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타당성 검토를 위한 효과분석 과정 수립

        한여희,김영찬,양충헌 대한교통학회 2011 大韓交通學會誌 Vol.29 No.4

        Installation of pedestrian scramble is recently increasing due to pedestrian-oriented transportation policies issued in local governments. Pedestrian scramble is able to emphasize safety issues by reducing conflicts between pedestrians and vehicles when an exclusive pedestrian phase is employed. In spite of its positive property, pedestrian scramble has several negative points: an increase of a cycle length, a decrease of green time ratio, and an increase of total delay. This study delivers the impacts of pedestrian scrambles in terms of pedestrian convenience and traffic mobility. Authors analyzed the changes of traffic delays by comparing the installation and no installation of pedestrian scramble at an intersection by varying several variables: signal timings, traffic volumes, the number of lanes, and the number of pedestrian conflicts. The paper presents an analysis procedure as a guideline that assists practitioners in selection of appropriate intersections at where pedestrian scrambles are implemented. 최근 보행자 중심의 교통정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대각선 횡단보도의 설치가 늘고 있다. 대각선 횡단보도는 독립된 보행자 전용현시를 제공하기 때문에 보행자와 차량의 상충을 감소시켜 안전을 향상시킨다. 반면, 신호주기의 증가나 현시 증가로 인한 차량의 녹색시간효율 감소로 차량 지체시간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보행자의 편의 측면에서 설치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나, 차량 지체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없이 설치할 경우 이러한 단점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각선 횡단보도의 올바른 설치를 위하여 차량 지체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보행자 편의 중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보행자 횡단시간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차량 지체시간을 분석하기 위하여 차로수, 교통량 수준, 현시체계 등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여 설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차로수에 따른 보행자 횡단시간은 횡단을 한번 할 경우와, 두 번 할 경우로 나누어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각선 횡단보도의 올바른 설치와 운영을 위한 권장 설치조건을 제시하고 사전에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절차를 수립하였다.

      • KCI등재

        보행우선구역의 주요 보행네트워크 추출방법

        한상진 한국교통연구원 2013 交通硏究 Vol.20 No.4

        Walking accounts for the highest modal share in many cities. Nowadays, it gets more attraction as people recognise walking can be helpful in maintaining good health. To provide better walking environment, government is carrying out pilot projects on Pedestrian Priority Zones.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a primary pedestrian road network which need to be managed for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 among various roads within suggested boundaries of PPZ. It is practically important because not all roads in PPZ cannot be transformed into pedestrian priority roads. This study suggests pedestrian volumes, number of accidents involving pedestrians, and connectivity values as main criteria on selecting primary pedestrian road network. Application to a pilot project shows that the suggested criteria can be useful to identify road sections which are important connecting pedestrian attraction facilities directly. This selection methodology can be applied to other urban planning and design studies including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which requires development of efficient and effective pedestrian road networks. 보행은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써 많은 도시에서 가장 높은 수단비율을 차지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보행을 통해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차원에서도 큰 관심을 얻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정부는 보행우선구역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보행우선구역에서 어떤 도로를 우선적으로 보행자 중심의 도로로 설계하고 운영해야 할 지를 결정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모든 도로를 보행자 중심으로 바꾸어 나가기는 비용과 효과 면에서 합리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행량, 보행 관련 교통사고, 연결도 등을 기준으로 어떻게 주요 보행네트워크를 추출할 수 있는지 제시하고, 이를 서귀포시 정방동 일대의 보행우선구역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이중섭거리, 청사로, 명동로가 주요 보행네트워크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도로로 선정되었다. 이들 도로는 보행량, 연결도 측면에서 다른 도로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구역 내 주요 보행유발시설을 최단경로로 연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요 보행네트워크 추출 방법론은 비단 보행우선구역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중심개발 등 보행자 중심의 도시계획 및 설계에서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연결도를 이용한 보행네트워크와 보행통행량의 상호관련성 연구

