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람그늘의 기울기가 횡사구의 지형발달에서 담당하는 역할

        류호상(Hosahng RHEW)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4

        횡사구는 높이에 반비례하는 속도로 이동하므로 속도가 빠른 작은 사구가 속도가 느린 큰 사구에 계속 충돌한다. 충돌이 병합으로만 이어지면 일정한 규모의 사구열이 정상상태를 유지한 채 이동하는 현상은 설명할 수 없다. 최 근 연구들은 사구의 충돌이 병합만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모래의 재분배로 이어질 수 있다는 데 주목한다. 반면 사 구 배후에 발달하는 바람그늘의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횡사구 거동을 기술하는 지배 방정식을 유도하고, 횡사구의 지형발달을 ‘거동 공간’ 상의 궤적으로 치환・분석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바람그늘이 횡사구 지형발달에서 담당하는 역할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횡사구를 위치와 높이를 지닌 막대로 단순화하고, 사구의 형태 비율적 특징과 바람맞이 사면에 따른 풍속의 증가 현상, 사구의 모래포집 효율 등의 개념을 토대로 횡사구의 이동과 성장을 결정하는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유도된 관계식은 인접한 두 사구열 높이의 순서쌍으로 정의되는 평면(거동 공간) 상에서 사구의 거동 양상을 결정하는 영역과 사구의 진화 방 향을 지시하는 벡터장으로 표현된다. 분석 결과 바람그늘의 기울기는 거동 공간에 수렴 영역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지 는 못하며, 다만 횡사구 지형발달의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논문의 모형은 횡사구의 지형 안정 성을 재현하지는 못했지만, 사구 간격-높이 관계의 지수를 관측값과 유사하게 제시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The empirical law that transverse dunes migrate inversely with their heights leads logically to the prediction that multiple dune ridges will converse to a single huge dune by merging. This contradicts the existence of the steady state dune fields on the Earth. The recent studies have emphasized dune collisions as a key mechanism to the stability of dunefield. The roles of wind shadow aspect ratio, however, have yet to be fully explored.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roles of wind shadow aspect ratio in the dynamical behaviors of transverse dune field. The simplified model is established for this, based upon allometric properties of transverse dunes, wind speedup on the stoss slope and sand trapping efficiency. The derived governing equations can be transformed to the zoning criteria and vector field for dune evolution. The dynamics analysis indicates that wind shadow aspect ratios do not produce convergent areas on the behavior space; rather, they just act as one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rajectories of dune evolution. Though the model cannot represent the stability of dune field, but seem to produce a reasonable exponent for dune spacing-height relations.

      • KCI등재

        월영습지의 지형경관과 토양특성

        류호상 ( Rhew Hosah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7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7 No.3

        묵논의 습지화 과정은 경작 당시 조성된 수문 체계와 휴경 이후 진행되는 토양 조건 변화가 중요하다. 묵논습지인 월영습지는 환경부 지정 습지보호지역 중 하나로 관리되고 있으나 습지 내 계단식 구조의 형태 및 습지 토양특성에 대한 분석은 체계적으로 보고된 바 없다. 이 연구는 습지의 계단식 구조를 파악하고 지화학 특성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월영습지 지형과 토양 특성을 다룬 것이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월영습지는 휴경된 지최소 25 여년의 시간이 흘렀음에도 계단식 논 구조와 수문체제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둘째, 유기물과 전질소는 침수가 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높고 유효인산은 유기물 함량이 낮은 지역에서 높은 값을 보인다. 셋째, 치환성 양이온 농도는 Ca>Mg>K>Na 혹은 Ca>Mg>Na>K의 패턴을 보이며 습지마다 분포 특성에 차이를 보인다. 계단식 구조는 휴경 이후 침수 조건 유지에 기여하여 묵논습지 발달을 도운 것으로 보인다. 월영습지 토양은 논 토양 평균보다 유기물 함량이 높고 유효인산은 낮으며 Ca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다. 이는 논란의 여지는 있으나 휴경 이후 진전된 변화를 지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월영습지의 토양은 치환성 양이온 함량비의 관점에서 볼 때 ‘Ca 집중’ 유형인 것으로 나타난다. 일반적인 논 토양도 Ca 집중 유형으로 분류되므로 산지습지에서 확인되는 Ca 집중 유형의 의미를 이와 연계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The processes that drive abandoned paddies into wetlands depend on hydrological remnants and sequential changes in soil properties after the stop of cultivation. Wolyeong Wetlands, as abandoned paddy wetlands, are currently managed as a wetland conservation area; however, hydrological remnants and soil properties have n ot been well documented yet. This research aims to descry be geomorphic and geochemical properties of Wolyeong Wetland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olyeong Wetlands hold hydrological remnants such as paddy terraces, water reservoirs and irrigation ditches at least for 25 years. Second,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show high concentrations in water-logging areas, while available phosphates show opposite trends. Third, the concentration of exchangeable cations is Ca>Mg>K>Na or Ca>Mg>Na>K in order, and show different distribution patterns from wetland to wetland. The terrace structures help to have maintained flooding conditions after abandonment,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Wolyeong Wetlands. The soils in Wolyeong Wetlands show higher organic matter and Ca cation, but lower available phosphates in comparison to those of general paddy soils; it seems to suggest the sequential changes after the stop of agricultural activities. Soils in Wolyeong Wetlands belong to the higher Ca concentration group. The fact that the general paddy soils can also be classified as the same category urges us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he higher Ca concentration as a criterion for classifying mountainous wetland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수정 모래판 모형을 이용한 지표수분 함량과 비사이동의 되먹임 구조 탐색

