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itual: A Fundamental Ministry of Pastoral Care

        이창규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7

        Ritual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for the ministry of care throughout the history, especially for those in need. Unfortunately, however, contemporary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seems to disregard its ritual legacy by focusing on a more individualistic and psychologically -oriented means of care. This essay endeavors to rectify the errors of contemporary pastoral practices by arguing that ritual needs to be considered as a valuable and effective ministry of care. Ritual acts, if used in an appropriate way, can be vital resources for the cure of souls. This essay briefly explor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ritual in pastoral care history, particularly highlighting the reasons why rituals have been ignored in mainline Protestant pastoral care practices. The important functions and meanings of ritual are addressed and the pastoral aspects of liturgy are described. Through this endeavor,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ritual and pastoral care are articulated. By using a case study material, this paper illustrates how ritual can be effectively used in a pastoral care situation. Some guidelines for the effective use of ritual in pastoral care are suggested. In this essay, I make the argument that ritual can enrich the ministry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and that, in this sense, ritual, which is based on rich theological tradition and is effective means of the cure of souls, is necessary for contemporary pastoral care ministry.

      • KCI등재

        Ritual : A Fundamental Ministry of Pastoral Care

        Lee, Chang Kyoo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7

        Ritual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for the ministry of care throughout the history, especially for those in need. Unfortunately, however, contemporary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seems to disregard its ritual legacy by focusing on a more individualistic and psychologically -oriented means of care. This essay endeavors to rectify the errors of contemporary pastoral practices by arguing that ritual needs to be considered as a valuable and effective ministry of care. Ritual acts, if used in an appropriate way, can be vital resources for the cure of souls. This essay briefly explor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ritual in pastoral care history, particularly highlighting the reasons why rituals have been ignored in mainline Protestant pastoral care practices. The important functions and meanings of ritual are addressed and the pastoral aspects of liturgy are described. Through this endeavor,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ritual and pastoral care are articulated. By using a case study material, this paper illustrates how ritual can be effectively used in a pastoral care situation. Some guidelines for the effective use of ritual in pastoral care are suggested. In this essay, I make the argument that ritual can enrich the ministry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and that, in this sense, ritual, which is based on rich theological tradition and is effective means of the cure of souls, is necessary for contemporary pastoral care ministry.

      • KCI등재

        성서에 드러난 목회돌봄의 정체성

        김기철(KIM Gi-Chul)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7 장신논단 Vol.49 No.1

        목회돌봄은 목회상담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 받지 못하고 그 정체성이 모호하고 불분명하게 설명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목회돌봄에 대한 이해와 설명에서 성서가 소외되거나 주변적으로만 활용되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된다. 목회돌봄에 대한 깊은 성찰이 부족한 오늘날의 상황에서 성서에 기초하여 목회돌봄의 정체성을 재확인하고 자리매김하는 작업이 목회상담 이론가들과 실천가들에게 요구된다. 목회돌봄의 원류는 성서에서 그려지는 하나님의 돌봄이고, 목회돌봄의 구체적 내용은 삼위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본보기를 보여주신 것처럼, 보고 안타까워 하는 일, 듣고 위로하는 일, 함께하며 동행하는 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하나님의 돌봄은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이라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목회돌봄자(care-givers)의 자리에서 동정과 공감이 모두 이루어지는 두 주관성의 “상호인정(mutual recognition)” 속에서, 그리고 돌봄대상자(care-takers)의 자리에서 “자기주장(self-assertion)”과 “타자인정(recognition)”이 모두 이루어지는 자신 안의 상호인정 속에서 돌봄대상자는 긴장의 수용과 창의적 대처를 거쳐 온전한 ‘하나됨’과 진정한 ‘함께함’을 경험할 수 있다. 이렇게 상호주관적인 목회돌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목회돌봄 행위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상호주관적 돌봄 경험의 대리적 표현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상호주관적 목회돌봄에 대해 고찰하는 본 연구가 목회돌봄과 목회상담의 정체성에 대한 더 깊은 논의가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고 목회상담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목회돌봄 사역의 효율성이 높아지는데 적게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topic of pastoral care has not been attractive enough to Korean pastoral counseling scholars since its introduction to Korea. Accordingly,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studies and efforts to elaborate its substantial meaning as well as its contextual appropriation. As a result first, the church has been alienated while theorists and practitioners are inclined to leaning more toward “curing” than “caring.” Secondly, the Bible has been alienated while more attention is being paid to “skills and techniques” than “authenticity.” Thirdly, the pastor has been alienated while they are regarded as non-professionals by the scholars who emphasize “profession” more than “vocation.” We might encounter uncertainty for the identity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n the near future. Especially,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value of the Bible as a main resource of pastoral care. First, the divine care described in the Bible is the root of pastoral care. Pastoral care in the Bible consists of “seeing” people for sympathizing with, “listening to” people for comforting, and “being present” among people for being together. Second, pastoral care is based on the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us. The intersubjective pastoral care is the main attribute of pastoral care based on divine caregiving. Third, pastoral care as the vicarious work of divine caregiving a commissioned work rather than a professional work. I hope this pastoral - theological reflection may contribute to reaffirm the identity of pastoral care of “mutual recognition” in the Korean church setting and to enhance the efficacy of pastoral caregiving.

