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紅疫바이러스의 增殖에 關한 硏究

        鄭一男 中央醫學社 1967 中央醫學 Vol.12 No.6

        The experiment on the proliferation of measles virus in primary chick embryo cell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199 medium was proved to be the best maintenance medium and next Eagle's medium. 30°C was the more optimal temperature for the maintenance of the cells than 36°C and the healthy condition of the cells were observed for 2-3 weeks under 30°C. 2. Passage of measles virus in chick embryo cells caused increase of its infectivity and the peak of infectivity was observed after the 9th passage. There has been no remarkable change, thereafter. 3. In determining the infectivity of measles virus in chick embryo cells, day 14 after the inoculation was the most. suitable time. 4. The growth curve of measles virus in chick embryo cells at 30°C showed its peak 7 days after the virus inoculation.

      • KCI등재

        楚亭 朴齊家의 ‘屈騷’ 수용과 그 의미

        정일(Jeong, Il-nam),최유진(Choe, Yu-jin)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5 No.-

        본고는 초정 박제가의 ‘굴소’ 수용 양상과 그 의미를 다루었다. 우선 초정의 이름과 자 · 호의 유래를 살펴본 결과 중국의 『대학』 · 「이소」 · 『시경』과 연관됨을 알 수 있었다. 그중 특히 ‘초정’이란 호는 박제가가 스스로 밝힌 바와 같이 「이소」의 의미에 기탁하여 지은 것이다. 그 동기에 대해서는 굴원과의 同病相憐 및 굴원의 爲人을 이상적인 인격으로 추구하고, 그러한 인격 기준으로 늘 자신을 편달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세속의 영향이 미칠 수 없는 ‘백운’을 자주 언급한 것도 ‘초정’이나 ‘정유’와 같은 호의 이미지와 동일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시경』에서 유래된 ‘위항도인’이란 호를 통해 재능을 自信하는 동시에 성취하고야 말겠다는 열정과 여의치 않는 생에 대한 낙관을 읽을 수 있었다. 다음은 초정의 「이소」에 대한 이해를 고찰하였다. 초정은 ‘굴소’를 숭상하여 號를 ‘楚亭’이라 했던 만큼 굴원의 인격은 곧 초정이 지향하는 이상적인 인격이었다. 초정은 「이소」를 『시경』의 비흥수법과 대조시켜 怨慕의 작품으로 보았고, 비분강개한 정서의 작품 및 통곡의 작품으로 인식하였다. 한편 이러한 ‘굴소’를 초정은 약간은 ‘怨而不怒’의 유가적 詩敎에 위배된 것으로 이해하면서도 다른 한편 굴원의 인격과 멀어지는가 싶어서 「이소」를 베끼었고, 「이소」와 같은 작품을 지으려 함으로써 ‘굴소’에 대한 애호를 멈추지 않았다. 초정은 굴원의 인격만이 아니라 그의 시어나 표현수법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는 초사의 시구를 나름대로 변용하여 나의 시어, 나의 시의 이미지로 승화시켜 시 창작에 일조하였다. 요컨대 초정은 젊은 시절 재주와 포부는 지녔으나 신분의 한계로 인하여 비전이 없는 현실을 고민하였고, 후기에 성은을 입어 致仕는 했지만 마음 한 구석에는 항상 大材小用의 유감이 자리 잡고 있었다고 본다. 따라서 평생 이소를 애독함으로써 만강의 수심을 해소하는 동시에 굴원의 고결한 인격으로 자신을 편달했던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nection between Chojeong (楚亭) Park Je-ga (朴齊家) and ‘Kul-so’ (屈騷, Li-sao written by Qu Yuan). Chojeong revered ‘Cho-sa’ (Chu-ci in Chinese), so he named himself Chojeong (楚亭) as his pen name. Chu Yuan (굴원)’s personality was just the ideal that Chojeong aimed for. Chojeong usually enjoyed reading Cho-sa and even when he met friends he carried 「Li-sao(離騷)」 along. In this way, Chojeong regarded Cho-sa as his soul mate and delighted in it very much. Chojeong appreciated 「Li-sao」 as a literary work full of patriotism and sorrowful indignation, as well as resentment and yearning. But Chojeong also paid attention to his excessive obsession over 「Li-sao」. It was due to that he considered Cho-sa as against traditional Confucian poetic theory, which sought “resentment but no anger(怨而不怒)”. Chojeong sometimes read 「Li-sao」 when he felt he had grown away from Chu Yuan’s personality. The son of a concubine, regret over being overqualified and self-discipline were perhaps the main reasons why Chojeong received Cho-sa.