        류호상 ( Hosahng Rhew ) 한국지형학회 2017 한국지형학회지 Vol.24 No.3

        Traditional approaches to surface moisture problems in the context of aeolian research have focused on the initiation of sand movement, developing various models for predicting threshold velocity on a wet surface. They have been unsatisfactory, however, in explaining field observations because they have not incorporated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surface moisture, the interactions between transported sand grains and surface, and the role of aeolian transport in controlling surface moisture. As Nield (2011) showed, a simplified numerical model can be used to investigate this issu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feedback structures between aeolian transport and surface moisture using a modified sand slab model. Key modifications are the introduction of simultaneous updating scheme for all the slabs and moisture-assigning procedures with and without aeolian transpor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Moist surface conditions suppress sand slab movement,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smaller-scale topography. Available sands for aeolian transport are determined by the vertical patterns of moisture content with its variations from groundwater to the surface. Sand patches on a wet surface act as a localized source area. Sand movement drives immediate changes in surface moisture rather than time-lag reponses, mostly when moist conditions are dominant.

      • KCI등재

        해빈 지표수분의 동적 속성과 비사이동

        류호상(Rhew, Hosah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3 No.3

        해빈 지표수분 함량은 해빈 비사이동을 조절하는 핵심 요인이다. 전통적 접근은 지표수분 함량이 비사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비사이동이 지표수분 함량을 변화시키는 부분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이 연구는 해빈 지표수분역학을 비사이동 유무에 따라 유형 1과 유형 2로 구분·정립하고 유형별 지배 방정식을 수분함량(θ )과 수분함량의 변화율(기호는 원문참조)에 대한 식으로 유도한 후 그 거동을 (θ , 기호는 원문참조 ) 평면 위에서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비사이동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지표수분 함량은 대체로 증발의 주도 하에 감소세를 유지하며, 비사이동의 발생에 따라 지표수분 함량이 증가할 때 증발의 영향을 상쇄하려면 지표수분 함량의 공간적 변동성이 최소한 10<SUP>-2</SUP>∼10<SUP>0</SUP>의 수준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유형 1과 유형 2의 상호작용을 제대로 파악하려면 공간 명시적 접근과 수분 변동성이 큰 표층 개념의 도입이 필요하다. Beach surface moisture plays a key role in controlling aeolian transport on a beach. Traditional approaches have emphasized the effect of moisture on aeolian transport; the effect of aeolian transport on surface moisture, however, has little been considered as critical. In this research, we try to incorporate both effects for understanding moisture problems on a beach. Water flow-driven mode-1 and aeolian transport-driven mode-2 dynamics are identified at first,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governing equations for two modes as the function of moisture(θ ) and the rate of moisture change(기호는 원문참조); their dynamical behaviors are finally analyzed on (θ , 기호는 원문참조) space. Under no transport condition, the mode-1 dynamics reduces surface moisture mainly by gravity drainage and evaporation below some moisture content. Under transport condition, the mode-2 processes can increase surface moisture, but require 10<SUP>-2</SUP> ∼10<SUP>0</SUP> ranges in spatial variations of moisture to counteract evaporative forces. We need to adopt the spatially explicit approaches and the concept of a surface layer with higher moisture variability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s between mode-1 and mode-2 processes in more detail.

      • KCI등재

        ‘되먹임 기반’ 사구 역학 모형의 호환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류호상(Hosahng RHEW)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3