        한상진,김영욱,오순미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1

        It is important to know pedestrian volume to carry out pedestrian safety analysis and pedestrian friendly design. However, it is too difficult to come across research work related to pedestrian volume analysis in the field of transport, due to lack of interests on pedestrian movement. Most transport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vehicles and highways rather than pedestrian. On the other hand, in the field of urban studies, there comes an effective tool to estimate pedestrian volumes using Space Syntax theory. This theory twins out to be effective and economic because it only requires network information, which is easy to acquire from maps and field survey. However, this method is different in the way representing networks from the way that is common in the field of transport. To make up for this point, this paper develops a novel measure for estimating pedestrian volume using Dial's algorithm, and applies the model in the two test networks; Insadong and Soongryemoon networks.The application results reveals that developed measure is an effective tool to explain pedestrian volume;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easure and pedestrian volume is 0.713 in Insadong and 0.492 in Soongryemoon, and the goodness of fit() of regression models are 0.893 in Insadong and 0.671 in Soongryemoon. This estimation method is significantly less complicated to estimate the effect of a pedestrian network change than Space Syntax theory, which requires special softwares not readily available. 보행통행량은 보행안전분석과 보행환경개선에 중요한 요소이나 교통 부문에서 보행통행량 예측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도시계획분야에서는 네트워크 특성만으로 보행량을 예측하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 Theory)이 연구되어져 왔고 많은 연구에서 효과적으로 보행량을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Space Syntax 방법론을 이용한 보행량 예측법은 교통 부문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이 상이하여 활용에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통의 관점에서 보행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Dial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링크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나타내는 연결도 개념을 도입하여 보행량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인사동 및 숭례문 지역에 적용하였다.분석결과 연결도와 보행통행량의 상관계수가 인사동의 경우 0.713, 숭례문의 경우 0.482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연결도 및 도로폭을 종속변수로 한 보행통행량 모형의 결정계수가 인사동의 경우 0.893, 숭례문의 경우 0.671로 모형의 설명력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연결도가 보행통행량 추정에 있어서 충분히 설득력 있는 방법론임을 의미한다. 또한, 연결도를 이용한 보행통행량 추정법은 Space Syntax 이론에 의한 추정법에 비해 그 과정이 간단하고, 특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네트워크가 교통네트워크의 구축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구축되므로 연구대상구역의 가로망 체계 변화가 보행통행량에 미치는 영향을 간단히 추정해보는데 유용한 방법론이다.

      • KCI등재

        INJURY ANALYSIS OF PEDESTRIANS IN COLLISIONS USING THE PEDESTRIAN DEFORMABLE MODEL

        T.-L. TENG,T.-K. LE,V.-L. NGO 한국자동차공학회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Vol.11 No.2

        Vehicle safety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issue in automobile design. However, all efforts to improve safety devices focus on enhancing safety features for occupants. Notably, pedestrians are the second largest category of motor vehicle deaths, after occupants, and account for about 13 percent of motor vehicle deaths. It is essential to design pedestrianfriendly vehicles and pedestrian protection systems to reduce pedestrian fatalities and injuries. To effectively assess pedestrian injuries resulting from vehicle impact, a deformable pedestrian model must be developed for vehicle-pedestrian collision analysis. This study constructs a pedestrian-collision numerical model based on LS-DYNA finite element code.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deformable pedestrian model, experimental data are used in the pedestrian model test. This study applies the proposed model to analyze the dynamic responses and injuries of pedestrians involved in collisions. The modeled results can help assess vehicle pedestrian friendliness and assist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pedestrian-friendly vehicle technologies.

