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머체태아의학 : 자궁경부 무력증 산모에서 fibrin sealant를 사용한 Modified double McDonald cerclage 수술 후 자궁경부 길이 및 주산기 예후에 대한 분석

        강귀언,부혜연,이은현,호정규,박문일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99 No.-

        목적: 본 연구는 자궁경부 무력증 산모에서 fibrin sealant를 사용한 Modified double McDonald cerclage 수술 후 자궁경부 길이 변화 및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 6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자궁경부 무력증으로 본원에서 자궁경부 원형결찰술을 받은 후 분만 한 76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택적 원형결찰술을 받은 산모와 긴급 또는 응급 원형결찰술이 필요한 산모를 포함하여 진단 당시의 초음파상 자궁경관 길이에 따라 수술 전 자궁경부 길이 <3 cm (n=21)와 ≥3 cm (n=51)의 두 군으로 나누어 수술 후 자궁경관의 길이 변화 및 분만 시기 그리고 주산기 예후를 비교 하였다. 결과: 산모의 일반적 특성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궁경부 길이 ≥3 cm 군에서 더 이른 시기에 수술을 받았으며(99 vs 148일; p<0.0001), 수술 후 자궁경부의 길이는 ≥3 cm 군에서 더 길었다(3.0 vs 4.3 cm; p<0.0001). 하지만, 분만일(247 vs 261 일; p=0.2022), 1분(6 vs 7; p=0.5617) 및 5분 (8 vs 9; p=0.5074) 아프가 점수, 그리고 출생 시 신생아 체중(2110 vs 2770 gm; p=0.1846)에서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fibrin sealant를 사용한 Modified double McDonald cerclage 수술은 자궁경부의 길이와 상관없이 긴급 및 응급 원형결찰술의 경우라도 선택적 원형결찰술을 시행한 산모와 비교하여 그 예후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는 유용한 수술방법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척추 침범을 동반한 자궁내막의 원발성림프종

        강귀언 ( Gui Eon Kang ),진성아 ( Sung Ah Jin ),부혜연 ( Hye Yeon Boo ),표주연 ( Ju Yeon Pyo ),오영하 ( Young Ha Oh ),김승룡 ( Seung Ryo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11

        Primary malignant lymphomas in the female genital tract are rare, but when it occurs, the cervix or the ovary are more common site than the uterine corpus. Most common symptoms are abnormal vaginal bleeding but sometimes it is symptom free. Due to rarity of primary malignant lymphoma, the standard treatments are not yet established, but rituximab,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vincristine and prednisone chemotherapy after the surgery is general executed. We present a case of primary malignant lymphoma originating from endometrium with spine involvement.

      • KCI등재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근종 절제술의 임상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

        조백설 ( Baik Seol Cho ),강귀언 ( Gui Eon Kang ),이홍주 ( Hong Jue Lee ),천상훈 ( Sang Hoon Cheon ),조출현 ( Chool Hyun Cho ),김성희 ( Seong Hee Kim ),이정한 ( Jung Han Lee ),조삼현 ( Sam Hyun Cho ),김승룡 ( Seung Ryo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0

