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학·천도교와 손병희의 이상과 현실

        성주현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시민인문학 Vol.37 No.-

        본고는 손병희가 동학에 입도한 이후, 그가 추구하고자 하였던 이상과 현실의상황을 살펴보고 있다. 한말 기울어져가는 조선이 해결해야 할 과제는 봉건질서의 극복과 서세동점의 서구열강의 침략이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 민족적 과제는 독립이었다. 손병희는 이 과정에서 동학을 통한, 동학·천도교의 최고책임자로서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손병희는 동학에 입도할 당시 삼재팔난이 빨리 와서 망해버렸으면 좋겠다는생각도 없지 않았지만, 동학이 가지고 있는 평등사상과 민족주의 의식에 매료되어 동학에 입도하였다. 이후 철저한 종교인으로 탈바꿈하였다. 그리고 동학의 지도자 반열에 들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계기로 동학교단의 핵심 지도자로 그 역할을 다 하였다. 첫 번째는 동학농민혁명의 참여였다. 손병희는 동학농민혁명의 참여를 통해이른바 남북접의 연합이라는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였지만, 무엇보다도 “무고한백성을 벌하고, 재산을 빼앗고, 부녀자를 빼앗고 있었으므로 정부를 넘어뜨리고새로운 정부를 세워서 악정을 고칠 목적”으로 참여하였다고 밝혔다. 이는 동학이추구하는 ‘지상천국’을 현실에서 실현하고자 한 과정의 하나였다. 두 번째는 1904 년 갑진 근대화운동이었다. 일본 망명생활을 통해 체험한 근대화를 동학교단을통해 조선에서도 실현해 보고자 하였다. 그렇지만 손병희의 최측근이라고 불리는 이용구의 배신으로 이상으로 남았다. 그렇지만 귀국한 후 천도교중앙총부를설치하고 근대적 종교로 전환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세 번째는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의 독립이었다. 동학농민혁명과 갑진 근대화운동을 경험한 손병희는 보다 신중하게 3·1운동을 준비하였다. 그렇지만 초기의 독립청원성주현_동학·천도교와 손병희의 이상과 현실 137 을 독립선언으로 전환한 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자신뿐만 아니라 천도교인 전체가 참여하도록 독려하였다. 또한 기독교, 불교와 연합전선을 형성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독립선언서가 발각될 위기에 처해 있을 때도지혜롭게 해결하여 전 민족이 만세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손병희는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반봉건 반외세의 동학농민혁명, 근대화의 갑진개화운동, 전 민족의 거사였던 3.1운동을 직접 참여하고, 지도자로 역할을 다하였다. 그는 이를 통해 근대적 국민국가를 목표로 하였지만 현실적으로뜻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그렇지만 그가 지도하였던 천도교는 민주제로서의 확립을 통해 그 이상을 실현하였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이러한 점에서 손병희는 반봉건, 반외세의 동학을 근대문명을 수용함으로써 천도교로 탈바꿈하였다고 할 수 있다. 동학에서 천도교로 탈바꿈하게 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서구의 근대성이었으며, 이는 메타모포시스의 전형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강원도의 동학 조직과 동경대전