      • KCI등재
      • KCI등재

        투고논문 : 『열하일기』 「앙엽기」 일고

        정일 ( Il Nam Jung ) 동방한문학회 2008 東方漢文學 Vol.0 No.35

        「앙엽기」는 道觀, 사찰 또는 묘지에 관한 記文이지만 「열하일기」의 다른 글과 마찬가지로 저자의 사상의식과 글의 특성이 그대로 구현되고 있어, 이를 고찰하는 작업은 「열하일기」의 전반 가치를 진일보 보완해주는데 일정한 역할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고는 「앙엽기」의 특성을 보다 분명히 밝히고자 가끔 기타 연행록의 해당 기록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홍인사」는 족자그림을 통해 군신간의 大義를 지켜야 한다는 유교의 정치윤리를 담론하였고, 「융복사」는 사대부가 몸소 물품을 구입하는 것에서 조선의 사대부 문화풍토와는 전혀 다른 솔직한 인간본연의 세계를 발견한 것이다. 「천녕사」는 「화엄경」을 베낀 여인의 손재간을 극찬했고, 「이마두총」은 벽돌로 무덤을 쌓은 것에 주목했다. 「법장사」는 기타 연행록에서 기피하는 `귀신`이나 `꿈`같은 표현을 자유로이 구사했고, 現在法이나 意境의 수법으로 정서를 토로하기도 했다. 아울러 「앙엽기」의 적지 않은 글은 주제를 집약하여 보여주었고, 거의 편마다 용사의 특징이 보인다. 「앙엽기」는 記文이지만 記에 구속되지 않고, 素材에서 저자가 원하는바 이치 내지 교훈적인 것을 발견 또는 추출해내고자 하였고, 아울러 이런 내용을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한 예술적인 구사를 소홀히 하지 않았다. 「Record of ANGYE」 is a travel notes about historic sites like Taoist temple, temple, graveyard, etc. Although it is a travel notes, just like other articles of 「The JEHOL Diaries」, We can still experience the ideology and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writer from the articles. So, it gives important theoretical meaning to further to perfect the whole literature value of 「The JEHOL Diaries」, approach to 「Record of ANGYE」. For making the characteristics of 「Record of ANGYE」 more distinct, this paper puts some articles related with 「Record of YANXING」 together and analysis them. In chapter of 「HONGREN Temple」, through analyzing the painting of Buddha, as to the relation of the sovereign and the subjects, this paper discussed how to be honest and loyalty to the subjects and how to serves for the country - typical criticism of Confucian idea; In chapter of 「LONGFU Temple」, through analyzing the action of scholar official`s purchasing, we found the natural, rustic spirit of humanism; In chapter of 「TIANNING Temple」, through discussing the hand written copy of 「buddhavatam sakamahavaipu-lyasutra」, we praised the skills of the lady who copied the book; and in 「Matteo Riccis`s Gave」, we pay our attention on the phenomenon of tomb which is made of brick-tile; In chapter of 「FAZANG Temple」, using the taboo words of 「Record of YANXING」, such as "GUI, SHEN, MENG", in the course of conception. Through using the method of present, and the manifestations of artistic conception, express the emotion. Although 「Record of ANGYE」 is a travel notes, but it does not stickle itself in the form of travel notes. So this paper found the useful things from the fodder of the book and positive to consider them through the materials validly and fixedly. Meanwhile we also could find that 「Record of ANGYE」 reflects some same factors of other chapters of 「The JEHOLDiaries」.

