른 시기에 문자를 사용하였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이와 인접한 수혈에서 ‘大夫’와 ‘井’ 등의 글자가 새겨진 항아리들이 출토되었다. 이 수혈 또한 제의와 관련된 폐기장으로 추정되며, 여기서는 水神에 대한 제사나 祈雨 등을 목적으로 한 제의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大夫’는 중국이나 고구려 등의 기록을 비교한 결과 관련 제의를 수행한 관직명을 가리킬 가능성이 높고, ‘井’은 그러한 제의와 연관된 우물을 뜻하는 글자로 보는 것이 타당하리라 판단된다. 이밖에 토기의 바닥이나 몸체 일부에 ‘X’, ‘D’, ‘ll’ 등 다양한 모양의 부호를 새긴 예들도 다수 발견되고 있는데, 이러한 부호들은 대체로 토기의 제작자나 사용자, 관리자 등을 표시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use of chinese character during the Baekje Period by examining characters and marks inscribed on the archaeological objects, which have been excavated from ‘Pungnabtoseong’ (which is known as ‘Hanam Wiryeseong’), the first capital city of the period. The extensive numbers of characters and inscriptive marks on the excavated objects, such as characters of ‘道’ on brick objects, of ‘大夫’ and ‘井’ on jars, and ‘X’-shaped mark on other objects, have provided relevant information of understanding and reconstructing the way of using characters during the period. The brick objects which inscribed ‘道’ were found in a waste pit for executing a certain ritual during the period. Considering that other objects from the same pit belongs to the 3rd century late, the brick was made during the same period. There have been no object with character of the earlier period ever found before, so the bricks has become the earliest example, which proves that Baekje people had already been using chinese character from the 3rd century at least. Such information also reveals that Baekje people had used characters earlier than King Geunchogo’s period when the historical information was recorded. The characters of ‘大夫’ and ‘井’ which were inscribed on jars from a neighboring pit, which is a waste pit as well for ritual, display that the ritual was dedicated to the God of water praying for rain. Comparing with the records of Chinese and Goguryeo Kingdom of the period, the character of ‘大夫’ refers to the name of an official who had conducted the ritual related to water or rain. and so as the character ‘井’ meaning a ‘well’. In addition, the marks of ‘X’, ‘D’ and ‘ll’ on the bottom or surface of a pottery are the signature of manufacturer, user and manager of the potteries.

      • KCI등재

        중국(中國) 도성(都城)과의 비교(比較)를 통한(痛恨) 한성백제(漢城百濟) 도성(都城)의 형성(形成)과 발달(發達)

        신희권 ( Shin Hee-kweon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19

        중국 최고의 도성으로 인정되고 있는 陶寺 유적과 二里頭 유적은 규모가 거대하고, 구조와 배치가 구획성이 있으며, 유구 및 유물이 풍부하여 중국 고고학의 성지로도 여겨지는 중요한 유적이다. 도사 유적에는 거대한 성벽이 잔존해 있고, 이리두 유적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중국 최초의 궁성과 궁실 건축군 등이 발견되었다. 또한 중국 고대 도성 확립기라 할 수 있는 진한대의 도성은 亞宮城과 離宮이 조형되는 등 궁성의 기능이 강화되고 성내 道路가 완성되며, 禮制建築의 변화를 수반하고 있다. 한편 한성백제시대의 도성제도는 초기 단일 궁성에서 후기에 兩宮城 제도로 발전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즉, `위례성`인 풍납토성이 단독으로 존재하다가 몽촌토성이 추가로 축조되면서 `한성`으로 변화되었고,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의 양궁성이 바로 475년 웅진 천도 직전 `한성`을 이루었던 `북성`과 `남성`임이 입증되었다. 특히 풍납토성에서는 대형의 신전 건물지와 지상 건물지로 대별되는 宮殿宗廟區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 궁성에서는 남북과 동서로 구획된 대규모의 도로가 발굴되어 당시 계획적인 도시 구획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고 있고, 몽촌토성에서는 성문 바깥에서 양 궁성을 연결한 것으로 추정되는 도로의 흔적도 발견되었다. 중국과 한국의 도성 출현 양상은 서로 유사한 측면과 각각의 독자적인 측면을 보유하고 있다. 양국의 도성 출현과 발달 양상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문명 출현과 고대 국가 형성 과정을 밝히고 도성 고고학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Dating to 4,300 B.P., which were uncovered at Taosi(陶寺) in Shanxi(山西) province; this site yielded the foundations of large earthen-wall building, thought to have been roofed with tiles. At the site of Erlitou(二里頭), in Henan(河南) province, which is the oldest capital site to have been found in China. This site of Erlitou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largest settlement to have been found in the East Asia region, as well as being the later capital site of the Xia Dynasty. Archaeologists were able to identify what appears to be the oldest palace complex excavated in China, along with workshops in which bronze was manufactured. The Qin and Han Dynasty of China are the formative period of a unified empire and the established period of a capital castle system. Besides a main imperial palace, several detached palaces are constructed and each one has gates and roads. Memorial buildings such as the ancestral temple of the royal family and so on, which had been in the castle before, are located outside. In the case of Hanseong Baekje(漢城百濟) Period, Pungnaptoseong(風納土城) has been considered as `Wiryeseong(慰禮城)`, the first capital of Baekje since huge ramparts, memorial buildings, and wells were excavated there. Roads have also been dug out, encircling palace and the area for ancestral rites. Hanseong Baekje has the system of two capital cities as Mongchontoseong(夢村土城) is built besides Pungnaptoseong. Recently a big road from Mongchontoseong forward to Pungnaptoseong was excavated outside of the north gate of Mongchontoseong. Consequently, Pungnaptoseong was considered as the official palace, while Mongchontoseong as a detached place in terms of their functions and features. Pungnaptoseong, which is the site of the first capital of the Baekje state, shows great similarities with Taosi and Erlitou, although direct comparisons with these sites may be problematic due to differences in cultural and temporal contexts. Comparative studies which look into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capital sites from China and Korea therefore have the potential to shed light on the issue of early state formation and capital archeology in the Korea.

