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희 공부론의 구조

        김광민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道德敎育硏究 Vol.23 No.2

        'Mind-Cultivation'(涵養) and 'Investigation of Principle'(窮理) are the key concepts which consist of Chu Hsi's theory of self-cultivation. When we consider Chu Hsi's way of thinking, which attaches importance to 'Investigation of Principle', it seems to be natural that 'Mind-Cultiv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other side of 'Investigation of Principle'. If this interpretation is accepted, it is inevitable that 'Mind-Cultivation' can not be considered as a separate activity from 'Investigation of Principle' and that self-cultivation doesn't have additional channel except 'Investigation of Principle'. But in Chu Hsi's theory of self-cultivation, 'Mind-Cultivation' can be interpreted as 'activity' which is different from 'Investigation of Principle'. The possibility of this interpretation is already expected when we come into contact with Chu Hsi's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Honoring the moral nature'(尊德性) and 'Following the path of study and inquiry'(道問學), corresponding to the relation between 'Mind-Cultivation' and 'Investigation of Principle'. 'Mind-Cultivation' is a channel for self-cultivation in itself as well as the purpose of self-cultivation, so it works in the process of self-cultivation and incites students to come near a sage. Chu Hsi thinks that 'Investigation of Principle' is the core of self-cultivation, but he says that 'Mind-Cultivation' is important, none the less. After all Chu Hsi thinks that 'Mind-Cultivation' is the purpose of self-cultivation on which 'Investigation of Principle' and 'Mind-Cultivation' converge in the end. 함양(涵養)과 궁리(窮理)는 주희의 공부론을 이루는 핵심 개념이다. 궁리를 중시하는 주희의 체계에 주목할 때, 함양이 궁리의 이면이라는 해석은 일견 자연스럽다. 이 해석에 따르면, 함양은 궁리 이외의 별개의 활동으로 이해될 수 없으며, 나아가 함양은 궁리를 통하지 않으면 확보될 수 없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주희의 공부론에서 함양은 활동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공부는 궁리와는 다른 경로, 즉 활동을 통한 함양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점은 함양과 궁리의 관련에 상응하는 존덕성(尊德性)과 도문학(道問學)의 관련 방식을 해석하는 데에서도 시사 받을 수 있다. 함양은 공부의 목적이자 그 자체가 공부로서, 그것은 공부의 과정에 지속적으로 작용하면서 공부에 임하는 사람을 공부의 최종상태에 다가갈 수 있게 한다. 주희가 공부에서 궁리의 중추적인 역할을 인정하면서도 함양을 부각시킨 것은, 활동으로서의 궁리와 함양은 공부의 최종목적으로서의 함양에 수렴되어야 할 것을 강조한 것이다.

      • KCI등재

        정조의 ‘심성론’과 ‘수양론의 전개’

