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osimetric Advantages of the Field-in-field Plan Compared with the Tangential Wedged Beams Plan for Whole-breast Irradiation

        김수지,최윤석,Kim, Suzy,Choi, Yunseok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4 의학물리 Vol.25 No.4

        유방암 환자들에 대한 방사선치료에서 순치료계획 세기변조방사선치료법을 쐐기접선조사기법과 선량측정면에서 비교분석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했다. 우측 유방암 환자 20명과 좌측 유방암 환자 10명에 대해 후향적으로 연구를 시행했다. 각 환자에 대해 쐐기접선조사기법과 순치료계획 세기변조방사선치료법을 이용한 방사선치료 계획을 수립한 후에 선량학적 분석을 시도했다. 방사선치료계획용 표적체적에 대한 선량학적 비교 분석을 위해 homogeneity index, conformity index, uniformity index를 사용했다. 또한 폐와 심장에 대한 선량학적 분석을 위해서 평균선량값과 10, 20, 30 Gy 이상을 조사받는 체적의 백분율을 비교했다. 순치료계획 세기변조방사선치료법은 쐐기접선조사기법에 비해 계획표적체적에 대해 선량측정면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폐에 대한 방사선량도 순치료계획 세기변조방사선치료법을 사용했을 때 10 Gy, 30 Gy 이상 조사받는 체적의 백분율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낮았다. 좌측 유방암 환자들에서 심장에 대한 방사선량을 측정했을 때에도 순치료계획 세기변조방사선치료법을 사용했을 때 평균선량값, 20 Gy, 30 Gy이상 조사받는 체적의 백분율이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순치료계획 세기변조방사선치료법은 쐐기접선조사기법에 비해 유방의 표적체적에 대한 선량균일성, 적합성 등에서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순치료계획 세기변조방사선치료법을 사용했을 때 폐와 심장에 대한 방사선량도 더 낮출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osimetric outcome of the field-in-field (FIF) plans compared with tangential wedged beams (TWB) plans for whole breast irradiation of breast cancer patients. Twenty patients with right-sided breast cancer and 10 patients with left-sided breast cancer were retrospectively enrolled in this study. We generated a FIF plan and a TWB plan for each patient to compare dosimetric outcomes. The dose the homogeneity index (HI), the conformity index (CI) and the uniformity index (UI) were defined and used for comparison of the dosimetric outcome of the planning target volume (PTV). To compare the dosimetric outcome of the organs at risk, the mean dose ($D_{mean}$) and the percentage of volumes receiving more than 10, 20 and 30 Gy of the ipsilateral lung and heart were used. The FIF plans had significantly lower HI (p=0.002), higher UI (p=0.000) and CI (p=0.000) than those of the TWB plans, which means that the FIF plans were better than the TWB plans in the dosimetric comparisons of the PTV. The $V10_{lung}$ ($17.1{\pm}7.1$ vs. $18.6{\pm}6.6%$, p=0.020) and $V30_{lung}$ ($10.3{\pm}5.1%$ vs. $10.7{\pm}5.2%$, p=0.000) were lower with the FIF plans compared with those of the TWB plan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left-sided breast cancer patients, $D_{mean}$ of the heart ($2.6{\pm}1.3$ vs. $3.2{\pm}1.4$ Gy, p=0.000), $V20_{heart}$ ($3.4{\pm}2.6$ vs. $3.6{\pm}2.8%$, p=0.005) and $V30_{heart}$ ($2.6{\pm}2.3%$ vs. $2.9{\pm}2.4%$, p=0.004)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the FIF plan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TWB plans. The FIF plans increased the dose homogeneity, conformity and uniformity of the target volume for the whole-breast irradiation compared with the TWB plans. Moreover, FIF plans reduced the doses to the ipsilateral lung and heart.