      • KCI등재

        한양도성 축조기법 연구 -백제 성곽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신희권 ( Hee Kweon Shin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5 백제문화 Vol.1 No.53

        조선 태조 때 축조된 이래 조선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수축되어 온 한양도성의 축조에는 우리나라 고대 성곽 축조에 이용된 다양한 기법들이 동원되었다. 한양도성은 구릉 및 능선부의 기저부 조성 방식에서 백제 석축산성의 축조기법이 관찰되고, 저지대의 기초를 강화하기 위한 말뚝기초는 서울의 풍납토성과 부여 나성 등지에서도 확인된다. 한양도성의 성벽은 지형에 따라 내외협축과 내탁으로 축조하였는데, 내탁법은 백제 산성의 축조에 주로 이용되는 중요한 축성법이며, 일부 구간에서 확인된 내측 성벽을 보호하기 위한 피복층도 풍납토성의 외벽에서 확인된 바 있다. 한양도성의 발굴조사에서는 태조연간, 세종연간, 숙종연간 등에 축조된 성벽이 두루 발굴되었고, 시대별로 다른 축조수법과 재료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세종연간 이후의 축조기법은 백제 석축산성의 석재와 면석 처리 기법 등에서 유사한 측면이 많다. 한양도성 성벽의 내탁부에서는 흙을 켜켜이 다짐 판축하여 축조한 토축 속심이 확인되었는데, 판축 법은 주로 백제 시대 토성 및 산성 축조에 보편적으로 이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Seoul City Wall which has been constructed since King Taejo of Joseon Dynasty continuously renovated to late Joseon, has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of ancient rampart of Korea. In the wall foundations of Seoul City Wall at hilly and mountainous sections, the same method of Baekje stone fortress was observed. And the wooden anchors, driven deep into the earth to help increas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oil were used also in the groundwork of Pungnabtoseong in Seoul and Naseong in Buyeo dating from the Baekje period. Seoul City Wall showed that some were built with stone on both sides, and some others built with stone only on the outer side in the so-called naetak style according to their topography. The naetak style was mainly used at Baekje stone fortress, and the layer covered with earth at some sections was also founded at the outer section on Pungnabtoseong. The various sections of Seoul City Wall were excavated ranging from the reign of Taejo to those of Sejong, Sukjong etc, there were different construction techniques and materials according to their time of construction. Especially the construction methods after the reign of Sejong are similar to those of Baekje stone fortress. At Seoul City Wall, the stamped earth-built inner side of naetak style wall was founded, the stamped earth method is a typical ancient engineering technique which was generally used at the construction of earthen wall and stone fortress of Baekje period.