        안효성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6

        This study is on Jôngjo's theory of mind and self-cultivation. In Confucianism, the status of mind and self-cultivation is high. Therefore, studying Jôngjo's mind and study is an important basis for understanding the philosophy and academic attitude of the Confucian scholar Jôngjo. During the reign of King Jôngjo, arguments such as "Inmulsônglon(人物性論)" and "sôngbômsimlon(聖凡心論)" were fierce. In this paper, we have outlined Jôngjo's mind theory, centering on the concept of Bonyônjisông(本然之性), Myôngdoek(明德) and Bonsim(本心), which were the main topics of the arguments. And through the Mibal(未發) concept, we looked at how Jôngjo's self-cultivation theory developed. First, Jôngjo's theory of nature supported the theory that the five moral principles[仁義禮智信] universally shared in all things are Bonyônjisông(本然之性). His argument for the natural equality of moral nature was close to Rakhak(洛學). Second, Jôngjo understood Myôngdoek(明德) as Bonsim(本心). In theory, Jôngjo thought that everyone had the same completely good Bonsim(本心), but in reality, each person displayed a different Bonsim(本心). His theory of Bonsim(本心) compromised the theory of Rakhak(洛學) and Hohak(湖學). Third, in the extension of the realistic theory of Bonsim(本心), Jôngjo thought that a person's state of Mibal(未發) Bonsim(本心) depends on his natural qualities. His theory of Mibal(未發) was close to Hohak(湖學). King Jôngjo's theory of mind and Mibal(未發), which synthesized the theories of Hohak(湖學) and Rakhak(洛學), formed a unique momentum of his theory of self-cultivation. 본 연구는 정조의 심성론(心性論)과 수양론(修養論)에 관한 연구이다. 유학에서 심성론과 수양론이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할 때, 정조의 심성론과 수양론을 살펴보는 것은 유학자 정조의 철학과 학문 태도를 이해하는 중요한 기초를 제공한다. 본고에서는 정조 생전에 조선 학계의 쟁점이었던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과 성범심동부동설(聖凡心同不同說)의 주제였던 본연지성(本然之性)과 명덕(名德), 본심(本心) 개념을 중심으로 정조의 심성론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미발(未發) 개념을 통해서는 정조의 수양론이 전개되는 계기를 살펴보았다. 첫째, 정조는 본성론에 있어 인의예지신 오상의 천리가 만물에 보편적으로 분유되어 있으며 그것이 바로 본연지성이라는 입장을 취했다. 도덕본성의 자연적 평등성을 주창한 그의 본성론은 낙학에 가깝다. 둘째, 정조는 명덕을 본심과 일치시키며, 이론적으로는 모든 사람이 똑같이 본연의 순선한 본심을 가지지만, 현실적으로는 사람마다 본심의 발휘가 다르다고 보았다. 그의 본심론은 낙학과 호학을 절충했다. 셋째, 정조는 현실적 본심론의 연장에서 사람은 타고난 자질에 따라 미발의 본심 상태도 다르다고 보았다. 그의 미발론은 호학에 가깝다. 호학과 낙학을 종합한 정조의 심성론과 미발관은 그의 수양론의 독특한 계기를 형성하였다.

      • KCI등재

        주희의 공부론 : 불교 수행론과의 관련

        김광민 한국도덕교육학회 2010 道德敎育硏究 Vol.21 No.2

        The conjunction of ‘Mind-Cultivation’(涵養) and ‘Investigation of Principle’(窮理) is the characteristics of Chu Hsi's theory of self-cultivation(工夫). 'Mind-Cultivation in the not-yet-manifested state'(未發涵養), in which mental activities such as emotion and thoughtful deliberation have not yet aroused, is different from 'Investigation of Principle' in that it emphasizes the calmness and concentration of mind. In this way, ‘Mind-Cultivation’ is similar to 'Meditation'(禪) of Buddhism. Chu Hsi criticizes the Buddhist practice in his days because 'Meditation' tries to eliminate consciousness and thought in Buddhist practice. But 'Interrelation of Cessation and Wisdom'(定慧雙修) as the general principle of Buddhist practice corresponds to the relation between ‘Mind-Cultivation’ and ‘Investigation of Principle’. According to Chu Hsi, ‘Mind-Cultivation’ is put in circulation with ‘Investigation of Principle’, which is mediated by 'Nature'(性), and this circulation leads us to the 'Heaven'(天). The possibility of unification of the two routes of self-cultivation, which can be further on the opposite direction, demands assumption that ‘Mind-Cultivation’ involves the side of ‘Investigation of Principle’ and ‘Investigation of Principle’ involves the side of ‘Mind-Cultivation’. The assumption is intelligible in that 'Equilibrium'(中) as the goal of self-cultivation represents both 'calmness'(靜) and 'moving'(動)(or 'illuminating'(照)). But the circulation of ‘Mind-Cultivation’ and ‘Investigation of Principle’ is as mystic as ever, therefore it still leaves further explanations. 함양(涵養)과 궁리(窮理)는 주희 공부론의 두 축이다. 감정과 사고가 생기기 전에도 공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소위 ‘미발함양’은, 개념적 사고가 중심이 되는 궁리와는 다른 방향의 공부로서, 마음의 수렴(靜)을 초점으로 하며, 바로 그 점에서 불교의 禪과 유사하다. 주희의 관점에서 불교의 禪수행은 수행에서 사고를 제거하는 방향을 취한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지만, 불교수행의 일반원리로서의 정혜쌍수(定慧雙修)는 함양․궁리의 관계와 면밀한 대응을 보여준다. 주희의 공부론에서 함양은 性을 매개로 하여 궁리와 순환하면서 수행자를 하늘의 경지로 이끈다. 함양과 궁리라는 상반된 방향의 공부가 순환 관계에 놓이면서 궁극적으로 하나가 되는 것은, 함양에는 궁리의 측면이, 그리고 궁리에는 함양의 측면이 들어 있다는 점을 가정함으로써 성립 가능한 것이다. 이 가정은 공부의 최종상태인 中이 ‘靜’과 ‘動’의 특징을 모두 가진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함양과 궁리의 순환에는 여전히 신비스러운 면이 있으며, 그 점에서 설명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 KCI등재