      • KCI등재

        후두암 및 폐암 세포주에서 Flavopiridol이 방사선에 의한 아포토시스에 미치는 영향

        김수지(Suzy Kim),권은경(Eun Kyung Kwon),이승희(Seung Hee Lee),박혜진(Hye Jin Park),우홍균(Hong Gyun Wu)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5 No.4

        목 적: 세포 주기 억제제인 flavopiridol이 후두암과 폐암 세포주에서 방사선으로 인한 아포토시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세포 내 아포토시스 조절 물질들의 발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본다. 대상 및 방법: 사람 후두암 세포주인 AMC-HN3와 폐암 세포주인 NCI-H460을 배양하여 1) 아무 처치도 하지 않은군, 2) 방사선 조사만 한 군, 3) flavopiridol 약물 처치만 한 군, 4) 방사선과 flavopriodol 동시 병합 치료를 한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방사선 조사시 4 MV 선형가속기의 X-ray를 10 Gy 조사하였고 flavopiridol은 세포 배양액에 100 nM 농도로 희석하여 24시간 동안 투여했다. 치료를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24시간 후에 네 군의 아포토시스율을 비교하였다. 아포토시스율은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sub-G1 세포의 분율로 구했다. 또한 네 군에서 cleaved caspase-3, cleaved PARP (poly(ADP-ribose) polymerase), p53, p21, cyclin D1, phosphorylated Akt (protein kinase B) 발현 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면역단백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방사선 단독 처치 또는 flavopiridol 단독 처치한 군에 비해 방사선과 flavopiridol을 동시 병합 치료한 군에서 아포토시스율이 증가하는 것을 두 가지 암세포주 모두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면역단백분석에서도 cleaved caspase-3, cleaved PARP 발현이 동시 병합 치료 군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두 세포주 모두에서 flavopiridol에 의해 cyclin D1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flavopiridol이 p53, p2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은 세포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Akt 발현은 두 세포주 모두에서 flavopiridol 투여에 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 론: 본 실험을 통해 사람 후두암 및 폐암 세포주에서 flavopiridol이 방사선에 의한 아포토시스를 증가시킴으로써 방사선 치료 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lavopiridol이 p53, p2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은 세포주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phosphorylated Akt 발현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flavopiridol effect on radiation-induced apoptosis and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genes of human laryngeal and lung cancer cells. Materials and Methods: A human laryngeal cancer cell line, AMC-HN3 and a human lung cancer cell line, NCI-H460, were used in the study. The cel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treatment: 1) control groups; 2) cells that were only irradiated; 3) cells treated only with flavopiridol; 4) cells treated with flavopiridol and radiation simultaneously. The cells were irradiated with 10 Gy of X-rays using a 4 MV linear accelerator. Flavopiridol was administered to the media at a concentration of 100 nM for 24 hours. We compared the fraction of apoptotic cells of each group 24 hours after the initiation of treatment. The fraction of apoptotic cells was detected by measurement of the sub-G1 fractions from a flow cytometric analysis. The expression of apoptosis-regulating genes, including cleaved caspase-3, cleaved PARP (poly (ADP-ribose) polymerase), p53, p21, cyclin D1, and phosphorylated Akt (protein kinase B)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The sub-G1 fraction of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mbination treatment group, as compared to cells exposed to radiation alone or flavopiridol alone. Western blotting also showed an increased expression of cleaved caspase-3 and cleaved PARP expression in cells of the combination treatment group, as compared with cells exposed to radiation alone or flavopiridol alone. Treatment with flavopiridol down regulated cyclin D1 expression of both cell lines but its effect on p53 and p21 express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individual cell line. Flavopiridol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phophorylated Akt in both cell lines. Conclusion: Treatment with flavopiridol increased radiation-induced apoptosis of both the human laryngeal and lung cancer cell lines. Flavopiridol effects on p53 and p21 expressio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ell line and it did not affect Akt activation of both cell lines.

