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종 탄신 오순 만찬연의 무동정재 연구<sup>+</sup>

        이종숙 ( Lee Jongsook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6 무용역사기록학 Vol.42 No.-

        본 연구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순종의 탄신 오순(五旬: 50세) 경축연에 공연된 무동(舞童) 정재(呈才)의 출범 배경과 해당 정재의 내용 및 춤구성에 대하여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순종의 양력 생일인 1923년 3월 25일 만찬(晩餐) 때에 공연된 춤은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무고(舞鼓)>, <포구락(抛毬樂)>, <보상무(寶相舞)>, <수연장(壽延長)>, <춘앵전(春鶯?)> 그리고 <처용무(處容舞)>이다. 이중 <처용무>는 아악수(雅樂手)와 1기 아악생(雅樂生) 중 신체적 조건을 건장하게 갖춘 5인이 따로 학습하고 공연하였으므로, 본 연구 대상에서는 제외하였다. 무동으로 선발된 아악생이 공연한 정재 8종목을 대상으로 고찰하였다. 대한제국은 1910년 8월 29일 일본에 강제 병합되었고, 이후 이왕직(李王職) 관제 하에서 순종의 생활은 제한되었다. 그러한 순종의 50세 생신을 맞아서 급하게 마련된 아악생(雅樂生) 무동 11명에게 학습된 춤(정재)에 대해 이해하려는 연구이다. 1922년 초겨울 아악대(雅樂隊) 양성소(養成所)에 입소한 아악생 1, 2기 중 선발·동원된 13~19세의 남자 아이들은 얼떨결에 정재를 학습하게 되었고, 5개월 만에 공연까지 완수하였다. 이로써 이왕직아악대 양성소 아악생은 무동으로의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순종의 50세 생일에 공연된 춤은 주로 1828년과 1829년에 창제(創製)된 것이 사용되었다. 정재의 내용은 ① 부부의 사랑, ② 수명장수 및 국가 태평을 중심 내용으로 한 것들이다. 그리고 수명장수를 기원하면서도 오락성을 본바탕에 갖고 있는 ③ 유희적 정재가 고르게 준비되어 공연에 올려졌다. 8종목 무동정재의 공연 참여 인원이 일정하게 정비된 시기는 고종 29년(임진, 1892)으로, 고종의 41세 탄신 경축연 때 사용되면서였다. 그 밖에 8종목 춤구성에 대해 본문에서 상세히 논의하였다. 일제강점기의 정치적·문화적 탄압 속에서 어렵게 전승된 조선시대의 무동정재라고들 한다. 그러나 그 출범 배경 등을 고려하여 바른 역사관을 세우고 계승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ckground, contents, and choreographic style of the Mudong (舞童) Jungjae (呈才) performed at the 50th birthday banquet of King Soonjong, the last emperor of the Korean Empire. Gainjeonmokdan (佳人剪牧丹), Jangsaengboyeonjimu (長生 寶宴之舞), Yeonbaekbokjjimu (演百福之舞), Mugo (舞鼓), Pogurak (抛毬樂), Bosangmu (寶 相舞), Suyeonjang (壽延長), Chunaengjeon (春鶯?), and Cheoyongmu (處容舞) were performed at the banquet held on March 25, 1923, on King Soonjong`s birthday. Among them, Cheoyongmu was excluded from this study, as it was separately studied and performed by Aaksu (雅樂手) and five physically fit Aakseng (雅樂生) students from the first-year class of the Aakdae training school. Thus, this study examines eight Jungjae dances that were performed by Aakseng students who were selected as Mudong. The Korean Empire was colonized by Japan on August 29, 1910; following this, King Soonjong`s daily life was restricted through the control of Iwangjik (李王職), or the Office of the Yi Dynasty. This study examines Jungjae dances that were studied and performed by 11 Aakseng (雅樂生) Mudong; these were hastily put together for the 50th birthday of King Soonjong. Aakseng boys aged 13~19 years, who joined the Aakdae (雅樂隊) training school as the first-year and second-year class in the early winter of 1922. were abruptly enlisted to learn Jungjae dances. After five months, they performed for the king. This launched the dancing careers as Mudong for Aakseng students at the Aakdae training school within Iwangjik. The dances performed at the 50th birthday banquet of King Soonjong were mostly createdin 1828 and 1829. The story of these Jungjae dances included ① the love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② a wish for the longevity and prosperity of the country. In addition, they comprised ③ entertaining elements that combined a wish for longevity with amusement, completing the broad variety of the dance. By the 29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or the Imjin year of 1892, and following their performance at the 41st birthday banquet of King Gojong, the number of dancers for the Mudong Jungjae performance was finalized. The choreographic styles of the eight dances are discussed in greater detail below. The Mudong Jungjae of the Joseon Dynasty is said to have been passed down with great difficulty under political and cultural oppress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this study, we propose to lay the groundwork for establishing a proper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dissemination of traditional dances through consideration of their background.

