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미용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이 학원만족도 및 진로결정인식에 미치는 영향
송태임,이미선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beauty education institutions’ choice attribute on academy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recognition where data is based on survey responses from students in beauty education institutions from August 1, 2018 to September 3, 2018. And 31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ome of beauty education institutions of which 273 questionnaires were used, excluding improper 45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v.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requency analysis (general characteristics, course status), multiple response analysis (course statu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esting validity of instrument measure), Cronbach’s alpha (reliability tes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main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hypothesis test) are implemen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cluded that the choice attributes of beauty education institu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y satisfaction. The analytical result shows that the R-squared value of the regression model is 28.2%,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this is an important factor in academy satisfaction. Second, it was concluded that the choice attributes of beauty education institutions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recognition, an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R-squared value of the regression model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18.0%,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recognition of students’ career decision. Third, it was concluded that academy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recognition. The analytical result showed that the R-squared value of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25.6%. This result shows that the school satisfac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recognition of students’ career decision. 본 연구는 미용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수강생들을대상으로 미용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이 학원만족도 및진로결정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항을 연구하고자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2018년 8월 1 일부터 2018년 9월3일까지 총 4주간 미용교육기관을대상으로 318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적합하지 못한 설문지 45부를 제외한 총 273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빈도분석(일반적 특성, 수강실태), 다중응답분석(수강실태), 탐색적 요인분석(측정도구의 타탕성 검증), Cronbach’s α(신뢰도 검증), 기술통계분석(주요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관계분석(각 변수간 상관관계), 선형회귀분석(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은 학원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으며,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8.2%의 결과를 얻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원 선택속성이 학원만족도에 있어서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수 있다. 둘째, 미용교육기관의 선택속성이 진로결정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으며,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8.0%의 결과를 얻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강생의 교육기관 선택속성이 진로결정인식에 있어서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학원만족도는 진로결정인식에 정(+)의 영향을미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으며, 분석결과 회귀모형의설명력은 25.6%로써,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독립변수로서의 학원만족도가 수강생의 진로결정인식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임을알 수 있다.
미용종사자의 잡크래프팅이 자기개발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송태임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5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81 No.-
본 연구는 미용종사자의 잡크래프팅이 자기개발,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광주 미용종사자를 대상으로 2024년 7월 1일부터 2024년 7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설문지 24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종사자의 잡크래프팅이 자기개발에 미치는 결과는 잡크래프팅의 하위요인별 과업크래프팅, 관계크래프팅, 인지크래프팅이 자기개발에 통계적으로 62.1%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잡크래프팅이 직무열의에 설명력은 61.3%이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자기개발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48.4%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자기개발은 미용종사자들의 직무 만족과 몰입을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개인적 성장과 직무성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핵심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통해 미용종사자들이 직무에 대한 열정을 유지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job crafting on self-development and job engagement among beauty industry professional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beauty professionals in Gwangju from July 1 to July 15, 2024, with a total of 241 valid response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job craft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elf-development, accounting for 62.1% of the variance, with its sub-factors—task crafting, relational crafting, and cognitive crafting—all contributing significantly. Second, job crafting explained 61.3% of the variance in job engagement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self-development accounted for 48.4% of the variance in job engagement, with the regression model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lf-development, in particular, was identified as a critical factor in enhancing job satisfaction and engagement, enabling beauty professionals to achieve both personal growth and job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job crafting and self-development play essential roles in maintaining enthusiasm for work and fostering sustainable growth among beauty industry professionals.
비대면 수업 인식이 학습몰입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태임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22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23 No.2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untact classes on learning flow and class satisfactio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college studen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257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the perception of untact classes had an influence on learning flow. Under untact classes, students are able to watch online classes repeatedly, reducing learning loss. Therefore, untact class is an important factor in learning flow. Second, the perception of untact classe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lass satisfaction. In other words, diverse untact teaching-learning methods have a positive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Third, concerning the influence of learning flow on class satisfaction, learning flow enhances student concentration. Therefore, increase in interest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s in academic achievements.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used in preparing effective untact classes under current unfavorable situations and available as basic data for future education.
이사야서에서 선포된 “hôy” 신탁의 신학적 의미에 대한 고찰
송태일 인천가톨릭대학교 2016 누리와 말씀 Vol.- No.39
이사야서 안에서 21번 언급되는 히브리어 “hôy”는 주로 이스라엘 백성과 그 지도자들 그리고 이방 민족들을 대상으로 선포된다. 무엇보다도 이 용어는 피조물에 불과하면서도 창조주 하느님과 동등한 위치를 차지하려는 그들의 교만한 생각과 위선적인 행동에 대한 하느님의 심판을 상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사야서 55장에서 선포된 마지막 “hôy” 신탁은 그 이전에 언급된 “hôy” 본문들과 긴밀하게 연결되면서 하느님의 용서와 자비로운 초대로 귀결되고 있다. 이 초대에 대한 첫 번째 응답은 바로 ‘주님을 찾고 부르는 것’(이사 55,6)이다. The Hebrew word “hôy”, which is mentioned 21 times in the Book of Isaiah, is mainly proclaimed to the people and leaders of Israel and the Gentiles. Above all, this word signifies God’s judgment against their arrogant thinkings and hypocritical behaviors that to obtain the same position as God the Creator, even though they are nothing but the mere creatures. Nevertheless, the last “hôy” oracle in Isaiah Chapter 55, which is closely linked to previously mentioned “hôy”, came to be a conclusion as to God’s forgiveness and his merciful invitation. The first answer to this invitation is “Seek the Lord and call Him”(Is. 55,6).