      • KCI등재

        평신도를 위한 한국적 목회돌봄 연구: 자기 내어줌과 안아주기

        KIM SOO YOUNG SUE 한국목회상담학회 2024 목회와 상담 Vol.42 No.-

        이 연구는 한국적 목회돌봄의 특성에 대한 탐구이다. 북미에서는 목회돌봄의 의미와 역할이 공동ㄹ체적 상황적 패러다임으로 진행되었고, 이러한 변화를 제시한 존 패튼의 책이 한국에 소개된지 20년이 지났다. 그러나 한국 교회의 목회돌봄은 여전히 고전적 패러다임의 특성이 강하며, 임상 목회적 패러다임이 활발히 진행되는 가운데 평신도 목회돌봄사역자의 역할은 조명 받지 못하고 있다. 그리스도인의 신앙공동체가 세상을 향해 목회돌봄을 수행한다는 패튼의 공동체적 상황적 패러다임은 한국적 상황에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이 연구는 공동체적 상황적 패러다임을 이루는 평신도의 목회돌봄 형태가 한국 상황에서는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신학적 성찰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필자는 평신도가 주축이 된 목회돌봄 신학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한국 문화에서 평신도가 주체가 되어 목회돌봄을 수행한 세 사례로 개신교 형성 초기의 서서평 선교사, 1980년대의 원종수 권사, 그리고 2020년대의 한 평신도의 사례를 탐구하였다.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미로슬라브 볼프의 포옹의 신학, 기독교 영성의 환대 개념, 그리고 도널드 위니컷의 안아주기 개념과 대화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는 평신도가 주체가 되어 수행되어 온 한국적 목회 돌봄의 특성을 희생이나 헌신의 개념이 아닌 자기 내어줌과 안아주기의 신학적 개념과 연관하여 제시하였다. 세 명의 사례는 타자를 위해 내면의 중심을 내어주고 기꺼이 시간과 물질과 육체를 소진하면서 겸손히 환대하여 연결된 삶을 이루는 평신도 목회돌봄의 실제를 조명하였다. 자기 내어줌과 안아주기의 실천은 급변하는 한국의 근현대 역사에서 정치적 폭압, 굶주림, 소외와 외로움으로 고통 받는 사회를 향한 공동체적 상황적 목회돌봄의 한국적 특성이다. 이 연구는 평신도를 목회돌봄의 주체로 세우기 위한 실천의 여정에 이정표이자 평신도 돌봄 교육을 위한 자료로서 역할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pastoral care in a Korean context. In North America, the meaning and role of pastoral care have evolved into a communal-contextual paradigm, and it has been 20 years since John Patton's book, which proposed these changes, was introduced to Korea. However, pastoral care in Korean churches still predominantly exhibits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al paradigm; the clinical paradigm actively progresses, while the role of lay pastoral caregivers remains obscure. How does Patton's communal-contextual paradigm, which suggests that Christian communities perform pastoral care worldwide, unfold in the Korean context?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examines how the forms of pastoral care led by laypersons are practiced in Korea and offers theological reflections. To achieve this, the author suggests the necessity of pastoral theology centered around laypersons and investigates three cases of pastoral care led by laypersons in Korean culture: Elisabeth Johanna Shepping, a missionary during the formation of Korean Protestantism; Won Jongsu in the 1980s; and a layperson from the 2020s. To analyze these cases, the study attempts a dialogue between Miroslav Volf's theology of embrace, the concept of Christian hospitality, and Donald Winnicott's notion of holding. The research highlights two characteristics of Korean pastoral care led by laypersons: self-giving and holding. The three cases illustrate lay pastoral care that selflessly extends inner resources, time, material, and physical efforts in humble hospitality, fostering connected lives. The practice of self-giving and holding embodies the communal-contextual aspect in modern Korean history of pastoral care towards a society undergoing rapid changes and experiencing political oppression, hunger, alienation, and lonelines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milestone in the journey toward raising up laypersons as the primary agents of pastoral care.