      • KCI등재후보

        1915~1921년도 구황실(李王家) 재정의 구성과 그 성격에 관한 고찰

        김명수(Kim, Myung-soo)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장서각 Vol.0 No.35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 구황실 재정 운영에 대한 전체적인 틀을 제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고 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구황실 재정’이라 함은 1910년에 일제에 의해 대한제국이 강제병합되면서 ‘李王家’로 격하된 대한제국 황실이 ‘고유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1년을 단위로 하여 어떻게 자금을 조달하고 집행했는지, 즉 예산과 결산이 어떻게 편성되고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통틀어 지칭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구황실 재정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일제강점기 구황실이 가지고 있던 ‘고유기능’이 무엇이었는지가 명확하게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 이 글에서 이용되는 자료는 한국학중앙연구원기초토대사업으로 진행된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조사’의 성과에 기대고 있다. 이번에 검토할 자료는 일본 宮內公文書館에 보관되어 있는 『王公族錄』 중에서 1915년도, 1916년도(식별번호2109), 1918년도(同2111), 1919년도(同2112), 1921년도(同2114)이다. 이 문서들은 舊宮內省 宗秩寮 문서로 분류되었다. 宗秩寮는 宮內省에 소속된 부서로 황족, 황족회의, 왕족, 공족, 화족, 작위 등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곳으로 1947년까지 존재했던 관청이다. 구황실 재정의 세입은 기본적으로 조선총독부특별회계를 통해 받는 李王家歲費가 가장 큰 재원이었다. 여기에 이왕가 소유의 기본재산 수입, 보통재산 수입(전답수입과 대여료수입), 기타 잡수입, 이자수입, 부속 정원인 창경원의 관람료수입 등이 가산되었다. 세출은 주로 창덕궁비, 덕수궁비, 약궁비로 구성된 내전비, 구황실(이왕가)의 살림을 맡아보는 이왕직 관련 경비, 그리고 기본재산조입금과 예비금으로 구성되었다. 세입임시부와 세출임시부는 수입이나 지출이 지속적이지 않고 한시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설정되었다. 창덕궁 화재, 영친왕의 일시 귀국, 고종황제의 승하 등 우연적인 요소에 의해 재정적 필요가 발생할 경우 추가예산을 편성했다. 구황실 재정은 기본적으로 구황실을 중심으로 한 王公家의 온존과 유지라는 성격이 강했다. 또한 高麗燒靑磁에 대한 연구 지원, 조선미술품제작소, 조선고서간행회, 고적보존회, 서화미술원, 사찰에 대한 보조금이나 기부금은 구황실의 조선문화 보존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 의사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역으로 부속정원비(박물관, 동물원, 식물원)의 사례는, 조선총독부가 구황실의 명망과 재산을 이용하여 조선민중들을 지배하고자 하는 의도를 보여준다. 조선총독부는 유동성자산을 위주로 기본재산을 설정했다. 그로 인해 기본재산으로 설정되지 않은 부동산은 보통재산으로 관리되어 기본재산관리규칙의 범위 밖에 놓이게 되었다. 하지만 유동성자산을 기본재산으로 설정하여 조선총독의 인가를 받아야만 처분할 수 있도록 정해놓으면, 결국 조선총독부는 이왕가 재산 전체를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통제는 물론 식민지 지배에 협력하는 세력을 온존시킨다는 목적에서 비롯되었음은 명확하다. 그 중심에 이왕가가 있었다. This paper aims at a suggestion of an analytic framework about the Korean Imperial Family’s financial operation during Japanese rule. By reviewing budget proposals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 from 1915 to 1921, we could know the principal items of revenue and expenditure, and we could understand for the Korean Imperial Family how to raise funds and how to spend them. Data utilized in this paper were Wangongjongroks(王公族錄), which contains related subjects about kings and dukes of the Korean Empire. They were filed in Archives of the Imperial Household Library in Japan. From above reviews, following facts were revealed. Firstly, the scale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s budget was about 1.6 million yen in 1915~2.9 million yen in 1918. The budget proposal should be submitted to the Minister of the Imperial Household via Governor-General of Korea by the secretary of the Office of the Yi Dynasty(李王職). The budget execution was controlled by Governor-General of Korea. An annual allowance from the special account for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the biggest one among budget items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s financial revenue, which was 1.5 million yen(1.8 million yen from 1921). Secondly, the Korean Imperial Family’s finance basically had the characteristic of preservation of the nobility of the Korean Empire centering on the Korean Imperial Family. The Korean Imperial Family tried to prevent the collapse of its relatives and supported them with subsidies. Thirdly, subsidies and donation to research of Goryeo celadon, Chosun Arts Production Center, Chosun Publication Associate for Ancient Books, a historic spot preservation society, Seohwa(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cademy of Art, Buddhist temples could be understood as an expression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s interest and enthusiastic attitude as to preservation of Korean culture. From the case of Changkyungwon(昌慶苑) which had museum, zoo, botanical garden, we could know, however, the intention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rule Korean people with the Korean Imperial Family’s reputation and property. Fourthly, the Korean Imperial Family’s permanent property(基本財産) was established on mainly liquid assets not real estates. It meant that real assets excluded from setting-up permanent property were left outside Permanent Property Control Regulation. Management authority for general assets(普通財産) was the Office of Yi Dynasty also. And it was not easy to sell real assets compared to liquid assets. After all, all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s properties came to be under control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t is clear that such a control originated from the goal to preserve collaborative people with Japanese rule and foster pro-Japanese people. One thing to be desired is that above conclusion was temporary because of restricted data, with which we can not make this argument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s finance clear. That is why we should discover 1920’s 1930’s data and construct longer time series data than befo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