        성주현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5 역사와 교육 Vol.20 No.-

        강원도는 동학의 제2 고향이라 할 정도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1860년 4월 5일 경주에서 창도된 동학은 초기 경주를 중심으로 안동․영해․영양․청도․대구 등 경상북도 지역과 경기 일부 지역에 포교되었 다. 초기 경상도와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포교되기 시작한 동학은 동학을 창도한 수운 최제우의 순도 와 함께 강원도 지역에도 동학의 연원이 뿌리내리기 시작하였다. 강원도에 동학이 포교된 것은 1860년대였으며, 이경화로부터 전래되었다. 동학이 창도된 직후에는 경 상도가 중심이었지만 1871년 영해교조신원운동 이후 동학의 활동무대는 강원도로 이동하였다. 영월과 정선을 중심으로 활동한 해월 최시형은 이를 계기로 동학의 조직을 재건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 시기 해월 최시형은 구성제, 인등제 등 각종 의례를 시행함으로써 동학의 의식을 체계화하였으며, 훗날 동학 의 의식을 확립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외에도 49일 기도를 통해 교인들로 하여금 신앙심을 고취시 켰다. 뿐만 아니라 강원도 동학은 동학의 최초 경전인 경진판 『동경대전』을 간행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동학의 경전은 수운 최제우가 직접 지은 것이었지만 책으로 간행한 것은 해월 최시형이었 다. 해월 최시형은 강원도에 포교되기 시작한 동학을 조직화하는 한편 신앙공동체를 만들어나갔다. 이 를 통해 해월 최시형은 동학의 역사인 사적과 경전인 『동경대전』을 간행할 수 있었다. 이로 볼 때 1860년대 형성된 강원도의 동학은 영해교조신원운동으로 와해 상황에서 각종 의례의 확립, 사적 및 경전 간행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동학을 재건할 수 있었다. 이후 강원 도 동학은 1893년 교조신원운동을 비롯하여 보은 장내리의 척왜양창의운동, 그리고 1894년 동학농민혁 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Gangwon-do has intimate relationship with Donghak, and can be considered its second home. In April 5, 1860, Donghak established in Gyeogju started to be active in propagating in parts of Gyeongsangbukdo and Gyeonggido areas such as Andong, Younghae, Youngyang, Chungdo, and Daegu. Donghak that started propagating in areas around Gyeongsang-do and Gyeonggi-do started its Donghak origin also in the area of Gangwon-do with purity of Suwoon Jae Woo Choi, the advocator of Donghak. Donghak was propagated to Gangwon-do in 1960s and originated from Kyungwha Lee. After its advocacy, Donghak had its focus on Gyeongsang-do, but re-located its movement to Gangwon-do after 1871 Younghae Gyojosinwon movement. Because of this, Haewall Si Hyung Choi, who was active around Youngwall and Jungsun, reconstructed the Donghak organization. Moreover, Haewall Si Jyung Choi systemized the rituals of Donghak by proceeding various rituals such as Gusungjae and Indengjae, which contributed largely to establishing the Donghak consciousness. Additionally, he inspired other belivers through the 49 days prayer. Donghak of Gangwon-do also has crucial role in publishing the first scriptures of Donggyungdaejeon Gyungjin Edition. The scripture of Donghak was written by Suwoon Jae Woo Choi but published by Haewall Si Hyung Choi. Through this process, Haewall Si Hyung Choi published historical landmark and scripture Donggyungdaejeon. As one can see, Donghak of Gangwon-do established in 1960s served an important role in systemizing rituals and publishing historical landmark and scriptures in a collapsing situation from Younghae Gyojosinwon movement. From this, Donghak could be re-established. Afterwards, Donghak of Gangwon-do became active participant in 1893 Gyojosinwon movement, Boeun Naeri Jang's anti-foreign Yang Chang Eui movement, and 1894 Donghak Farmers Revolution.

      • KCI등재

        변형 이변측위기법과 초전센서를 이용한 선내 위치인식 보정 알고리즘에 관한 실험적 연구

        성주현,최재혁,김종수,서동환,Seong, Ju-Hyeon,Choi, Jae-Hyuk,Kim, Jong-Su,Seo, Dong-Hoa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8 No.5

        The real-time indoor location technology using radio waves has been studied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One of them, a ship which consists of steel structure has high reception rate but causes significant ranging error due to the reflection of radio waves. In order to reduce location measurement errors that occurs in such a environment, this paper, based on CSS of IEEE 802.15.4a, presents compensation algorithm for localization using modified bilateration and pyroelectric sensor in a ship. The proposed system reduces the number of fixed nodes by estimating the appropriate reception distance between mobile node and fixed node through the analysis of CSS characteristic in a narrow passage such as ship corridors. Also, in the corner section which the ranging errors are significantly fluctuated due to the reflection and diffraction of radio waves, we recognize the location by tracking the a moving section using modified bilateration technique and pyroelectric senso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location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proposed algorithm are improved 86.2 % compared to general method. 전파를 이용한 실내 위치인식 기술은 현재 다양한 환경에서 연구되고 있다. 그 중 철골구조로 이루어진 선박은 전파의 반사에 의해 수신율은 높지만 레인징 오차가 크게 발생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위치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IEEE 802.15.4a의 CSS 기반으로 변형 이변측위와 초전센서를 이용한 선내 위치인식보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선내 복도와 같은 좁은 통로에서 CSS의 특성분석을 통하여 이동노드와 고정노드 사이의 적합한 수신거리를 추정하여 고정노드의 수를 줄이고 또한 전파의 반사와 회절에 의한 레인징 오차가 크게 변동하는 코너영역에서 제안한 변형 이변측위기법과 초전센서를 이용하여 이동구간을 추적하여 위치를 인식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일반적인 방법 대비 86.2 %의 선내 위치인식 정확도와 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TBM 터널 굴착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소 도출 및 중요도 결정