      • KCI등재

        박제가 詩味論 연구

        정일 한국한문학회 200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39

        The research of the theory of poem-sapor by Pak jega(朴家) 처음 음식의 맛에서 기원된 味가 정식으로 시론의 범주에 적용된 것은 중국 南朝의 齊, 梁시기부터이다. 詩味論은 唐, 宋을 거쳐 元, 明에 이르기까지 줄곧 발전해 왔고, 淸의 초반에는 집대성 되었다가 중반부터는 점차 쇠미해졌다. 그런데 18세기 말, 즉 청의 중반에 해당하는 시기 조선조의 초정 박제가에 의해 특색 있는 시미론이 나왔다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초정이 詩選序를 통해 전문 시미에 대해 논한 것은 중국 시미론의 역사에서도 보기 드문 일이다. 글은 “마음을 움직이고 눈을 즐겁게 하는” 모든 사물이 味라 하여 視覺적, 心적인 측면에서 味를 해석했고, 전인이 언급한 적이 없는 ‘百味’, ‘極味’, ‘渴味’의 의미로 味의 범주를 진일보 확충하였다. 초정의 다른 글에서도 詩味의 요소를 볼 수 있는바, 그 중 ‘성자일치’를 전제로 하는 生趣설이 주목된다. 생취는 시문의 미감과 직결되는 개념이다. 초정은 생취를 천지의 이치, 생명력, 감화력, 리듬과 관련시켜 설명하고 있는데, 실은 이는 시문이 갖추어야 할 味感의 내함이다. 이처럼 味에 대한 구체적이고 독특한 해석은 전반 시미론사에 대한 초정의 기여라 하겠다.

      • KCI등재

        자유주제 : 중국에서의 한국고대한시 연구에 대한 일고찰 -21세기의 연구를 중심으로-

        정일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3

        본고는 2000년도를 망라한 그 이후의 중국에서의 한국고전한시 연구현황을 단편논문, 학위논문에 한정하여 고찰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건국 후 50년 사이 중국에서의 한국문학 연구를 문학사 연구, 작가 작품 연구, 장르별 연구, 비교문학 연구, 중국조선족문학 연구, 학위논문 등 소제로 분류하여 자세히 논의한 바 있다. 이가운데는 당연히 2000년도 이전까지의 한국고전한시 연구현황에 대한 고찰도 망라되어 있다. 얼마 안 되는 연구저서의 경우 단일한 작가 작품의 미시적 연구보다 포괄적인 거시적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2000년도 내지 그 이후 10여 년의 연구를 살펴보면 전문 시작품 연구서만 10여 종, 학위논문을 망라한 연구논문이 근300편으로 집계돼 상당한 연구 성과를 자랑하고 있다. 이런 성취에서 한국한시연구저서, 연구논문의 수가 전례 없이 많아졌음은 물론 연구 대상, 논문테마, 연구방법이 무척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그중 특히 비교문학연구의 방법으로 연구된저서, 논문이 절대다수를 차지하였다. 학위논문의 경우 연구형식이 포괄적인 연구에서 작가작품연구로 변화하는 추세를 보이었다. 이와 같은 성취를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한중수교 이후 중국인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폭됨에 따라 한국고전문학에 관심이 많은 연구자들이 늘어나고 아울러 연구 자료를 인터넷을 통해서도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향후 해당 분야의 젊은 연구자들이 증대되고, 추진 중인 『韓國古代漢詩全集』이 출간되면 그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한다.