        수기치인 겸전론의 교육학적 해석

        이대식 한국도덕교육학회 2014 道德敎育硏究 Vol.26 No.2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interpret the meanings of Chong Yak-yong’s theory of ‘co-perfection of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修己治人 兼全) in view of educational theory. In view of education, Chong’s theory can be interpreted as an educational theory to shed new light onto relations between education and life as well as educational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ccording to Chong Yak-yong’s theory of ‘co-perfection of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 people-governing can not be subjected to self-cultivating but plays more active roles in relation to self-cultivating. Interpreted in the light of the Christian commandments of love, Chong’s theory can be summarized as a proposition that ‘Self-cultivating is not only for myself but also for the world. People-governing is not only for the world but also for myself.’Chong Yak-yong’s ‘theory of co-perfection of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 implies the meaning of ‘education for life’ and ‘life for education’, simultaneously. Teacher’s life of co-perfection of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 involves realizing that the fact of life are closely related to the self-cultivation and promoting its sublime values to the world and society. His life of embodying ‘co-perfection of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 becomes the representation of life to embody ‘education for life’ and ‘life for education’, in itself. 본 연구는 정약용의 수기치인 겸전론(兼全論)의 의미를 교육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학적 관점에서 보면, 정약용의 수기치인 겸전론은 교사와 학생의 교육적 관계뿐 아니라 교육과 삶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하는 교육이론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키아벨리나 한비자는 수기와 치인을 별개의 활동으로 간주한다. 성리학의 관점에 의하면, 수기는 치인의 ‘인식론적 기준’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성리학의 관점은 치인보다 수기를 상대적으로 강조함으로써 ‘치인이 곧 수기’라는 주장의 의미를 정당하게 존중하지 않는다. 정약용은 ‘수기가 곧 치인이며 치인이 곧 수기’임을 주장한다. 정약용의 수기치인 겸전론은 ‘나를 위한 수기는 곧 세상을 위한 치인이요, 세상을 위한 치인은 곧 나를 위한 수기이다’라는 명제로 요약된다. ‘수기치인 겸전’을 구현하며 살아가는 교사의 삶은 ‘삶을 위한 교육’과 ‘교육을 위한 삶’을 동시에 구현하는 삶의 표상이 된다.

      • KCI등재

        「성학십도(聖學十圖)」에 나타난 퇴계 수양론의 구조와 그 실천적 함의

        강보승 ( Boseung Ka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한국 철학논집 Vol.0 No.46