      • KCI등재

        2017년 서울·경기·강원 지역 원삼국·백제 고고학 조사·연구 성과와 과제

        신희권 ( Shin Hee-kweon )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4

        이 글에서는 최근 서울·경기·강원 지역에서 조사된 백제 한성기 도성 관련 유적들과 원삼국~백제 시대 지방 거점 취락에 대한 주요 조사 성과와 의미 등을 살펴보고 연구 과제와 전망을 제시해 보았다. 풍납토성에서는 동벽 외곽의 해자 발굴조사를 통해 성벽의 증축·확장 과정을 확인하였고, 서벽의 문지 발굴을 통해 진전된 도성 구조 연구의 단서를 확보할 수 있었다. 몽촌토성의 북문지 인근 지역 재발굴 조사 결과 백제시대의 도로와 집수시설을 확인함으로써 당시 중요한 궁성 역할을 하였을 가능성을 높여 주었다. 석촌동 고분군의 발굴에서는 적석총의 기단석으로 추정되는 석렬들이 연접해 나가는 양상을 확인하였고, 방이동 3호분 석실 내부 조사 결과 석실의 구조와 축조 방식을 밝혀 내었다. 또한 인접한 하남 감일동 백제 횡혈식석실묘와의 비교를 통해 백제 한성기의 왕릉과 귀족묘에 대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도성 주변의 양평 양수리유적과 광주 곤지암 유적에서는 원삼국~백제 단계의 주거지가 다수 발굴되어 이 시기 지방 중심 취락에 대한 일면을 엿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강원 영서지역을 대표하는 춘천 우두동 취락의 발굴을 통해 당시의 생활과 생산, 매장 양상 등을 종합적으로 밝혀내는 계기가 되었다. 향후 이 지역에서 백제 한성기 도성 유적과 지방 거점 취락 및 분묘 유적들이 다수 발굴되어 백제의 형성 및 발전 과정을 밝혀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I have reviewed recent important survey results and implications of Baekje Hanseong Period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area about capital sites and local stronghold villages, and presented its assessment and vision. In the Pungnaptoseong, we confirmed the process of expansion of the wall through excavation of the eastern wall moat, and it was able to take clues to the study on the advanced structure through the excavation of the western wall gate. As a result of the re-excavation survey of the area around northen gate of Mongchontoseng, it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palace to play an important role at the time by excavating the roads and water storage facilities. In the excavation of the tomb of Seokchon-dong, we have confirmed the connected stairs of stone graves. An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nside the chamber of Bangyi-dong tomb No. 3,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techniques were revealed.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royal tombs and the noble graves of Baekje Hanseong period can be done through comparison with the neighboring Hanam Gamil-dong stone chamber tombs. In the Yangsu-ri site in Yangpyeong and Gonjiam site in Gwangju around the capital, the settlements of the proto three kingdoms and Baekje stage were unearthed, giving a glimpse the aspects of the local center village. And through the excavation of the village of Woodu-dong in Chuncheon, which represents the Yeongseo area of Gangwon province, it became an opportunity to comprehensively reveal the life, production and burial aspects of the tim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a large number of capital sites of Baekje Hanseong Period and local stronghold settlements and burials will be unearthed to study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Baekje.

      • KCI등재

        風納土城 築造年代 試論

        申熙權(Shin, Hee-Kweon) 한국상고사학회 2002 한국상고사학보 Vol.37 No.-

        風納土城은 1997년과 1999년 2차에 걸쳐 국립문화재연구소에 의해 내부 주거지와 성벽에 대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이 글에서는 발굴조사 결과 밝혀진 성벽의 구조와 출토유물, 성벽 내에서 출토된 목재와 목탄, 토기편 등의 과학적 절대연대, 그리고 토성 내부 유구와의 관계 등 세 가지 측면에서 토성의 축조연대를 추론하였다. 토성벽은 중심토루와 내벽, 외벽의 3개 구간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에서 출토된 토기편의 기술유형 분석 결과 중심토루에서 내벽 Ⅲ토루까지는 기원후 2세기대 이전에 1차로 축조된 것으로 보이며, 나머지 토루와 외벽 역시 기원후 2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축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대는 성벽에서 출토된 목재와 토기편 등의 절대연대 측정 결과와도 크게 다르지 않은데, 내벽 Ⅴ토루와 Ⅵ토루의 판축용 목재에 대한 방사성탄소연대측정 결과 기원전 1세기~기원후 2세기를 전후한 시기의 보정 연대라 검출되었고, 내벽 Ⅲ토루의 목탄과 토기편의 방사성탄소연대와 열발광연대 역시 각각 중심연대가 3세기 초와 2세기 초로 나와 토기편이 상대연대를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토성 내부의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3중의 환호유구 및 주거지 등과의 관계와 타날문토기의 연대로부터 20평이 넘는 대형의 6각형 주거지에서 기와를 비롯한 특수 유물을 사용하던 주민 집단이 기원후 2세기대까지 사용하면 3중의 환호를 폐기하고 보다 실질적이고 가시적인 위상을 과시하기 위한 거대한 규모의 토성을 축조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상의 풍납텅 연대는 토성 내외부의 추가 조사 및 한강유역 고고학적 자료들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완해나가야 할 것이며, 『三國史記』 등 문헌자료와 비교 연구한다면 百濟를 위시한 한반도 고대국가의 형성과 발전을 연구하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The earthen wall surrounding PungnabToseong and the remains of dwelling houses sited therein were excavat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in the course of two major excavation efforts respectively conducted in 1997 and 1999. This thesis addresses the methodology the archaeologist employed for determining the approximate construction date of PungnabToseong, namely deductive method used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structure of the earthen wall and the relics found therein, the absolute datings of timber, charcoal, and pottery and the chron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such data and dwelling houses and ditches found within the earthen wall. Based on the thchniques used for inscribing the patterns on the potteries found in the excavation site, it has been determined that the central earthen wall and inner 3rd part of the earthen wall of PungnabToseong were constructed before 2nd A.D., and that the other parts of the earthen wall were completed around 200 A.D. Theas findings are further supported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C14 dating of the timbers and charcoal and TL dating of the potteries found in the excavation site of the earthen wall. Further,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residents inside the earthen wall used certain relics in large hexagonal houses constructed gigantic earthen wall not only for practical purposes but also for demonstrating class to replace ditches used till 2nd A.D. Studies on the archaeological date of PungnabToseong have also been conducted in conjunction which continuous excavation around the area of PungnabToseong and within the area of the archaeological site located in Han-River basin.