      • KCI등재

        牧隱 李穡의 詩와 『詩經』

        정일(Jeong, li-nam),이려(Lili) 한국고전번역원 2019 民族文化 Vol.54 No.-

        『詩經』은 유가의 경전이면서 시가총집이다. 본고가 牧隱 李穡의 시문과 『시경』 관련을 연구과제로 선정한 것은 첫째로 『시경』의 이중 의미를 감안해서이고, 둘째는 목은의 시문에서 『시경』인용 빈도가 고려는 물론 전반 한국고전문학사에서도 가장 많은 양으로 집계되기 때문이다. 牧隱은 고려문학을 대변하는 시인의 한 사람이고 전반 한국고전문학사에서도 그 문학성취가 인정되는 문인이다. 따라서 목은 시문과 『시경』의 관련이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목은의 『시경』 인식을 “문장은 도덕에서 나온다”는 그의 문학견해와 관련시켜 살펴보았다. 목은의 문학경향은 도덕성을 전제로 하는 “思無邪”와 궤를 같이 한다. 그것은 또 시의 “根於心” 내지 詩道의 “性情”으로 나타난다. 이런 주장은 전통적인 “詩言志”설의 계승과 발전이다. 목은은 詩道의 타락은 世道의 타락과 관련된다고 했다. 그가 시문에서 “仁義道德”적 성격을 갖춘 『시경』 등 경전을 대량으로 이용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시와 『시경』관련에서는 주로 『시경』의 詩旨와 詩句 이용을 살펴보았다. 우선 詩旨의 작품화를 분석한 결과 성리학적 내용으로 집대성된 雅頌詩가 많았다. 다음은 시구의 약간한 변용에서는 1자의 增減 등으로 시행의 자수를 맞추고자 하였고, 순수 變用은 『시경』 구절에서 2자·3자·4자·5자를 취하는 등 형식이 다양했던바 이는 고려조 다른 문인들보다 독특했다. 특히 「古意三章章四句」같은 경우 9편의 『시경』 詩句를 참조하여 나의 시를 지었다는 것은 詩作에서 전인의 시구절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요컨대 목은이 『시경』을 대량으로 다양하게 이용한데는 그의 성리학적 문학관에 기인되고, 또 그것이 목은의 문학을 성취하는데도 크게 일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k-eun Lee Saek’s work and the Book of Odes and the reason of choosing this topic is as follows. Firstly, this research is inspired by the ambivalence that the Book of Odes presents. Secondly, the Book of Odes is very frequently cited in Mok-eun’s poem and the frequency rate is second only to the cita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At the same time, the frequency of citing the Book of Odes ranked top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ince Mok-eun’s literary achievement is commonly acknowledge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k-eun’s work and the Book of Odes. Firstly, this paper associated Mok-eun’s understanding of the Book of Odes with his literary opinion, which is represented in “The article comes from morality.” Mok-eun’s literary leanings are in line with “pure thought[思無邪]”, which is based on morality. Further, it is also reflected by “rooted in the heart[根於心]” or by “nature[性情]” of poetry way[詩道]. This kind of opinion derives from the theory “Poetry expresses aspiration[詩言志]”, and becomes the premise of Park Je-ga’s “Opening one’s mind[開其心智]” in poems. According to Mok-eun, the corruption of poetry [詩道] is related to the depravity of the manners and morals of the time[世道]. Therefore, he used a large amount of quotations from the Confucian scriptures such as the Book of Odes. Secondly,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ok-eun’s poetry and prose and the Book of Odes, this article mainly observed the use of theme[詩旨] and verses[詩句] from the Book of Odes. It turns out that most of the poetization[詩化] of the theme are A-Song poetry[雅頌詩]. As to the use of verses, diversification[變用] is the most common and a certain diversity could also be observed in forms. It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strengthen the creativity of poetry. Specifically, when writing the poem 〈古意三章章四句〉, the author alludes to several verses from nine poems of the Book of Odes. This probably means that the author could accept the verses of former poets critically. In short, the large extent of Mok-eun’s reference to the Book of Odes is attributed to his literary view of Neo-Confucianism[性理學], which has also motivated Mok-eun’s literary achievement.

      • KCI등재

        김종직(金宗直) 시문의 『시경』 운용 및 그 의미

        鄭日男 ( Jeong Il-nam ),張楠晞 ( Zhang Nan-xi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6

        경전이 근본이념이었던 金宗直은 百廢待興의 조선 전기 經術에 대한 궁구를 통해 유교의 이상사회를 구축하고자 고심했던 사대부문인이다. 본고는 제 경술 중 가장 많이 언급했던 『시경』을 상대로 詩文에서의 운용 양상 및 그 의미를 다루었다. 구체적으로 경문일체와 天稟의 문학관, 인덕의 이미지 표출을 중심으로 한 문학론의 실제, 문의 『시경』 운용의 의미 등을 고찰했다. 점필재는 새로운 왕조의 건국이념에 착안하여 청소년 시절부터 배우고 궁구 터득한 『시경』 등 경술을 적용해 이상 사회를 구축하는데 대응책을 마련하고 자 노력했다. 특히 그중 경문일체와 천품의 문학관은 젊어서부터 문장을 포함한 경술의 궁구에 게으르지 않았던 점필재의 심혈이 깃들어 있었음이 감지된다. 그것의 결실로, 문학관의 실제로 인덕 중심의 경술궁구과정이 시를 통해서 형상화 되었고, 仁德의 내용이 특정 이미지로 다양하게 詩化되었다. 그리고 關雎·麟趾의 美意에 근본한 政敎·制作, “徹桑之計”의 국방의식, “殷鑑不遠”의 鑑戒의식, 國家隆衰의 內治의식 등은 모두 평소에 궁구, 융회했던 『시경』에서 준거를 찾았다. 연구를 통해 점필재의 제반 사고방식, 문학관 내지 시문창작에 있어서 『시경』의 역할이 컸음을 알 수 있었다. Kim Jong-jik was a scholar-official[士大夫文人] in devastated early Cho sun dynasty, who had taken Confucian scriptures as fundamental ideology and had struggled to establish an ideal society of Confucianism by studying thoroughly Confucian classics[經術]. The Book of Odes had been quoted most frequently than other Confucian classics in his poems. Therefore, this paper deals with the aspects of the Book of Odes’ application in his poems and aims to trace the countermeasure to the ideal society which he had struggled to establish. As a result, some conclusions can be drawn as below. The Confucian classics like The Book of Odes and others are the roots of the articles; The religion and politics[政敎] and institutions[制度] are based on good intension of “Guanjeo(關雎)”; The failed king is today’s lesson; The domestic administration[內治] is related to national prosperity and decay; The articles could also be written well by the noble men or princes and marquises[公侯貴人]. The benevolence[仁德], womanhood[婦德] and other images were reviewed in the last poem. There are many applications of poetic themes[詩旨] and pregnant symbolic expressions in Kim Jong-jik’s articles, while poetry titles[詩題], verses[詩句], poetic dictions[詩語] are mainly used in the former writer’s works. AIthough the author’s systematic countermeasure to ideal society could not be found, but the traces of the author’s efforts into the religion and politics[政敎], institutions[制度], the domestic administration[內治] and the literature, which were necessary for its establishment are evident in his work.

