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적 이종혼에 대한 기독교 상담적 고찰

        심은정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4 No.1

        대부분의 기독교 교회에서는 기독교인들 간 결혼을 할 것을 가르치고 장려한다(본논문에서 기독교는 개신교를 지칭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상당수의 기독교인들이 종교적 배경이 다른 사람과 데이트를 하거나 결혼을 한다. 이 논문에서는 종교적 이종혼(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사이의 결혼)에 대한 성경적 관점을 살펴보고,종교적 이종혼이 종교적 동종혼(기독교인과 기독교인 사이의 결혼)과 비교해 볼 때부부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심리학적 실증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토대로 성경적 관점과 심리학적 관점을 통합하여 목회 상담과 기독교 상담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종교적 이종혼이 종교적 동종혼에 비해 부부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적이종혼이 의미 중에는 종교활동 공유의 제약이 있는데, 이는 결혼에 대한 신념과가치의 공유를 제한하고 나아가 부부 간 종교적 대처와 사회적 지지 체계의 차이를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독교 상담을 하는 상담자가 타종교인과의 결혼을 고려하는 기독교 내담자를 상담할 때 상담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이다. Most Protestant churches tend to teach and encourage marriage in the same faith. In reality, however, a great number of Christians(i. e., Protestants) date or marry those who are from a different religious background. This paper examines religious heterogamy(marriage between a Christian and non-Christian) from a biblical perspectiv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heterogamy and marital quality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biblical and psychological findings, the discussion of how the Christian counseling should approach the interreligious marriage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religious heterogamy have a greater possibility of negative impact on martial relationship than religious homogamy. When a couple have different religious backgrounds, they have limited opportunities in sharing religious activities, which further creates discrepancies in marital beliefs, religious coping, and social support system. Christian counselors are expected to benefit from utilizing these results when seeing a Christian client who considers religious heterogamy.

      • KCI등재

        신봉종교의 가족성원간 조응

        이한나(Lee, Hanna),김정석(Kim, Cheong-Seok) 한국가족학회 2013 가족과 문화 Vol.25 No.1

        본 연구는 성장기 부모의 종교, 그리고 배우자의 종교가 자신의 종교와 조응하는 정도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이 연구는 부친, 모친, 배우자와의 조응 정도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에 주목할때, 경험적인 분석을 위해 ‘2008 한국종합사회조사 (KGSS)’ 자료 중에서 조사시점 현재 배우자가 있는 20~60대를 추출하였다. 종교는 불교, 기독교 (개신교/천주교), 무교 세가지로 분류하였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이나 연령 등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들이 통제된 상황에서도 가족성원간 신봉종교의 상관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불교의 경우 부모의 종교가 자녀에게로 이어지며 배우자 역시 동일한 종교를 가질 확률이 높다. 이러한 현상은 기독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함께 부친, 모친 배우자와의 조응정도는 배우자, 모친, 부친과의 조응 순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성장기 가족의 종교는 사회화를 통해 그 영향력을 지속하며, 이는 종교의 세대 간 전승으로 나타난다. 한편, 배우자와의 종교 조응은 두 가지 경로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우선 종교적 측면의 동질혼 현상으로 배우자 선택 과정에서 동일 혹은 유사 종교를 가진 배우자를 선호할 가능성이 있다. 다음으로 배우자와의 동류화 현상으로 결혼생활 과정에서 배우자의 종교를 따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부모와 배우자가 개인의 종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그 맥락과 과정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유배우 성인들의 종교생활을 분석하는 연구에서는 세대간, 그리고 세대내 가족원들의 종교를 동시에 고찰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 religion of married person associates with the religion of his/her father, mother and spouse. Utilizing the data from 2008 Korea General Social Survey(KGSS), the study analyzes 913 currently married adults aged 20 to 69. Religion i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uddhists, Christians (Protestants and Catholics together), and those with no religion. The multinomial logit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religion of respondent is associated with that of father, mother and the spouse. The most strong association is found with the spouse, followed by mother and spouse. These findings are in accordance with the hypotheses based on the arguments of religious transmission between generations and religious homogamy and assimilation of religious life between spouses. The religion of parents in childhood remains important in adulthood, while mother has more influence than father. The strong association with the religion of spouse contains implication which are different in its context but operating in same direction. Relig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mate selection. In the meanwhile, assimilation of religion between husband and wife may occur during the marriage. The study suggests that the analysis of religion in relation to family need to identify the relevant members and consider how they will exert effects on other's reli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