      • SCOPUSKCI등재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의 선행 항암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

        김수지(Suzy Kim),우홍균(Hong-Gyun Wu),허대석(Dae-Seog Heo),박찬일(Charn Il Pa 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4

        목 적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에서 선행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시행했을 때 결과와 각 치료법에 대한 반응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으로 진단받고 선행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3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선량 1.75∼2.0 Gy를 하루 1회, 주 5회 조사하였다. 총 방사선량은 60.8∼73.8 Gy (평균선량 68.6 Gy) 이었다. 선행 항암화학요법은 29명의 환자에서 5- FU와 cisplatin을 병용했고 나머지 환자들에서는 cisplatin을 기본으로 하여 bleomycin또는 vinblastin을 병용 투여했다. 24명(75%)의 환자에서 3주간격으로 3회의 선행 항암화학요법을 모두 시행하였고, 6명에서 2회, 2명에서 1회의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결 과:추적관찰기간은 7개월에서 134개월이었고 중앙값은 28개월이었다. 전체 대상환자들의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66%, 43%였고, 5년 국소제어생존율은 34%였다. 12명(38%)의 환자에서 5년 이상 후두가 보존되었다. 전체32명의 환자 중 선행 항암화학요법 후에 5명(16%)에서 완전관해를 보였고, 19명(59%)에서 부분관해, 8명(25%)의 환자에서 무반응을 보여 반응률은 75%였다. 부분관해를 보인 19명 가운데 8명은 방사선치료 후에 완전관해를 보였다. 선행 항암화학요법에 대해 무반응이었던 8명 중 2명은 방사선치료 후에 완전관해를 보였고, 나머지 6명은 부분관해를 보였다. 모든 치료가 종료한 후 무반응인 환자는 한 명도 없었다. 선행 항암화학요법에 대해서 완전관해, 부분관해, 무반응을 보인 환자군별로 5년 생존율은 각각 60%, 35.1%, 50%였다. 세 군간에 5년 생존율을 비교했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93). 모든 치료가 끝난 후에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군과 부분관해를 보인 환자군의 5년 생존율은 각각 73.3%, 14.7%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 Purpose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e to chemotherapy and the final outcome of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ncer. Me thods and Mate ria l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for thirty- two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hypopha ryngeal cancer treated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from August 1979 to July 1997.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 60 teletherapy unit or 4MV or 6MV photon beam produced by linear accelerator. Daily fractionation was 1.75 to 2 Gy, delivered five times a week. Total dose ranged from 60.8 Gy to 73.8 Gy. Twenty- nine patients received continuous infusion of cisplatin and 5- FU. Other patients were treated with cisplatin combined with bleomycin or vinblastin. Twenty- four (75%) patients received all three prescribed cycles of chemotherapy delivered three weeks apart. Six patients received two cycles, and two patients received only one cycle. Results :The overall 2- year and 5- year survival rates are 65.6% and 43.0%, respectively. 5- year local control rate is 34%. Organ preservation for more than five years is achieved in 12 patients (38%).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24 patients achieved more than partial remission (PR); the response rate was 75% (24/32). Five patients had complete remission (CR), 19 patients PR, and 8 patients no response (NR). Among the 19 patients who had PR to chemotherapy, 8 patients achieved CR after radiotherapy. Among the 8 non- responders to chemotherapy, 2 patients achieved CR, and 6 patients achieved PR after radiotherapy. There was no non- responder after radiotherapy. The overall survival rates were 60% for CR to chemotherapy group, 35.1% for PR to chemotherapy group, and 50% for NR to chemotherapy group, respectively (p=0.9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five- year overall survival rates between the patients with CR and PR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73.3% vs. 14.7%, p< 0.01). The prognostic factor affecting overall survival was the response to overall treatment (CR vs. PR, p

      • KCI등재

        럭셔리 패션 플랫폼 속성이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지 ( Suzy Kim ),허희진 ( Hee Jin Hur ),추호정 ( Ho Jung Choo ) 한국의류학회 2021 한국의류학회지 Vol.45 No.4

        This study aims to discover how the perceived attributes of luxury fashion platforms affect consumer trust and satisfaction as well as online word-of-mouth intention.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derived four dimensions of perceived attributes: brand assortment size, exclusivity, convenience, and personalization. The paper presents findings from an online survey targeting 359 consumers in their 20s to 30s who had recent experience with luxury fashion platform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 structural model equ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MOS 22.0 and SPSS 26.0. The findings illustrated that brand assortment size, exclusivity, and personaliz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consumers' platform trust. In addition, brand assortment size and convenience had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Overall,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 that perceived attributes of luxury fashion platform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nsumers' platform trust and satisfaction and online word-of-mouth intentions. This study reveals that consumers' trend orientation moderates the effects of consumer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academic practice of this study has laid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mechanisms of marketing strategies by pro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platforms in the luxury fashion industry.