      • 圃隱 鄭夢周詩의 意象 硏究 -봄과 가을 意象을 중심으로-

        정일(Jeong Il-nam) 포은학회 2009 포은학연구 Vol.3 No.3

        고전 漢詩에는 거의 意象이 있다. 시를 감상했다 하면 주로 意象에 대한 이해를 뜻한다. 본고는 圃隱詩의 意象에서 상대적으로 봄과 가을 意象이 많은 점을 감안하여 두 意象을 고찰함으로써 포은의 心境과 시의 風格을 이해하는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포은의 시에서 春은 단비와 연결되고, 春風은 酒興과 詩興을 유발하며, 벗에 대한 ‘相思’ 의 정과 고향에 대한 思鄕의 정을 불러일으키고, 豪氣산생의 계기가 된다. 포은 시는 또 春雨, 春光, 春色, 靑春 등의 다양한 物象을 통해 시인의 정서를 표출하였다. 그 중에서 봄은 豪氣를 발하는 계절이면서 遊와 興이 주가 됨을 알 수 있다. 포은 시의 가을은 대체로 쓸쓸하고 시름겹고, 인생을 사고하는 계절이다. 가을은 또 벗을 그리고, 思鄕과 함께 “歸心” 의 物象으로 작용한다. 秋水는 맑음을 뜻하고, 秋風은 주로 哀愁, 秋山은 웅장미를 표현한다. 포은 시는 이밖에 秋光, 秋夕, 秋雨, 秋鴻, 暮秋 등 물상을 다양하게 구사하였다. 가을은 포은의 시에서 대체로 悲와 愁 내지 悲壯의 意象으로 많이 구사되면서도 인생에 대한 思考 내지 思鄕이 주를 이룬다. Classical Chinese poetry always has images. The way of appreciating the poetry mainly means the comprehension about the poetry's images. Taking the features of Po Eun's poem into consideration, which is the images of his poem relatively tend to be spring and autumn's imag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e a help to understanding Po Eun's mind and the character of his poem with the study of two images. In Po Eun's poem, spring is connected with fertile rains, spring wind induces conviviality and poetic inspiration, as well as pine for friends and nostalgia to hometown. It also indicates an opportunity for a heroic temper. Besides this, Po Eun's poem expresses poet's heartstrings by varid objects include spring rain, spring sunshine, spring scenary and youth. Among them, spring is mainly regarded as the season of heroic temper and performed with marry mirth. The autumn in Po Eun's poem is generally written as a lonely, full of worries and life thinking season. Autumn is also acting as the object which is the indication of the heart of returning home's through yearning for friends and nostalgia to hometown. The autumn rains means purity, the autumn wind mainly means sorrow, the autumn mountain express grand beauty. Besides this, Po Eun's poem commands varid the objects include autumn scenary, the harvest festival, autumn rains, autumn flood, as well as late autumn. Autumn in Po Eun's poem is generally commanded as not only sorrow and worried images, but also tragic images. Among them, life thinking or the nostalgia to hometown becomes the main images.