        「성학십도」의 전반부는 ‘수양을 위한 앎’에 관한 내용으로, 연역적 논리에 의해 수양의 주체와 목적 및 의의가 제시된다. 이것은 ‘누가, 무엇을, 왜’에해당하는 것으로, 누가 수양해야 하는가, 무엇을 수양해야 하는가, 왜 수양해야 하는가를 밝히고 있다. 이에 따라 전반부를 한마디로 압축하면 궁리진성(窮理盡性)이라고 할 수 있다. 천지자연의 이치를 알고 나의 본성을 자각하여 확충해야 한다는 궁리진성은 퇴계 수양 이론의 핵심이다. 그러나 퇴계가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은 이론 탐구가 아닌 ‘실천’이다. 이에따라 퇴계는 수양 대상인 ‘마음’의 본체와 그 작용에 대하여 연역적으로 밝힘으로써 실천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수양의 실천 대상과 방안에 대한 이와같은 연역적 제시는 ‘언제, 어디서, 어떻게’ 수양을 해야 하는가와 연관된다. 이에 따라 「심통성정도」부터 「심학도」까지는 ‘어떻게 수양할 것인가’를 밝혔고, 「경재잠도」와 「숙흥야매잠도」에서는 더 구체적으로 ‘어디서, 언제 수양할것인가’를 밝힌다. 특히 「숙흥야매잠도」에서는 아침에 일어나 잠자리에 들기까지의 수양 과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일종의 수양일과표이다. 수양의 실천을 제시한 후반부의 키워드는 ‘존체응용(存體應用)’이다. 수양으로 마음의 본체를 보존하여 온갖 사물과 사건에 허령한 마음으로 대응함으로써 ‘중(中)’을 견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존체응용을 토대로 제시되는 수양 실천 일과표인 「숙흥야매잠도」 야말로 퇴계가 「성학십도」에서 궁극에 강조한 것이며 선조에게 하고 싶었던 말이었다. 「숙흥야매잠도」에서 제시된 수양의 조목들이 대수롭지 않은 듯 보여도 이것이야말로 근본적인 것이며, 성인(聖人)으로 가는 유일한 길이요, 더딘 듯해도 지름길임을 천명한 것이다. 그동안의 퇴계사상과 「성학십도」에 대한 연구는 거의 모두 논리와 논설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퇴계가 평생 관심을 두고 실천한 것은 고원한 이론의 탐구가 아니라 지금 바로 여기에서의 부단한 자기반성과 바른 몸가짐의 실천을 통한 본성의 자각과 확충이었다. In the first half of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he deals with ‘Knowledge for self-cultivation’, suggesting the subject, purpose and significance of self-cultivation based on deductive logic. This is about ‘who, what, and why revealing who should discipline one`s mind, what they should discipline one`s mind and why they should do it. In addition, If the first half is compressed in a word, It comes to mean that one should know the reason of heaven and earth nature, realize one`s nature to improve oneself, which is the core of Toegye’s theory of self-cultivation. However, what Toegye is asking to us is not the exploration of theory but ‘implementation’. Accordingly, he is giving us the direction of implementation by revealing using deductive method on the essence of ‘mind’ which serves as the subject of cultivation and its mechanism. Such deductive suggestion on object of practice in cultivation and the method to implement it is associated with “when, where and how one should cultivate the mind’. Based on this, he reveals the way of mind cultivation from 6 to 8 diagram, and more in detail, the suitable place and time to do it from 9~10 diagram. In particular, he is suggesting the order of mind cultivation for all day long at 10 diagram, which is nothing different with mind cultivation schedule chart. The central contents of the latter half presenting the implementation of mind cultivation is that one should preserve the essence of mind by mind cultivation to keep moderation by responding to a variety of things and happenings with peaceful and resonable mind. ‘10 diagram’, the schedule chart of the mind cultivation implementation, based on such position, was what Toegye ultimately emphasized in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and was what he wanted tell to the King. Even though articles of mind cultivation suggested in 10 diagram looks insignificant, it is putting emphasis on being fundamental, the only way to be a saint and shortcut which seems to be slow. Until now, we only have focused on logic and editorial in studying Toegye and hi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However, what he had put concern in implementing was not the exploration of theory far from the reality but the recognition and expansion of good nature through endless self-reflection and implementation of right behavior right here.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수양론과 서학사상

