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에르케고르의 주관적 지식과 도덕교육

        곽은혜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道德敎育硏究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Kierkegaard's categorization of knowledge into objective and subjective knowledge that has a significant educational implication. Kierkegaard devoted his whole life in search of ways of making a true Christian. For this purpose, he categorized knowledge into two groups, objective knowledge and subjective knowledge, citing examples of each category; mathematics, science, history, etc. for objective knowledge and ethics and religion for subjective knowledge. This may give rise to an interpretation of his categorization as a categorization by types, but a more careful analysis shows otherwise. Kierkegaard constantly criticized ordinary Christians in Danish society because he thought that even ethico-religious knowledge could not make a true Christian unless it was communicated in the right way. Subjective knowledge in his categorization is not just a type of knowledge, but the ethico-religious knowledge communicated in the right way, or by means of ‘indirect communication'. This means that subjective knowledge marks one of the dimensions of knowledge along with objective knowledge. The two dimensions of Kierkegaard's categorization corresponds to two layers of the ‘two-fold structure of mind'. Objective knowledge stands for the lower layer, where the epistemic subject confronts the object, whereas subjective knowledge stands for the upper layer, which consists of the ineffable presupposition of objective knowledge. Kierkegaard's categorization by dimensions points to the essential aim of moral education, revealing the religious aspect that is indispensable to education.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이라는 키에르케고르의 지식의 범주화는 그가 각각에 해당하는 지식의 종류를 예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식의 종류에 의한 범주화’로 생각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키에르케고르가 말하는 주관적 지식은 윤리와 종교라는 특정한 종류의 지식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기독교인을 형성하도록 하는 지식이며, 그가 말하는 진정한 기독교인은 주관성으로서의 신앙을 가진 존재, 윤리·종교적 지식이 간접전달을 통하여 인간에게 내면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 점에서 키에르케고르의 지식의 범주화는 지식이 인식의 주체에 내면화되기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는 ‘지식의 차원에 의한 범주화’로 해석되어야 마땅하다. 이러한 해석은 인간의 마음이 마음 밖의 대상을 마주하는 경험적 측면과 마음 그 자체를 마주하는 형이상학적 측면으로 이루어져있다는 중층구조의 사고방식에 의하여 뒷받침된다. 지식의 범주에 관한 키에르케고르의 아이디어는 도덕교육에 중요한 시사를 던져준다. 훌륭한 기독교인의 의미가 윤리ㆍ종교적 지식이라는 언설 수준에서 규정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훌륭한 인간의 의미 역시 도덕적 행위나 규범을 표현하는 지식이 아닌 언설 이상의 세계, 즉 마음의 형이상학적 차원에서 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의 간접전달이론은 교육적 전달을 통하여 인간이 형이상학적 마음을 획득하는 길을 보여줌으로써 우리에게 교육의 종교적 차원을 일깨워 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전통의약지식의 보호방안

        고광국(Kwang-Kuk Koh)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法學硏究 Vol.19 No.1

        According to WIPO, traditional knowledge is the term used to refer to tradition-based literary, artistic or scientific works; performances; inventions; scientific discoveries; designs; marks, names and symbols; undisclosed information; and all other tradition-based innovations and creations resulting from intellectual activity in the industrial, scientific, literary or artistic fields. Among traditional knowledge, traditional medicinal knowledge is refer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raditional knowledge Traditional knowledge is an important source of income, food and health for large parts of populations, particularly in developing countries. Traditional knowledge is also important for social and cultural reasons. Those are reasons for protecting traditional knowledge. There are three possible means for protecting traditional knowledge. They are the exis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egime, the document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sui generis system. Some critics believe that the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systems are inherently inappropriate and malfunction in relation to the traditional knowledge holders' needs and expectations. They insist on a “sui generis“ system. When we adopt a “sui generis“ system as the best solution for the protec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we may think about four different models for traditional knowledge protection. Four models are as follows: a public domain model, a commercial use model, a trust model and an ownership model. Each model has its own strength and weakness. Therefore, there cannot be any one-size-fits-all solution model. However, I think it is necessary to select a basic model to guide future efforts. In my opinion, it is desirable to adopt a commercial model as a basic model. Of course, a commercial model also has its own weakness. Therefore, I think, a commercial model need to be mixed with other models for better results.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쓰기 내용 지식 구성 과정 연구