      • KCI등재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이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

        김수지(Kim, Suzi),김찬중(Kim, Chan-jung) 한국창업학회 2021 한국창업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욕구-제공 적합성, 요구-능력 적합성)이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간의 관계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국립대학에 재직중인 교직원 278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조직적합성이 도움행동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욕구-제공적합성, 요구-능력적합성은 도움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조직적합성과 도움행동간에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요구-능력 적합성이 도움행동에 미치는 관계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과 환경적합성 변수 및 구성원의 잡크래프팅에 대한 조직차원의 효과적인 관리방안과 경영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fit and person-job fit(need-supply fit, demand-capability fit) on helping behavior and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job crafting between the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278 staff working at a national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fit on helping behavior was not found. Second, need-supply fit, demand-capability fit have a positive effect on helping behavior.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job-crafting between person-organization fit on helping behavior was not found. Last, the mediating effect was foun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and-capability fit and helping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organizational effective management alternatives and management implications for job crafting that affect helping behavior. And we suggest the limitation of our findings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 KCI등재

        중소기업 구성원의 네트워킹 행동과 경력성장기회 간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인식의 조절효과

        김수지(Suzi Kim),김찬중(Chanjung Kim) 한국창업학회 2022 한국창업학회지 Vol.17 No.6

        본 논문은 중소기업 구성원들의 경력성장기회를 높이는 매커니즘에 관한 연구로서, 네트워킹 행동과 경력개발지원인식의 역할을 강조한다. 구체적으로 내부·외부 네트워킹 행동과 경력성장기회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조직차원에서 경력개발지원인식의 조절역할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팀을 형성하여 근무하는 사무직을 대상으로 2주간의 시차를 두고 2번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406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미응답 부수와 결측치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사무직 311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내부 네트워킹 행동은 경력성장기회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부 네트워킹 행동은 경력성장기회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부 네트워킹 행동과 경력성장기회 간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인식은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외부 네트워킹 행동과 경력성장기회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인식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력성장기회를 높이기 위한 매커니즘을 확인하고, 개인, 조직차원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a study on a mechanism to increase career growth opportunities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and emphasizes the role of networking behavior, and recognition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Specificall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and career growth opportunities was verified, and the moderating role of recognition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was analyzed.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wo surveys were conducted with a two-week lag for office workers who formed a team and worked in SMEs, and a total of 40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excluding the number of unanswered copies and missing values, an empirical analysis was finally conducted on 311 office workers,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ternal networking behavior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growth opportunities. Second,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growth opportuniti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erception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networking behavior and career growth opportunities. Fourth, it was not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erception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and career growth opportuniti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mechanisms to increase career growth opportunities were identified, and suggested managerial implications.

      • KCI등재

        In Vitro Radiosensitization of Flavopiridol Did Not Translated into In Vivo Radiosensitization