      • KCI등재

        영혼 돌봄에 기반을 두는 목회상담: 영성지도의 속성을 받아들이는 상담

        김기철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3

        Since the 1970s North American Christians have shown their great interest in spiritual direction and it has been prevailing now. In Korea spiritual direction was introduced and began to be practiced among Protestant Christians around two decades ago. Pastoral counseling has discussed on its identity in many ways over the past five decades. As one of such discussions the discour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oral counseling and spiritual direction emerged and has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One of the reasons why pastoral counseling pays a close attention to spiritual direc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y both share their common essence of 'soul care' in the Christian tradition. They share their common ultimate purpose, a seeking for transformation and growth in faith, as well. Thus, they both are in great need of listening to each other. It would be a significant task for pastoral counseling theorists and practitioners to both reaffirm the role and function of pastoral counseling and illuminate its substantial and ultimate goal because it could be a good opportunity to examine how the ministry of soul care is still going on in pastoral counseling practices. It can also be continued to the discussion of how pastoral counseling practices in Korea contain what spiritual direction is seeking for. In this essay, I, first, will review both the tradition of soul care throughout all different Christian eras and a recent rediscovery of spiritual direction. Secondly, I will examine the identity and direction of spiritual direction an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astoral counseling and spiritual direction. Lastly, I will take a close look at where they both meet together and discuss a possibility of bringing the attributes of spiritual direction into pastoral counseling in the Korean context. It, today, seems that Korean Christians are in urgent need of seeking for a new alternative to the previous manner of soul care. Gradually, more Christians would feel that their spiritual yearnings are not fully met and they cannot experience an individual spiritual growth in their own manners. In this situation pastoral counseling in Korea needs to clarify its identity further and should be able to play its leading role in helping contemporary Christians with their spiritual yearnings. As pastoral counseling accepts the essence and attributes of spiritual direction, its identity as a form of soul care can be more clarified and refined as an efficacious means of soul care for contemporary Christians. 최근 북미를 중심으로 영성지도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늘어가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20여년 전부터 개신교인들 사이에서 영성지도의 소개 및 보급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목회상담학 안에서는 지난 50여년간 계속해서 정체성에 대한 논의들이 이어져 오고 있는 데, 이 논의들의 일환으로 영성지도에 대한 관심, 그리고 목회상담과 영성지도의 연결에 대한 논의가 진행돼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다수의 학술 논문 및 단행본을 통해 목회상담 혹은 심리치료와 영성지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오고 있다. 이렇게 목회상담이 영성지도에 관심을 기울이는 이유 중 하나는 이 둘이 기독교 전통 속의 ‘영혼 돌봄(soul care)’이라는 동일한 본질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궁극적 목적이 변화와 성장을 통한 구원이라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목회상담과 영성지도는 서로에게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영혼 돌봄 사역이 오늘날의 목회상담을 통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목회상담의 역할과 기능을 조명해주고, 본질적이고 궁극적인 목적을 조명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상황 속에서 어떻게 목회상담이 영성지도가 추구하는 바를 담아낼 수 있는 지에 대한 논의는 큰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 글에서 필자는 첫째, 역사적 변천과정 속에서 면면히 이어져온 영혼 돌봄의 전통과 오늘날의 영성지도의 재발견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영성지도의 정체성과 방향을 살펴보며, 목회상담과 영성지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설명할 것이다. 셋째,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목회상담과 영성지도의 접점에 주목하며 영성지도가 목회상담의 틀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며, 영성지도 지향적인 목회상담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회와 신앙인들의 상황에서 영혼 돌봄의 새로운 대안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영혼 돌봄 방식만으로는 영적 갈망을 온전히 표출하지 못하고 개별적인 영적 성장을 경험하지 못하는 신앙인들이 점차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우리나라의 목회상담은 그 정체성을 더 선명하게 하며, 영적 대안을 찾고 있는 현대 신앙인들과 효율적으로 소통하는 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목회상담이 영혼 돌봄의 전통에 더 충실할 때, 이를 통해 목회상담은 더 효율적인 영혼 돌봄의 수단으로 현대 신앙인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 영혼의 돌봄을 위한 상담학

