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사절 기능의 의문형 종결 어미

        고희준(HeeJune Koh) 형태론 2024 형태론 Vol.26 No.1

        본고는 명사절 기능의 종결 어미가 여타 종결 어미가 아닌 의문형 종결 어미에서만 나타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명사절 기능의 의문형 종결 어미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종결 어미의 비종결 기능의 특성을 논의하고, 혼잣말로 쓰일 수 있는 종결 어미가 종결 어미의 비종결 기능과 관련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의문형 종결 어미의 비종결 기능을 살펴보고, 특정 의문형 종결 어미를 ‘명사절 기능’의 의문형 종결 어미로 별도로 논의할 필요성이 있음을 다시 한번 살펴보았다. 명사절 기능을 하는 어미가 의문형 종결 어미에서만 나타나는 이유와, 의문형 종결 어미 중에서도 왜 특정한 어미들만이 명사절 기능으로 쓰일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다른 비종결 기능으로 쓰일 수 있음에도 의문형 종결 어미 외의 다른 종결 어미들은 명사절 기능의 비종결 기능으로 쓰이지 못하는 이유와, 모든 의문형 종결 어미가 명사절 기능으로 쓰이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어의 기존 명사절인 ‘-(으)ㅁ’ 명사절, ‘-기’ 명사절, 그리고 ‘것’ 명사절 상당 구성이 나타내지 못하는 ‘미확인된 사실에 대한 의문의 내용’의 의미 영역은 의문형 종결 어미가 이루는 명사절 상당 구성만이 나타낼 수 있음을 논의하였고, 지시대상을 가져야 하는 명사적 특성에 의해 ‘-느냐’류, ‘-는가’류, ‘-는지’류, ‘-을까’류 외의 의문형 종결 어미들은 명사절 기능으로 쓰일 수 없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clarify why the interrogative final endings that form a noun clause equivalents appears only in interrogative final endings rather than in other final endings. Additionally, the non-final function of interrogative final endings was explored, and the necessity of discussing certain interrogative final endings as 'Interrogative final endings of noun clause function' was reconsidered.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why endings that function as nominal clauses appear only in interrogative final endings and why only specific interrogative final endings can be used as nominal clause functions. Furthermore, it discussed why other final endings, despite their ability to be used for other non-final functions, cannot be used as non-final functions of nominal clauses, and why not all interrogative final endings can be used as nominal clause functions. The discussion also covered only the nominal clause structures formed by interrogative final endings can express the meaning area of 'inquiry about an unverified fact,' which existing Korean nominal clauses such as '-(으)ㅁ', '-기’ nominal clauses and '것' noun clause equivalents cannot convey. Finally, it discussed that due to the nominal characteristic of requiring a referent, interrogative final endings like '-느냐', '-는가', '-는지', and '-을까' can be used as nominal clause functions, while other interrogative final endings cannot.

      • KCI등재

        전라방언 융합형 ‘-ㄴ고니’의 문법과 화용적 특성

        이태영(Lee Taeyeong) 한국언어문학회 2010 한국언어문학 Vol.75 No.-

        This study is aimed to introduce the grammatical and pragmatical properties of the dialect, especilly focusing on the fusional form ‘-ㄴ고니’, ‘-냐면’ and so on. This paper is not only for the historical change of complex ending construction, but also for pragmatic function of grammatical morphem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concentrated on the literary corpus of Jeolla dialect.‘-ㄴ고 하니’ which used in Middle Korean has the structure as following: indirect interrogative ending ‘-ㄴ고’ + main clause verb ‘하-’ + connective ending ‘-니’. The main cause of fusion of ‘-ㄴ고 하니’ is the omitting of main clause verb ‘하-’. Although the function of ‘-ㄴ고니’ and that of ‘-냐면’ are similar each other, the each course of change are different. I will refer to the grammatical change process and functions that ‘-ㄴ고 하니’ and ‘-ㄴ고니’ had shown in sentences. The fusional form ‘-ㄴ고니’ in Jeolla dialect is the form that a interrogative ending has added to a connective ending. This fusional form has the function that state to interrogative content and explain other content. ‘-ㄴ가니’ and ‘*-ㄴ가면’ can be compared in the perspective of grammatical change.‘뭔고니’ is a redundant word. in ordinary utterance, ‘뭔고니’ starts in front of the main content, or can be used as a pragmatical marker that raises some questions. Usage of ‘뭐냐면’ in standard Korean is similar to ‘뭔고니’ of several Korean dialects. In conclusion, the formation of ‘-ㄴ고니’ and ‘뭔고니’ show us the typicality of the oral properties in Jeolla dialect.