        성주현,윤준웅,Seong, Joo-Hyun,Youn, Jun-Ung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7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9 No.6

        도심지에서 지하철, 공동구 등의 지하시설물 건설을 위해 TBM 터널 공법 적용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터널공사는 지반의 변동성 및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건설 중 다양한 사고 발생 위험요소를 내재하고 있고, 사고발생 시 인명 피해 유발 및 복구에 큰 비용이 소요되므로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공사의 위험요소를 도출하고 저감 대책을 수립하는 리스크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및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하여 도심지 TBM 터널 공사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총 31개의 위험요소를 도출하였고, 전문가 합의에 의한 의사결정 방법인 델파이 기법을 통해 위험요소별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내용타당도 기준을 만족하는 12개의 위험요소가 결정되었으며, TBM 터널공사 중 사고 예방을 위한 중점 관리요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There is a growing need to apply TBM tunnelling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subways and utility tunnels in urban areas. Due to the variability and uncertainty of the ground, tunnelling in urban areas has various safety hazards which could cause damage to people and properties and it is very costly to recover from accident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hazards from the planning and design phase and to establish risk mitigation measures. In this study, a total of 31 hazards affecting the stability of TBM tunnelling works in urban areas were listed from both the technical literature and correspondence with experts in tunnelling area. The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the hazard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lphi technique, which is a decision-making method by consensus among experts. Finally, 12 hazards that satisfy the content validity criteria were settled and could be used as major control factors for accident prevention during TBM tunnelling works.

      • KCI등재

        전주지역 3·1운동의 전개과정과 그후 동향

        성주현 숭실사학회 2018 숭실사학 Vol.0 No.40

        On March 1st, 1919, when a nationwide Independence Movement was staged, including Seoul, Jeonju was highly enthusiastic to it. The Independnece Movement in Jeonju continued several times until March 23th after holding its first round of campaign on March 12th. In addition to religions such as Cheondogyo and Christianity, students from Sinheung Schools, Jeonju Gijeon Girls’ School, and others took the lead these campaigns on a market day. Also, the gisaeng participated in the protests. According to “Maeil Shinbo”, about 5 people were captured by Japanese polices and the campaigns developed as much as the Joseon Command in Yongsan dispatched one of the troop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Jeonju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hat the protests started relatively late. The declaration was delivered to Jeonju on March 1st, when the movement was staged in Seoul. Using the night of March 2n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as distributed to downtown and outer areas including Sanggwan-myun, but the actual protest took place on March 12th, after 10 days. Then the Movement took place until the end of March. Second, the protests were not organized. The declaration was delivered, but it was not distributed systematically. However, this led to the protest. It seems that the first protest was developed individually, not by any leadership. Cheondogyo and Christianity, in unity, had started to develop the campaigns systematically from March 13th. Third, they staged peaceful protests. The three main principle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n March 1st were popularizing, unification, and non-violence. Nevertheless, in some areas, violent attacks or arson were carried out on cotton offices and police substations. However, the protests in Jeonju were peaceful and non-violent. Fourth, the protest was led by students, religious men of Cheondogyo and Christianity. In Jeonju, the protest was ateended by the students from Christianity and their schools such as Sinheung Schools, Jeonju Gijeon Girls’ School. in this sense, it is a good exampl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n March 1st. Finally, it has continued to be linked to the national movement since the Independence Movement, including the collection of war funds. After the Movement on March 1st, the national movement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collection of fund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s. Many temporary governments, including the Hansung governemtn, were established, and these provisional governments were integrated into the temporary government of Korea in Shanghai. And fund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were raised in connection with the government. In Jeonju, the funds are raised as a temporary government agent from the March 1st to the early 1920s. 1919년 3월 1일 서울을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만세운동이 전개되자 전주에서도 적극적으로 호응하였다. 전주의 3·1운동은 3월 12일 첫 만세시위를 전개하여 3월 23일까지 수차례 지속되었다. 이들 만세시위는 천도교와 기독교 등 종교뿐만 아니라 신흥학교와 기전여학교 등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장날을 이용하여 전개되었다. 이외에도 기생이 만세시위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매일신보』에 의하면 전주 3·1운동에서 50여 명이 일경에 피체되었을 뿐만 아니라 용산에 있는 조선군사령부에서 1개 중대병력을 파견할 정도로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이를 통해 전주지역 3·1운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만세시위가 비교적 늦게 시작되었다는 점이다. 전주에 독립선언서가 전달된 것은 서울에서 만세시위가 전개된 3월 1일이었다. 그리고 3월 2일 밤을 이용하여 독립선언서를 전주 시내를 비롯하여 상관면 등 외곡지역에까지 독립선언서를 배포하였지만, 실제 만세시위가 전개된 것은 10여 일 후인 3월 12일이었다. 이후 3월 말경까지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둘째는 만세시위가 조직적으로 전개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독립선언서가 전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배포하지 못하였다. 그렇지만 이를 계기로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하지만 적어도 3월 12일 첫 만세시위는 지도부가 조직적으로 만세시위를 전개하지 못하고 개별로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3월 13일부터는 천도교와 기독교가 연대를 통해 보다 조직적으로 만세시위를 추진해나갔다. 셋째는 평화적 시위를 전개하였다는 점이다. 3·1운동의 3대 원칙은 대중화, 일원화, 비폭력화였다. 그럼에도 일부지역에서는 면사무소와 주재소를 등을 습격하거나 방화하는 양상의 폭력적으로 전개되었다. 그렇지만 전주지역의 만세시위는 비폭력 평화적으로 전개되었다 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넷째는 만세시위를 학생과 천도교 및 기독교 등 종교인이 주도하였다 점이다. 전주의 만세시위 역시 천도교 전주교구를 중심으로 기독교와 기독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기전여학교, 신흥학교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런 점에서 3·1운동의 전형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는 3·1운동 이후 군자금 모금 등 지속적으로 민족운동과 연계되었다는 점이다. 3·1운동 이후 민족운동은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운동 군자금 모금으로 이어졌다. 한성정부를 비롯하여 다수의 임시정부가 수립되었고, 이들 임시정부는 상해의 대한민국임시정부로 통합되었다. 그리고 임시정부와 관련하여 독립운동 자금을 모급하였다. 전주지역에서도 3·1운동 이후 1920년대 초까지 임시정부의 요원이라는 직으로 군자금 모금에 적극 참여하였다.