        김수지(Suzy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9 No.2

        목적: 이전의 암세포주를 이용한 실험실내 연구에서 플라보피리돌은 암세포의 방사선에 의한 아포토시스를 증가 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마우스를 이용한 생체내 실험에서 플라보피리돌의 방사선민감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마우스 유방암 세포주인 EMT-6를 Balb/c 마우스에 피하주사하여 종양을 만든 후 플라보피리돌 단독치료군, 방사선 단독 치료군, 방사선과 플라보피리돌 병합 치료군 및 대조군으로 나누어 종양의 성장 속도를 비교하였다. 플라보피리돌은 2.5 ㎎/㎏을 하루 2회 복강내에 주사하였고, 방사선은 1일 1회, 회당 4 Gy를 조사하여 총 28 Gy를 조사하였다. 각 치료군에서의 종양 성장 곡선을 구하여 비교하였다. 마우스로부터 채취한 종양으로 파라핀 절편을 만들어 TUNEL 및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종양 성장을 비교하였을 때 대조군보다 방사선 단독 치료군과 방사선과 플라보피리돌 병합 치료군에서 종양성장이 지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대조군과 플라보피리돌 단독 치료군 사이에서는 종양 성장에 차이가 없었고, 방사선 단독 치료군과 방사선과 플라보피리돌 병합 치료군 사이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TUNEL 염색으로 아포토시스율을 비교했을 때 각 치료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Ku70 발현을 비교했을 때에도 각 치료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플라보피리돌은 마우스 유방암 모델에서 방사선민감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Purpose: Flavopiridol enhanced radiation-induced apoptosis of cancer cells in our previous in vitro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if flavopiridol could enhance the radioresponse of mouse mammary tumors in vivo. Materials and Methods: Balb/c mice bearing EMT-6 murine mammary carcinoma were treated with flavopiridol only, radiation only, or both for 7 days. Flavopiridol was administered 2.5 ㎎/㎏ twice a day intraperitoneally (IP). Radiation was delivered at a 4 Gy/fraction at 24-h intervals for a total dose of 28 Gy. Tumor volume was measured and compared among the different treatment groups to evaluate the in vivo radiosensitizing effect of flavopiridol. Tumors were removed from the mice 20 days after treatment, and TUNEL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s were performed. Results: Significant tumor growth delay was observed in the radiation only and combined treatment groups,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umor growth curves of the control and flavopiridol only group or between the radiation only and combination treatment group. Apoptotic cells of different treatment groups were detected by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cated nick end labeling (TUNEL) staining. The expressions of Ku70 in tumor tissues from the different groups were analyzed by immunohistochemistry. Similar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apoptotic rate or Ku70 expression among the different treatment groups. Conclusion: Flavopiridol did not show evidence of enhancing the radioresponse of mouse mammary tumors in this study.

      • KCI등재

        Paclitaxel 매주 투여 및 방사선치료 동시요법을 받은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치료 결과

        김수지(Suzy Kim),김성환(Sung Whan Kim),심병용(Byoung Yong Shim),김치홍(Chi Hong Kim),송소향(So Hyang Song),안명임(Meyung Im Ahn),조덕곤(Deog Gon Cho),조규도(Kyu Do Cho),유진영(Jinyoung Yoo),김훈교(Hoon Kyo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4