        안기민(An, Kimi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2 이성과 신앙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anew the identify of pastoral counselling and the approach therein that includes care for the soul. There are several types of soul care in the tradition of the Church. Pastoral counselling is one kind of new care for the soul that is related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psychology. In the term pastoral counselling itself, pastoral is understood as belonging to the subject of theology, and counselling as belonging to psychology. In counselling, theology is not something that is far removed from daily life. The thought of God that clients express in counselling is that their own anthropology is always revealed and closely connected to their daily life. What counselling is, is that, clients come to the counsellor to ask for help, and as the counsellor helps the client to explore and understand himself or herself and his or her problems and predicaments, the counsellor in this process, helps the client to achieve the client's own aim, determined by his or her own psychological change. In counselling, there is a clear goal and a method to achieve that goal. The method contains the theory, the process of counselling and the procedure. First of all, the counsellor fully understands the counselling approach that he or she chooses so that the counsellor helps the client to solve their problems in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ir problems by the basics of their approach. Pastoral counselling began in America in the middle of the twentieth century when counselling came to be practised widely. Pastoral counselling, in relation to 'pastoral care', is an activity that is based on the values of theology and christianity. Especially, pastoral counselling is an activity that is understood in the big frame of 'pastoral'. Pastoral counselling is 'pastoral',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what makes the pastoral elements determines what is the identity of pastoral counselling. There is ne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activities of pastoral care, pastoral counselling, pastoral psychotherapy, and spiritual direction. These four activities are the type that are being done in the church to help people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ir respective helping contents, extent, aim, and approach. Unlike pastoral care and spiritual direction that have a tradition in the church of care for the soul, pastoral counselling is a special type of care for the soul. The theory and method the pastoral counsellors use to make decisions in pastoral counselling lead us to understand what pastoral counselling is. Because the 'pastor' is the pastoral counsellor ,the counselling cannot become pastoral counselling. Also, because the client who comes to counselling is a catholic, it does not mean that it is pastoral counselling. Being irrelevant to their religion, as well as the content of the counselling, what makes the decision regarding pastoral counselling is revealed in the whole counselling process. In general, the counsellor has the counselling theory and approach that are suitable to the counsellor so that he or she can help the client's problems. In conclusion, if the pastoral counsellor also has a strategic counselling approach, he or she can help the client more effectively in the frame of pastoral counselling. 이 연구의 목적은 영혼을 돌보는 사목상담의 정체성과 사목상담의 방법론을 새롭게 고찰해 보고자 한다. 교회의 전통 안에는 영혼의 돌봄에 관한 다양한 형태가 있다. 사목상담은 현대에 와서 심리학의 발달과 관계해서 대두된 새로운 영혼 돌봄의 형태이다. ‘사목상담’이라는 용어 자체에서 볼 수 있듯이, ‘사목’이라는 신학의 주제와 ‘상담’이라는 심리학의 주제가 이 용어 안에 함께 자리 잡고 있다. 상담에서 신학은 일상적 삶과 동떨어져 있지 않다. 상담의 현장에서 내담자가 표현하는 ‘신’에 대한 생각은 늘 자신만의 인간학을 드러내고 일상적인 삶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담이란 내담자가 상담자를 찾아와 도움을 청하고, 상담자는 내담자가 진솔하게 자기 자신과 자신의 문제와 어려움을 탐색하고 이해하도록 도와줌으로써, 내담자의 심리적 변화를 일으켜 자기결정에 의한 목표에 도달하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상담에는 어떠한 뚜렷한 목표가 있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이 있다. 그 방법 안에는 이론과 과정(절차)이 있다. 무엇보다도 상담자가 자신이 선택한 상담방법론을 충분히 이해해서, 그것을 바탕으로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탐색하고 이해하도록 도와 문제해결을 돕는다. ‘사목상담’은 상담심리학이 본격적으로 태동하기 시작할 때인 20세기 중반에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사목상담은 ‘사목적 배려’와 관련이 있다. 사목상담은 신학적이고 그리스도교적인 가치관 안에서 일어나는 활동이다. 특히, 사목상담은 ‘사목’이라는 큰 틀에서 이해되는 활동이다. 사목상담은 ‘사목적’이고, 사목적인 결정요소를 이해하는 것이 사목상담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사목상담의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사목배려, 사목상담, 사목심리치료, 그리고 영성지도의 활동 사이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 네 가지 활동들은 모두 교회 안에서 행해지는 돕는 형태의 활동이지만, 돕는 내용과 정도, 목적, 그리고 방법에 차이가 있다. 교회의 전통적인 영혼 돌봄의 형태인 사목적 배려와 영성지도와 달리 사목상담은 심리학과 신학을 바탕으로 하는 영혼 돌봄의 특수한 형태이다. 사목상담을 결정하는 이론과 방법론이 곧 사목상담의 정체성을 밝혀준다. 사목상담자가 ‘사목자’이기 때문에 사목상담이라고 결정할 수는 없다. 또한, 상담에 오는 내담자가 가톨릭신자라고 해서 사목상담이 성립되는 것도 아니다. 사목상담을 결정하는 것은 상담자나 내담자의 종교와는 무관하고, 또한 상담의 내용과도 상관없이 상담 과정 전반에 사목상담의 특성이 드러나는 것에 있다. 일반적으로 상담자는 자신의 성향과 가치관에 맞는 상담이론과 상담방법을 가지고서 내담자의 문제를 도와준다. 결론적으로, 사목상담자도 하나의 전략적 상담방법을 가지고 있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사목상담이라는 틀 안에서 내담자를 도와줄 수 있다.