      • KCI등재

        동학의 발상지 구미용담과 수운의 경주

        성주현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1 역사와 교육 Vol.12 No.-

        일반적으로 경주는 신라의 서울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는 경주를 고대의 사유체계만 머물게 하고 있다. 그렇지만 경주는 신라의 고대 사유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근대 사유체계를 여는 장소적 이미지를 함유하고 있다. 한국의 근대의 기점은 다양한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1860년대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1860년은 바로 동학이 경주에서 창명된 해였다. 동학은 1860년 4월 5일 창명되어 민중을 역사의 주체로 인식케 하는 한편 한극근대사의 한 획을 긋는 동학혁명, 일제강점기 최대의 민족운동인 3ㆍ1운동을 주도적으로 전개하였다. 그런 점에서 경주는 근대사상의 형성지라고 할 수 있다. 수운 최제우가 동학을 창명한 곳은 경주 용담정이다. 용담정은 최제우의 조부인 최종하가 원적암을 매입하여 와룡암으로, 아버지 최옥은 와룡암을 복원하고 용담서사를, 그리고 최제우는 무너진 용담서사를 복원하여 용담정이라고 하였다. 또한 최제우의 아버지 최옥은 용담정을 둘러싸고 있는 구미산과 용담계곡(구미용담)의 절경을 ‘용담 26영’이라고 하여 로써 노래하였다. 수운 최제우는 경주와 구미용담을 ‘기자 때 왕도’이며 ‘일천지하 명승지’라고 강조하였다. 이는 경주의 역사성과 정통성을 의미하고 있다. 특히 승지는 전쟁이나 환란을 피하는 곳이지만, 수운 최제우에 있어서 경주는 동학을 창명하는 후천개벽의 땅이었다. 뿐만 아니라 경주와 구미용담은 동학이 추구하는 이상향으로서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였다. In general, Gyeongju is known as a capital of Shilla. But this means that Gyeongju is only a structure of thought in ancient times. Gyeongju not only is an ancient thought of shilla, but also it includes image of place of modern structure of thought. Starting point of modern Korea depends on the perspectives, but the standard is usually 1860s. The year of 1860 is when Donghak was started at Gyeongju. Donghak started on April 5th, 1860 and it let people realize that they are the subject of history. Donghak developed Donghak Peasants Revolution, one of the biggest incidents in Korean modern history and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he biggest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So Gyeongju can be considered as a place where modern thought was formed. Soowoon Jaewoo Choi started Donghak at Gyeongju Yongdamjung. Jaewoo Choi’s grandfather Jongha Choi purchased Wonjukam and named it Waryongam, and Jaewoo Choi’s father Ok Choi restored Waryongam and named it Yongdamseosa. And Jaewoo Choi restored collapsed Yongdamseosa and named it Yongdamjung. Also Jaewoo Choi’s father Ok Choi called magnificent view of Gumi Mountain and Yongdam valley (Gumiyongdam) as “Yongdam 26 young” and praised them on his poem. Soowoon Jaewoo Choi emphasized Gyeongju and Gumiyongdam as “capital during Gija” and “beautiful place among heaven and earth”. This means history and tradition of Gyeongju. Especially, the beautiful place (seongji) was the place to hide from war and hardship, but for Soowoon Jaewoo Choi, Gyeongju was the land of posterior great open thought that Donghak. Moreover, Gyeongju and Gumiyongdam embodied images as the ideal of what Donghak pursues.