        장승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2 다산학 Vol.- No.41

        While Tasan’s ideas externally seem to return to the primitive Confucianism of Confucius and Mencius, he, in fact, tried to establish a new Confucianism through his encounter with Western Learning. In terms of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he showed many fundamental differences when compared with the teachings of Cheng-Zhu. Tasan criticize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of Neo-Confucianism based on the doctrine of li and ch’i and presented a new theory of self-cultivation based on mind-body dualism and Sangje(上 帝). Internally, it emphasizes the sympathy with Sangje through Sindok(愼獨) and Gyesingonggu(戒愼恐懼). Externally, it emphasizes the practice of virtue in social relations. In particular, it pursues virtue-building cultivation through practice in a specific human relationship. It emphasizes the outcome of actions, stating that doing good deeds is to build merits and conversely, doing evil is to commit sins. There are common points with the contents of Western Learning in that Tasan put the Lord of Heaven rather than the Taegeuk as the metaphysical basis in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emphasizes the difference between humans and animals and the free will and responsibility of human beings, and emphasizes the specific practice of virtue and behavioral love. It is clear that Tasan was heavily inf luenced by the Western Learning through such books as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天主實義) and The seven victories(七克), but he accepted it more selectively and critically. For example, in Tasan cannot see the idea that the world that appears in Western thought, that is, this world, is an ephemeral place that has passed for a while, and that the true world is heaven. While emphasizing the personality of heaven, it is seen as an object of fear and service rather than an object of lov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Learning. And it is also different from the Western Learning to recognize that it is always in humanity(人倫) that Heaven searches for good and evil of people with an emphasis on human relationships. Tasan sees the moral mind(道心) as the voice of Sangje. He emphasized the self-cultivation through actual practice(行事) and understands that “self-cultivation” “moral practice,” and “serving Sangje” are closely related without separation from each other, which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asan’s theory of self-cultivation. Although Tasan was inf luenced by the ideas of the Western Learning, he didn’t accept it as it was, but used it as an opportunity to reinterpret Confucianism. Through the integration of East-West thought, Tasan’s thought tries to establish a new Confucianism. He sought a new logic that embodies the Confucian philosophy of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the people(修己治人) in the direction of contributing to society while cultivating himself by practicing benevolence(仁) socially while serving Sangje internally. 다산은 외면적으로는 수사학 즉 원시유학으로 돌아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서학과의 만남을 통해서 새로운 유학을 정립하고자 하였고, 수양론에 있어서도 주자학과 비교할 때 많은 근본적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기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성리학의 수양론을 비판하고 인격적 상제론과 신형묘합의 인간론에 기초한 새로운 수양론을 다산은 제시하였다. 내면적으로는 신독과 계신공구를 통한 상제와의 교감을 중시하고, 외면적으로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 덕의 실천을 중시한다. 특히 구체적인간관계에서 실천을 통해 덕을 쌓는 수양을 추구한다. 선한 행위를 하는 것은 공을 쌓는 것이고, 반대로 악을 저지르는 것은 죄를 범하는 것이라고 하여 행위 결과를 중시하는 태도를 보였다. 다산이 수양론에서태극이 아니라 인격적 상제를 형이상학적 근거로 삼고, 인간과 동물의차이와 인간의 자유의지와 책임을 강조하고, 덕의 구체적 실천과 행동적 사랑을 중시하는 점은 일정 부분 서학서의 내용과 공통된다. 다산이 수양론을 비롯한 그의 사상에서 서학의 영향을 상당히 받았음은 분명하지만, 그는 서학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나름의 선택적 비판적 수용을 하였다. 예컨대 서학사상에 나타나는 이 세상 즉 현세는 잠시 왔다가 지나가는 덧없는 곳이고 참된 세상은 천국이라는 관념이 다산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천의 인격성을 강조하면서도 천을 사랑의 대상으로 여기기보다는 두려워하고 섬기는 대상으로 본 것도 서학과 차이가 있다. 그리고 인간관계를 중시하여 하늘이 사람의 선악을 살피는 것은 항상 인륜에 있다고 인식하는 것도 서학과 차이가 있는 부분이다. 다산이 도심을 상제의 목소리와 다르지 않다고 보고, 인륜을 실천하는 것과 하늘을 섬기는 것과 수양이 서로 다르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은 다산 수양론의 중요한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다산은 서학사상의 영향을 받았지만 있는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유학을 새롭게 재해석하는 계기로 삼았다. 동서사상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사상의 정립에 있어서 서학의 영향은 매우 중요하고 의미가 깊다고할 수 있다. 서학을 비판적으로 수용한 다산은 한편으로는 내면적으로상제를 섬기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적으로 인을 실천함으로써 자신을 수양함과 동시에 사회적으로 이바지하는 방향으로 수기치인의 유교적 이념을 구현하는 새로운 논리를 모색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퇴계와 율곡의 수양론 비교