      • KCI등재

        삼국시대 토축 구조물의 부엽법(敷葉法) 연구

        신희권(Shin, Hee-Kweon) 백산학회 2014 白山學報 Vol.- No.98

        부엽법은 토성의 기초 또는 토축 제방의 기저부에 나뭇잎과 나뭇가지 등을 깔아 지반을 다지는 고대 토목기법의 하나이다. 대체로 뻘흙이나 점성이 강한 흙으로 이루어진 기초층 내에 수분을 유지하여 경화를 예방하고 층간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김제 벽골제와 부여 나성 등에서 부엽법이 발견된 이래 풍납토성 발굴조사 결과 성벽 판괴부에도 이러한 기법이 확인되면서 부엽법의 원리와 기능에 대한 논의가 활기를 띠게 되었다. 최근에는 백제 뿐만 아니라 신라와 가야 지역에서도 부엽법을 적용한 토성과 제방 유적들이 잇따라 발견되어 부엽법이 삼국시대 토축에 보편적으로 이용되었던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부엽법의 유형은 크게 토제와 토성의 기저부에 이용되어 기초를 강화한 Ⅰ유형, 토제와 토성의 성토부나 판괴부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이용한 Ⅱ유형, 그리고 체성 중심부가 아닌 보축부에 이용한 Ⅲ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Ⅰ유형으로는 김제 벽골제와 함안 가야리제방, 상주 공검지, 부여 나성, 김해 봉황토성 등이 있다. Ⅱ유형에는 서울의 풍납토성과 울산 약사동제방이 해당되고, Ⅲ유형의 대표 유적으로는 이천 설봉산성과 함안 성산산성이 있다. 향후 부엽법 적용 유적이 추가로 발견되면 보다 다양한 유형이 밝혀질 것으로 기대되는데, 부엽의 재료와 부설 방식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다. 나아가 중국과 일본 등과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지면 부엽법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Leaves paving technique' refers to one of the ancient engineering techniques, which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earthen walls and banks by covering with organic remains such as leaves and twigs. Generally, this technique was applied to prevent from hardening by retaining moisture in the foundation layer, composed of mud and clay with high viscosity, and to enhance the adhesiveness between each layer. Since the technique was discovered at the Byeokgolje bank in Gimje and the Naseong earthen wall in Buyeo, it has proved that the technique was also applied to the Pungnabtoseong earthen wall. This excavation gave life to discuss the principle and function of the 'Leaves pave technique'. Recently, the sites of earthen walls and banks with this technique have been excavated continuously not only in the Bakeje area but also the Silla and Gaya areas. Hence, the technique is now recognized as the common construction technique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Leaves paving technique' is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Ⅰ) refers to a technique that strengthens the foundation of earthen banks or walls. The second type(Ⅱ) is applied to earthen walls or banks partially. And the third type(Ⅲ) of the technique is applied to the additional parts of ramparts. The excavation sites of the Byeokgolje bank in Gimje, the Gaya-ri bank in Haman, the Gonggeomji bank in Sangju, the Naseong earthen wall in Buyeo and the Bonghwangtoseong earthen wall in Gimhe are classified into the first type. The Pungnabtoseong earthen wall in Seoul and the Yaksa-dong bank in Ulsan are relevant to the Ⅱ type. And the representative sites of the third type are the Seolbong mountain fortress in Yicheon and the Seongsan mountain fortress in Haman. It is expected that various types of the technique will be identified, if more archaeological sites with the 'Leaves paving technique' are excavated. It is also necessary to research further in regards to the materials and the method of the paving leaves. Furthermore, comparative study on the 'Leaves paving technique' with China and Japan will bring a comparative understanding of the technique.