      • KCI등재

        근대전환기 호열자의 유행과 천도교의 대응

        성주현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0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6

        This paper examines the prevalence of cholera Modern transition period and the response of Cheondogyo. Cholera was an endemic disease in India's Bengal region, but initially flowed through China, and after opening, it entered Korea through Japan. At the time, cholera was called ‘monster’ because it was an unknown disease. As the cholera epidemic, from the end of the Korean language to the 1910s, the media delivered cases of cholera epidemics from abroad, such as China, Japan, and Russia. As the cholera epidemic, the perception and response to this have varied in the general society and government. In general, cholera was the subject of fear as a “pushed trembling” because there was no way to relieve or cure cholera. To escape from this, amulets were used or medicines through oriental medicine, shamans raising prayers, and folk customs were used. Also entrusted it to Catholicism to prevent cholera. The government implemented “Yeoje(厲祭)”, “Byeolyeoje(別厲祭)”, “Yuanje(慰安祭)” and “Yangjaeje” to protect and prevent the people.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the concept of Western medicine and hygiene was gradually adopted and spread. Su-un Choi Je-woo saw society as “bad luck full of injury” and “three-year monster” because of the widespread popularity of society when he founded Dong-hak. In order to prevent and respond to this, it was suggested that ‘food to eat’ should be treated as if it were Hanulnim(한울님), with all due respect and sincerity. Above all, this emphasizes cleanliness, and it became the foundation for more specific hygiene regulations in Haewol Choe Si-hyeong. Uiam Son Byeong-hui, who defected to Japan after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ctively embraced modern hygiene. Based on this, the organization published and published articles on hygiene, such as “The Age of Preparation”, “Mansaebo”, and “Cheondo Church Monthly” to encourage Christians to recognize hygiene more actively. In addition, we actively responded to cholera as a hygiene regulation. The sanitary awareness of Cheondogyo Bridge and the response of cholera serv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expansion of the church.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hygiene awareness through religion. 본고는 근대전환기 호열자의 유행과 천도교의 대응에 대해 고찰하였다. 호열자는 인도의 벵갈 지역의 풍토병이었지만 초기에는 중국을 거쳐, 개항 이후에는 일본을 통해 우리나라에 유입되었다. 당시 호열자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질병이었기 때문에 ‘괴질’이라 불렸다. 호열자가 유행함에 따라 이에 대한 인식과 대응도 일반 사회와 정부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일반 사회는 호열자는 치료의 약도 구제의 방법도 없었기 때문에 ‘벌벌 떨 정도’로 공포의 대상이었으며, 이를 벗어나기 위해 부적을 사용하거나 한의학을 통한 의술, 기도를 올리는 무속, 민간의 관습 등을 활용하였다. 정부에서는 백성들을 위무하고 예방을 위해 여제(厲祭) 등을 시행하였다. 천도교는 창도할 당시 호열자가 만연하였기 때문에 이를 예방 및 대응을 위해 ‘먹는 음식’을 정성과 공경을 다하여 한울님 대하듯이 할 것과 위생준칙을 마련하였다. 이외에도 근대위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위생에 관한 글’과 『준비시대』・『만세보』・『천도교회월보』 등을 반포 및 간행하여 교인들로 하여금 위생을 보다 적극적으로 인식케 할 뿐만 아니라 위생준칙으로 호열자에 대해서 적극 대응토록 하였다.

