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논문- 종교와 미디어 : 신화, 유령, 잔존하는 이미지: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영화를 중심으로

        최화선 ( Hwa Sun Choe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5 종교문화비평 Vol.27 No.27

        이 글은 태국의 영화감독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영화를 통해, 영화라는 매체의 특수성이 신화적 종교적 주제들과 결합되었을 때 기존의 종교적 틀, 혹은 기존의 이데올로기적 신화의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지평을 보여줄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본다. 영화는 종교적 시공간을 이 순간에 불러오고, 비가시적 종교적 상상력을 눈 앞에 재현하며, 따로 떨어진 이미지들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낼 수 있기에, 영화가 출현한 이후 종교와 관련된 많은 영화들이 만들어져왔다. 그러나 영화 속에서 종교적 신화적 요소들이 활용될 때 이는 단순히 기존의 종교적 이데올로기를 재현하고 강화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종교와 신화에 대한 작가만의 고유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도 사용되어 왔다. 이 글에서 살펴 본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영화는 태국의 불교적, 신화적 주제들을 빈번히 사용하지만, 이를 통해 종교와 신화의 원형적인 세계를 그리는 것이 아니라, 태국의 현대사 속 기억과 망각, 영화라는 매체에 대한 아피찻퐁의 생각을 전달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아피찻퐁의 영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종교적 신화적 주제인 변신, 환생, 유령이 영화라는 매체 자체의 특징으로 대응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피찻퐁은 신화를 이야기하면서 동시에 영화(라는 현대의 신화)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기도 하다. 그렇다면 그의 영화가 혹은 영화라는 신화가 말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억압되고 잊혀진 기억 속에서 불현듯 출몰하는 유령이며, 역사 속에서 온전한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잊혀져 간 존재들의 잔존하는 이미지다. 아피찻퐁의 영화는 영화가 변신으로, 환생으로, 유령으로 기능하면서 과거와 현재를 횡단하며, 그 속에서 잊혀졌지만 결코 사라진 것은 아닌 것들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는 아비 바르부르크가 미술사 연구에서 그리고 디디-위베르만이 이미지에 대한 연구에서 강조하는 ‘잔존’ 개념과 맞닿아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아피찻퐁의 영화 속 신화적 종교적 세계가 ‘잔존’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아피찻퐁의 영화는 ‘잔존’을 중심으로 신화의 개념을 다시 고찰해 볼 수 있는 지평을 열어준다고 본다. This paper tries to illuminate the possibility of film as media in its ability to transcend the traditional ideological frame of myth or religion by examining the films of the Thai film director, Apichatpong Weerasethakul. Film can summon past religious time and space, represent invisible religious imaginations and create new meanings by combining two separate images. These characteristics of film made it possible to produce substantial numbers of films related to religion since the beginning of film history. However, when religious mythical elements were used in film, they were not just meant to represent or reinforce the established religious ideology, but also to deliver the filmmakers’ own perspectives about myth and religion. Apichatpong often uses religious mythical themes from Thailand in his films, but he does not merely convey traditional religious mythical archetypes with them; rather, he suggests his ideas about memory and amnesia in modern Thai history and his own reflections about the film itself.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ransformation, reincarnation and ghosts, which are frequent mythical themes shown in Apichatpong’s films can correspond to the characteristics of film itself. Thus, when he talks about myth, he is also talking about film itself or film as a myth.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Apichatpong’s films incorporate myth of haunting ghosts, which come back over and over through the oppressed and forgotten memory, and also survival images of ones that were forgotten without keeping their own voices in the history. Apichatpong’s films show that film functions just like transformation, reincarnation and ghosts through past and present, and give us a chance to think about things both changed and forgotten, but not completely disappeared from this world. I think that this kind of project can be paralleled with the concept of “survival” coined by art historians Aby Warburg and Georges Didi-Huberman.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mythical religious world of Apichatpong’s films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survival” and through this, it opens up a new opportunity for us to reconsider the concept of myth in terms of “surviva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세 여자 성인들의 음식, 몸, 물질의 종교: 캐롤라인 워커 바이넘의 저작을 중심으로

        최화선 ( Choe Hwa Su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7 종교문화비평 Vol.32 No.32

