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asch 평정척도모형을 통한 학습을 위한 평가 척도(AFL-Q)의 단축형 개발 및 타당화

        박민애(Minae Park),손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8 교육평가연구 Vol.31 No.2

        학습을 위한 평가 척도(AFL-Q)(박민애, 손원숙, 2016; Pat-El, et al., 2013)는 모니터링과 스캐폴딩 2개 하위요인, 26문항으로 국내 타당화 된 척도로서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학습을 위한 평가 정도를 측정한다. AFL-Q는 초등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학습을 위한 평가 정도를 측정하였지만 비교적 많은 문항과 중복된 내용 등으로 인해 학교 현장 및 학술 연구에 활용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asch 평정척도모형을 활용하여 단축형 AFL-Q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785명의 초등학생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모니터링과 스캐폴딩 요인별로 Rasch 평정척도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문항에 대한 반응범주의 수는 원래 5개보다 4개가 보다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모니터링 7문 항, 스캐폴딩 5문항을 선정하여 최종 12문항으로 구성된 단축형 척도를 구성하였다. 셋째, 단축형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단축형 AFL-Q의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Assessment For Learning Questionnaire(AFL-Q) consists of two sub-factors and 26 items. It measures the degree of Assessment For Learning(AFL) perceived by students. Although AFL-Q reflects the degree of AFL of the teacher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latively well,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the school and academic research due to the redundancy of item content and the large number of item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hort-form of AFL-Q was constructed using the Rasch measurement model an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as tested. For this purpose, Rasch rating scale model was applied to monitoring and scaffolding factor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785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4-point response scale was more appropriate for the AFL-Q than the 5-point response scale. Second, based on the review of the item fit and difficulty indexes, seven items of the monitoring and five items of the scaffolding were selected and the short form composed of the 12 items was constructed. Thir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hort form was found to be appropriate.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short form AFL-Q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습자 중심의 피드백 처리 과정 모형과 피드백 구하기의 조절효과 분석

        박민애(Minae Park),손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2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학생 내부에서 일어나는 피드백 처리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피드백이 학생의 피드백 태도와 활용능력을 매개하여 학업적 자기조절 및 숙달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모형을 설정해 이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생의 능동적 피드백 참여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피드백 활용능력이 학업적 자기조절 및 숙달목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피드백 구하기의 조절효과를 함께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전국 세 개 지역의 7개교에서 수집된 고등학생 533명을 대상으로 피드백 처리 과정 구조모형 분석과 피드백 구하기의 잠재적 조절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피드백 처리 과정 모형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형성적 피드백의 효과는 인지적 성취인 학업적 자기조절에는 피드백 태도와 피드백 활용능력을 모두 매개하였으나, 정의적 성취인 숙달목표에는 피드백 태도만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드백 활용능력이 학업적 자기조절과 숙달목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피드백 구하기는 피드백 활용능력과 학업적 자기조절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피드백 구하기의 수준이 높을수록 피드백 활용능력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가 강화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생의 피드백 처리 과정 및 피드백 구하기의 조절효과 분석을 통한 본 연구의 의의와 피드백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fold the learners’ inner process of feedback. To this end, this study established and analyzed a structural model in which feedback influences cognitive/affective achievement by mediating students feedback attitude and utilization ability.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ers’ feedback seeking behavior in this model was also examined. For this study, 533 high school students collected from seven schools in three regions nationwide were analyzed for a structural model of feedback process and latent moderating effects of feedback seeking behavio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l of feedback process proposed by this study was partially supported. Specifically, the effect of feedback on cognitive achievement such as academic self-regulation was mediated by both feedback attitude and utilizat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feedback on affective achievement such as mastery goal was mediated only by students’ attitude toward feedback. This showed the differential roles of learners’ attitude toward feedback and utilization ability in processing feedback. Second, the feedback seeking behavior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and academic self-regul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feedback seeking behavior, the stronger the effect of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on academic self-regulation. Fi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how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feedback.

      • KCI등재

        수업참여와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상호 관계와 변화 양상: 다차원 수업참여 모형

        박민애(Minae Park),김난옥(Nanok Kim),이빛나(Bitna Lee),손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8 교육평가연구 Vol.31 No.1