      • KCI등재

        간접인용문에서 의문문의 실현 양상과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문제

        김현숙(Hyun-sook, Kim) 어문연구학회 2011 어문연구 Vol.70 No.-

        간접인용문에서 의문문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한국어 교육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 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의문문 간접인용어미 ‘-냐고’가 상당 부분 일반화되었다고 판단하였다. ‘-느냐고’, ‘-(으)냐고’가 사용되는 비율이 3% 미만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언어 규범과 현실 사이의 괴리가 매우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국어 능력시험에서도 간접인용문의 서술어 형태에 관계없이 ‘-냐고’를 제시한 것 역시 ‘-냐고’의 일반화를 반영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한국어 교육에서 의문문 간접인용어미에 대한 교수 문법 내용은 ‘-냐고’ 형태를 중심으로 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한국어 교육의 목표가 의사소통능력에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다만 일반화가 온전히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일반화 과정이 진행 중에 있고, 규범 형태가 이와 같지 않으므로 부가적인 설명을 통해 규범 형태 역시 교수 문법 내용에 포함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규범 형태를 명확하면서도 간결하게 제시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본고에서는 논외로 하였으나, ‘-냐고’가 통용되는 원인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도 깊이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으)-’나 ‘-느-’ 실현되지 않는 원인을 밝혀낸다면 ‘-냐고’의 일반화에 관한 논의가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도 본고에서 ‘-냐고’가 일반화에 무게를 두고 논의를 전개하였는데, 본고의 논의만으로는 ‘-냐고’의 일반화를 주장하는 것은 부족한 면이 많다. 앞으로 좀 더 깊이 있고 폭넓은 연구를 통해 본고의 논거를 보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n this paper, we examined the realization pattern of interrogative sentence in indirect quotation and how to apply thi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we judged that indirect quotation ending ‘-냐고’ was generalized considerably. The portion that the ending ‘-느냐고’ and ‘-(으)냐고’ are used showed less than 3% which means that there is a big gap between the language norm and reality. In addition, even in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the fact that ending ‘-냐고’ was suggested regardless of predicate type of indirect quotation, was considered as the generalization of ‘-냐고’. Based on this point, we argued that the content of teaching grammar for indirect quotation ending of interrogative senten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냐고’ type. Because we judged that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on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But as the generalization was not established completely and is being in process and thus the norm type is not the same like this, the norm type should be also included in the content of teaching grammar through additive explanation. Thus we considered that the norm type should be suggested clearly and simply. Even if excluded in this paper, the study for the cause why ‘-냐고’ is commonly used should be conducted deeply in the aspect of Korean linguistics. If we found the cause that ‘-(으)-’ or ‘-느-’ are not realized, it is expected that the discussion for the generalization of ‘-냐고’ could be taken place more clearly. Above all, this paper spreaded the discussion by putting the weight on the generalization of ‘-냐고’ but we are still far behind to argue the generalization of ‘-냐고’ only with the discussion on this paper. We expect to supplement the basis of an argument through deeper and wider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伍倫全備諺解』에 나타난 의문법 어미 연구

        주경미 동양고전학회 2015 東洋古典硏究 Vol.0 No.60

        본고는『五倫全備諺解』에서 의문법 어미들이 어떤 양상을 띠고 나타 나는지, 그리고 이들 어미가 어떤 특징을 나타내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五倫全備諺解』는 18세기 초기 문헌이기 때문에 근대국어가 가지는 언어적 특성을 반영할 것으로 기대되나 역학서라는 특징과 『五倫全備諺解』가 20여 년간에 걸쳐 간행되었다 점에서 언어적으로 상당히 보수성을 보인다. 이러한 보수성은 의문법 어미의 현현 양상에서 분명 히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의문첨사의 존재, 설명의문과 판정의문의 대립 양상, 인칭에 따른 의문법 어미의 구분, 직접의문과 간접의문의 구분 등 4가지 영역에서 『五倫全備諺解』에 나타난 의문법 어미의 현현 양상 및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五倫全備諺解』에서는 중세국어에서 사용되었던 의문첨사 ‘가/고’가 여전히 나타나고 있고, 판정의문과 설명의문의 대립 도 분명히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근대국어의 특성도 보여 주고 있는데, 2인칭 직접의문에 사용되던 ‘-ㄴ다’, ‘-ㄹ다’가 소멸되는 과정이 문증되며, 간접의문에 사용되던 ‘-ㄴ가/고’, ‘-ㄹ가/고’가 직접의문으로 확대되어 쓰 이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Interrogative final endings in ORYUNJEONBIEONHAE (五倫全備諺解). The ORYUNJEONBIEONHAE was published in 1721. So this book is expected to show the features of modern korean. But this book is a very conservative translated books. So this book shows the features of meddle korean also. Features of interrogative final endings appeared in 'ORYUNJEONBIEONHAE' are as follows: i) Interrogative particle ‘ka/ko(가/고)’ was in middle korean still used. ii) The contrast of ‘a(ka)(아(가))’ endings as yes no question vs. ‘o(ko)(오 (고))’ endings as wh-question appears clearly. iii) ‘-nda/lda(ㄴ다/ㄹ다)’endings and 2nd person subject co-occured. But ‘-nya/nyo’(-냐/뇨) and ‘-rya/-ryo’(-랴/료) co-occured 2nd person are appeared. This fact show that person restriction disappeared. iv) ‘-nka/ko’(-ㄴ가/고) and .rka/ko’(-ㄹ가/고) used in indirect question show the functional expansion to direct ques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