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글판 라이프밸런스 척도(Korean Version of Life Balance Inventory; K-LBI)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박상미,박지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a Life balance Inventory (K-LBI) formeasuring occupational balance. Methods: A translation and back translation of the LBI were first conducted, and the back translated and originalversion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by the original author. Reports from 13 occupational therapists werecollected to investigate the content validity of 53 items in the K-LBI. An Item-level Content Validity Index(I-CVI) and Cronbach's alpha were calcula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LBI. The correlationcoefficient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verify the convergent validity and test-retestreliability. Results: The average value of the I-CVI for 53 items was 0.79. A questionnaire survey was executed for 165community residents including adults and older adults. The coefficients were .356 (p=.01) and .490 (p=.01)based on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total average of the K-LBI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WHOQOL-BREF, and the mental component score of SF12v2. Cronbach’s alpha was .875 and .831 based on theresults of older adults and adults. Conclusion: The K-LBI was verified as an occupational balance measurement with validity and reliability. It ispossible to use the K-LBI for people suffering from a low quality of life resulting from an occupational unbalanceto adjust their daily routine for a more balanced life.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균형 평가를 위한 한글판 라이프밸런스 척도(Korean version of Life BalanceInventory; K-LBI)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라이프밸런스 척도(Life Balance Inventory; LBI)의 한국어 번역, 역 번역, 원저자 검토의 과정의거쳐 번역본을 완성하였으며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13명의 작업치료사에게 LBI의 한국어 번역본에 포함된53개 항목의 적합도에 대한 응답을 5점 리커트 척도로 수집하여 Item-level Content Validity Index(I-CVI)를산출하였다. 수렴타당도는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 Quality of Life-Brief;WHOQOL-BREF), 한글판 Short Form-12 Health Survey Questionnaire version 2(SF-12v2)와의 상관계수를 통해 검증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일치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 165명의 대상자에게 조사한 설문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K-LBI에 포함된 53개 항목의I-CVI의 평균은 0.79로 나타났다. 수렴타당도 분석에서 K-LBI의 총괄 점수와 한국판 WHOQOL-BREF와한글판 SF-12v2의 정신적 건강 지수(Mental Component Score; MCS)와의 상관계수는 각각 .356(p=.01),.490(p=.01)로 확인되었다. 신뢰도 검증 결과, 노인과 성인 집단에서 도출된 Cronbach’s α값은 각각 .875,.831였다. 결론 : K-LBI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작업균형 평가도구로 확인되었으며, 활동 참여에 대한 만족도저하, 혹은 참여하고 있는 활동 영역 간에 불균형으로 인해 작업적 불균형을 경험하는 대상자들에게 적용하여 평가함으로써 일상생활 양식의 개선을 통한 건강증진 목적의 평가도구로 활용가능하다.

      • KCI등재

        물류환경에서 집품 작업자를 위한 추종형 무인운반차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 및 검증

        박상미,김정우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20 로지스틱스연구 Vol.28 No.5

        With the acceleration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new changes occur in the logistics environment due to the increase of logistics automation and picker following Automated Guided Vehicle (AGV). In the logistics environment, the product picking operation is the process that requires the manpower.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the picker following AGV to increase work efficiency, which causes many issues during the process. Few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collaboration between picking workers and the picker following AGV to solve this problem.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follow-up the picker following AGV to improve logistics efficiency through the introduction and activation of the picker following AGV and to maintain a new balance and cooperation between humans and machin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define and improve the existing logistics environment and picking work by developing the picker following AGV centered on picking workers. In the present study, we developed and verified a new type of picker following AGV by applying Design Thinking Methodology an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a collaborative model that increases the efficiency of logistics transportation in the picking process by presenting a follow-up the picker following AGV design centered on the product picking workers.

      • KCI등재

        고령자를 위한 국내 가정환경수정 연구 경향 분석 : 고령자의 정주성 도모 방안으로서의 가정환경수정

        박상미,박지혁,정민예 대한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8 No.1

        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령자를 위한 가정환경수정 및 주택개조 연구의 경향을 확인하고, 초고령 사회를 준비하는 측면에서 고령자의 정주성 도모를 위한 가정환경수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문헌고찰을 위해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학술연구정 보서비스(RISS), EMBASE, Google Scholar를 이용하여 2008년 1월부터 2017년 12월 현재까지 국내에 서 이루어진 연구를 검색하였으며, 검색용어로는 “가정환경수정” 또는 “가정환경 수정” 또는 “주택 개조” 또 는 “주택개조” 또는 “home modification”, OR “home modifications”, OR “residential modification”, OR “residential modifications”를 사용하였고, 검색 제외어로 “가이드라인” 또는 “guideline”과 “고찰” 또는 “review”를 사용하였다. 결과 : 검색을 통해 총 374건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중복자료를 제외한 후 포함기준과 제외기준을 적용 하여 최종적으로 14편의 연구를 추출하였다. 고령자를 위한 가정환경수정 연구가 2009년부터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연구주제로는 가정환경 수정 실태나 요구, 선호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방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 었으나 차츰 질적 연구나 통합 연구방법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결론 : 고령자와 가족구성원의 개인적, 물리적, 사회적 가정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전문가 협업구조에 기반한 맞춤형 가정환경수정의 적용이 필요하며, 정부의 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계획의 시 행과 더불어 탈시설화와 고령자의 정주성 도모를 위한 가정환경수정 서비스 모델 개발이 요구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trend of research into home modifications for older adults and suggest considerations of such modifications as a strategy for promoting aging in place. Methods: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RISS, EMBASE, and Google Scholar were used for searching articles published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7. The phrases “home modification,” OR “home modifications,” OR “residential modification,” OR “residential modifications” were used as search terms, along with search terms in Korean. Results: A total of 14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for analysis among 374 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studies on home modifications for the elderly have been published steadily from 2009 and have recently been actively conducted. Studies were conducted by various fields of professionals, and the most common subjects were needs or preferences regarding home modifications for the elderl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have tended to increase in recent studies. Conclusion: Customized home modifications by multidisciplinary experts are recommended by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e home for both the elderly and their family members in terms of personal, physical, and social aspects. The development of a home modification service model is needed to promote deinstitutionalization and aging in place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line with community care policies.

