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환교육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직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승탁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00 지적장애연구 Vol.2 No.-

        정신지체인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전환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전환교육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직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전환교육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직업기술, 일상생활, 직업적응(대인관계, 경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생활중심 진로 교육 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직업 수행 능력에 많이 효과가 있었다. Transition education is necessary for mentally retarded's living qualit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transition education and mentally retarded's vocational ability. The concrete findings of this purpose is as follows. This study investigated into transition education which influenced on mentally retarded's vocational technique, their routine life, adaptability(gener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socioeconomic life). Through these process, life-centered Career education showed considerable effects on improving their vocational ability.

      • KCI등재후보

        그룹홈 지적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영향요인

        박승탁,황석웅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8 장애와 고용 Vol.18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그룹홈 특성과 사회통합수준을 파악하고 지적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요인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의 그룹홈 16개소에 거주하는 지적장애인 85명이며 우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기술 분석과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빈도분석을 통해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기술 분석을 통해 사회통합수준을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지역사회통합영향요인에서 사회적 관계에서 개별계획 유무와 성별이 가정 내 역할 수행에서는 지역사회자원의 양과 연령과 중복장애가 지역사회 자원 활용에서는 사회재활교사의 태도와 서비스 프로그램 수가 직업 활동참여 여부에서는 지역사회 자원의 양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그룹홈 지적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community social integration factor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Group Homes and the level of community social integration. For this, the postal survey on 85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ose who live in 16 Group Homes located in Gyeongsangbuk-do and Daegu metropolitan city has been conducted. And, frequencies, descriptive,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have been carried out for analysis purpose. For the outcome of analysis, the level of community social integration has been grasped through descriptive, and population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have been grasped through frequencies. Among the affecting factors of community social integration, the existence of individual plan and gender have been analyzed as in correlation with social relations. The quantity of community resources, age, and overlapped disorder have been analyzed as in correlations with performance of the role in the family. The behavior of social rehabilitation instructor and number of service programs have been analyzed as in correlations with use of the community resources. And, the quantity of the community resources has been analyzed as in correlation with participation in occup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ose results, the study has been groped for the community social integration plan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Group Homes.

      • KCI등재

        그룹홈 거주 지적장애인 자립생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승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장애와 고용 Vol.20 No.4

        본 연구는 그룹홈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을 파악하고 그들의 자립생활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영향요인을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였고, 개인적 요인에는 '자립생활 기술', 가족적 요인에는 '가족의 지지', 사회적 요인에는 '지역사회환경‘을 포함시켰다. 자립생활 수준은 신체적 자립, 정신적 자립, 경제적 자립, 사회적 자립으로 측정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경상남·북도와 대구·울산·부산광역시의 그룹홈에 거주하는 지적장애인 90명이며, 지적장애인이 직접 설문에 응답하였고, 방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은 경제적 자립, 사회적 자립, 정신적 자립, 신체적 자립생활 순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자립은 자립생활기술, 정신적 자립은 자립생활기술과 가족의지지, 경제적 자립은 성별, 학력, 방개수, 거주기간, 자립생활기술, 사회적 자립에는 학력과 자립생활 기술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등급, 교육수준, 경제수준이 신체적 자립, 정신적 자립, 경제적 자립, 사회적 자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영향요인을 통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은 첫째, 사회적 상황, 다양한 환경에서 자립생활 방법 및 전략을 개발하고 간접적으로 지원해 줄 때 자립생활이 촉진될 것이다. 둘째,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할수록 자립생활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s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support independence of group hom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e level of independenc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suggest the involving plans from social welfare that could improve their level of independent living.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with three factors; personal, familial, and social. Personal factor includes the skills for independent living. Familial factor includes support from family members, and social factor includes community environment. Also the level of independent living of group hom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measured by physical independence, mental independence, financial independence, and social independence.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are 90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live in group home located in southern and northern Kyungsang-Do and Daegu-Si, Ulsan-Si, and Busan-Si. They respond the survey themselves, and visiting survey is used for this research. The primary result of this research is following. When the independent living level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put orderly, that order would be financial, social, metal, and physical independence. The skill of independent living influences physical independenc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independent living skill and family support influences metal independence. Also gender, educational level, the number of rooms, the length of residence, independent living skill have an effect on financial independence, and disability grade, educational level, financial level affect physical, mental, financial, and social independence. Plans involved with social welfare resulted from this research that could improve the independent living level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followings. First, the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ould be progressed more when the ways and strategies are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various social situations. And second, the more programs and services are provided, the more the independent living is promo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