고등학생의 일반적 생활양식 유형에 따른 저가 브랜드 화장품 구매 행동과 뷰티관리 행동 비교 연구
송태임(Song, Tae 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사회적으로 발전할 소비 집단인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소비형태를 예측하고 소비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생활양식 유형에 따라 저가 브랜드 화장품의 구매형태와 뷰티관리 행동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화장품 마케팅 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소비자 행동유형과 미래 뷰티산업을 예측 할 수 있는 실증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각 변인에 대해 5점 Likert Scale을 사용한 각 측정 문항 전체 신뢰도 계수는 0.800 이상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성실한 응답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측정문항의 요인 분석 및 유형에 따른 구매행동 및 뷰티관리 행동들의 각 차원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교차분석 및 χ²-test하였다. 결과 정리하면 고등학생들의 저가 브랜드 화장품 구매행동 분석결과 저가 화장품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인지되었고, 이는 저가 화장품의 성장 지속성을 시사하였다. 생활양식 집단 유형은 ‘계획적/자기관리형’, ‘외모무관심형’ 및 ‘비합리적/외모관심형’으로 나눠지고 각 집단 유형에 따라 구매유형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다(p<.05). 생활양식 유형에 따른 뷰티관리 행동 요인은 ‘계획적/자기관리형’은 헤어관리와 손관리, ‘비합리적/외모관심형’은 네일관리에서 정(+)의 관계가 나타났지만 ‘외모무관심형’은 측정된 모든 뷰티관리 행동 요인에서 부(-)의 관계가 나타난다(p<.001). 결론적으로 생활양식 유형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이 저가 화장품 브랜드의 인지와 구매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자기관리가 철저하고 외모에 관심이 높을수록 뷰티관리행동에 대한 인식이 높음을 시사하였다. The research made a study for the buying behavior on cosmetics of low-price brand and the beauty care behavior aimed at high school students who develop to be the members of consumer group in a society according to the type of lifestyle generally affecting consumption patterns. This study has the objective to provide an empirical basis that can predict future consumer behaviors and beauty cosmetics industry needed to establish a marketing plan. It was studied using a questionnaire of reliability coefficients 0.800 or higher for each measurement items used a five point Likert Scale factors for each gender targets in high school students.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variance analysis, cross correlation analysis, and χ² -test were conducted for the research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incere responding subjects, the analysis of factor and to examine those factors through the buying behavior and the beauty care behavior.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low-cost cosmetics br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the brand image was recognized as be positive, suggesting that growth persistence of low-cost cosmetics. Types of lifestyle groups were divided into "planned/self-managed", "appearance indifference", "appearance interest" and the purchase typ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each group(p <.05). The type of "planned/self-managed" indicated the positive(+) in hair-care and hand care, and "appearance interest" indicated the positive(+) in nail-care, however the type of "appearance indifference" showed the negative(-) in all measured factors for beauty care(p <.001). In conclusion, the personalized marketing according to the type of lifestyle is considered to be able to increase the awareness and purchasing power of low-cost cosmetics brands. In addition, it would be suggested that the higher interest in appearance and self management, the higher awareness of the beauty self-care.
신뢰성 있는 키 교환을 위한 4 단계 핸드셰이크 연결 메커니즘
송태일 ( Tae Ill Song ),홍충선 ( Choong Seon H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7 No.2
유·무선의 망을 함께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에서는 기존의 통신방법으로는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메시지 교환의 무결성을 입증하기 어렵다. 기존 논문에서 제시한 인증메시지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키 교환에서는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신뢰성있는 키 교환이 가능하나, 상대적으로 많은 메시지 교환 절차와 암호화로 무선단말기와 서버 사이의 통신에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무선 단말기와 유선 서버사이의 신뢰성 있는 키 교환을 위해 상호 연결을 맺는 과정을 제시한다. 제안된 논문은 연결 요청단계, 인증 메시지 교환단계, 홉 카운팅단계, 신뢰성 확인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요청단계에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연결 요청이 이루어지며, 인증 메시지 교환단계는 인증 메시지를 이용해 상호간의 신뢰성 확인 및 Seed 값의 분배를 실시한다. 홉 카운팅 단계에서는 패킷의 TTL(Time to live)를 이용하여 메시지의 변조여부를 확인하며, 신뢰성 확인 단계는 카운팅된 값으로 메시지의 신뢰성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