      • 1980ㆍ90년대 한국여성에 있어서 집안 일의 의미와 정체성

        박상미,김광억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1999 한국사회과학 Vol.21 No.4

        본 논문에서는 1980 · 90년대 한국 여성에 있어서의 집안 일의 의미와 정체성에 관해 이해하기 위한 시도로 기존의 이론적인 논의, 한국 사회를 대상으로 한 민족지적인 예의 분석 등과 함께 1997년과 1998년 사이에 행한 두 군데에서의 현지 조사의 내용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었다.인류학적 현지 조사의 하나는 서울의 중산층 밀집 지역에 위치한 한 백화점 문화 센터의 요리 강좌에서 이루어졌는데, 여기에서는 요리라는 집안 일을 대하는 여성들의 태도를 연령대별로 비판하고 이러한 강좌의 참여 경험을 통해 중산층의 집안 일과 관련된 생활 문화가 어떻게 생성, 전화되는가,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계층적 집안 일의 정형화는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였다.이 조사와 동시에 현재 한국의 대표적인 파출부 훈련, 파송 기관에 관한 조사를 통하여 중상류층의 집안 일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주부들과 파출부 사이의 역할 분담과 역학 관계에서 나타난 집안 일의 구분 형태에 관한 인구를 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집안 일이 서비스업화 되어서 임금을 받는 노동이 된 현상과, 고용자 주부와 파출부 사이에 존재하는 계층적 차이에 주목하였으며 , 파출부의 훈련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산층에 걸 맞는 집안 일의 내용의 정형화에 초점을 맞추었다.이러한 논의의 전만에 걸쳐서 이 논문이 강조하는 점은 '집안 일에 대한 지식'을 갖는 것과 '집안 일의 실제 수행'은 반드시 일치하지 많으며, 일상 생활에서 어느 쪽에 더욱 큰 비중을 두는가 하는 것은 뚜렷한 계층적 차이를 보여준다는 것이다.그러나 이러한 계층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여성들에 있어서 집안 일이라는 것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큰 의미를 지니는 항목이다.본 논문에서는 사회적으로 여성들에게 기대되는 집안 일에 대한 지식의 취득과 수행이 여성들에게 않은 부담으로도 작용하지만, 여성들이 이 조건들 속에서 수동적으로 대응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집안 일과 여성의 역할에대한 적극적 재해석을 하는 능동적 태도를 나타내기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s of household work and identity of Korean women in 1980s and 1990s.This study utilizes the following sources: a review of relevant theoretical discussions, various ethnographic case studies, and the information gathered through anthropological fieldwork at two locations in Seoul between 1997 and 1998.One of the two fieldwork protects was conducted in a cooking class offered by a high-end department store located in an upper-middle class neighborhood, while the other was done at a maid training/dispatching service agency,In these two fieldwork projects, there searchers tried to understand the various meanings attached to household work by Korean women by examining how women with different socio-economic background deal with their domestic tasks.One of the significant finding in this research is that household work as knowledge and the actual execution of household work do not necessarily-coincide, showing a clear difference depending on the economic conditions of women.Regardless of one's economic condition, however, household work and its execution are important pare of women's identity and female propriety in Korean society.In this paper the authors argue that although the society expectation that women should successfully master the knowledge of household work and execute it works as a burden for women themselves, the latter do not always passively accept the social expectation, but actively reinterpret the meanings of household work and the role of women.

      • KCI등재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균형기능과 낙상효능감,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박상미,김문영,박지혁,박혜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4 No.4

        목적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을 이용한 반복적인 움직임 과제 훈련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균형기능과 낙상효능감,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D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3명에게 회당 31분씩 11회기 동안 IM훈련을 적용하며 균형기능, 낙상효능감, 주의력의 변화 추이를 살펴본 단일대상연구로, 평가도구로는 IM Short Form Test(IM SFT), Four Step Square Test(FSST), Fullerton Advanced Balance(FAB) Scale, 한국어판 낙상효능감 척도, 한국어판 활동특이적 균형 자신감 척도와 100에서 연속으로 다섯 번 7 빼기 과제를 사용하였다. 결과 : 3명의 대상자 모두 초기기초선 기간에 비해 중재 기간의 IM SFT SRO% 평균값이 증가하였고, 중재 전에 비해 중재 후의 균형기능 평가 점수가 향상되었다. 3명의 대상자 모두 초기기초선 기간에 비하여 중재 기간 동안 주의력 평가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다. 결론 : IM을 이용한 훈련이 노인의 균형기능과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M training on the balance, fall efficacy, and cognitive function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 Three older adults participated in a total of 11 31-minute sessions of IM training during this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study. An IM Short Form Test(IM SFT), a Four Step Square Test(FSST), and the Fullerton Advanced Balance(FAB) Scale were used to evaluate the subjects' balance. The Korean versions of the Fall Efficacy and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were used to evaluate the fall efficacy. A serial 7 subtraction task was used to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participants. Results : All participants showed a higher than average IM SFT SRO%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compared to the pre-interventional baseline period. All of them achieved higher scores on their post-interventional balance function test than on their pre-interventional test. All three demonstrated a higher than average attention test score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than pre-intervention. Conclusion : It was confirmed that IM training is applicable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o improve their balance and cognitive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