        목적: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근종 절제술 환자 185명을 대상으로 복강경적 자궁근종 절제술의 안전성 및 임상적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4년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구리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근종 절제술을 받은 환자 185명의 의무기록을 통해 연령, BMI (body mass index), 출산력, 자궁근종의 크기, 개수, 종류 및 수술 술기 (투관침의 개수, 근종체외배출 방법 등), 수술시간, 수술 후 헤모글로빈 감소치, 수혈량, 합병증, 입원기간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자궁근종의 종류는 근층내 (intramural) 근종이 115명 (62.2%)으로 가장 많았으며, 각 환자의 가장 큰 자궁근종의 평균 직경은 6.67±0.16 cm (range, 2.5~15 cm)이었고 자궁근종의 개수는 평균 2.07±0.15개 (range, 1~15개) 이었다. 과거 수술력, 골반 내 유착의 유무는 수술시간과 관련이 없는 요인이었고, 근종의 종류, 크기, 개수, 투관침 (trocar)의 개수, 근종 제거방법은 수술 시간과 관련이 있었다. 가장 큰 근종 직경이 8 cm 미만이거나, 개수가 4개 이하인 저위험군 (n=122)과 가장 큰 근종의 직경이 8 cm 이상이고, 개수가 5개 이상인 고위험군 (n=63)으로 나누어 두 군을 비교 분석한 결과, 고위험군에서 수술 시간(137.58±4.37 min vs. 193.73±9.88 min) 뿐만 아니라, 수술 후 헤모글로빈감소량 (2.89±0.10 g/dL vs. 4.03±0.23 g/dL) 및 수혈량 (2.89±0.10 pints vs. 4.03±0.23 pints)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각각 P-value=0.000), 입원기간은 차이가 없었다 (4.98±0.12일 vs. 5.44±0.24일, P-value=0.098).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근종 절제술의 대상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술 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근종의 크기와 무게, 근종의 개수, 근종의 종류, 투관침 (trocar)의 개수, 근종의 체외배출 방법 등이었고, 과거의 수술 유무, 골반 내 유착, BMI 등은 영향 요인이 아니었다. 또한 근종의 직경이 8 cm 이상이거나 근종의 개수가 5개 이상인 고위험군은 저위험군에 비하여 수술시간과 수술 후 헤모글로빈 감소량이 증가하였다.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afety and the clinical efficacy of the laparoscopic myomectomy through analyzing several operation factors. Methods: There were 185 cases of laparoscopic myomectomy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8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 Hanyang University Guri Hospital. Retrospectively many factors of the operation were analyzed. The factors include the size, number and type of the myoma, BMI (body mass index), operation method, operation time, and complication and the prognosis of the operation. Results: For the type of myomas, 115 (62.2%) cases were intramural myomas, 38 (20.5%) cases were subserosal types and 32 (17.3%) cases were mixed types. The average diameter of the biggest myoma was 6.67±0.16 cm (range, 2.5~15 cm) and the average number of the myoma was 2.07±0.15 (range, 1~15). Previous operation history and pelvic adhesion did not show correlation with the operation time. The size, type and number of myoma and the operation methods showed correlation with the operation time. According to myoma size and number, we divided the cases into two groups, low risk group (122 cases) and high risk group (63 cases). The analysis showed that post-operation hemoglobin drop (2.89±0.10 g/dL vs. 4.03±0.23 g/dL) and blood transfusion amount (2.89±0.10 pints vs. 4.03±0.23 pints) as well as the operation time (137.58±4.37 min vs. 193.73±9.88 min) showed noticeable increase in the high risk group. Conclusion: This statistics show that laparoscopic myomectomy is now being applied to patients with larger and more myomas. Factors affecting operation time were the weight of myomas, number of myomas, type of myomas, number of trocars and methods of resected myomas removal. Also, operation time and post-operative hemoglobin drop increased in the high risk group.

      • Comparison of fetal and maternal bio-signal in normal and high risk pregnancies: Preliminary study

        이선경,차경준,박영선,호정규,강귀언,박문일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98 No.-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in antepartal fetal heart rate (FHR) parameters and maternal bio-signal in normal and high risk pregnancies. We surveyed all non-stress test (NST) data acquired using a computerized FHR analysis system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pril and November, 2011, and selected 75 cases (high risk pregnancies=10 cases and normal pregnancy=65 cases). High risk pregnancy includes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n=3), placenta previa (n=3),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n=3), and intrauterine fetal death (n=1). For statistical analysis, we compared FHR parameters and maternal bio-signal values between two groups using the median test. FHR parameters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Maternal bio-signal, with respect to systolic/ diastolic blood pressure, hemoglobin and value of 50 gm glucose tolerance test were higher in the high risk pregnancies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125.89 ± 20.90 vs 113.36 ± 10.93 mmHg, p=0.0435; 76.66 ±14.03 vs 67.54 ± 7.37 mmHg, p=0.0286; 12.87 ± 1.41 vs 11.54 ± 1.13 g/dL, p=0.0036; 137.88 ± 20.11 vs 113.74 ± 19.15 mg/dL, p=0.0057; respectively). Maternal bio-signal value itself does not seem to have a direct effect on the FHR parameters, although there are different in two groups.

