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연구

        송대헌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1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force contents of Korean grammar education and it is conducted to analyze the polysemous uses and semantic functions of Korean adverbial case particles of ‘e’ and ‘eseo’ and apply i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xplanation method of adverbial case particles on existing Korean language books is description of grammar information without polysemous uses and lack of systematic and specific explanation of grammar information of postposition. In addition,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learners couldn’t easily understand its accurate meaning and usage because the differences representing the similar meaning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resolve this, the study focused on the linguistic synchronization appearing on the usage of Korean adverbial case particles and suggested the meaning extension method in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 and ‘eseo’ represent a place of a physical subject and its transfer relation and can be systematically extended as an abstract meaning based on cognitive space experiences. In this study,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description metho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suggested for learners to study the Korean language more easily based on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linguistics. 이 연구는 한국어 문법 교육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목적이 있는 연구로 한국어의 부사격 조사 ‘에’, ‘에서’의 다의적 쓰임과 의미 기능을 분석하여 이를 한국어 문법 교육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부사격 조사의 설명 방식은 다의적 쓰임이 분리되어 문법 정보가 기술되고 있다. 또한 의미의 차이가 명시적으로 기술되지 않아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는 정확한 의미와 용법을 쉽게 이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국어 부사격 조사의 다의적 쓰임에 나타나는 언어적 동기화에 주목하여 의미 확장 방식을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는 물리적 대상의 처소 및 이동 관계를 나타내며 인지적 공간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추상적 의미로 체계적으로 확장되었다. 이와 같이 한국어 교육에서 인지언어학의 이론적 특성의 교육적 가능성을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가 보다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과 기술 방식을 제안하였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분류사의 범주화 양상 연구 -인지적 기제를 통한 문법화를 중심으로-

        송대헌 국제어문학회 2019 국제어문 Vol.0 No.8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분류사의 의미 양상을 인지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범주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표준국어대사전(1999)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 분류사 목록 324개를 설정하였다. 인간은 익숙한 개념으로써 낯선 개념을 이해하려는 특성으로 실제 의미를 갖던 어휘로부터 새로운 분류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은유와 환유의 이론으로 살펴보았다. 분류사의 범주화는 분류사가 갖는 수적의미를 바탕으로 [개체], [부분], [집합], [종류]로 1차범주화를 하였으며 [유정성], [무정성], 사물의 물리적 속성과, 기능적 속성 등 에 따라 2차 범주화를 하였다. 범주화를 통해 일부 명사에서 문법화가 이루어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법화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지시물과대상명사지시물 간의 인접성이나 유사성 관계에 기초하여 은유나 환유의 인지기제를 적극적으로 사용한 결과 때문이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how the Korean classifiers’ meanings are derived through the cognitive and categorization processes. For this, a list of Korean classifiers is provided. The human tendency to understand new concepts based on the familiar concepts has led to a linguistic process wherein new classifiers are created from their origin words. This process has been studied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metaphor and metonymy. Classifiers are selected and categorized into a list. As it appears not all nouns were grammaticalized as classifiers in this process; only nouns with specific semantic properties were grammaticalized. [human] nouns were grammaticalized upside down; the higher category words were grammaticalized into the lower categories. In the [animal] and [plant] classifiers, a part of the animal or plant corresponded to the object- their grammaticalization process was in part-whole order. The [unit] words were grammaticalized into classifier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연결어미 ‘-니까’의 문법화 연구

        송대헌,황경수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of connective ending ‘-nikka’ which is frequent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by identifying its semantic functions and syntactical characteristics. The semantic function of Korean connective ending ‘-nikka’ is to represent [explanation on situation] and [reason and cause] and [explanation on situation] is more likely to be syntactically restricted according to semantic function than [reason and cause]. Syntactic restrictions include restriction of subject selection, predicate, tense and sentence concluding. The Korean connective ending ‘-nikka’ is composed of ‘-ni’ and ‘-kka (//까)’. ‘-nikka’ has inherited the [explanation on situation], a semantic function of ‘-ni’ in the Middle Korean language. The preceding clause connected with ‘-ni’ is expanded to the meaning of [explanation on situation], [reason and cause] and ‘condition’ preceding a following clause in time. The semantic function formation from [explanation on situation] to [reason and cause] has been originated from a cross-linguistic temporal attribute, which is pragmatically transferred from the grammaticalization by reflecting the speaker‘s attitude toward conditions or circumstance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 기능과 통사적 특성을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연결어미 ‘-니까’의 문법화 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한국어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 기능은 [상황 설명], [이유/원인]이며, 의미 기능에 따른 통사적 제약은 [이유/원인]의 의미 기능보다 [상황 설명]의 의미 기능에서 더 많다. 통사적 제약의 종류는 주어 선택의 제약, 서술어의 제약, 시제의 제약, 문장 종결법의 제약 등이다. 연결어미 ‘-니까’는 ‘-니’와 ‘-//까’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다. 연결어미 ‘-니까’는 중세국어 연결어미 ‘-니’의 [상황 설명] 의미 기능을 이어 받았으며 ‘-니’로 연결된 선행절은 후행절보다 시간적으로 앞선 [상황 설명], [이유/원인], [조건] 등의 뜻으로 확대되었다. [상황 설명]의 의미 기능에서 [이유/원인]의 의미 기능으로의 형성은 범언어적으로 시간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는 화자의 상태나 상황에 대한 태도가 반영되어 문법화가 화용적으로 일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어 연결어미 ‘-려고’의 의미 기능 연구