        장승구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40 No.-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는 조선 유학사상의 양대 산맥이다. 이 두 학자는 이기론(理氣論)과 심성론(心性論)뿐만이 아니라 수양론(修養論)에 있어서도 많은 입장의 차이를 보여준다. 두 사람은 성학(聖學)을 통해 성인(聖人)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점에서 수양의 목적은 같다. 그러나 궁극적 경지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두 사람 사이에 차이점이 있다. 퇴계는 이상적인 수양의 상태를 ‘천리(天理)는 보존되고 인욕(人欲)은 제거되어(存天理遏人欲)’ ‘마음과 이(理)가 하나가 된(心與理一) 경지’로 인식한다. 이에 비해 율곡은 중화(中和)를 온전히 실현하는 치중화(致中和)를 이상적 경지로 추구한다. 수양의 방법에 있어서 이(理)를 중시하는 퇴계는 경(敬)의 방법을 중심으로 마음을 닦는 마음공부에 초점을 두고 있다. 마음의 수양을 위해서 『심경(心經)』( 『심경부주(心經附註)』)을 매우 소중하게 여기고 중시하였다. 퇴계는 궁리(窮理)와 거경(居敬)의 두 방법 가운데 거경을 중심으로 수양론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수양에 있어서 진적역구(眞積力求)의 태도와 ‘구방심(求放心’을 중시하였다. 퇴계에 비해 율곡은 마음공부와 함께 몸의 단속도 강조하였다. 그리고 수양의 방법으로 경(敬)뿐만 아니라 성(誠), 교기질(矯氣質: 기질을 바르게 함), 양기(養氣: 올바른 正氣를 잘 기름)도 아울러 중시하였다. 율곡은 수양의 방법 가운데 특히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율곡은 올바른 실천을 위해서는 먼저 진리를 알아야 한다고 여겼으며, 따라서 궁리(窮理)를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율곡의 수양론에서는 궁리가 거경과 대등한 중요성을 갖는다. 율곡은 『심경』보다는 『소학(小學)』이나 『대학(大學)』 · 『중용(中庸)』을 수양의 텍스트로 중시하였다. 율곡에게 있어서 성인은 경세(經世)를 통해 세상을 바로잡고 세상을 유익하게 하는 사회적 정치적 역할이 중시된다. 반면 퇴계는 적극적 경세활동 보다는 마음을 닦는 수양을 통해 인격적 모범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세상 사람들이 각자 자기 욕망을 절제하고 이(理)를 따라 생활하도록 함으로써 세상이 보다 평화로워지기를 추구하였다. Toegye Yi Hwang and Yulgok Yi I are the rivals of the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These two scholars show a great deal of difference in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修養論) as well as li-ch’i theory(理氣論) and hsin-hsing theory (心性論). As they aimed at being a sage(聖人) through Seonghak (聖學), the purpose of self-cultivation is same. However, Toegye who weighed high in li (理) focused on the study of min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method of Ching (敬). To cultivate mind, he put emphasis on 『Simgyeong(心經)』and『Simgyeongbuju(心經附註)』very much. Toegye compose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focusing on chü-ching out of two methods of ch’iung-li (窮理) and chü-ching (居敬). As a means of mind cultivation, he stressed the method of ‘Gubangsim (求放心: finding scattered mind)'. Compared to Toegye, Yulgok stressed the control of body as well as the study of mind too. And as a means of self-cultivation, he put emphasis on Ch’eng(誠), Gyogijil(矯氣質) and Yanggi(養氣) as well as Ching(敬). Yulgok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K’o-chi fu-li(克己復禮) among various methods of self-cultivation. Yulgok considered it was important to know truth first in order to make proper practice and therefore recognized ch’iung-li(窮理) important. In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of Yulgok, ch’iung-li had an equal significance with chü-ching. Yulgok laid more emphasis on『Hsiao-hsüeh(小學)』,『Ta-hsüeh(大學)』or『Chung-yung』(中庸)』as important texts than『Simgyeong』. It is common that they sought to be a sage through self-cultivation. However, these two scholars had difference in expressing an ultimate level. Toegye regarded the ideal status of self-cultivation as a level where T’ien-li(天理) is kept and jen-yü (人欲) is removed (存天理遏人欲)’which means‘mind and li(理) becomes one (心與理一).’Thus, he sought to realize“Jongsimsoyokbulyugu(從心所欲不踰矩: not violating the law even if one attempts with the desire of mind)” argued by Confucius. However, Yulgok sought Chijunghwa(致中和) that completely realizes Junghwa(中和) as an ideal level. And, as for Yulgok, the sage is entrusted to correct the world by means of governing and to benefit the world by playing a social and political role. To the contrary, Toegye wanted to show the example of personality through mind cultivation rather than active participation in politics. And, he sought a more peaceful world by leading people in the world to control desire and to live according to li(理) through education.

