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15~1921년도 구황실(李王家) 재정의 구성과 그 성격에 관한 고찰

        김명수(Kim, Myung-soo)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장서각 Vol.0 No.35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 구황실 재정 운영에 대한 전체적인 틀을 제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고 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구황실 재정’이라 함은 1910년에 일제에 의해 대한제국이 강제병합되면서 ‘李王家’로 격하된 대한제국 황실이 ‘고유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1년을 단위로 하여 어떻게 자금을 조달하고 집행했는지, 즉 예산과 결산이 어떻게 편성되고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통틀어 지칭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구황실 재정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일제강점기 구황실이 가지고 있던 ‘고유기능’이 무엇이었는지가 명확하게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 이 글에서 이용되는 자료는 한국학중앙연구원기초토대사업으로 진행된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조사’의 성과에 기대고 있다. 이번에 검토할 자료는 일본 宮內公文書館에 보관되어 있는 『王公族錄』 중에서 1915년도, 1916년도(식별번호2109), 1918년도(同2111), 1919년도(同2112), 1921년도(同2114)이다. 이 문서들은 舊宮內省 宗秩寮 문서로 분류되었다. 宗秩寮는 宮內省에 소속된 부서로 황족, 황족회의, 왕족, 공족, 화족, 작위 등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곳으로 1947년까지 존재했던 관청이다. 구황실 재정의 세입은 기본적으로 조선총독부특별회계를 통해 받는 李王家歲費가 가장 큰 재원이었다. 여기에 이왕가 소유의 기본재산 수입, 보통재산 수입(전답수입과 대여료수입), 기타 잡수입, 이자수입, 부속 정원인 창경원의 관람료수입 등이 가산되었다. 세출은 주로 창덕궁비, 덕수궁비, 약궁비로 구성된 내전비, 구황실(이왕가)의 살림을 맡아보는 이왕직 관련 경비, 그리고 기본재산조입금과 예비금으로 구성되었다. 세입임시부와 세출임시부는 수입이나 지출이 지속적이지 않고 한시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설정되었다. 창덕궁 화재, 영친왕의 일시 귀국, 고종황제의 승하 등 우연적인 요소에 의해 재정적 필요가 발생할 경우 추가예산을 편성했다. 구황실 재정은 기본적으로 구황실을 중심으로 한 王公家의 온존과 유지라는 성격이 강했다. 또한 高麗燒靑磁에 대한 연구 지원, 조선미술품제작소, 조선고서간행회, 고적보존회, 서화미술원, 사찰에 대한 보조금이나 기부금은 구황실의 조선문화 보존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 의사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역으로 부속정원비(박물관, 동물원, 식물원)의 사례는, 조선총독부가 구황실의 명망과 재산을 이용하여 조선민중들을 지배하고자 하는 의도를 보여준다. 조선총독부는 유동성자산을 위주로 기본재산을 설정했다. 그로 인해 기본재산으로 설정되지 않은 부동산은 보통재산으로 관리되어 기본재산관리규칙의 범위 밖에 놓이게 되었다. 하지만 유동성자산을 기본재산으로 설정하여 조선총독의 인가를 받아야만 처분할 수 있도록 정해놓으면, 결국 조선총독부는 이왕가 재산 전체를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통제는 물론 식민지 지배에 협력하는 세력을 온존시킨다는 목적에서 비롯되었음은 명확하다. 그 중심에 이왕가가 있었다. This paper aims at a suggestion of an analytic framework about the Korean Imperial Family’s financial operation during Japanese rule. By reviewing budget proposals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 from 1915 to 1921, we could know the principal items of revenue and expenditure, and we could understand for the Korean Imperial Family how to raise funds and how to spend them. Data utilized in this paper were Wangongjongroks(王公族錄), which contains related subjects about kings and dukes of the Korean Empire. They were filed in Archives of the Imperial Household Library in Japan. From above reviews, following facts were revealed. Firstly, the scale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s budget was about 1.6 million yen in 1915~2.9 million yen in 1918. The budget proposal should be submitted to the Minister of the Imperial Household via Governor-General of Korea by the secretary of the Office of the Yi Dynasty(李王職). The budget execution was controlled by Governor-General of Korea. An annual allowance from the special account for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the biggest one among budget items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s financial revenue, which was 1.5 million yen(1.8 million yen from 1921). Secondly, the Korean Imperial Family’s finance basically had the characteristic of preservation of the nobility of the Korean Empire centering on the Korean Imperial Family. The Korean Imperial Family tried to prevent the collapse of its relatives and supported them with subsidies. Thirdly, subsidies and donation to research of Goryeo celadon, Chosun Arts Production Center, Chosun Publication Associate for Ancient Books, a historic spot preservation society, Seohwa(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cademy of Art, Buddhist temples could be understood as an expression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s interest and enthusiastic attitude as to preservation of Korean culture. From the case of Changkyungwon(昌慶苑) which had museum, zoo, botanical garden, we could know, however, the intention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rule Korean people with the Korean Imperial Family’s reputation and property. Fourthly, the Korean Imperial Family’s permanent property(基本財産) was established on mainly liquid assets not real estates. It meant that real assets excluded from setting-up permanent property were left outside Permanent Property Control Regulation. Management authority for general assets(普通財産) was the Office of Yi Dynasty also. And it was not easy to sell real assets compared to liquid assets. After all, all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s properties came to be under control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t is clear that such a control originated from the goal to preserve collaborative people with Japanese rule and foster pro-Japanese people. One thing to be desired is that above conclusion was temporary because of restricted data, with which we can not make this argument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Imperial Family’s finance clear. That is why we should discover 1920’s 1930’s data and construct longer time series data than before.