        이 글은 역사학자 캐롤라인 워커 바이넘(Caroline Walker Bynum)의 서구 중세 종교사에 대한 연구를 음식, 몸, 물질의 종교라는 세 주제어를 통해 재검토해보며, 이 연구의 의미를 종교학의 맥락에서 가늠해본다. 바이넘은 1987년에 출판된 저서 《거룩한 만찬과 거룩한 금식: 중세 여성들에게 있어서 음식의 종교적 의미》 (Holy Feast and Holy Fast: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Food to Medieval Women)에서 음식과 관련된 여러 기적 및 고행을 보여주는 중세 여자 성인들의 예를 통해 음식이 이들의 종교적, 사회적 삶에서 지닌 기능,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 논의했다. 바이넘은 이 여성들이 고통 속에서 자신의 몸을 내어주며 인간을 먹이고 구원하는 그리스도의 이미지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가운데, 극단적 음식 실천을 통해 신과의 합일을 추구하며 자신의 종교적 이상을 긍정적, 적극적으로 실현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바이넘의 이같은 주장은 중세 여자 성인들의 금식과 음식실천 고행을 단순히 육체, 특히 여성의 육체를 혐오하고 통제하고자 했던 남성중심적 그리스도교 담론의 내면화로만 바라보는 시각의 한계를 지적하며, 이러한 시각이 여성들의 종교적 삶과 경험을 구성하는 복잡한 맥락을 지나치게 단순화 시키고, 과거 여성들의 목소리를 발굴하려는 작업 자체의 가능성을 배제해버리는 위험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해주었다. 또한 바이넘은 몸과 영혼, 물질적인 것과 영적인 것의 경계가 중세 그리스도교에서 그렇게 명확한 것이 아니었다고 주장하며, 이를 이분법적 젠더 구분에 단순하게 대응시키는 것 역시 문제가 있다고 바라보았다. 바이넘은 중세 그리스도교의 몸의 개념 역시 인간의 몸이 아닌 물질의 개념으로 확장시켜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확장된 몸-물질 개념 속에서 음식, 몸, 성체, 성유물, 이미지, 성상 등은 소위 ‘신앙의 내면화’가 점점 더 강조되는 중세 후기 나아가 근대 초기까지도 사람들의 구체적인 종교생활에서 중요한 의미를 차지했다는 것을 지적했다. 이러한 바이넘의 중세 그리스도교에 대한 연구는 특정한 담론 구조, 상징 형식에 제한되면서도 또 거기에 맞서 저항하며 이를 조금씩 부식시키고 균열을 내며 새로운 의미를 더해가는 주체, 물리적인 몸과 물질에 대한 감각을 지닌 주체의 힘에 대해 우리로 하여금 다시 생각해보게 한다. 즉, 음식과 몸에 대한 남성중심적인 담론과 상징구조 안에서도 일부 중세 여성들은 바로 그 음식과 몸의 실천 자체를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며 이 구조와 상징의 의미를 다중적인 것으로 만들었고, 초월적이고 내면적인 신심이 강조되는 신학적 담론 구조 안에서도 여전히 많은 종교인들은 물질적이고 감각적인 것들에 중심에 둔 종교적 행위들을 이어가며 이 구조 자체를 복잡하고 복합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따라서 바이넘의 관점을 통해 우리는 종교학에서의 음식과 물질의 의미에 대해 재고해볼 수 있다. 즉 음식, 몸, 물질은 단순히 종교에 의해 통제되고 만들어지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종교를 구성하고 만드는 힘이며 그래서 이미 만들어진 종교 상징과 구조마저도 바꿀 수 있는 힘이라는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ks of medieval historian Caroline Walker Bynum, through the lenses of food, body and material religion, and considers the meaning of her work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religions. In her 1987 book, Holy Feast and Holy Fast: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Food to Medieval Women, Bynum discussed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food for some ascetic female saints who practiced extreme fasting and performed several food miracles. She argued that these female saints identified themselves with the image of Christ, who suffered and sacrificed his own body as food for human beings to save them. In addition, she claimed their extreme food abstinence and obsession with the Eucharist was a positive, voluntary way to realize this religious idea. Bynum’s theses showed the shortfalls of the prevailing view in which these female saints are interpreted as examples of internalization of the male dominated Christian discourses, which hated and tried to control the body, especially the female body. Her arguments pointed out this view may overly simplify the complicated contexts of women’s religious lives and experiences and exclude the possibility of discovering women’s own voices from the past. In addition, Bynum argued that the boundaries between body and soul, the material and the spiritual were not that clear in medieval Christianity; therefore, she found the simple correspondence of these dichotomies to the gender dichotomy also problematic. She suggested the medieval conceptions of body could be understand better when situated in conceptions of matter rather than in human beings or persons. In this expanded context of body-matter, the elements of food, the human body, the host, relics, image, and statu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eoples’ religious lives. These remained important even after the early modern period when inner piety became more emphasized. Bynum’s works on women, body, and matter in medieval Christianity make us reconsider the power of the physical, the sensuous, and the material subjects that are in a way confined in the system of specific discourse and symbols, but in other ways, always resist, corrode, and eventually fracture the same system. Some medieval religious women made their own voices in the male dominated religious symbolic system of food and body while using the very same food and body symbols; some religious people continued to focus on the senses and materiality of religious objects in the prevalence of the theology of transcendental and inner piety, making the theological discourses more complicated and heterogeneous. Therefore, from Bynum’s point of view, we can reconsider the meanings of food and the material in the history of religions; the food, the body, and matter are not only conceptualized and controlled by religious ideas but also, they are the powers that re-construct religious ideas, thus sometimes, they sometimes can change the already established meanings of the religious symbols and the structures.