      • KCI등재후보

        霞谷의 退溪 비판에 나타난 工夫論에 대한 연구

        최일범(Choi Il-Beom) 한국양명학회 2005 陽明學 Vol.- No.13

        퇴계의 공부법은 持敬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朱子의 居敬窮理의 공부법, 즉 先涵養後察識法에 충실한 것이다. 中和新說에서 확립된 朱子의 先涵養後察識의 공부법은, 中和舊說의 공부법이 動時의 察識에 치우쳐 靜時의 心의 涵養을 상실했다는 반성에 따라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따라서 주자는 靜時의 涵養工夫 즉 居敬法과 動時의 窮理法을 분리하였으며 퇴계 역시 기본적으로 주자의 공부법을 답습하였다. 하곡은 이러한 토계의 공부법을 비판하고 양명학적 공부론을 전개한다. 하곡의 공부론의 기본적 특징은, 주자가 未發과 已發, 大本과 達道, 寂然과 感通을 둘로 나누어 각각 靜時 공부와 動時 공에 分屬시킨 것과는 달리, 動靜을 막론하고 未發과 已發은 하나이므로 動時 공부와 靜時 공부를 분리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데 있다. 또한 하곡의 공부법은, 왕양명의 공부법이 『大學』의 誠意에서 致知로 넘어가 결국 致良知法으로 확정되는 것과는 달리, 誠意에서 正心, 修身으로 이어지면서 한편으로는 『中庸』의 未發之中과 已發之和의 致中和 境界와 연계하는 독특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하곡은 理氣一體, 體用一源을 통해서 그의 세계관과 공부법의 연관성을 확보하고 그 이론적 근거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점 역시 하곡학의 독특한 일면이라고 할 수 있다. The Self-Cultivation Theory of Yi-Hwang was based on the preservation of pious(持敬). And this is very substantial in Zhuxi's self-cultivation theory, the study of principle on the base of pious(居敬窮理). Zhouxi's self-cultivation theory was established in the point of his new theory of the zh?ng hua(中和), which was resulted from reconsidering of his old theory, preponderance of mind activity. So Zhuxi divided stability cultivation and activity contemplation, and Yi Hwang accepted Zhuxi's new theory. Bur Chung Chedu asserted that stability cultivation and activity contemplation cannot be divided into two cultivation, and this is the special character of Chung Chedu's cultivation theory. And his theory was distinguished in the connection of cheng yi(誠意) and zhengx?n(正心), xi? sh?n(修身) with Wangsh?uren(王守仁)'s 誠意-致知-致良知法 connection.

      • KCI등재

        주자의 공부론 관점으로부터 理氣의 관계 재해석

        김혜수 한국유교학회 201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6

        This article presents a reinterpretation of the system of the Li-Qi theory in the structure of practical study of Zhu-zi. Previous researches have analyzed the system of Zhu-zi’s Li-Qi theory, furthermore, explained the theory of human mind/nature an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based on this system of the Li-Qi theory. This approach is limited to describe the theory of human mind/nature an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the structure of ontological Li-Qi of the Neo-Confucian. But, Zhu-zi’s academic scheme is formed through a practical study process such as the old theory of zhonghe(中和舊說) and the new theory of zhonghe(中和新說) etc. In other words, Li-Qi theory and human mind/nature theory is the moral and practical system of confucius' philosophy formed in the practical life of Zhu-zi. Therefore, confucius' philosophy of Zhu-zi can grasp the mor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i’ and ‘Qi’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Li-Qi theory from practical system of self-cultivation theory. ‘Li’ is the essence of absolute good and the power of moral realization, ‘Qi’ is the source of evil and a phenomenon that morality is realized in the structure of practical study of Zhu-zi. The ‘Li’ and ‘Qi’ have the separable and inseparable relation in this frame of practical study. 본 논문은 朱子의 工夫論 관점에서 理氣論 체계를 재조명한 연구이다. 기존의 연구는 존재론적 관점에서 주자의 리기론 체계를 해석하였고, 더 나아가 이와 같은 리기론 체계를 바탕으로 心性論과 공부론을 해명하였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주자학에서 존재론적 ‘理氣’ 사이의 관계로써 심성론과 공부론 등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하지만 주자의 사상체계는 주자 자신이 中和舊說과 中和新說 등의 실천공부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리기론과 심성론은 주자의 실천적인 삶 속에서 공부를 통해 형성된 도덕 실천적 유학사상체계이다. 그러므로 주자의 유학사상은 실천적 공부론 체계로부터 리기론 구조를 파악해야 ‘理’와 ‘氣’의 관계에 대한 윤리적이고 실천적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주자의 공부론 구도에서 ‘리’는 절대적인 善의 본질이자 도덕 실현의 동력이 되고, ‘기’는 惡의 근원이자 도덕이 실현되는 현상이다. 이와 같은 실천공부의 구도에서 ‘리’와 ‘기’는 不相雜[분리]이면서 동시에 不相離[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 KCI등재