      • KCI등재

        예수 그리스도의 영혼돌봄으로 본 비블리오드라마 - 비블리오드라마를 통한 목회상담적 제안 -

        곽우영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7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Bibliodrama’s care of the soul’, highlighting the identity of Bibliodrama based on Jesus Christ’s care of the soul, and explores its practical application. Bibliodrama, with a history of about half a century, emerged as a part of experiencing the Bible through psychodrama, introducing a new trend that transformed conventional theological interpretations offered a one-sided understanding of the Bible. Today, Bibliodrama has developed alongside various religious and artistic contexts, but it often fails to take full advantages of the unique attributes of Bibliodrama. There have been instances where Bliodrama is conducted in a manner resembling psychodrama, despite their fundamental differences. This problem has led to an unclear sense of identity for Bibliodrama, since its initial derivation from the structure of psychodrama. Consequently, this study defines the identity of Bibliodrama as 'Jesus Christ’s care of the soul' and proposes a direction for accentuating Bibliodrama’s unique characteristics, rooted in the Bible, naming it 'Bibliodrama’s Care of the Soul'. Unlike psychodrama, which focuses on the psychotherapy of the main character, Bibliodrama aims to immerse participants in the roles of the Bible, using it as texts. Furthermore, applying the Bible like a regular book or using it solely for psychotherapeutic purposes in Bibliodrama risks mixing it with psychodrama in terms of content, potentially leading to Bibliodrama being regarded as a subset of psychodrama. This study describes the concept, necessity,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Bibliodrama’s care of the soul’ to distinguish Bibliodrama from other forms of psychodrama and clarify its identity. This will allow for a clearer demarcation between Bibliodrama and psychodrama, which has often been ambiguous, enabling directors of Bibliodrama to reproduce the Jesus Christ’s care of the soul through ‘Bibliodrama’s Care of the Soul.’ Moreover, this study introduces ‘Bibliodrama’s Care of the Soul’ as a novel form of pastoral counseling. While pastoral counseling advanced rapidly during World War II, its scope appears to have narrowed to individualized counseling, that is, professional care. The roots of pastoral counseling lie in Jesus Christ’s care of the soul, and by proposing ‘Bibliodrama’s Care of the Soul’ as a new form of pastoral counseling, which upholds the identity of soul care. This study aims to reinstate the communal aspect of pastoral counseling, which has focused on individual counseling. After the death of Jesus Christ, the church took responsibility for him and his ministry. This shows that integrating the care of the soul into Bibliodrama can be a principle for its application in churches and pastoral settings, offering a way for pastoral counseling to respond to the diverse needs of congregations. In the future, this approach is likely to aid more churches and communities in experiencing Jesus Christ’s care of the soul through ‘Bibliodrama’s Care of the Soul’.

      • 다문화적 돌봄을 위한 목회신학적 성찰

        김기철(Kim, Gichul)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세계 Vol.- No.86