      • KCI등재

        1910년대 조선 왕실 의례에 대한 宮內省의 李王家 舊制 조사

        이왕무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논총 Vol.48 No.-

        식민지 조선에서 고종과 순종은 기존 경성의 궁궐에 거주하며 왕족의 지위로왕실의 의례를 주재하였다. 원종과 영조, 정조, 헌종의 탄신을 기리기 위한 선원전 봉심도 합방 이전과 동일하게 거행하였다. 순종이 명성황후의 홍릉을 전알하거나 고종이 거처하는 덕수궁을 알현하는 것은 전혀 장애가 없었다. 식민지 조선이라는 공간에서 대한제국 구 황실의 구성원들은 일제의 통치에서 어느 정도거리감이 느껴질 정도로 전래되던 의례를 한반도 지배 권력의 변화와 관계없이거행하고 있었다. 대한제국 구 황실 구성원 중에서 핵심 세력인 왕공족은 고종과 순종, 영친왕, 의친왕, 李熹公 등이었다. 본고에서 조선 왕실의 의례와 관련하여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제실제도심의회가 『왕공가궤범』을 논의하던 와중에 만든 『李王家舊制調査報告書』이다. 일본제국정부가 식민지 조선의 통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선 왕족과 일본 황족의 결혼을 기획하였으며 그 첫 단계로 진행한 것이 법적 근거의 마련이었다. 그법적 근거를 논의하기 위해 열린 회의가 제실제도심의회였다. 심의회가 결혼을논의하면서 직면한 가장 큰 난관이 조선 왕족 지위에 대한 해석이었다. 조선 왕족, 즉 왕공족은 1910년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을 병합하면서 구 한국 황족들을회유하기 위해 만든 제도였다. 특히 명치천황이 병합 조서에 왕공족을 일본 황족과 같이 대우하라고 명시한 것이 왕공족의 지위를 혼란하게 만든 주요 원인이었다. 왕공족이 구 한국 황족이라고는 하지만, 표면적으로는 식민지인이었고, 일본 국내적으로도 법률에 특별히 규정된 존재가 아니었다. 따라서 왕공족과 관련된 사안이 발생하면 언제든지 정치 문제로 발전될 소지가 농후하였다. 이런문제를 해소하고 정리하기 위한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 『이왕가구제조사보고서』이다. 『이왕가구제조사보고서』는 일본 정부가 왕공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조선왕실의 의례와 관습을 조사한 것이지만, 그 내용은 조선 왕조 국가부터 대한제국에 이르기까지 장기적으로 전래되던 왕실문화를 정리한 자료집이다. 일본 제국정부가 식민지 조선을 통치하면서 만든 각종 보고서는 사안별로 역사적 유래와 변화 등을 포함해서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왕가와 관련된 자료도 동일하다. 대한제국이 일본에 병합되면서 구 한국 황족들은 기존 지위와 예우를 유지할 수 있었다. 조선 왕실에 수백년간 전래되던 의례와 관습도 구 한국 황족이왕공족으로 존재하였기 때문에 계속 거행되고 보존될 수 있었다. In the colonial Korea, King Kojong and Sunjong lived in the existing palace and presided over the Royal ceremonies in the Royal status. There was no obstacle to meeting with members of Royal family each another. The members of the Imperial Former Imperial family in the space of colonial Korea were held irrespective of the change of the Korean Peninsula's ruling ceremony which was transmitted to the extent that a certain sense of distance was felt from the rule of the Japanese emperor. The former members of the Imperial family of Daehan Empire, the King and Kings were Kojong and Sunjong and other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institution that held the Lee Royal family to go all the way to these Royal families is Lee household. The case of the Korean Royal family receiving the world's attention and legally confirming its status in the colonial area originated in 1916. It was the marriage of the prince Lee and the princess Masako, It was on August 3, 1916, that the marriage was officially announced and announced to both houses, and it was not prescribed that the Royal family married to the Japanese imperial family at the time. A council was held to complete the “Royal family law” that allowed the marriage of two people. The Royal Family Law regulates the legal status of the Royal family, while the Royal family marries the Japanese Royal woman. The birth of the “Royal Family Code” was made by the prince Lee and the princess Masako and some of the legal statuses that allowed the two to marry, but in conclusion, the Japanese Empire it wa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legal status of the Chosun Kings family. What I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in this chapter in connection with the ritual of the Joseon Dynasty is the “Lee Royal census survey report” made while the Imperial System Council was discussing the “King's Official Code”. It was preparing legal grounds that the Japanese empire government planned the marriage of the Chosun Kings family and the Japanese Royal family to facilitate the rule of the colonies Korea, and proceeded at the first stage. The meeting held to discuss the legal basis was the Imperial System Council. The greatest challenge that the Council faced when discussing marriage was interpretation of the status of the Royal family. “The Lee Royal family survey report”, the Japanese government investigated rituals and customs of the Korean Royal fami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Kings and the contents of which are from the Chosun dynasty to the Daehan empire, There is a collection of materials summarizing the Royal culture that was introduced in the long run. Various reports that the Japanese empire government ruled Korean colonies often create historical origins and changes for each case. The same is true for materials concerning Lee Royal family. The Daehan empire was consolidated into Japan, the former Royal family of Korea was able to maintain the existing status and treatment. Rituals and customs that were passed for several hundred years of the Chosun Royal family were sometimes preserved and preserved because the former Korean royalty existed in the Lee Royal family.