      • KCI등재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를 동반한 임산부의 질병활성 지수로 이용되는 C3, C4, 항dsDNA항체, autoimmune target test와 임신 합병증들과의 상관관계

        김일동 ( Il Dong Kim ),김라현 ( Ra Hyun Kim ),강귀언 ( Gui Un Kang ),진성아 ( Sung Ah Jin ),이혜진 ( Hye Jin Lee ),호정규 ( Jeong Kyu Hoh ),장호선 ( Ho Sun Chang ),황경진 ( Kyung Jin Hwang ),박문일 ( Moon Il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1

        목적: 루푸스가 합병된 임산부에서 임신 결과와 양상, 또한 임신 중 루푸스의 활성도를 알 수 있는 C3/C4보체, 항dsDNA, autoimmune target test (AITT) 수치를 비교 분석하여 루푸스 산모와 신생아의 예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2001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한양대학교 의료원 산부인과와 류마티스 병원에서 임신을 경험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신 경과와 루푸스 병력 기록이 추적 가능한 73명의 93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임신의 임상 경과와 결과, 산과적 합병증, 임신중 루푸스의 경과, 루푸스에 의한 산모 질환, 임신 전후 복용한 약물, 신생아의 예후에 대해 조사하고, 혈액학적, 면역학적 검사를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 14.0을 사용하여 chi-square검정과 피어슨 상관 계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보체 C3 수치와 관련된 항목을 보면 산모의 백혈구 감소, 혈청 C-reactive protein (CRP) 증가, 혈뇨, 고혈압, 만삭 전 조기 양막파열 등과 연관성을 보였고, 보체 C4 수치는 산모의 단백뇨, 혈뇨, 혈액학적 질환,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과 연관성을 보였다. 항dsDNA는 산모의 혈청 CRP 증가, 양수과소증, 신생아 anti-Sj?gren``s syndrome B (La) antibody와 연관성을 보였고, AITT는 높은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수치,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와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루푸스 산모의 산전관리에서 임상 증상과 혈액학적 면역학적 검사를 관찰함으로써 조기분만, 유산, 사산을 줄이고, 신생아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을 줄여나가야 한다. 기존의 C3/C4보체, 항dsDNA 검사에 AITT를 추가함으로써 루푸스 산모의 산전관리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mplement (C3 and C4) levels, anti-dsDNA titers, autoimmune target test (AITT), and pregnancy complications. Methods: Ninety-three pregnancie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We evaluated the course of the pregnancy and outcome, pregnancy complications, progression of SLE, maternal complications of SLE, drugs taken before and after pregnancy, neonatal outcomes, and C3/C4 levels, anti-dsDNA titers, and AITT results. SPSS ver. 14.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re shown. Chi-squar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05. Results: The C3 level was associated with maternal leukopenia, elevated serum C-reactive protein (CRP) elevation, hematuria, hypertension, and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The C4 level was associated with maternal proteinuria, hematuria, hematologic disease, and admission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he anti-dsDNA titer was associated with elevated maternal serum CRP, oligohydramnios, and neonatal anti-Sj?gren``s syndrome B (La) antibody. The AITT result was related to elevate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1 and 5 minute Apgar scores. Conclusion: Our result show that adding the AITT to conventional C3/C4 and anti-dsDNA testing in gravidas with SLE might help antenatal care.

      • KCI등재

        배액관이 있는 5 mm 투관침 부위에서 발생한 소장 탈장과 이의 복강경적 복원

        조백설 ( Baik Seol Cho ),김승룡 ( Seung Ryong Kim ),강귀언 ( Gui Eon Kang ),호정규 ( Jeong Kyu Hoh ),김성희 ( Seong Hee Kim ),이정한 ( Jung Han Lee ),조삼현 ( Sam Hyun Ch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6

        The incisional hernia through trocar site is an uncommon complication of gynecologic laparoscopy. Its incidence is less than 1% and most of them are occurring through 10 mm trocar site. Small bowel herniation through 5 mm trocar site is very rare. Furthermore, 5 mm trocar site bowel herniation with drain tube in situ has not yet been reported. We present a case of small bowel herniation through 5 mm trocar site with drain tube in situ and its reduction by laparoscopy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