      • KCI등재

        대한적십자회 요인 이희경과 이관용의 활동과 민족운동

        성주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2

        대한적십자회는 1905년 10월 27일 설립되었지만, 일제강점 직전 일본적십자사에 흡수되었으며 1910년 8월 강점으로 폐사되었다. 그렇지만 3.1운동 이후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면서 국내외에서 일본군과 투쟁하는 독립군의 의료기관으로서의 전상병 구호를 위하여 대한적십자회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부활되었다. “신성한 독립전쟁에 있어서 생명과 신체를 희생하고 국민의 의무를 다하는 동포를 구호함”을 제1의 중요한 의무로 부활된 대한적십자회가 초기 자리매김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맡았던 인물은 초대회장 이희경과 구주위원장으로 활동한 이관용이었다. 대한적십자회 초대회장 이희경은 의사로써 대한적십자회 활동뿐만 아니라 민족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미국에서 의사 자격을 취득한 이희경은 민족운동에 참여할 것을 모색하던 중 우선 귀국한 후 3.1운동을 경험하고 상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 임시의정원 평안도 대표를 비롯하여 군무위원과 군무위원장, 외교차장, 외무총장 대리 등 중요한 직책을 맡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임시정부의 중요한 단체인 대한적십자회 설립에 주도하였을 뿐만 아니라 초대회장으로 적십자회의 기초를 다지는데 기여하였다. 대한적십자회가 설립 직후 미주로 건너가 한인사회에 적십자회의 설립과 운영계획을 전달하는 한편 의사와 간호원을 양성하기 위한 의연금을 모금하였다. 또한 미주한인사회에 적십자회 지부를 설립하는 등 조직의 확장과 안정을 도모하였다. 대한적십자회 구주위원장으로 활동한 이관용은 스위스에 유학 중 임시정부 파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파리강화회의와 국제사회주의자대회에 한국의 독립 문제를 상정하기 위한 외교활동의 중심에서 그 역할을 다하였다. 또한 국제적십자연맹에 가입과 일본적십자사에 항의서를 제출하는 등 적십자회의 외교활동에 적극 나섰다. 귀국 후에는 교육자로 언론인으로 강연과 교육, 그리고 언론활동을 통해 계몽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신간회 설립에 참여하는 한편 이후 간사로 활동하였다.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나고 학생들이 구속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이에 대한 대응으로 민중대회를 계획하던 중 일경에 검거되어 1년 6개월의 징역을 선고받는 등 민족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대한적십자회 초대회장 이희경과 구주위원장으로 활동한 이관용은 적십자회 초기 조직을 안정과 확장, 그리고 외교활동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임시정부 또는 신간회운동에 참여하는 등 민족운동에서 적지 않은 활동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Korean Red Cross was founded on October 27, 1905, but was absorbed by the Japanese Red Cross just before the Japanese occupation and died in August 1910. However,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in Shanghai, reviving the necessity of the Korean Red Cross for the purpose of relief of war sicknesses as a medical institution of independent forces fighting with Japanese forces at home and abroad. The first person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Korean Red Cross, which was resurrected as the first important duty of “relieving compatriots who sacrificed life and body and fulfilled their duties in the sacred war of independence,” was The first president of Lee Hee-kyung and Lee Kwan-yong as the Europe and the US of Chairman. Lee Hee-kyung, the first president of the Korean Red Cross, participated not only in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Red Cross but also in the national movement. Lee Hee-kyung, who had obtained medical qualification in the United States, first came to Korea while seeking to participate in the national movement. He also held important positions, including representatives of the Provisional Parliament, Pyongan, as well as military commissioners, military commissioners, deputy ministers of foreign affairs and foreign ministers. Above all, however, he not only led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Red Cross, an important organiza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but also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 of the Red Cross as the first president. Immediate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Red Cross, the Korean Red Cross went to the Americas and communicated the plan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Red Cross to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The organization also expanded and stabilized the organization by establishing a branch of the Korean Red Cross in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Lee Kwan-yong, who served as Europ and US Chairman of the Korean Red Cross, served as vice chairman of the interim government's Paris Committee while studying in Switzerland. He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diplomatic activities of the Red Cross, including joining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ed Cross and submitting complaints to the Japanese Red Cross. After returning to Korea, he started an enlightening campaign through lectures, education, and media activities as an educator. He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Singan Society and later served as a secretary. When the Gwangju Student Movement took place and students were arrested, h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movement by being arrested and sentenced to one and a half years in prison while planning a popular rally. Lee Hee-kyung, the first president of the Korean Red Cross Society, and Lee Kwan-yong, who served as the chairman of the Europ and US Chairma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tability, expansion and diplomatic activities of the early Red Cross organizations. In addition, it can be assessed that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activities in the national movement, such as participation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r the Singan Society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