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개인작인신념에 미치는 영향

        안윤정(An, Yoon-Jung),서지윤(Seo, Ji-Y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개인작인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 권 소재 대학생 446명을 대상으로 정서지능과 개인작인신념에 대한 측정도구를 기준으로 설문조사 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정서지 능의 정서조절,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학교 수준에 따라 정서지능의 타인정서지각 과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종교유무에 따라 정서지능의 타인정서지각, 정서활용 에서,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정서지능과 개인작인신념간의 상관이 높게 드러 났다. 정서지능의 타인정서지각, 정서활용, 정서조절이 개인작인신념의 두 하위요인인 능력신념과 맥락신념 모두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능력신념에는 47%, 맥락신념에 22%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발달에 맞는 진로선택의 과제를 잘 수행하기 위해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개인작인신념을 높이는 다양한 동기향상 프로그램이 요구 된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how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 undergraduate students’ personal agency beliefs.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446 undergraduate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egulation of emo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pability beliefs of personal agency belief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and others' emotion appraisa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pability beliefs of personal agency belief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level. Also, the others' emotion appraisa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pability beliefs of personal agency belief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ligion existence.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sonal agency beliefs. The others' emotion appraisal, regulation of emotion and use of emo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have an impact on personal agency beliefs including capability beliefs and context beliefs, the explanation concerning capability beliefs(47%) and context beliefs(22%) was persuasive. Therefore, when undergraduate students have to make career decision for their future, in order to encourage personal agency beliefs which are related to motivational factors, the conseq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verifi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any kinds of supporting systems to encourage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sonal agency beliefs.

      • KCI등재

        대학생의 개인작인신념에 따른 개인목표와 변화인식 분석

        안윤정,김미경 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진로교육연구 Vol.25 No.2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personal goals and change perception by undergraduate students'personal agency beliefs.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484 undergraduate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hysical wellbeing of personal goals and future orientation, pattern making of change percep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Personal agency beliefs, physical wellbeing of personal goals and continual change of change percep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About 70% of respondents has ‘vulnerable pattern’ which is related to moderate capability beliefs and neutral context beliefs. Many students may trigger symptoms of anxiety and worry and contribute to a cautious approach to goal seeking and goal setting and be at risk under conditions of stress. The effect of personal agency belief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 goals and change perception except pattern making. It is meant that the higher personal agency beliefs are, the higher orientation to the personal goals and change perception are. Personal goa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ange perception and specially the explanation concerning future orientation and continual change was persuasive(30%). Therefore, in order to confirm the context in the course of school to work, the importance of change perception was identified and it is necessary to have counselling programs to promote personal agency beliefs and personal goals which are related to change perception.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개인작인신념에 따른 개인목표와 변화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수도권 소재 대학생 484명을 대상으로 개인작인신념, 개인목표, 변화인식 측정도구를 통해 설문조사하여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개인목표의 신체적 안녕감과 변화인식의 미래지향과 방향결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으며, 학년에 따라 개인작인신념, 개인목표의 신체적 안녕감, 변화인식의 변화지속성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개인작인신념유형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개인목표의 긍정적 자기평가, 지적 창의성, 이해, 즐거움, 행복 등과 변화인식의 미래지향, 방향결정, 변화지속성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대학생의 약 70%가 보통의 능력신념과 중립적 맥락신념인 ‘상처받기 쉬운 유형’으로 드러났다. 다수의 대학생이 목표 찾기와 목표설정에 걱정과 불안을 느끼고 스트레스적인 상황 안에서 동기가 상실될 위험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인작인신념이개인목표, 변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변화인식의 방향결정 요인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개인작인신념이 높을수록 목표의식과 변화인식이 높아짐이 증명되었다. 개인목표는 변화인식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변화인식의 하위요인 중에 미래지향, 변화지속성은 30%이상의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학교에서 직장으로 이행하는데 있어 성공적 적응을 위해 중요한 변화인식을 높이기위한 동기적 요인인 개인작인신념과 개인목표의 중요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진로상담과 프로그램이 요청된다.

      • KCI등재

        대학만족이 대학생의 개인작인신념에 미치는 영향

        안윤정,오현주,김미경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진로교육연구 Vol.24 No.4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how university satisfaction affect undergraduate students’ personal agency beliefs.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485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chool satisfaction and personal agency beliefs including capability beliefs and context belief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university level. Major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social recognition,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nd personal agency belief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Major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social recognition, school satisfaction and personal agency beliefs including capability beliefs and context belief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ajor. The university satisfaction including all sub-factors such as major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social recognition,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 school satisfaction has an impact on personal agency beliefs including capability beliefs and context beliefs. Therefore, when undergraduate students should make career decision, in order to encourage personal agency beliefs which are related to motivational factors, the consequence of university satisfaction was verifi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any kinds of supporting systems to encourage the university satisfaction 본 연구는 대학만족이 대학생의 개인작인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대학생 485명을 대상으로 대학만족과 개인작인신념에 대한 측정도구를 기준으로 설문조사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수준에 따라 대학만족이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으며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과 맥락신념에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대학생의 학년에 따라 대학만족의 하위요인 중에서 학과 및 전공만족, 교수-학생 관계만족, 사회적 인식만족 등에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 맥락신념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증명되었다. 전공에 따라 학과 및 전공만족, 사회적 인식만족, 학교만족 등에서,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과 맥락신념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학과 및 전공만족, 교수-학생 관계만족, 사회적 인식만족, 학교만족 등의 대학만족이 개인작인신념의 능력신념과 맥락신념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발달단계에서 중요한 과업인 진로선택과 결정의 중요한 동기적요소인 개인작인신념을 높이기 위한 대학만족의 중요성이 확인되었으며 각 대학에서는 대학만족을 높이려는 다양한 지원과 노력이 요청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몰입과 전공만족의 관계에서 개인작인신념의 효과

        김윤중(Kim, Youn Jo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진로결정몰입에 있어 개인작인신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경기·인천, 강원, 충청, 경상 지역에 소재한 4년제 국‧공립 대학교 재학생 총 6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WIN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측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 석, 선형회귀분석, 조절적 중다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공에 대한 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결정몰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몰입의 관계에 있어 개인작인신념이 부분매개 또는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variables that can affect Commitment to a Career Choice focusing mainly on the satisfaction with one's major in college and personal agency beliefs. This research carried out a survey on a total of 626 students at 4-year public and private university. The information is processed using the SPSSWIN19.0 program, which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measurement, one-way ANOVA, linear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and three-step mediat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groups showing greate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had a higher level of commitment to a career choice. Personal beliefs was one thing that can achieve partial mediation or complete mediation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of their major and commitment to a career choice.

      • Between- and within-person level motivational precursors associated with career exploration

        Lee, B.,Porfeli, E.J.,Hirschi, A. Academic Press 2016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92 No.-

        Career exploration is a critical proces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leading people toward suitable work and developing a vocational identity.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ole of motivational precursors, namely work valences and personal agency beliefs, in explaining in-breadth and in-depth career exploration. Given the dynamic nature of motivation, we teased apart the between-person differences and within-person variabilities in motivational precursors to examine how they a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career exploration. Two hundred one high school students comprised the sample and were surveyed three consecutive years. Results revealed that work valences and agency beliefs were associated with career exploration at both the between- and within-person level. Further, when individuals exhibited greater level of agency beliefs and positive valences, they were more likely to exhibit more in-depth exploration one year later. Implications for career guidance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