        우리나라는 이미 다문화사회로 진입했고 다문화사회의 사회적 문제들과 마주하게 되었다. 이미 UN 인권위원회에서 우리나라가 다문화적 상황 속에서 인권, 인종차별, 다문화적 지원과 사회정책, 사회인식의 문제들을 어떻게 대처하며 풀어나가고 있는지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다문화적 상황에서 건강하고 효율적인 다문화적 돌봄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교회는 지금까지 이어져온 다문화적 돌봄의 방향과 기본적 태도를 점검하며 다시 정립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변화에 적절하게 돌봄을 제공하며 교회의 사명을 온전히 감당할 수 있도록 스스로를 뒤돌아보고 새로운 돌봄의 신학을 세워가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상황에 적절하고 효율적인 다문화적 돌봄을 위해서는 이 문제에 목회신학적으로 다가갈 필요가 있다. 목회신학적 접근을 통해 돌봄의 본질을 재확인하고, 돌봄의 범위를 확장시켜 나가며, 돌봄의 방법을 구체화해야 할 것이다. 이 글은 목회신학적 방법론에 근거하여 우리나라의 다문화상황에 대한 목회돌봄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론과 실제를 다루고 있다. 먼저, 다문화적 상황에서 야기되는 고통의 현장과 돌봄의 현장을 살펴보고, 이어서 다문화적 돌봄을 지원하는 교회의 신학적 입장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교회의 신학이 다문화적 돌봄에 있어서 치료하기(curing)의 접근을 지향해 왔지만, 우리가 궁극적으로 돌보기(caring)의 접근에 관심을 갖고 추구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다문화적 돌봄의 신학적 입장과 다문화적 목회돌봄의 실행에 대한 기본적 태도와 자세를 제안한다. Korea is no longer a monocultural society. Korea has already enter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has recently been exposed to various issues and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There are emerging issues such as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emergence of 2nd and 3rd generat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increase of North Korean refugees, which will be followed by unexpected social changes and conflicts in our society. Over a decade the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of UN has paid a close attention to Korean society. Recently, a UN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clearly shows concrete issues and problems of Korea as a multicultural society which needs multicultural care. The Korean church needs to accept and be fully aware of our multicultural context in order to be prepared to provide our society with a healthy and efficacious multicultural care. The Korean church needs to review its previous ways of providing pastoral care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reestablish a solid theoretical frame of multicultural care. The church can nurtur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in order to provide a multicultural care and to perform its mission of caregiving, more faithfully. Most of all, theology of caregiving needs to be refined and elaborated. Both theorists and practitioners of pastoral care should be able to approach the current and emerging issues and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pastoral theologically.” Pastoral theological approaches will bring us an essence of pastoral caregiving so that we can reaffirm it, extend its scope, and concretize its method of caregiving. In this process,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pastoral theology as a theoretical foundation of pastoral care will be noticed. I, in this article, will study on theory and practice of multicultural pastoral caregiving. First, I will review the locale of suffering and the reality of caregiving in our multicultural context. Then I will critically discuss theological stances of the Korean church in their relations to the multicultural care. The Korean church has mainly focused on the approach of “curing” in multicultural care. However, we eventually should be able to focus on the approach of “caring.” When we change our mode of multicultural caregiving, we will experience true togetherness rooted in the caring of God.