        적극적인 수업참여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수업 및 학습의 질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다. 수업참여는 단순히 수업에 출석한다는 의미를 넘어서 행동, 정서, 인지적 차원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참여를 행동, 정서, 인지적 참여 등 다차원으로 정의하고 수업참여 하위요인과 학업성취와의 종단적 상호관계와 변화 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2012-2014년(중3-고2) 두 시점 종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업참여 하위요인인 행동, 정서, 인지적 참여는 학업성취에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또한 수업참여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수업참여와 학업성취는 상호 간 촉진시키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수업참여 하위요인 간 종단적 상호관계는 서로 유의하여 세 하위요인 간의 상보적 인과관계가 파악되었다. 특히, 인지와 행동적 참여 간 상호효과 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정서적 참여는 상대적 효과크기가 작았으며 교과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수업참여 각 하위요인의 상대적 안정성은 중간 수준이었고, 잠재평균분석 결과 중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은 행동적 참여가 낮고 인지적 참여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 및 제언을 추가하였다. Student engagemen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predicting student achievement and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resent study, student engagement is defined as behavioral, emotional, and cognitive eng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interplay between student engagement and achievement, and their stability across two years from 9 th to 11 th grades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ARCL)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ier behavioral, emotional and cognitive engagement had the significant effects on later achievement. Also, achieveme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three kinds of student engagement.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 engagement and achievement are factors that would promote reciprocal development. Second, we found the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kinds of student engagement. Especially, our findings showed that the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between cognitive and behavioral engagement were the largest. The effect size of emotional engagement was relatively small and inconsistent across subjects. Third, the relative stability of student engagement was found to be moderate. According to the latent mean analyses where 9 th grade was used as a reference group, 11 th graders showed lower mean values in behavioral engagement but higher ones in cognitive engagement. Finally,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습을 위한 평가 척도(AFL-Q)의 타당화

        박민애(Minae Park),손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6 교육평가연구 Vol.29 No.1

        교실평가는 교사의 수업 및 학생의 학습을 통합시킴으로써 학생들의 학습을 향상시킬수 있는 강력한 수단으로 간주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평가실제 중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 AFL)’ 활동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학생의 지각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타당화 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모니터링과 스캐폴딩의 활동으로 AFL 구인을 개념화한 Pat-El et al.(2013)의 ‘학습을 위한 평가 척도(AFL-Q)’를 우리나라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타당화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검사 및 본검사가 실시되었으며, 문항 및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점검하기 위하여 Rasch 및 요인분석이 적용되었다. 연구 결과, 26개 문항으로 타당화 된 한국판 AFL-Q는 2요인 CFA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AFL 구인은 모니터링(16개) 및 스캐폴딩(10개)으로 측정되었고, Rasch 모형 분석을 토대로 적절한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또한 AFL-Q의 외적 타당도를 점검하기 위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노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학생들은 모니터링과 스캐폴딩과 같은 AFL 실제를 많이 경험했다고 지각할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고, 학업노력을 많이 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한국판 AFL-Q의 활용 방안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추가하였다. AFL is defined as the practice whereby teachers use evidence about student achievement to adapt instruction to better meet learning need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Assessment For Learning Questionnaire(AFL-Q) (Pat-EL, et al., 2013) in the Korean context using both within-network and between-network approaches to construct validation. The AFL-Q includes two sub-scales: monitoring and scaffolding. A total of 593 primary school students(5th and 6th grad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s of the within-network test showed that two items by content review were excluded, and the final version of AFL-Q had goo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by Rasch rating scale model(Andrich, 1978).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hypothesized two-factor structure. In addition, the between-network test indicated that monitoring and scaffolding assessed by the AFL-Q correlated positively with students' achievement self-efficacy and efforts. It is concluded that the results lend further support to the AFL-Q construct validity and to its use as a research instrument to evaluate the role of AFL in student learning. Finally implications for AFL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형성적 피드백과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박민애 ( Minae Park ),손원숙 ( Wonsook Sho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2

        보편적으로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은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동일한 피드백이라고 할지라도 학생의 개인적 특성을 매개하여 학습에 미치는 효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생 내부의 대표적인 요인 중 하나인 성취목표지향성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형성적 피드백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차별적인 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으로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형성적 피드백과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의 구조적인 관계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형성적 피드백은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 지향성에는 정적영향을 미쳤으나 수행회피지향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숙달목표지향성은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정적영향을 나타냈으나 수행접근 지향성과 수행회피지향성은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형성적 피드백은 숙달목표지향성을 매개로 하여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정적영향을 미쳤으나 수행접근지향성과 수행회피지향성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형성적 피드백이 학생들이 지닌 성취목표지향성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결과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도 서로 다른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추가하였다. In general, teacher's formative feedback has been repor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However, the effect of the feedback may be differential depending on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point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formative feedback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also mediating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other words, this study explor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ormative feedback,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by the 5th and 6th graders. As a result, the formative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on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also performance approach orientation. However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avoidance orientation. Second, the mastery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approach and avoidance orientations. Third, the mastery goal orient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ve feedback and self-regulated learning or achievement. However,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 avoidance orientations did not show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path from the formative feedback to academic achievement or self-regulated learning.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formative feedback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had different effects according to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에 따른 유형 분류 및 설명요인 탐색 : 랜덤포레스트 기법의 적용