        목 적: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 대한 매주 paclitaxel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동시 요법의 안정성과 효 과를 알아보고 재발 양상 및 생존율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0월부터 2004년 9월까지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목적으로 항암화 학방사선 동시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1회 1.8 Gy 씩 주5회 분할 조사하여 7∼8주에 걸쳐 총 선량 55.8∼64.8 (median 64.8) Gy를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매주 paclitaxel 50 또는 60 mg/m2 용량으로 방사선치료 1일, 8일, 15일, 22일, 29일 36일째에 투여하였다. 항암화학방사선동시요법을 마친 4주 후부터 paclitaxel 135 mg/m2와 cisplatin 75 mg/m2 용량으로 3주 간격으로 3주기의 공고 항암화학요법을 추가 시행하였다. 결 과: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받은 23명의 환자 중 3명이 도중에 환자 임의로 치료를 중단하였고 1명이 5,580 cGy까지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고 세균성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주된 급성 부작용은 방사선 식도염으로 4명(17%)의 환자에서 2도의 식도염이 관찰되었으며 3도 이상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16명의 환자가 추가 공고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았으며 공고 항암화학요법 중의 급성 부작용으로 3도 이상의 호중구 감소증이 8명(50%)의 환자에서 관찰되었으며 그중 한 명은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끝까지 시행 받은 20명의 환자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을 조사할 수 있었으며 완전 관해 4명(20%), 부분 관해 14명(70%)으로 전체 관해율은 90%이었다. 관해를 보인 환자들 중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16명 중 14명에서 재발이 확인되었고 국소 재발이 9명(56%),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가 3명(19%), 원격 전이가 2명(13%)이었다.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끝까지 시행받은 환자들에서의 무진행 생존 기간의 중앙값은 9.5개월이었으며, 2년 무진행 생존율은 18%이었다. 재발된 환자중 11명에서 2차(second-line) 또는 3차(third-line) 항암화학요법이 시행되었다. 전체 환자 23명의 중앙 생존 기간은 21개월,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43%, 33%였다. 다변량 분석을 시행했을 때 환자의 나이, 수행 능력, 종양의 크기는 무진행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예후 인자로 나타났다. 결 론: 국소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paclitaxel 매주 투여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동시요법은 안전하고 종양의 관해율도 높았다. 그러나 국소 재발률이 높고 특히 종양의 크기가 큰 환자에서 예후가 나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부작용은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국소제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o analyze the response, toxicity, patterns of failure and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who were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ith weekly paclitaxel.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hree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radical chemoradiotherapy from October 1999 to September 2004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Patients received total 55.4∼64.8 (median 64.8) Gy (daily 1.8 Gy per fraction, 5 days per weeks) over 7∼8 weeks. 50 or 60 mg/m2 of paclitaxel was administered on day 1, 8, 15, 22, 29 and 36 of radiotherapy. Four weeks after th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three cycles of consolidation chemotherapy consisted of aclitaxel 135 mg/m2 and cisplatin 75 mg/m2 was administered every 3 weeks. Results: Of the 23 patients, 3 patients refused to receive the treatment during th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One patient died of bacterial eumonia during th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Grade 2 radiation esophagitis was observed in 4 patients (17%). Sixteen patients received consolidation chemotherapy. During the consolidation chemotherapy, 8 patients (50%) experienced grade 3 or 4 neutropenia and one of those patients died of neutropenic sepsis. Overall response rate for 20 evaluable patients was 90% including 4 complete responses (20%) and 14 partial responses (70%). Among 18 responders, 9 had local failure, 3 had local and distant failure and 2 had distant failure only.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time was 9.5 months and 2-year progression-free survival rate was 19%. Eleven patients received second-line or third-line chemotherapy after the treatment failure. The median overall survival time was 21 months. 2-year and 5-year survival rate were 43% and 33%, respectively. Age, performance status, tumor size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progression-free survival. Conclusion: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ith weekly paclitaxel revealed high response rate and low toxicity rate. But local failure occurred frequently after the remission and large tumor size was a poor prognostic factor.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improve the local control.

      • KCI등재

        Astin의 모형을 활용한 대학기본역량진단 (2015~2021) 평가기준 분석

        김수지(Suzie Kim),정제영(Jae Young Ch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4 열린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기본역량진단의 평가기준을 Astin의 학습자 중심의 수월성 관점에 터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Astin(1993)의 I(Inputs)-E(Environment)-O(Outcomes) 모형과 김형란, 김석우(2019)가 평가지표 분석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틀을 연구의 방향에 맞추어 재구성하였다. 평가기준 분석의 주 자료는 1, 2, 3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의 일반대학 평가지표이며, 평가지표는 성격에 따라 I(교육적 투입)-E(학습 환경)-O(교육 성과) 과정과 대학의 기능 및 역할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대학기본역량진단의 평가지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이 학습 환경 조성에 투자하고,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 안정 도모를 지원하는 교육정책 제안이 필요하다. 둘째, 향후 수행되는 대학평가는 교육의 수월성에 대한 담론을 기반으로 한 대학평가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진단은 학습자 중심의 수월성 가치에 방점을 두고 상승적 변화를 이끄는 지원 기제로 역할 해야 한다. 넷째, 대학평가의 정책적 프레임과 내용의 합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섯째, 향후 대학평가기준은 학습자 중심의 수월성 개념을 바탕으로 미래 대학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근거로 활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based on Astin's learner-centered ease of use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e I (Inputs) - E (Environment) - O (Outcomes) model of Astin (1993) and the analytical framework proposed by Kim Hyung-ran and Kim Seok-woo (2019) in their study on the analysis of evaluation indicators were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tudy. The main data for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criteria are the indicators of the 1st, 2nd, and 3rd cycles of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assessment, and the evaluation indicators are categorized into I (educational inputs), E (learning environment), and O (educational outcomes) processes and university functions and roles according to their nature.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basic competency assessment of universit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pose education policies that support institutional stability so that universities can invest in creating a learning environment and create value. Second, future university assessments should be conducted in a way that builds on the discourse of ease of access to education. Third, university assessment should serve as a support mechanism that leads to synergistic change by focusing on the learner-centered value of ease. Fourth, the policy frame and content of university assessment need to be harmonized. Fifth, future university assessment criteria should be used as a basis for providing directions for future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learner-centered ease of use.