      • KCI등재

        투고 논문 : 『열하일기(熱河日記)』 연암형상(燕巖形象) 일고(一考)

        정일 ( Jeong Il Nam ) 동방한문학회 2010 東方漢文學 Vol.0 No.42

        지금까지 『열하일기』에 구현된 연암 형상 연구가 아직 미진한데 비추어 본고는 호쾌함과 솔직함, 겸허와 惻隱지심, 그리고 해학과 호기심으로 분류 고찰하여 실재 인물로서의 연암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豪快함은 호탕하고 소탈한 일면과 관련되고 좀스러움과 옹졸함과는 대조적이며 성격으로 따지면 외향성에 가까울 것이다. 이런 호쾌함 내지 소탈함은 예절이나 형식 그리고 기존의 틀에 얽매이지 않는 창의정신의 기반이 될 것이다. 率直함은 童心과 관련되며 理智적으로 자신의 허물 내지 잘못을 감히 드러내고 반성하는데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솔직성은 작품이 거짓이 없고 진실을 이야기한다는 메시지로도 이해된다. 謙虛의 표현은 마음을 비우고 대방을 적극적으로 배우려는 자세이다. 궁벽한 섬에서는 견문이 좁기 때문에 드넓은 땅에서 견문을 넓힌다 함이다. 이런 겸허는 사상 내지 인격 수양과도 관련이 밀접하다. 연암은 상대에게 불만을 토로할 때에도 겸허의 자세로 분명하게 대응하고 자존심을 지키었다. 惻隱지심은 노복 등 賤人층에 대한 관심에서 보여준다. 그는 燕行 중 귀천을 가리지 않고 취재했고, 賤人들의 감정세계를 존중했다. 뿐 아니라 연암은 인간을 비롯하여 만물을 平等眼으로 대함으로써 生態主義적 의식을 나타내기도 했다. 諧謔은 저자의 적극적이고 소탈한 성격과 관련 있다. 그는 주변의 생활에서 취재하기도 하고 저자가 참여하여 笑話거리를 만들기도 했다. 好奇心은 구경의 癖으로 표현된다. 연행 자체가 큰 `규모` 호기심의 결과이다. 연행과정 무엇이던지 빠지지 않고 구경하려 했으므로 구경 癖이 있다는 말을 듣는다. 『열하일기』는 실은 대세를 파악하고 중국의 선진기술을 배우기 위한 저자 호기심의 산물이라 해도 무방하다. 본고는 주로 『열하일기』文面에 구현된 연암의 형상을 인격적 측면에서 다룬 것으로서, 연암의 실제 형상과는 거리가 있을 것으로 본다. 그것은 작품에 투영된 저자의 형상은 언제나 간접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文如其人이란 말이 있듯, 문인의 글이 저자의 인격 내지 성품과 전혀 무관하다고는 볼 수 없다. 따라서 『열하일기』에서 연암의 형상 고찰은 적어도 연암의 실제 인물을 요해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Since the research on the image of Yeonam(연암) Pak Ji-won in "Yeolha Ilgi (熱河日記 lit. Jehol Diary) "is incomplete, this paper considered the image of Yeonam with the categorization of animating(豪快) and straightforward(率直), modesty(謙虛) and mercy(惻隱之心), as well as humor(諧謔) and curiosity to be a help to comprehending Yeonam as a real person. Animating is associated with intrepid and easygoing aspect and will be closer to outgoing if decided by the character. Straightforward related to childish innocence(童心) and it can be seen from his daringly exposing of his own faults or mistakes by intellect. The expression of Modesty is the attitude of learning from others actively by mind-cleaning. Mercy is expressed with the interest to servant and men of humble origin(賤人). He covered with no bias of high and low and respect men of humble origin`s emotions during the travel of Beijing(燕行). Humor is related to author`s active and easygoing character. Curiosity means indulging in sightseeing(구경의 癖). The travel of Beijingitselfistheresultofgreatcuriosity. This paper is mainly considered the Yeonam image which is expressed on the contents of "Yeolha Ilgi", on the side of characteristic. Thus it is can be thought as having some distance with the real image of Yeonam. That is because the image of the author reflected on the work is always indirect. But as the saying of the style is the man(文如其人), the writer`s article can`t be unconnected to the author`s personality or nature. Therefore, the consideration of Yeonam image in "Yeolha Ilgi" will at least be a help to understanding and comprehending the Yeonam`s real charac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