      • KCI등재

        특집논문1 : 이미지와 응시: 고대 그리스도교의 시각적 신심(visual piety)

        최화선 ( Hwa Sun Choe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4 종교문화비평 Vol.25 No.25

        이 연구의 목적은 4세기 그리스도교 순례 문헌들을 통해 순례 현상에서 드러난 시각적 신심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러한 시각적 신심이 그리스도교의 이미지 공경, 성유물 공경에 끼친 영향을 밝히는 데 있다. 시각적 신심은 단순히 이미지에 대한 혹은 이미지를 통한 신앙심만이 아니라, 종교적 실천 행위로서의 ‘이미지’와 ‘보는 행위’ 이를 통해 구축되는 세계와 주체, 그리고 그 이면에서 작동하는 힘의 메커니즘 전체 안에서 고찰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는 고대 그리스도교의 벽화나 도상이 아닌 순례라는 현상에서 드러나는 ‘보는 행위’의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이 메커니즘이 어떻게 이미지 공경과 성유물 공경에서도 작동하는지, 그 과정을 보여주는 데 주목한다. 《에게리아의 여행기》를 비롯한 4세기 순례 문헌들 속에 나타난 순례자들의 경험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현재의 풍경을 보면서 과거의 성서 속 사건들의 이미지를 떠올리는 것이다. 히에로니무스가 사용한 ‘신앙의 눈(occulus fidei)’ 이라는 표현은 이러한 경험을 요약해주는 대표적인 단어라 할 수 있다. 순례자들이 성지에서 ‘응시’를 통해 현재가 아닌 과거의 ‘이미지’를 보는 것을 뜻하는 이 ‘신앙의 눈’은, 역설적으로 신자들이 성지라는 장소의 성스러움을 넘어설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순례자들의 ‘응시’를 통해 기억에 저장된 ‘이미지’는 더 이상 성지라는 특정한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독립적인 시각적 이미지로 남아 언제 어디에서든지 신자들에게 성스러움의 경험을 재현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성스러움’을 포착한 어떠한 ‘이미지’도 우리를 성스러움과 연결시켜 줄 수 있다는 이러한 생각은 이미지 자체에 대한 공경심으로 이어지며, 이것은 ‘응시’와 ‘이미지’가 성스러움과의 연결통로가 되는 시각적 신심(visual piety)이다. 이러한 시각적 신심은 후기 고대 교부들의 성유물 공경에 대한 해석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성유물 공경은 흔히 성인과 직접적으로 접촉한 물질에 대한 촉각적 신심으로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놀라의 파울리누스는 예수의 십자가 조각이 갖는 힘을 이야기하며, ‘내면의 시각(interna acies)’으로 십자가에서 예수를 보고 구원을 보는 경험을 강조한다. 이처럼 성유물 공경에 대한 옹호에서도 성유물을 바라보는 눈의 힘, 성유물을 응시함으로써 이미지 너머의 성스러움을 불러내오는 시각의 힘에 대한 긍정이 중심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신성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주장하며 성스러움을 담보하려는 것은 고대로부터 여러 종교들에서 사용되어 오던 테크닉이다. 그러나 시각적 신심은 물리적인 접촉이 아니더라도 ‘응시’를 통해 성스러움과 연결될 수 있다는 믿음을 표방한다. 4세기 그리스도교 성지 순레에서 드러나는 ‘응시’를 통한 ‘시각적 신심’은 성지라는 특정한 물리적 장소를 넘어, 성유물과 도상적 이미지, 그리고 그것들의 복사본에게까지 확장될 수 있는 신심이며, 여기서 우리를 성스러움과 연결시켜 주는 것은 바로 우리의 보는 행위, ‘응시’과 그러한 ‘응시’ 앞에 놓인 ‘이미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visual pietymanifested in fourth-century Christian pilgrimage materials and to shed lighton the influence of visual piety on the cult of images and the cult of relics. Visual piety is not mere devotion expressed to or through an image; rather, itdemands consideration of images as a religious practice, of the act of seeing, of the world and the self constructed through these visual religious practices, and of the power mechanism operating in these practices. In that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mechanism of seeing in ancient Christian pilgrimages and shows how this mechanism applies to the cult of images and the cult of relics.