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 치료를 위한 자궁동맥색전술 후 24시간 이내의 통증 조절에 대한 경피 펜타닐 패치의 효과

        송숙연,강병철,노경민 대한영상의학회 201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4 No.5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additional transdermal fentanyl patch compared to intravenous analgesics in pain control during the 24-hour period following uterine artery embolization (UAE) for myoma and adenomyosi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September 2009 and August 2010, 42 patients underwent UAE for myoma or adenomyosis. Of these, 21 received an intravenous opioid (pethidine) and a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group A), and 21 received an additional transdermal fentanyl patch (group B). Pain perception levels were established verbally on a 0-10 scale during the 24-hour period following UAE. Differences in pain trends, mean dose of intravenous pethidine, and adverse effect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Pain perception was most severe at 6 hours after UAE and the mean pain level of group B at that time was 6.3 ± 0.7,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roup A, 8.2 ± 0.7 (p<0.05). The mean dose of intravenous pethidine was 114.3 ± 59.5 mg in group A and 90.5 ± 49.0 mg in group B, while the incidence of nausea was 67% in group A and 77% in group B. In both cases,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nd no evidence of respiratory distress was demonstrated. Conclusion: The addition of a transdermal fentanyl patch to intravenous analgesics is effective in reducing post-embolization pain during the 24-hour period after UAE. 목적: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 환자에서 자궁동맥색전술 시행 후 통증의 정도를 24시간 동안 평가하여 정맥 내 진통제와 함께 추가로 사용하는 경피 펜타닐 패치의 통증 조절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으로 자궁동맥색전술을 시행 받은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마약성 진통제 페티딘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정맥 내 투여받은 군(A군)과 추가로 경피 펜타닐 패치를 부착한 군(B군)으로 각각 21명씩 분류하였다. 색전술 시행 후 24시간 동안의 통증 지각 정도를 구두통증척도에 따라 0-10점으로 평가하여 시간에 따른 통증 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두 군의 통증 정도, 페티딘 투여량, 부작용 발생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에서 색전술 6시간 후에 통증의 정도가 가장 심했으며, 이때의 평균 구두통증척도는 A군 8.2 ± 0.7점, B군 6.3 ± 0.7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A군에서는 평균 114.3 ± 59.5 mg의 페티딘이 투여되었고 B군에서는 평균 90.5 ± 49.0 mg이 투여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31). 오심의 발생은 A군에서 67%, B군에서 77%였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495). 호흡장애는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자궁동맥색전술 시행 후 24시간 이내의 통증 조절에 정맥 내 진통제에 추가로 경피 펜타닐 패치를 사용하는 것은 효과적이며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았다.

      • KCI등재

        관절순 병변의 진단과 병변의 위치 평가에 대한 견관절 자기공명관절조영술의 진단적 정확도 및 일치도에 대한 연구

        황지영,송숙연,최진하,신상진 대한영상의학회 201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7 No.6

        Purpose: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and inter-observer agreement of magnetic resonance (MR) arthrography in the detection of labral lesions by location and to describe useful MR imaging findings of labral tears. Materials and Methods: Sixty-eight patients who underwent both pre-operative MR arthrography and arthroscopy were included. The location of the labrum was classified into anterior (2-6 o’clock), superior (12-2 o’clock), and posterior (6-12 o’clock).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and inter-observer agreement of MR arthrography for the diagnosis of labral lesions by location were calculated. Frequency of MR imaging findings such as detachment, high signal intensity cleft, contour change, absence, and signal change of the labrum by location were analyzed. Results: 35 anterior, 44 superior and 15 posterior labral lesions were detected by arthroscopy. The corresponding sensitivities were 91.4%, 79.5%, and 40.0%, specificities were 90.9%, 20.8%, and 86.8%, accuracies were 91.2%, 58.8%, and 76.5%, and kappa values were 0.823, 0.252, and 0.394, for anterior, superior, posterior lesions,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MR imaging findings were detachment in 60.0% of anterior labrums, high signal intensity cleft in 52.3% of superior labrums, and normal in 60.0% of posterior labrums. Conclusion: Diagnostic accuracy and inter-observer agreement of MR arthrography in the diagnosis of labral lesions are high in anterior labrums and low in superior or posterior labrums. The useful MR imaging findings of labral tea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labral location. 목적: 견관절의 관절순 병변을 진단하는데 자기공명관절조영술의 진단적 정확도 및 일치도를 병변의 위치별로 평가하고, 진단에 유용한 영상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수술 전 견관절 자기공명관절조영술을 시행하고, 관절경 수술을 받은 6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절순의 위치를 전방(2~6시), 상방(10~2시), 후방(6~10시)으로 분류하였다. 자기공명관절조영술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 및 일치도를 관절순 병변의 위치별로 산출하였다. 자기공명관절조영영상에서 관절순의 박리, 고신호강도의 틈, 모양변형, 결손, 신호강도변화의 영상소견을 평가하고 위치별로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관절경 수술에서 관절순 병변은 전방 35명, 상방 44명, 후방 15명 있었다. 관절순 병변 진단에 대한 자기공명관절조영술의 민감도는 91.4%, 79.5%, 40.0%, 특이도는 90.9%, 20.8%, 86.8%, 정확도는 91.2%, 58.8%, 76.5%, 판독자간의 일치도는 kappa값이 0.823, 0.252, 0.394였다(전방, 상방, 후방). 가장 흔한 자기공명영상소견은 전방에서는 관절순의 박리(60.0%), 상방에서는 고신호강도의 틈(52.3%), 후방에서는 정상(60.0%)이었다. 결론: 관절순 병변을 진단하는 데 있어 자기공명관절조영술의 진단적 정확도 및 일치도는 전방에서는 높았지만, 상방, 후방에서는 낮았다. 진단에 유용한 영상소견은 병변의 위치별로 달랐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