        풍성사구는 바람, 모래 지면, 식생 간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달하는 지형이다. 되먹임 기반 사구역학 모형은 풍성사구가 자기조직 현상에 의해 생성된다는 데 초점을 맞춘다. 풍속장의 정확한 재현에 초점을 맞추는 외력 기반 모 형과는 달리 되먹임 기반 모형은 지형발달 과정에서 도출한 현상학적 규칙을 이용해 지형 역학을 분석한다. 되먹임 기반 모형은 성공적으로 사구형성 과정을 재현하지만, 규칙 설정의 융통성 수준에 대한 이해를 요구한다. 이 연구는 사구의 패턴을 재현하는 데 성공적이라고 평가되는 ‘모래판 모형(sand slab models)’, ‘Nishimori 모형’, ‘de Castro 모 형’을 비교하여 알고리듬간 호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래이동 플럭스의 관점에서 모래판 모형과 de Castro 모형은 호환이 용이하지만 Nishimori 모형은 조정인자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사면조정에 관한 Nishimori 모형의 알고리듬은 다른 모형이 채택하고 있는 안식각 기준을 손쉽게 이식할 수 있다. 셋째, 모래판 모형과 de Castro 모형이 채택하는 바람그늘 규칙은 사구 성장 및 발달에 필수 요인은 아닐 수 있으며, 사구열 수준 의 상호작용에서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모래판 모형과 de Castro 모형, Nishimori 모형은 대체로 호 환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고 판단되나 호환 가능성의 수준을 판단하려면 보다 체계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Two different modelling approaches to dune dynamics have been established thus far; continuous models that emphasize the precise representation of wind field, and feedback-based models that focus on the interactions between dunes, rather than aerodynamics. Though feedback-based models have proven their capability to capture the essence of dune dynamics, the compatibility issues on these models have less been addressed. This research investigated, mostly from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the algorithmic compatibility of three feedbackbased dune models: sand slab models, Nishimori model, and de Castro model.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and slab models and de Castro model are both compatible in terms of flux perspectives, whereas Nishimori model needs a tuning factor. Second, the algorithm of avalanching can be easily implemented via repetitive spatial smoothing, showing high compatibility between models. Finally, the wind shadow rule might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to reproduce dune patterns unlike the interpretation or assumption of previous studies. The wind shadow rule, rather, might be more important in understanding bedform-level interactions. Overall, three models show high compatibility between them, or seem to require relatively small modification, though more thorough investigation is needed.

      • KCI등재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비사 이동속도 측정 정확도 평가

        김영민(Young-Min Kim),류호상(Hosahng Rhew),윤현덕(Hyun-Doug Yoon)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3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5 No.6

        바람에 의한 모래이동(비사이동) 연구는 1941년 Bagnold가 사막 조건에서 바람에 의한 모래 이동량 연구를 최초로 수행하며 시작되었다. 비사이동 연구는 사막을 대상으로 주로 수행되었으며, 해안 공학 분야에서는 1980년 이후 Bagnold 공식을 연안에 접목하며 시작되었다. 하지만 해안에 Bagnold 공식을 사용할 경우 비사 이동량을 과대 산정함이 많은 연구에 의해 제시되었다. 현재 간단한 형태부터 다양한 센서를 활용한 비사 포집기가 개발되었고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사 포집기는 포집기 별로 포집 성능의 차이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성능의 차이가 크다는 것은 결과의 신뢰성 및 정확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존 포집기의 경우 포집된 모래의 양으로만 분석을 수행하며, 비사 이동속도나 농도에 대한 정량적 분석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비사의 이동속도 측정 정확도를 평가하고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Study on Aeolian transport began in 1941 when Bagnold first conducted a study on aeolian transport in desert conditions. Aeolian transport study was mainly conducted on deserts, and the field of coastal engineering began with the application of Bagnold’s equation to the coast after 1980. However,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using the Bagnold equation on the coast overestimates the amount of aeolian transport. Currently, aeolian trap using various sensors ranging from simple form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being used in study. However, these aeolian traps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performance for each trap.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isting traps, analysis is performed only on the amount of sand collected,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and transport velocity or concentration is difficult. Therefore, in this study, we use image analysis technique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aeolian transport velocity measurement and suggest a method that can be used in the study.

      • KCI등재

        우리나라 해안사구의 현황과 사회·경제적 특성 고찰

        강지현 ( Jihyun Kang ),서종철 ( Jongcheol Seo ),류호상 ( Hosahng Rhew ),김태석 ( Taesuk Kim ),오정식 ( Jeongsik Oh ),이재호 ( Jaeho Lee ),오수정 ( Sujeong Oh ),안세진 ( Sejin An ) 한국지형학회 2017 한국지형학회지 Vol.24 No.3

        Coastal dunes have many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ocio-economic importances; various human activities, however, have impaired their structures and functions over the years. In 2016, environmental survey on coastal sand dune was carried out to report the present status and update the coastal sand dune list in 2001. This research analyzed the survey data in terms of geomorphological and socio-economic aspects. A list of the 189 coastal sand dune and information was updated by province. A 36.5% reduction in coastal sand dune area have been identified for using agricultural land, development area since the approximately 1940-50s. Development area in coastal sand dune covered small area as 5%, the use intensity was relatively hard. Furthermore, the difference by province also showed. Approximately 80% of the development area was concentrated in 20% of total sand dune several sand dune.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coastal sand dunes were exposed high development pressure. However the result means that the general brief dose not apply for all sand dune. Therefore, characteristics of each sand dune should be analyzed and concerned the diverse management pl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