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fourth-century Christian pilgrimage writings such as Egeria’s Travels is the visualization of images of past biblicalevents while looking at the contemporary landscape of the Holy Land. Thephrase “eye of faith” (occulus fidei) very well encapsulates this practice of evoking images of the past while gazing on a contemporaneous landscape. The eye of faith paradoxically enabled pilgrims to transcend the limits of thesacred tied to certain locations, because the image was made by pilgrims’gaze and, stored in their memories, could re-create the experience of thesacred anywhere, far beyond the physical holy places. The idea that anyimage which captured the sacred could connect viewers to the sacred was also found in the cult of image and formed the essence of visual piety, in which people believed that they could reach the sacred through gaze and images. This concept of visual piety is also found in the writings of the Church fathers on the cult of relics from late antiquity. The cult of relics has been usually interpreted in terms of tactile piety. However, Paulinus of Nola, in his writings about the relic of the Holy Cross, emphasized the ability to see the suffering of Christ and his salvific drama on the cross through the aid of “inner vision” (interna acies). Thus, in shaping the cult of relics, the Church fathers emphasized the power of eyes and the ability of gazing at relics to evoke the sacred reality beyond the image. Since ancient times, many religions have authenticated experiences of the sacred through claims to direct contact with the divine. However, visual piety in ancient Christianity proclaimed that, even without the direct physical contact, we can connect to the sacred through gaze. This visual piety of gaze revealed in fourth-century Christian pilgrimage materials could extend beyond specific holy places to the image, relics, and even to the copies of those things. What connected one to the sacred was the act of seeing, the gaze and the image in front of one.

      • KCI등재

        특집 : 여성, 순례, 새로운 기억과 서사: 미래교회(FutureChurch)의 로마 순례

        최화선 ( Hwa Sun Choe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1 종교와 문화 Vol.0 No.20