      • KCI등재후보

        두경부 방사선 치료 환자에서 투과선량 알고리즘의 임상 적용시 불균질 조직 보정에 관한 연구

        김수지(Suzy Kim),하성환(Sung Whan Ha),우홍균(Hong Gyun Wu),허순녕(Soon Nyung H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2

        목 적: 두경부에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투과선량측정시스템을 적용하여 시스템의 재현성과 선량 계산 알 고리즘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9월 5일부터 9월 18일까지 4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두경부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3회 이상의 측정을 시행하고 조사야의 중심이 차폐되지 않은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매일 환자의 치료 시작 전과 치료 중 한 시간 간격으로 10×10 cm2 개방 조사야에 100 MU을 조사하고 측정을 시행하여 시스템의 안정성 및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투과선량 계산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두경부 방사선치료 환자에서 투과선량의 예상치를 구하고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투과선량 예상치는 환자의 CT 또는 MR 영상과 모의치료 시의 X-선 필름을 사용하여 방사선 투과 부위의 골조직, 공기, 지방조직의 두께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불균질 조직의 영향을 보정하였다. 결 과: 10×10 cm2 개방 조사야에 100 MU을 조사하여 측정을 시행하였을 때 측정치의 일 중의 오차가 ±0.5% 이내이고 일간의 오차가 ±1.0% 이내로 시스템의 안정성 및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투과선량 예상치와 실제 측정치 간의 평균 오차는 뇌 부위 치료 환자에서는 ±5% 이하, 두부 치료 환자에서는 ±2.5% 이하, 경부 치료 환자에서는 ±5% 이하이었다. 결 론: 투과선량측정시스템의 안정성과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외부 형태가 불규칙하고 불균질 조직이 포함되는 부위에 대하여 CT, MR 등의 영상을 이용하여 불균질 조직에 대한 보정을 함으로써 정확한 예상치를 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To confirm the reproducibility of in vivo transmission dosimetry system and the accuracy of the algorithms for the estimation of transmission dose in head and neck radiation therap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5 to 18, 2001, transmission dos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when radiotherapy was given to brain or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The data of 35 patients who were treated more than three times and whose central axis of the beam was not blocked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o confirm the reproducibility of this system, transmission dose was measured before daily treatment and then repetitively every hour during the treatment time, with a field size of 10×10 cm2 and a delivery of 100 MU. The accuracy of the transmission dose calculation algorithms was confirmed by comparing estimated dose with measured dose. To accurately estimate transmission dose, tissue inhomogeneity correction was done. Results: The measurement variations during a day were within ±0.5% and the daily variations in the checked period were within ±1.0%, which were acceptable for system reproducibility. The mean errors between estimated and measured doses were within ±5.0% in patients treated to the brain, ±2.5% in head, and ± 5.0% in neck.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reproducibility of our system and its usefulness and accuracy for daily treatment. We also found that tissue inhomogeneity correction was necessary for the accurate estimation of transmission dose in patients treated to the head and ne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