        송대헌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한국어 연결어미 ‘-려고’의 의미 기능 연구송 대 헌** 요약: 이 연구는 한국어 연결어미 ‘-려고’가 문말에서 어떻게 표현되며 어떤 의미 기능을 나타내는지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결어미로 사용되는 ‘-려고’는 ‘의도’와 ‘예정’의 의미 기능을 나타내며 문말에서 종결어미로 사용되는 ‘-려고’는 ‘의심’, ‘결심’, ‘염려’, ‘추측’의 의미 기능을 나타낸다. ‘의심’과 ‘추측’의 의미는 완전히 문법화가 진행되어 문말에서 종결어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때의 ‘-려고’는 후행절의 복원 가능성이 약해 독립적인 기능을 한다. 또한 ‘결심’과 ‘염려’의 의미를 나타내는 ‘-려고’는 문말에 사용되기는 하지만 아직 연결어미로서도 쓰임도 강하다. 그러나 이 의미 기능은 연결어미의 ‘의도’나 ‘예정’의 의미와는 다르기 때문에 문법화가 진행 중인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문법 항목인 연결어미 ‘-려고’의 의미 변화 분석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구어의 문말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담화 표현을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핵심어: 연결어미, ‘-려고’, 문법화, 종결어미, 의미 기능, 복원 가능성 □ 접수일: 2022년 5월 31일, 수정일: 2022년 6월 17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이 논문은 2020년 김천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지원에 의한 것임(gc-20051). ** 김천대학교 기초교양학부 교수(Professor, Gimcheon Univ., Email: songdh7419@naver.com) A Study on the Semantic Functions of a KoreanConnective Ending, ‘-ryeogo’Daeheon So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Korean connective ending ‘-ryeogo’ is expressed at the end of a sentence and which semantic functions it represents. ‘-ryeogo’ used as a connective ending indicates the semantic function of ‘intention’ and ‘being planned’, and ‘-ryeogo’ used as a closing ending at the end of a sentence represents the semantic function of ‘doubt’, ‘determination’, ‘worry’, and ‘gu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yeogo’ with the meanings of ‘doubt’ and ‘guess’ is used as a closing ending at the end of a sentence because it has been fully grammaticalized, and ‘-ryeogo’ in this case performs an independent function due to its low possibility of restoring the following clause. In addition, although ‘-ryeogo’ with the meanings of ‘determination’ and ‘worry’ is used at the end of a sentence, it is still broadly used as a connective ending as well. However, given that this semantic function as a closing ending differs from the connective ending’s meaning of ‘intention’ or ‘being planned’, its grammaticalization may be still in progress. The present study intended to provide data that enable Korean language learners to understand and effectively learn various expressions in discourse, which appear at the end of sentences in spoken Korean language by analyzing changes in the meaning of the connective ending ‘-ryeogo’, a grammatical item that is frequently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ey Words: Connective Ending, ‘-ryeogo’, Grammaticalization, Sentence-closing Ending, Semantic Function, Possibility of Restoring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사동법 연구

        송대헌 국제한인문학회 2019 국제한인문학연구 Vol.25 No.-

        이 연구는 사동접미사를 활용한 사동표현을 익히고 한국어 교육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어 문법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사동법은 제시 범위가 명확하지 않고, 단순 어휘로 제시하며 사동문의 정의와 범주가 명확하지 않다. 이를 위해 사동사의 개념을 ‘어떤 행위자가 행위 대상자에게 직·간접적인 작용을 통하여 어떠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사동법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사동법의 범주를 형태·통사·의미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사동사는 ‘형태적으로는 용언의 어근과 사동접미사 ‘-이-, -히-, -리-, -기-, -우-, -구-, -추-’가 결합한 형태이고 통사적으로는 서술어의 자릿값을 지켜야 하며, 의미적으로는 본동사와 관련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파생 사동법의 효율적 교육을 위한 파생 사동사의 제시 방법을 시각적 자료 제시, 규칙 제시, 형태 및 통사 구조 제시, 의미 대조 제시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causative expressions that employ causative ending particles and apply them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ausative in the Korean grammar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o not come with clear categories; the causative sentence is not clearly defined and categorized as they involve simple vocabulary. In order to do this, the author of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causative verb as the meaning that ‘a certain performer makes his or her target person reach certain results through direct and indirect actions, and stipulated this grammatical rule as the causation form. In addition, the author of this study analyzed the causation form of Korean through the standards of its form, syntax and meaning based on the discussions of the category of causation form. The causative verb should be characteristically in the form of the root of predicate combined with the causative suffix of ‘-이(ee)-, -히(hi)-, -리(ri)-, -기(gi)-, -우(woo)-, -구(gu)-, -추(chu)-, and syntactically, it should keep the place value of predicate, and semantically, it should have relation with the main verb. Lastly, This study has suggested a method to present causative verbs to bring efficiency in the teaching if the Korean derivative causative through presenting visual data, rules, morphological and syntactic structure, and semantic contr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