      • KCI등재

        EVALUATION OF A BRAKE ASSISTANCE SYSTEM (BAS) USING AN INJURY SEVERITY PREDICTION MODEL FOR PEDESTRIANS

        오철,강연수,윤영한 한국자동차공학회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Vol.10 No.5

        Through the years, traffic engineers and researchers have developed a variety of countermeasures to enhance pedestrian safety. Pedestrian-vehicle collisions are regarded as the most serious type of accident since they incur high fatality rates. A fundamental concept in developing effective countermeasures is to analyze pedestrian-vehicle collisions scientifically, which can identify the causes of accidents and accident sever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destrian safety benefit of the brake assistance system (BAS) and a functional requirement associated with BAS, namely the time needed to safely detect a pedestrian ahead. An injury severity prediction model for pedestrians was developed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BAS in this study. Ordere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stablish a statistical model capable of predicting pedestrian injury severity. In addition to vehicle characteristics, collision speed and pedestrian characteristics were used as independent predictor variables. The outcome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in directing the development of safety policies and technologies associated with pedestrian safety. Through the years, traffic engineers and researchers have developed a variety of countermeasures to enhance pedestrian safety. Pedestrian-vehicle collisions are regarded as the most serious type of accident since they incur high fatality rates. A fundamental concept in developing effective countermeasures is to analyze pedestrian-vehicle collisions scientifically, which can identify the causes of accidents and accident sever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destrian safety benefit of the brake assistance system (BAS) and a functional requirement associated with BAS, namely the time needed to safely detect a pedestrian ahead. An injury severity prediction model for pedestrians was developed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BAS in this study. Ordere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stablish a statistical model capable of predicting pedestrian injury severity. In addition to vehicle characteristics, collision speed and pedestrian characteristics were used as independent predictor variables. The outcome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in directing the development of safety policies and technologies associated with pedestrian safety.

      • KCI등재

        구배 기반 가중 접근성을 이용한 역세권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하은지,전철민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5

        Walking is the most basic personal mobility and its importance and concern is ever increasing with the highlighting of a new paradigm, such as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green transport. The existing analytical research on pedestrian network is using a pedestrian's moving distance to a destination and integration in space syntax theory as its representative accessibility factors. However, the uniplanar network moving distance fails to reflec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so the moving distance could show a similar result value in case of the regions for analysis that have a similar network structure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analytical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ccessi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in pedestrian sections and a pedestrian's size. this study, in its analysis of a uniplanar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analyzed the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in pedestrian sections, and even the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a pedestrian's size, and suggested the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ccessibility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a more substantive pedestrian's characteristics. It is hoped that the methodology used by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nalysis which can reflec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pedestrian network analysis, and take a more substantive pedestrian's movement into account. 최근보행은 교통의 가장 기본 이동수단으로 대중교통 중심개발, 지속가능한 개발, 녹색교통 활성화 등 새로운 패러다임의 부각으로 그 중요성과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보행 네트워크 분석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목적지까지 이동거리와 공간구문론의 통합도를 대표적인 접근성 요소로 사용하고 있지만 단순한 평면상의 네트워크 이동거리는 지형적인 특성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비슷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 분석 지역들의 경우 비슷한 결과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분석 지역의 특성에 따라 보행자들의 이동규모와 이동거리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를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배를 고려하고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고려한 이동거리 분석을 통해 새로운 보행 네트워크 접근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강남구에 위치한 논현역, 역삼역, 학동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고, 미국스포츠의학협회에서 제시하는 대사량 공식을 통해 구배 가중거리 공식을 유도하고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추정하기 위해 건물 면적 비율에 따라 역 이용객 수 데이터를 활용해 건물 이용자 수를 추정한 뒤 연구지역의 1인당 평균 이동거리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역세권 200m와 500m에 위치한 건물에 대한 보행자의 이동거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보다 연구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에서 구배를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 더 나아가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을 실시하였고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의 특성을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접근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는 앞으로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서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고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의 움직임을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차 대 보행자 사고에서 보행자 전도 거리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강대민(DaeMin Kang),안승모(SeungMo Ahn) 한국자동차공학회 2007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e fatalities of pedestrian account for about 40.0% of all fatalities in Korea 2005. Vehicle-Pedestrian accident generates trajectory of pedestrian. The throw distance of pedestrian can be influenced by many variable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rajectory of pedestrian can be classified into vehicular factors, pedestrian factors, and road factors. The trajectory of pedestrian, dynamic characteristics of multi-body were analyzed by PC-CRASH, a kinetic analysis program for a traffic accident. PC-CRASH enables an analys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ny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rajectory of pedestrian were vehicular frontal shape, vehicular impact speed, the offset of impact point, the height of pedestrian, friction coefficients of pedestrian. However the weight of pedestrian did not affect trajectory of pedestrian considerably.