        A pilgrimage is usually an occasion to reinforce one`s belief in a religious tradition. However, a pilgrimage can also be a way to express challenges to the orthodox belief.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FutureChurch`s pilgrimages to Rome in 2006 and 2007, to show how pilgrims` rituals create and assert new and subversive interpretations of traditional Roman Catholic holy places. Based in Cleveland, Ohio, FutureChurch is an organization working from within the Roman Catholic Church to advocate for women`s ordination and for an end to mandatory priestly celibacy. FutureChurch organized pilgrimages to Rome in 2006 and 2007 to see the archaeological sites of women officeholders in the early church. Although the pilgrims wanted to see the historical evidence of female priesthood in the early church, something that was contrary to the orthodox teaching of Roman Catholic Church, their itineraries were not so different from those of average Roman Catholic pilgrims`; catacombs, churches, Vatican Museum, the Colosseum etc. However, what they remembered and more importantly what they did at those sites was quite different. At each site, the FutureChurch pilgrims remembered one or more female leaders of the church and their stories, and performed rituals to celebrate these leaders. But unlike most pilgrimages, where the people and their stories pilgrims remember at holy place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places, these women leaders and their stories were not historically or archaeologically connected to the places they visited. For example, Priscilla, a co-worker of St. Paul, was loosely related to the catacomb of Priscilla historically and Phoebe whom St. Paul had referred to as a deacon in one of his letters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Church of St. Praxedes. However, the FutureChurch pilgrims transcend this gap of place and narrative by ritualizing their memory of women leaders. When pilgrims performed a small e eucharist at Priscilla`s catacomb, they created a new narrative connecting Priscilla of Rome, Priscilla, the co worker of St. Paul, and the Fresco in the Priscilla catacomb which is assumed to depict women`s eucharist. In the same way, when the pilgrims performed a ritual calling of Phoebe the deacon and Theodora the bishop at the Church of St. Praxedes, their remembrance and rituals created a new narrative which connects this place to the female priesthood. In this process, ritual created a new pilgrimage narrative at these traditional Catholic holy places. By ritualizing their memory of the women leaders forgotten in the Church history. the FutureChurch pilgrims create a new sacred narrative around the same old holy places. The idea of trying to change sacred narratives through rituals is also found in feminist liturgy movements. In the sense that the FutureChurch pilgrims tried to create new sacred narratives at the established pilgrimage sites through ritualization, the FutureChurch`s pilgrimage can be read as a part of feminist liturgy movements, and both of them showed the performative aspects of ritual which makes changes in perceptions and interpretat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기억과 감각

        최화선(Choe, Hwasun)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1 종교문화연구 Vol.- No.17

        In the fourth century, Christianity combined myth and places through the creation of the Holy Land. Christians would undertake pilgrimages to these newly created sacred places and, once there, these places would reinforce various Christian myths-and become a part of the biblical stories. What pilgrims saw at these places was not the contemporary landscape but the biblical past, and they would call upon belief in combination with the senses to recall the past to their mind vividly. Here, the visited places, the holy relics, and the memory and senses of pilgrims were transformed to embody the sacredness of Christianity. Over time, pilgrims and pilgrimage became more about the present than the past. Places and relics came to be not any more vehicles for remembering the sacred past but something possessing actual holiness and sacred power. Eventually, the place for memory changed from pilgrimage to the Christian liturgy. The sixth century Byzantine liturgical text, Kontakia, by Romanos the Melodist shows this change well. The Konatakia encouraged people to use their senses to remember the biblical stories vividly. The Konatakia’s fundamentally sensorial aspect made the liturgy as a whole experience one of the senses. Romanos’ Konatakia reveals an important aspect of early Christian spirituality which emphasized the role of the senses and the body in experiencing the sacred.

      • KCI등재

        특집논문 : 후기 고대 그리스도교 남장여자 수도자들과 젠더 지형

        최화선 ( Hwa Sun Choe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3 종교문화비평 Vol.23 No.23