      • KCI등재

        대한제국 황실의 분해와 王公族의 탄생

        李旺茂(Lee, Wang-Moo)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4

        국가 의례가 장기간 지속되면 사회구성원 스스로 지배체제에 순응하는 것이 정치체제가 장기적으로 유지되는 곳의 일반적 현상이다. 의례처럼 국가행사를 반복하는 것은 곧 그것을 인민들에게 사실로 받아들이게 하는 처방이다. 또한 통치는 강압적인 방법보다는 자발적으로 복종하게 만드는 것이 장기적으로 볼 때 효과적이다. 이점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국가 간의 의례와 외교 관계에서 늘 생성되는 사실일 것이다. 이런 배경에서 본고에서 논하고자 하는 王公族은 대표적인 의례 관련 혹은 대한제국 황실연구를 위한 역사적 키워드이기도 하다. 한국사에서 왕공족은 낯설면서 오해를 가져올 수 있는 ‘역사적 용어’이다. 왕공족은 일본제국의 식민지 통치자들이 고안해낸 정치적 용어이기 때문이다. 1910년 대한제국이 멸망하기는 했으나 황족들은 그 지위를 영위했으며, 식민지 전 기간을 통해 예우를 받았다. 오늘날 학계와 일반인들을 막론하고 일제식민지기에 대한제국 황실이 격하된 상황에서 억압을 받았다고 인식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고종과 순종이 천황의 신하가 된 것이 대표적인 억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당시 전세계적인 식민지 상황을 대한제국과 비교해보면 상대적으로 대한제국 황족들은 안위를 보장받았다. 아프리카와 아시아를 비롯한 대부분의 식민지에서 기존의 군주들은 그 본래의 지위를 빼앗기는 정도가 아니라 평민으로 강등되기까지 하였다. 오히려 대한제국 황실에 대한 ‘예우’는 매우 이례적이었다. 明治天皇의 詔書로 규정된 왕공족의 지위는 일본 황족에 준하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이런 왕공족을 탄생시킨 배경은 무엇일까? 필자는 일본제국이 대한제국의 황실을 이용하여 항일과 독립을 추구하던 한국인들을 회유 내지는 전향시키려는 계획에서 내린 방안으로 생각한다. 통감이었던 伊藤博文도 무력을 동원한 식민지배는 인적, 물적으로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식민지에 古來부터 전해지던 지배계층을 유지시키고 피지배층이 그대로 종속되게 만든다면 식민통치자의 강제적 지배가 없어도 저절로 통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왕공족은 대한제국 황실이 일본 신민이 되었다는 것을 식민지 한국인에게 제시하던 정치적 용어이며, 교묘한 통치술에서 나온 결과물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This paper will examine how decomposition of imperial family of the Korean Empire and to be king and princes group. The Korean Empire fell in 1910, and then annexing by Japan. As we know, the Era of 1910s in Korea was reign of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Korean Empire family belong to be Japanese imperial family. After the forceful annexing Korea by Japan, the imperial family of the Korean Empire was demoted rank than the Japanese imperial family. There are new name was called King and princes group. King and princes group in Korean history is a historical term that can lead to misunderstanding and familiar. Because it is a political term that was devised colonial rule of the Japanese Empire. In 1910, The Korean Empire has been is to destruction, but the royal family has been engaged in the position, received the honorable treatment through the period of pre-colonial. They lived same of life in the Korean Empire period. In most of the colony, including Africa and Asia, existing of princes is not enough to be deprived of its original position, it was to be demoted to a commoner. But rather ‘honorable treatment’ of the Korean Empire imperial family, was very unusual. King and princes group status of which has been defined in the decree of Emperor Meiji were those equivalent to Japan imperial family. Therefore, that noble rank tribe that Korean Empire imperial family has become Japanese subjects, is a political term that had been presented to the colonial Korean, it will be able to interpret that it is a result which came out in a clever governance surgery. This is intended hidden plans of Japanese rulers.