      • KCI등재후보

        한양도성 복원 현황과 개선 방향 - 진정성과 완전성 측면을 중심으로 -

        신희권(Shin, Hee-Kweon)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0 서울학연구 Vol.- No.80

        한양도성은 조선시대 수도인 한양의 외곽을 감싸는 성벽으로 전체 18.6㎞ 정도 중 13.1㎞ 가량이 원형 또는 복원된 형태로 남아 있다. 조선 초기인 태조 대에 축성된 이래 대한제국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장구한 역사적 가치와 건축물로서의 특징을 고스란히 간직한 도시성곽 유산이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한양도성은 2012년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었고, 문화재청과 서울시는 관련 조사와 연구를 토대로 지속적인 복원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사라지거나 쇠락한 성벽을 편의적으로 보수·복원해 옴으로써 파생된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다. 광복 이후 열악한 국가 재정에도 불구하고 훼손된 문화재를 원상대로 복원하겠다는 취지와는 다르게 한양도성은 복원 사업 이후 유산으로서의 가치가 손상되는 모순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한양도성의 보존철학의 부재와 복원 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안이함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196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진행되어 온 한양도성의 보수·복원 현황을 시대별로 4단계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각 단계별 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특히 문화유산의 중요한 화두이자 세계유산 등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진정성과 완전성의 측면에서 한양도성을 복원하는 데 보완해야 할 핵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보존철학의 확립과 함께 한양도성 복원 사업에서 가장 중시해야 할 사항은 문헌 연구와 발굴조사 등을 거친 후 원형에 대한 고증 자료가 확보된 범위 내에서 보존 및 관리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유적의 복원은 충분한 학술적 연구와 철저한 고증 절차를 거쳐 원래의 유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고증 없는 복원은 허구이며, 원형 없는 보존은 그 의미가 퇴색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양도성은 이상과 같은 원칙에 입각하여 성벽이 양호하게 남아 있는 구간, 발굴조사로 성벽의 기초 등이 확인된 구간, 멸실되었거나 밀집된 주택가에 위치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불가능한 구간 등으로 지역을 세분하여 각각의 상황에 합당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또한 성벽 외에 성문이나 수문 등 한양도성의 핵심시설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보존·관리 및 활용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Seoul City Wall, which encloses the outer wall of Hanyang, the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remains in its original or restored form, about 13.1km out of the total 18.6km. It is an urban city wall heritage that has retained its long-lasting historical values and features as a building from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Japanese occupation since its construction in the King Taejo period of early Joseon Dynasty. In recognition of this value, the Seoul City Wall was listed on the Tentative List of World Heritage in 2012,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Seoul City have been continuously pursuing restoration projects based on related surveys and research. However, behind the scenes, problems derived by conveniently repairing and restoring the disappeared or declining walls are revealed. Despite the poor national finances after liberation, contrary to the purpose of restoring damaged cultural properties to their original state, it also resulted in contradictory results that the value as a heritage was damaged after the Seoul City Wall restoration project. Ultimately,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lack of a preservation philosophy for Seoul City Wall and the ease in the restoration process. In this paper, the status of the maintenance and restoration of Seoul City Wall, which has been in progress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is categorized into four stages by era, and the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each stage have been examined. In particular, in terms of authenticity and integrity, which is an important topic of cultural heritage and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World Heritage nomin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key direction that should be complemented in restoring the Seoul City Wall.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preservation philosophy, the most important matter in the restoration project of the Seoul City Wall is that after literature research and excavation, a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the scope of obtaining historical data about the original. Restoration of all relics must be done within the scope of not damaging the original relics through sufficient academic research and thorough historical verification procedures. This is because restoration without historical evidence is fictitious, and preservation without originality has no choice but to fade. Based on the above principles, the Seoul City Wall should be subdivided into areas which are the section where the wall remains in good condition, the section where the foundation of the wall has been confirmed by excavation, and the section where immediate action is impossible because it is located in a lost or dense residential area. After that, measures appropriate to each situation should be take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systematic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plans for core facilities of Seoul City Wall, such as wall gates and sluice g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