        이 논문은 4세기부터 7세기의 남장여자 수도자들의 이야기들을 후기 고대 그리스 도교의 젠더 구축과 관련지어 살펴본다. 실제 여성들이 남자들의 옷을 입는 것이 엄하게 비판받고 금지되던 상황에서, 남자 옷을 입고 남자 수도원에 들어가 평생을 산 여자 성인들의 이야기는 수도원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이 글은 이 두 현상 사이의 모순을 당대 그리스도교의 구원 및 금욕주의 담론의 젠더지형 속에서 조명해본다. 남장여자 성인들 이야기의 신학적 근거는 구원을 향한 성적 변형 담론에서 찾아질 수 있다. 여성이 구원받기 위해서는 남자 혹은 남자와 같은 여자가 되어야만 한다는 생각은 신약성서와 외경에서부터 발견되며, 이는 후에 순교자 전기 그리고 사막의 어머니 들의 금언집에서도 나타난다. 여기서 말하는 여성에서 남성으로의 변화는 그들의 몸과 관계된 것이 아니라 그들의 영혼과 관계된 것이다. 남장여자 성인들의 이야기도 이러한 구원을 향한 성적 변형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이들의 남장은 그리스도교 젠더 질서를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를 확인해주는 것이 된다. 하지만 남장여자 성인전에는 이것만으로 설명될 수 없는 다른 요소들이 있다. 이는 남자 옷을 입은 여자의 몸이 만들어내는 성적인 긴장감으로, 구체적으로 성인의 몸에 대한 묘사 그리고 그들을 둘러싼 유혹에 대한 묘사로 나타난다. 남장여자 성인전들은 초반부에 성인의 여성성과 그들의 아름다운 육체를 강조하며 뒷부분에 가서는 극심한 금 욕생활로 인해 훼손되고 탈성화된 그들의 몸을 이와 대조시킨다. 이 때 텍스트의 표면에 서 강조되는 것은 그들의 금욕생활이지만, 텍스트 저변에서 실제 독자들의 관심을 끄는 부분은 성인의 신체에 대한 묘사다. 비록 남자 옷을 입고 남자처럼 살고 있지만 성녀들 의 섹슈얼리티는 여전히 텍스트에서 사라지지 않는다. 또한 몇몇 남자여자 성인들은 다른 여성들로부터 자신들을 유혹했다는 누명을 쓰게 된다. 남성 금욕주의자들은 일찍부터 여성을 유혹자, 악마로 이르는 통로로 상정해왔다. 그러나 이 경우 남장여자 수도자 들은 여성인 동시에 남성이고 유혹자인 동시에 유혹당하는 자이기에, 여성은 곧 유혹자 라는 기존의 도식이 단순하게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남장여자 성인전에서 나타나는 유혹의 주제는, 그리스도교 금욕주의의 전통적 젠더 개념을 따라가는 동시에 이를 교란 시킨다. 결론적으로 후기 고대 남장여자 수도자들의 이야기는 구원을 향한 성적 변형의 담론의 하나로서 별무리 없이 교회에 의해 수용될 수 있었다. 그러나 남장여자 성인전들이 표면적으로는 교회의 젠더 질서를 강화하는 부분을 강조하고자했음에도 불구하고, 남자 옷을 입은 여자 성인들에 만들어내는 성적인 긴장감과 섹슈얼리티를 제거할 수 없었다. 따라서 남자 여자 성인전은 교회가 구축한 젠더 지형을 재확인하면서 동시에 이를 교란 시키는 이중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고, 이 이중성이 곧 이 텍스트의 힘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stories about female transvestite saints from the 4th to 7th centuries in the context of gender construction in Late Antique Christianity. Although the actual cross dressing practice was criticized and forbidden by Church authorities, stories about female saints disguised as men were quite popular in monasteri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meaning of this discrepancy in terms of the struggle to situate gender in the soteriology and asceticism of Christianity.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the stories of female transvestite saints can be traced in the discourse of the sexual transformation of salvation. The argument that women should become men (or manly women) in the interest of their salvation appears as early as the New Testament and Apocrypha. This heme of the sexual transformation of salvation is then repeated in the stories of early Christian martyrs and in the sayings of the desert mothers. Here, the change from female to male appearance was concerned not with the body itself but with the spirit. The stories of female transvestite saints can als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is spiritual transformation, and in this case, female transvestitism is not a threat to the Church`s belief that only manlike souls can enter the kingdom of heaven. However, there is more than this soteriological agenda in the stories about female transvestite saints. A sexual tension underlies the texts, as seen in the physical descriptions of female saints and the temptation that they caused. Many stories began by emphasizing the beauty of these saints, and later contrasted it with the way in which asceticism deformed and desexualized it. On the surface of the text, asceticism is important, but under he text, what attracts the readers` attention is the description of the female body. The sexuality of these female saints did not disappear when they were dressing and behaving like men. Moreover, in several stories, some of the female transvestite saints were falsely accused having tempted lay women who were attracted to them. The tradition of male asceticism traditionally described woman as a seductress or the devil`s gateway. However, in these stories, this traditional concept is subtly twisted because these saints both are and are not women. Thus the episodes of temptation in the female transvestite stories not only follow but also disrupt the traditional concept of gender in ancient Christian asceticism. These stories of female transvestite saints were not considered a threat to gender roles in Christianity because these stories could be understand in the context of the sexual transformation of salvation. However, although the texts always tried to reinforce gender roles, it could not remove the sexual tension caused by the female body disguised as mal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tories of female transvestite saints confirm the gender role constructed by the Church authorities, but also disrupts the gender order. This paradox is the power of these stories.