        박민애(Minae Park),이빛나(Bitna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한 후,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하여 이러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설명요인으로는 학생의 개인 특성, 가정, 교사 및 학교 특성 등을 포함한 다차원적인 요인들을 고려하여 교육 맥락의 실제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를 위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3차년도 중학교 1학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대상은 총 6,731명이었다. 분석 방법으로는 먼저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한 후,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을 설명하는 주요 요인을 선별하였다. 이후 각 잠재프로파일을 설명하는 주요 요인들의 예측력을 파악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은 ‘저스트레스-저성취’, ‘고스트레스-저성취’, ‘저스트레스-고성취’, ‘고스트레스-고성취’의 총 4개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집단 분류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수업집중도, 수업이해도 등과 같은 학생의 인지적 요인, 정신건강, 무동기, 자기효능감 등 정의적 요인, 휴대폰 중독, 미디어 활용시간 등 여가활동과 관련된 요인이 선별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성취와 관련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cademic stress and achievement of the latent profi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plore the factors that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We attempted to increase the practicality of the educational context by exploring multidimensional variables such as students characteristics, family, teacher, and school characteristics. Methods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third year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3. A total of 6,731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lso,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o classify types for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a random forest model was used to determine important factors for classifying the latent profiles. Then, multinominal logistic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the effects of important factors on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each latent profile. Results The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latent profiles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low stress-low achievement’, ‘high stress-low achievement’, ‘high stress-low achievement’, and ‘high stress-high achievement’. The main factors explaining the group classification were cognitive factors such as class concentration and class comprehension, affective factors such as mental health, amotivation and self-efficacy, and variables related to leisure activities such as cell phone addiction and media usage tim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related to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provided.

      • KCI등재

        우리나라 초중고 학교급별 뉴스 리터러시 수준은 어떠한가? : NIE 경험 및 뉴스 매체 경험과의 관계

        박민애(Park, Minae),이빛나(Lee, Bit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인해 많은 뉴스 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자신에게 유용한 뉴스 정보를 선별하여 수용하고 심층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인 뉴스 리터러시는 현대사회에서 필수적인 역량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시점에서 뉴스 리터러시를 진단하고 뉴스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2016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19년 7월~9월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뉴스 리터러시를 다국면 요인(선별적 추구, 이해 추구, 다양성 추구)으로 정의 내려 뉴스 리터러시 하위 요인의 수준을 학교급별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NIE 경험과 뉴스 리터러시와의 관계에서 뉴스 매체 경험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 구조모형의 경로계수를 학교급별로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우리나라 학생들의 뉴스 리터러시 수준은 고, 중, 초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급내 비교에서는 초, 중, 고 모두 선별적 추구, 이해 추구, 다양성 추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 중, 고 학교급 모두 NIE 경험이 뉴스 매체 경험을 매개하여 뉴스 리터러시에 미치는 직, 간접적인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NIE 경험, 뉴스 매체 경험, 뉴스 리터러시 간 관계에서 경로계수를 초, 중, 고 학교급별로 비교한 결과, NIE 경험의 효과는 초등학교급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news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select, accept and use news information, is an essential capability in modern society.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diagnose news literacy,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ews literacy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So, we used the ‘2016 Teen Youth Media Use Survey’ data provid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This study defined news literacy as multi-faceted factors(selective pursuit, understanding pursuit, diversity pursuit)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news media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IE experience and news literacy using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compared the path coefficients of structural models by school gra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news literacy was higher in the order of high school, middle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Also, all students showed high priority in the order of selective pursuit, understanding pursuit, and diversity pursuit. Second, all school grades showed that the news media experience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NIE experiences and news literacy. Also, positive direct and indirect mediating effects of the news media experience on NIE experience and news literacy were identified. Finally, the path coeffici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IE experience, news media experience, and news literacy were compared by school grades.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NIE experience was the greatest at the elementary school. Fi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초등 리노베이션 교실 활용의 효과성 분석