      • KCI등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edestrian deformable finite element model

        Tso-Liang Teng,Trung-Kien Le 대한기계학회 2009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3 No.8

        Pedestrian protection has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consideration in vehicle crash safety. Pedestrian-vehicle crashes cause a significant number of pedestrian fatalities and injuries globally. Computer models are powerful tools for understanding how to reduce the severity of injuries in such crashes. Real-world studies of pedestrians provide an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for evaluating pedestrian model dynamic performance and ability to reconstruct injurycausing events. This study describes the validation process of deformable pedestrian model using published postmortem human subject (PMHS) trajectory and head resultant velocity corridors, and demonstrates its applicability to pedestrian - vehicle impact research. We implemented the deformable pedestrian model using LS-DYNA finite element code. Based on PMHS data, the pedestrian model is used to validate the displacement trajectories of the head, pelvis, knee and foot. The finite element pedestrian model thus obtained can help assess the friendliness of vehicles with pedestrians in traffic crashes and assist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pedestrian safety technologies.

      • KCI등재

        서울시 차 없는 거리 조성실태 및 개선방향

        김신원,박준경,최기왕 인간식물환경학회 2009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2 No.2

        The development of modern cities is growing rapidly. The first thing that can be recognized in the current image of the complex and chaotic urban city environment is the deprivation of pedestrian space due to the rapid growth of pathways for automobiles. Pedestrians became secondary to automobiles. Therefore, to offer the comfort and convenience of city life and bring vitality to the external environment, pedestrian-only space will be needed; not the space with strong exclusion of pedestrian rights over the current industrialized urban environment but the space with emphasis in terms of pedestrian walks. In other words, the space design for the pedestrians is urgently needed and it has to be developed through extensive studies. Therefore, this paper is based on the possibilities of pedestrian space that can promote urban activities. It is dealt with the general theories, traffic problems, environmental problems and historical space development. In addition, the current pedestrian conditions in domestic pedestrian-only roads and the examples of the streets that have no cars will be presented; both domestic and foreign. By observation of the pedestrian-only roads, the feasibility of pedestrian-only road and potential capability will be discussed. Improvements in the street without cars can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서울시 차 없는 거리는 Ⅱ. 본론에서 나누어지는 2. 실태조사의 내용 중 2) 특성에 따른 대상지 실태에 대한 종합분석부분 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실태조사 항목에서 나타난 시설 및 요구사항들의 유무에 따라 서울시 차 없는 거리 순위가 구분되었다. 또한 실태 조사결과에 의하면, 대체적으로 대상지의 위치와 환경 그리고 거리 이용자의 많고 적음에 따라 대상지의 발전 정도를 알 수 있었다. 그 중 혜화동에 위치한 대학로 마로니에길이 보행환경 평가지표를 기준으로 하는 실태현황조사에서 차 없는 거리 중 가장 우수한 대상지로 파악되었다. 