      • KCI등재

        종교를 "본다"는 것: 종교와 영화 가르치기

        최화선 ( Hwa Sun Choe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6 종교문화비평 Vol.29 No.29

        이 글은 대학 교양 강의에서 영화를 통해 종교를 가르치는 것의 의미에 대해 검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영화 이미지를 통해 종교를 ``본다``는 것이 종교학 수업에서 어떤 의미와 효과를 지니는지에 대해 논의해본다. 영화의 대중성과 흡입력 때문에 대학의 많은 교양 학부 강의들에서 영화가 적극적으로 이용되어왔다. 그렇다면 종교학은 어떻게 영화를 강의 안에서 이용해왔을까. 이 글에서는 우선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대학에서 ``종교와 영화``라는 이름으로 이뤄지고 있는 강의들에 대한 논의를 검토해보며, 이러한 강좌들은 어떠한 관점을 취하든 간에 대부분 기존 종교학의 연구 성과를 영화를 통해 확인하고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는 점을 비판한다. 기존의 체계에 대해 스스로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자율적이고 열린 사고를 지향하는 대학 교양 교육의 목표를 생각해볼 때, 영화를 통한 종교학 수업에서도 영화 이미지를 통해 기존 종교 혹은 종교학의 논의를 무비판적으로 전하기보다는, 이를 재고해보는 기회를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실제 강의실에서 영화라는 이미지로서 종교를 ``보는`` 경험을 통해 종교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수 있었던 몇가지 사례를 제시한다. 첫 번째 사례는 우디 앨런 감독의 영화를 통해 현실과 허구 사이에 존재하는 어떤 지점에 대해 생각해보며, 이를 통해 허구와 현실의 모호한 경계 위에서 종교의 의미를 다시 논의해 보는 기회를 갖는 것이다. 두 번째 사례는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감독의 영화를 보며 우리 개개인의 개별적 기억들이 중첩된 시간과 공간에 대해 생각해보고. 이를 통해 종교의 시공간에 대한 논의 및 그로부터 파생된 개념들, 즉 윤회, 전생, 업 등에 대해 재고해보는 것이다. 세 번째 사례는 박찬경 감독의 영화를 통해 무속이 개개인의 구체적인 삶과 물질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체험하면서, 무속에 대한 종교학적 담론 속에서는 잘 감지되지 않는 무속의 속성을 영화적 경험을 통해 지각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몇 가지 사례 제시를 통해 이 글은 ``종교와 영화`` 수업에서 기존 종교학 논의를 확인하고 소개하는 것에 머물 것이 아니라, 영화 이미지를 ``본다``는 독특한 경험을 통해 종교의 개념 및 종교에 대한 학문적 논의 자체에 대해 질문을 제기하고 이를 다시 고찰해보는 기회를 삼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lucidate the meaning of teaching religion through film in college-level liberal arts courses. Specifically, the article discusses the meaning and effect of "seeing" religion on screen in religious studies` classrooms. Because of the popularity of film and its gripping power, using film as an important source material in many liberal arts classrooms has become the trend. But how has film been used in religious studies` classrooms? In this article, first, I examine the discussions on teaching "religion and film" from 1990`s to the present and criticize that the most of "religion and film" courses laid emphasis on conveying the existing agenda of religious studies through film. If we consider the purpose of liberal arts courses, which intend to nurture open and critical minds by focusing on questioning and finding one`s own answers for the current academic discourse, then encouraging students to reconsider the existing concepts of religion or religious studies through film, rather than confirming them without critical thinking is the more appropriate direction. In view of this, this article suggests some classroom examples that show how to reconsider religious concepts through "seeing" religion on screen. The first example concerns a Woody Allen`s film, that shows transcending the boundary of the real world and the fictional world, and having the students rethink the meaning of religion on the ambiguity between these two worlds. The second example concerns Apichatpong Weerasethakul`s film, having students think about the religious concepts of time and space, such as reincarnation, previous lives, and karma through the filmic images that show the layers of our intimate memories of time and space on screen. The third example concerns Park Chan-kyong`s film. Watching his film, students are supposed to visually perceive the material connections between individuals` lives and a shaman, and to understand certain features of shamanism that usually are not grasped in the written discourses about shamanism. Through these example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religion and film" course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question and reconsider the concepts of religion and the existing academic discussions about religion through the peculiar experience of "seeing" religion on screen through film.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