        노현종(Noh, Hyunjong),박민애(Park, Min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초등학교 교실 공간혁신 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리노베이션 교실에서 생활하는 학생들의 역량과 학교 만족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D 지역에 소재한 16개 초등학교 중 리노베이션 교실을 사용한 16개 학급과 일반 교실을 사용하는 16개 학급의 2~3학년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의 역량과 만족도를 3시점 동안 측정하여 리노베이션 교실 입급 학생과 일반 교실 입급 학생의 성장 패턴을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리노베이션 교실 입급 학생과 일반교실 입급 학생의 초기 역량과 학교 만족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차별적인 성장이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선형변화 조건모형에서 리노베이션 교실에 입급 여부가 자기관리역량, 공동체역량 및 역량 전체, 학교 만족도의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실 공간의 변화를 통한 학생의 역량 함양 및 학교 만족도 향상의 효과에 대한 의의를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competencies and school satisfaction of students living in the renovated classroom implemented as part of the elementary classroom space innovation project. Among the 1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area D region of Korea, students in grades 2 and 3 of 8 classes using renovated classrooms and 8 classes using general classroom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Students competency and satisfaction were measured for 3 points and the growth patterns of students entering the renovated classroom and those entering the general classroom were compar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atent growth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itial competencies and school satisfaction of students entering the renovated classroom and students entering the general classroom,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scriminatory growth over time. In the linear change condition model, it was found that entering to the renovated classroo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self-management competency, community competency and overall competency, and school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he effect of improving student competency and school satisfaction through changes in classroom space was suggested.

      • KCI등재

        학생 참여형 수업에 대한 학생-교사 인식 차이 양상 탐색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빛나(Bitna Lee),박민애(Minae Park),손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4

        질문, 토의식 수업, 문제해결학습과 같은 학생 참여형 수업은 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수업의 효과는 학생-교사 간 수업 인식의 일치 정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 참여형 수업에 대한 학생-교사 인식 차이 양상을 탐색하고, 이러한 양상과 관련된 예측 및 결과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학생-교사 간 인식 차이를 비교하기에 앞서서 교차수준 측정 동등성(cross-level measurement invariance) 검증을 실시하여 집단 간 비교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EPS 3차년도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547명, 담임교사 234명을 대상으로 다층 확인적 요인분석 및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참여형 수업에 대한 학생-교사 간 교차수준 측정 동등성이 성립하여 교사와 학생이 참여형 수업 문항을 동일하게 인식하고 해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학생 긍정인식 집단’(37.4%), ‘교사 긍정인식(유사) 집단’(52.6%), ‘교사 긍정인식(상이) 집단’(10.0%)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수업태도는 긍정적일수록, 능력고정신념은 낮을수록 다른 두 집단에 비해 학생 긍정인식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학생 긍정인식 집단은 내재적 동기, 수업이해도,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 및 논의를 제안하였다. The student participation-based instruc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agreement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because it i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 participation-based instruction and explore the relationships with its predictive and outcome variables. In addition, cross-level measurement invariance will be verifi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at different levels of multi-level data. To this, multi-lev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MCFA) and 3-step latent profile analysis(LPA) were conducted. The results based on 2,547 sixth-graders and 234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cross-level measurement invariance was established for student participation-based instruction scale across students and teachers. Second, the three latent profiles were extracted such as student positive perception group (37.4%), teacher positive perception(closest match) group (52.6%), and teacher positive perception(distal) group (10.0%). Thir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student positive perception group rather than the other two groups increased when the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 class increased and the entity belief of intelligence decreased. Also, the student positive perception group had the higher intrinsic motivation, understanding of class, and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others. Lastly,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discussions for effective teach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요인 분석 및 Rasch 모형의 적용

        손원숙 ( Sohn Wonsook ),유신복 ( Yu Shinbok ),신이나 ( Shin Yina ),노현종 ( Noh Hyunjong ),박상현 ( Park Sanghyun ),김동욱 ( Kim Donguk ),박민애 ( Park Minae ),김난옥 ( Kim Nanok ),이빛나 ( Lee Bitna ),신은진 ( Shin Eunjin ),박정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A교육대학교의 교육이념과 인재상에 기반 하여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 및 전문가 검토를 거쳐 해당 대학의 인재상과 핵심역량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평가틀을 구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비검사 문항(총 240개)을 개발하였다. 예비검사를 통하여 본 검사는 총 7개 하위척도, 142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검사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교육대학교 재학생 692명(32.9% 남학생)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Rasch 측정모형 분석을 활용하여 본 검사 문항의 질을 점검하였다. 먼저 핵심역량별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igher-order CFA)을 실시하였고, 문항 수준에서의 분석을 위해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IRT)에 근거한 1-모수 Rasch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양호한 수준이었고, 핵심역량 CFA 모형의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Rasch 모형 적합도, 문항의 난이도 및 응답 범주의 수 역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핵심역량 진단도구가 초등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갖는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y scale for primary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concept of talent and key competencies constructed by 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lso to describe its psychometric evalu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692 students attending to A university of education. Two complementary analytical approaches, i.e., factor analysis and Rasch analysis,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factor models designed by their conceptual factor structure. A Rasch analysis provided further evidence of the psychometric quality of the scale in terms of item properties, the rating scale effectiveness, and item fit statistics. The final version of the scale contains 142 items in seven sub-scales assessing primary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ies. Finally,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is scale can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primary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ies and, therefore, inform educators and researchers about how to enhance per-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