        성혼과 이이의 수양론과 그 현대적 의의

        이영자 ( Young Ja Lee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3 동방학 Vol.26 No.-

        ‘힐링(healing)’이 현대 사회 최대 화두로 부상하고 있는 시점이다. 힐링의 선결조건인 자기조절, 자기절제의 대안이 유학의 수양론이다. 유학의 목적은 내성외왕이며, 그 시작은 자기성찰 곧 수기(修己)로부터 시작된다. 성리학에서는 ‘성경(誠敬)’을 통한 행위 주체의 도덕적 각성과 확인을 더욱 중시한다는 점에서 자기절제를 더욱 강하게 요구한다. 그러한 수양의 실천을 공고히 한 대표적 성리학자로 우계 성혼과 율곡 이이를 들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그들의 삶과 수양론을 비교해 보고, 힐링의 관점에서 그 의의를 고찰해 보았다. 성혼은 원치 않는 질병으로 과거를 통한 입신을 포기하고 수기, 은거, 수교를 통한 성현을 기약한 내성적 삶을 살았다면, 이이는 과거를 통한 입신, 행도, 대동을 꿈꾸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외왕적 삶이라는 다른 길을 걸었다. 이러한 삶과 학문적 지향은 수양론에 있어서도 성인관이나 거경, 궁리의 관계 등에서 분명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이들의 삶의 태도와 수양론을 통해 우리는 두 가지 힐링법을 배울 수 있다. 성혼의 향내적 힐링법과 이이의 향외적 힐링법이 그것이다. 성혼처럼 내부적으로는 독서나 학문을 통해 성찰과 자기절제를 최대화시켜 마음을 단련시키는 반면, 외부적으로는 사람들과의 경쟁을 최소화하면서 상처를 덜 받고 평정심을 최대한 유지하여 화를 만들지 않는 것이다. 또 하나는 이이처럼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어울리면서 서로가 서로에게 화도 내고 상처도 받겠지만 그 안에서 인간의 본성과 심리를 터득하며 성숙된 자아로 완성시켜 나가는 방법이다. 양자의 힐링법을 잘 조화시켜 나간다면, 우리는 삶 속에서 행복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ow is the time when the topic of healing emerges as the biggest issue. The alternative of the prerequisite conditions of healing such as self-regulation and self-discipline is self-cultivation theory of Confucianism. The purpose of Confucianism is Naeweongoiwang, which begins from self-reflection, or Sugi(修己). In Sung Confucianism, self-discipline is more strongly required in that the moral awakening and identification of the acting subject through ‘Seonggyeong’(誠敬)’ is greatly emphasized. Woogye Seong Hon and Yulgok Lee Yi are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s who consolidate the practice of the self-cultivation. In this paper, their lives and self-cultivation theories are compared, and the significance is reviewed from the viewpoint of healing. While Woogye gave up seeking his fortune due to unwanted disease and lived introspective life through self-discipline, speculation and Sugyo(垂敎), Yulgok Lee Yi dreamed of succeeding in life, Haengdo(行道) and Daedong(大同) through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and walked the other way of extroverted life to realize his dream. This life and academic orientation reveals obvious differences in their self-cultivation theories through their later lives and the practice of ‘Jiseon(至善)’. From their lives and self-cultivation theories, we can two different kinds of healing methods such as introspection-oriented healing method of Woogye and extrospection-oriented healing method of Yulgok Lee Yi. The former focuses on mind training by maximizing the internal reflection and self-discipline through reading and academic discipline internally, and it helps to maintain composure and get less hurt by minimizing contact with people. The latter is a method to complete mature ego by figuring out human nature and psychology, while getting along with people. With the creation of balance between the two kinds of healing methods, we will be able to taste the happiness in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