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새롭게 듣는 오페라: 쇼팽의 ≪돈 조반니≫

        정희원 한국서양음악학회 2021 서양음악학 Vol.24 No.1

        This study attempts to describe the way how Chopin interprets the opera Don Giovanni by Mozart and to present a new approach to listening to music by analyzing the Variations on ‘Là ci darem la mano,’ Op. 2 by Chopin. The chromatic techniques in the Variations Op. 2 show not only a precursor of the innovative and mature chromatic harmony in the later works of Chopin but also the composer’s multilayered interpretations of the opera Don Giovanni. This study examines the precedent studies dealing with compositional influence of Mozart on the style of Chopin. Then, I analyzes the Variations Op. 2, which comprises the introduction, the five variations, and the finale. Although this piece is composed in the early years of the composer, it shows unconventional and advanced chromatic techniques such as abrupt modulations to the remote key and extensive use of mode mixture. Considering that this work suggests Chopin’s reinterpretations on the opera Don Giovanni, I explore how the composer implies the narrative and characters of the opera within this instrumental piece. 본 연구는 19세기 전반의 작곡가 쇼팽(Frédéric Chopin)의 ≪‘저기서 우리 손을 잡아요(Là ci darem la mano)’ 주제에 의한 변주곡, Op. 2≫를 분석함으로써 작곡가가 다른 작품을 어떻게이해하고 그것을 자신의 음악 어법으로 표현하였는지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쇼팽의 변주곡이모차르트의 ≪돈 조반니≫의 재구성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이 작품에서 사용된 반음계적어법이 어떤 방식으로 모차르트의 오페라에 대한 작곡가의 다층적 이해를 표현하는지를 논의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먼저 쇼팽의 음악적 스타일에 미친 모차르트의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를고찰하고,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와 쇼팽이 주제로 사용한 이중창에 대해 살펴본 후, 쇼팽의 작품에서 작곡가의 재해석이 드러나는 특정적인 부분들을 중심으로 변주곡 전체를 분석한다. 도입부에서 시작하여 5개의 변주 및 피날레로 구성된 이 변주곡은 쇼팽의 초기 작품임에도불구하고 성숙기의 혁신적인 반음계적 화성을 선구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이 변주곡은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에 대한 쇼팽의 재해석을 보여주므로, 이 변주곡의 분석을 통해 작곡가가 어떤 방식으로 오페라의 주요한 부분 및 등장인물에 대한 묘사를 내포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 KCI등재

        Modulations & ornements

        Yves Millet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3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43 No.-

        이 논문은 선법음악이 질 들뢰즈의 저작 『차이와 반복』(1968) 의 『천개의 고원』(1980)에서 설명된 차이의 철학과 어떤 점에서 특이하게 공명을 일으키는지를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차이의 철학이 재현과 동일성 대신 강도와 다원성을 그 근간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는 특별하게는 선법음악에, 보다 일반적으로는 예술 철학에 간과할 수 없는 새로운 시야를 열어준다. 그것은 특히, 예컨대 음악처럼, 시각에 대해 리듬에 우위를, 이미지에 대해 움직임에 우위를 돌려줄 수 있을 다른 패러다임들을 희생시킨 채 오로지 시각 예술에 의해 제시된 모델에 입각해서만 예술적인 성찰을 다루어 온 끊임없이 반복되는 사실을 재고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소고에서는 특히 전조(轉調)와 장식음 개념을 다루었다.

      • KCI등재

        모파상 단편의 한국어 이종 번역 연구 -김소월과 최재서의 번역을 중심으로-`

        김정우 우리말학회 2011 우리말연구 Vol.29 No.-

        이 논문은 프랑스 작가 모파상의 단편 소설을 우리말로 옮긴 두 종의 번역 텍스트에 대한 다각적인 비교 연구이다. 논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김소월의 번역(1923)은 프랑스어 원전에서 옮긴 직접번역인 반 면, 최재서의 번역(1934)은 영어 번역에서 옮긴 중역으로 판단된다. 둘째, 김소월의 번역(1923)은 맞춤법과 띄어쓰기 등에서 현재의 정서법 과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이 번역이 발표된 연대가 <한글맞춤 법 통일안>이 공포된 1933년 이전이라는 점에 기인한다. 이에 비해 최재 서의 번역(1934)은 이러한 측면에서 <통일안>을 어느 정도 따른 모습을 보인다. 셋째, 비교문체론에 입각해서 두 번역을 비교한 결과, 김소월의 번역 (1923)에서는 직접번역(축어역)과 간접번역(전위, 변조)의 비율이 114 대 80으로, 최재서의 번역(1934)에서는 172 대 22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 관련 어휘의 번역 경향을 일별해 보면, 김소월(1923)에서는 대체로 자국화 경향이 두드러진 반면, 최재서(1934)에서는 이국화 경향이 나타났다. 다섯째, 김소월의 번역(1923)에는 의성어와 의태어를 위주로 한 고유어 가 다량으로 쓰이고 있는 반면, 최재서의 번역(1934)에는 영어를 직역한 번역투 표현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