반면에 낙원동에 위치한 낙원동 길의 경우 실태현황조사에서 차 없는 거리 중 가장 낙후된 대상지로 파악되었다. 마로니에 길과 낙원동 길의 차 없는 거리는 특성별로 상당한 차이점을 보여주었다. 특성별로 나타나게 되는 시설물 및 여러 가지 보행환경에 있어 필요로 하는 조건들(휴게 공간, 최소 보도폭 6~8m 확보, 안전표지판 및 시설, 바닥 포장상태 등)이 갖추어져 있는 현황에 따라 우수한 거리와 우수하지 못한 거리가 결정되었다. 이것은 거리 내 환경과 그에 따라 변화되는 거리 이용자 수에 각각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낙원동 길 차 없는 거리는 거리 내 낙후된 환경 및 보행환경에 있어 휴게 공간 조성, 거리 최소 보도폭 확보, 안전표지판 및 시설 확보, 바닥 포장상태 등과 같이 필요조건이 부족할 때 가장 큰 문제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태조사 대상지 중 가장 큰 기대효과를 가질 수 있는 구역으로도 볼 수 있었다. 왜냐하면 인사동과 종로, 탑골공원 등으로 하여금 이용자 수에 대한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최적의 공간으로 입지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낙원동 길은 인사동과 탑골공원이 지닌 공통의 전통성을 가질 수 있는 공간으로 기대해 볼 수 있는 구역이다. 예를 들어 탑골공원의 담장을 모티브로 하는 앉음벽을 새롭게 디자인하여 낙원동 길 입구 및 주요 공간에 도입하고, 인사동의 통돌 벤치 및 전통 바닥포장을 도입함으로써 전통의 모티브로 연계성을 가질 수 있다. 그래서 인사동과 탑골공원을 방문하는 이용자들로 하여금 낙원동 길로 유도할 수 있으며, 공통의 전통성을 가짐으로써 이용자들이 만족하는 대상지로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공간으로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낙원동 길 차 없는 거리 내 4개의 공간별로 도입하는 요소로는 첫째, 만남의 터의 경우 입구성을 강조할 수 있는 돌담형 앉음벽과 소나무 포인트 식재 그리고 인사동 길과의 연계성을 강조하는 전통 전돌 점토블록 바닥포장을 도입하였다. 또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볼라드를 전통적인 형태(예: 제주도 전통 대문의 형태)로 도입하였다. 둘째, 쌈지터의 경우 공간의 목적성을 강조하는 돌담형 앉음벽과 소나무 포인트 식재 그리고 황토다짐 바닥포장 및 통돌벤치를 도입하였다. 빈터의 경우 이벤트 공간의 목적성을 강조하기 위한 썬큰 형태의 이벤트장으로 앉음벽을 형성하고 소나무 포인트 식재와 황토다짐 포장 및 전통 전돌 점토블록으로 인사동과의 연계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쉼터의 경우 낙원동 길 종결부이자 인사동 길과 연결되는 공간으로서의 목적을 강조하기 위한 광장 조성 및 장송 식재 그리고 전통 전돌 점토블록 포장을 도입하고 만남의 터에서 도입한 차량 통제 볼라드를 전통적인 형태로 도입한다. 또한 휴게공간으로 초가...

      • KCI등재

        보행자의 보행환경에 대한 안전 인식과 주시 특성에 관한 연구 - 보행자우선도로와 보차혼용도로를 중심으로 -

        박소향,변기동,하미경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21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7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ich elements pedestrians watch for a long time and frequently when pedestrian evaluates pedestrian safety in pedestrian environment. Pedestrian safety, pedestrian’s perception of individual elements and visual activities were identified in the pedestrian-priority street and the shared street.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observation characteristic for negative elements according to pedestrian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nd experience of car acciden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and Eye-tracking experiment were conducted on two pedestrian-priority streets and two shared stree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edestrians felt safer in pedestrian-priority street than shared street. 2) The perception of illegally parked vehicles and motorcycles in pedestrian environment was generally very negative. 3) Pedestrians watched the elements that were evaluated as being negative for a long time and more frequently. 4)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ixation time of illegally parked vehicles and motorcycles depending on sex. 5)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fixation count for illegally parked vehicles on the shared street depending on the past experience of traffic accident da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