      • 창경궁박물관昌慶宮博物館의 설립과 변천과정 연구

        김찬송(Kim Chan song) 국립고궁박물관 2018 古宮文化 Vol.- No.11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박물관은 창경궁박물관昌慶宮博物館이다. 이 박물관은 대한제국기에 설립되어 일제강점기까지 운영되면서 약 40여 년 간 존속하였으며 그동안 제실박물관, 이왕가박물관 등으로 불려왔다. 대한제국기인 1908년에 순종황제가 창덕궁으로 이어하면서, 창경궁에는 동ㆍ식물원과 함께 박물관의 설립에 대한 계획이 세워졌다. 궁내부에 어원사무국을 신설하여 박물관의 설립 준비부터 운영까지 체계적으로 진행하였다. 한일병합 이후에는 창경궁이 창경원으로 격하되는 등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박물관은 전문성과 특수성을 인정받아 이왕직 내의 단독 관리 부서를 통해 운영되었다. 그러나 이내 박물관은 고종ㆍ순종의 승하에 따른 이왕직의 축소와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설립 등으로 인해 존폐위기가 거론될 만큼 점차 입지가 불안해졌다. 결국 일제강점기 말, 창경원의 이왕가박물관은 덕수궁의 이왕가미술관으로 이전 및 변경되어 운영되었고, 광복 이후인 1969년에 이르러 국립박물관으로 흡수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The Changgyeonggung Museum, the first modern museum in Korean history, was established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1987-1910) and lasted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r over 40 years. The Museum was also known as the Korea Imperial Museum, or Yi Royal Family Museum. The plan to establish the museum, along with an the Zoological and the Botanical Gardens, was initiated in 1908, as Emperor Sunjong moved to Changdeokgung Palace. The Imperial Garden Office (Eowon Samuguk) was established in the Department of the Royal Household (Gungnaebu) in order to systematically carry out the foundation processes and management of the museum. Following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 Changgyeonggung palace ground went through a series of transformation, including its demotion to a mere park, Changgyeongwon. Only the museum was run separately by a specialized department in the Office of the Yi Royal Family, since its specialty was considered to demand expertise in management. Following the death of the last Korean kings, the subsequent collapse of Office of the Yi Royal Famil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Museum of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however, the museum’s standing also declined gradually to the extent of debates on its abolishment. By the end of the Japanese occupation, the museum in Changgyeonggung Palace was finally transferred to Deoksugung Palace ground under a new name, Yi Royal Family Museum of Art, and became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since it was merged into the National Museum in 196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