      • KCI등재

        고통을 담아주기-갑작스러운 사별 경험에 관한 목회 돌봄 연구

        황윤하,장민진,김진영,이신혜,이소영 한국목회상담학회 2023 목회와 상담 Vol.41 No.-

        고통과 사별에 관한 목회상담적 접근을 다루는 연구는 지금까지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관련 선행 연구들은 사별과 상실이 어떤 의미인지 밝히고 목회신학적 통찰을 제시하거나 목회 돌봄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연구는 목회 돌봄을 받은 이들의 경험에 집중하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참여자들의 생생한 경험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나아가 목회 돌봄의 방향성을 의미 있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때 부모와 갑작스럽게 사별한 기독교인 여성의 목회 돌봄 경험을 연구한다. 연구 참여자는 현재 연령 45세 이하인 기독교인 여성으로, 20대 때 부, 모 중 1인과 사별하고, 사별 당시 교회 출석 중으로 목회 돌봄 경험이 있는 자들로 모집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23년 3월부터 5월 초순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13개의 하위주제에 따라 7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분석된 주제는 ‘사별 전후 직접 방문을 통한 위로’, ‘사별의 슬픔에 함께 충분히 머물러줌’, ‘기도를 통해 얻은 힘과 위로’, ‘사별 후 일상으로의 회복을 도운 돌봄과 관심 경험’, ‘현실적인 도움 경험’, ‘사별의 슬픔을 인정, 공감받지 못한 경험’, ‘교회 공동체의 제안과 권고가 부담이 된 경험’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로 미루어 목회자와 교회 공동체가 우선적으로 제공해야 할 돌봄이 ‘담아주기’, 즉 감정을 받아들이고 처리하기까지 함께 머물러주고 지탱해줄 수 있는 돌봄이라는 것을 논의하였다. 연구자들은 ‘고통을 담아주기’와 관련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목회 돌봄의 방안에 대해, 목회자와 교회 공동체가 사별 경험자들의 경험에 집중하고, ‘담아주기’를 위한 공동체적 공간을 제공하며, 애도 과정을 다루는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주력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re has been a steady stream of research on pastoral care approaches to suffering and grief. The literature has shed light on what bereavement and loss mean, provided pastoral theological insights, and offered various suggestions for how pastoral care should be provided. This study, however, focuses on the experiences of those who have received pastoral care. It seeks to understand what the participants' lived experiences tell us through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ir experiences and to suggest meaningful directions for pastoral care. This study examines the pastoral care of Christian women who experienced the sudden death of their parents in their 20s. Participants were Christian women, currently aged 45 or younger, who lost one of their parents in their 20s, attended church at the time of their loss, and had a pastoral care experience. Based on the findings, researchers recommended that the priority care that pastors and church communities should provide is "Containing," which means staying with and supporting people as they process their emotions. Regarding specific, practical pastoral care options related to "Containing the pain," the researchers suggested that pastors and church communities focus on the experiences of those experiencing bereavement, provide communal space for "Containing," and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that address the grieving process.

      • KCI등재

        팬데믹 상황에서의 목회돌봄 패러다임 연구

        박기영,송진영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3

        코로나19 이후 우리사회는 뉴 노멀시대에 돌입하여, 일상 속에 비대면, 디지털, 안 전이라는 새로운 사회가 보편화되고 있다. 코로나19로부터 가장 심각하게 타격을 받 은 곳은 아마 교회일 것이다. 교회들은 대면 예배가 중단되고 온라인 비대면 예배의 현실화를 경험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교회는 어떠한 방향으로 가야하나?’라는 고 민을 하지 않는 목회자는 없을 것이다. 이렇듯 한국교회에 엄청난 충격과 많은 변화 를 가져온 코로나19의 영향은 목회현장 뿐만 아니라 성도의 신앙의식도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팬데믹 상황에서의 목회돌봄 패러다임’이라는 주제를 선정하고, 교 회사적으로 팬데믹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였으며, 목회돌봄의 기능과 팬데믹 시대에 필요한 목회돌봄 패러다임을 Patton의 목회적 돌봄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팬데믹 상황에서 필요한 목 회돌봄 패러다임을 공동체적 상황적 패러다임이라고 보고, 이 패턴에 맞는 목회돌봄 의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따라서 공동체적 목회돌봄 패러다임에 포함되는 목 회돌봄의 방향은 첫째, 신앙공동체의 유지, 공감, 상호보완적 돌봄을 포함하는 신앙공동체 회복 둘째, 공교회성, 공공성, 지역공동체 돌봄을 포함하는 공공성 회복으로 구 성했다. 또한 상황적 목회돌봄 패러다임에 포함되는 목회돌봄의 방향으로는 첫째, 실 시간 화상 예배를 포함하는 시공간적 목회돌봄 둘째, 정신건강, 소셜미디어, 생태환경 을 포함하는 팬데믹 상황으로 구성하였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1년이란 시간이 지나갔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코로나19 이후 급변한 환경에 적응하며, 비대면 예배로 인해 신앙생활에 변화를 겪고 있는 성 도들의 신앙형성과 삶의 방식 간의 순환적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포스트 코로나에 대 비한 미래의 교회공동체 모습을 새롭게 모색하고 디자인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교회의 본질적 기능의 재고찰을 통한 상황적 목회돌봄, 지역사회의 희망이 되도록 돕는 공동체 목회돌봄,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교회교육 등 포스트 팬데믹에서 의 목회돌봄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Our society has entered the New Normal era, and a new society of non-face-to-face, digital, and safety has become commonplace in everyday life since Corona 19. The most seriously hit place from Corona 19 is probably the church. Churches are experiencing the suspension of face-to-face worship and the realization of online non-face-to-face worship. There will be no pastors who do not worry about "what direction should the church go?" after Corona 19. As such, the impact of Corona 19, which has brought tremendous shock and many changes to the Korean church, is changing not only the pastoral scene but also the religious consciousness of the saints.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the theme of "Pastoral Care Paradigm in Pandemic Situation" and examined how the church views pandemics through various prior studies. It also considered the function of pastoral care and the pastoral paradigm needed in the Pandemic era centered on Patton's pastoral paradigm. In this process, this study considered the pastoral paradigm needed in a Pandemic situation as a community context paradigm and set the specific direction of pastoral care that fits this pattern. Thus, the direction of pastoral care included in the community pastoral paradigm consisted first of restoration of the religious community, second of restoration of the public nature, public nature, and community care, including maintenance, empathy, and complementary care.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pastoral care, which is included in the "situation pastoral paradigm", consisted of first, time and space pastoral care, including real-time video worship, second, and pandemics, including mental health, social media, and ecological environment. A year has passed since the outbreak of Corona 19. Therefore, the Korean church should seek and design a new image of the future church community in preparation for post-corona by analyzing the cyclical relationship between faith formation and lifestyle of believers who are changing their faith life due to non-face-to-face worship.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tudy made several suggestions on pastoral care in post-fandemic, including situational pastoral care through the re-examination of the essential functions of the church, community pastoral care to help the community become hope, and church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