        전미화 ( Mei Hua Quan ),최정순 ( Jeong Soon Choe ) 시학과 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30 No.-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쓰기에 필요한 내용 지식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인지적인 활동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학습자들이 내용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은 사고구술법 및 사후 인터뷰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사고구술 및 인터뷰 자료의 분석 기준은 내용 지식의 개념과 인지적 쓰기 이론을 토대로 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이 쓰기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주제 파악하기, 계획하기, 작성하기, 수정하기’ 네 단계가 서로 순환적으로 일어나고, 각각의 단계에서 내용 지식의 세 유형인 기존 지식, 상호텍스트적 지식, 통합된 지식이 모두 구성되었으며, 내용 지식을 구성하기 위해 학습자별로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쓰기 과정에서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지에 대한 계획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자료를 찾아 주제를 파악하는 경우가 많았고, 또한 자료의 내용을 일차적으로만 이해한 후 쓰기에 활용하고 있어 주제에 대한 의미의 재구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앞으로 내용 지식 구성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for analyzing how the Korean learners having the academic purpose compose content knowledge for writing and how their cognitive activities occur during the composing process of content knowledge. The composing process of content knowledge was analyzed through a think-aloud method and an interview. The criteria of analysing these data was based on the concept of content knowledge and the theory of cognitive writing. The analysis result showed when the Korean learners write, they have four steps: grasping a topic, planning, writing and correcting. At the each step, the learners composed three types of the content knowledge: existing knowledge, inter-textual knowledge, and integrated knowledge. Also, the learners used different strategies during composing these content knowledge. Most of learners, however, tended to grasp topics without planning what and how they write. Also, they understood the data contents superficially, and then utilized them for their writing, As a result, it revealed that the meaning of the topic wasn``t reconstructed properly. These problem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ducate how to compose content knowledge systematically.

      • KCI등재

        내용 지식 구성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김정숙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어 교육 Vol.20 No.1

        This paper considers that content knowled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ducing an academic text and aims to suggest a method in which Korean language learners in an academic context can build content knowledge and effectively produce an academic text. Existing knowledge of learners, intertextual knowledge gained through activities with other learners and from related texts, and knowledge obtained from the incorporation or restructuralization of intertextual knowledges or between existing knowledge and newly acquired knowledge are included in content knowledge. This paper suggests the methods of teaching Korean writing to build content knowledge, as follows. Firstly, by giving couple of authentic texts that can help learners do their writing tasks, learners can obtain intertextual knowledge needed for their writings. Secondly, by promoting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and among learners during the whole writing process, learners can constitute knowledge through oral communication. Lastly, through practices such as selecting and sorting, incorporating and structuralizing acquired informations, students can have knowledge-incorporated knowledge. (Korea University)

      • KCI등재

        1. 기획논문: "한국영화 7선" 2015년 한국영화를 말하다 : "지식,권력,존재"의 역사적비화(悲話): 영화 < 사도 >

        한영현 ( Young Hyun Ha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6 현대영화연구 Vol.12 No.1

        이 글에서는 영화 < 사도 >를 ‘지식-권력-존재’의 관계 속에서 고찰한다. 영화 < 사도 >는 사도 세자의 죽음을 중심 서사로 놓고 그의 삶과 죽음에 얽힌비화를 재현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영조와 사도의 관계에서 갈등과 긴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왕의 권력과 그 권력 유지의 수단으로 제시된 지식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 사도의 죽음이 권력과 지식에 대한 저항과 거부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한다. 우선, 영조의 지식과 권력은 삶과 죽음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중요한 매개체임을 제시한다. 사도는 이러한 왕가의 법도와 윤리를 거부하는 방법으로서 죽음의 과저에서 자신의 ‘몸’으로 존재를 드러낸다. ‘권력-지식’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몸’이 사도의 ‘죽음’ 과정에서 표현되는 것이다. 한편, 영화에서 재현되는 현재와 과거의 시간 교차는 왕가의 오랜 역사에 균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제시되며, 뒤주는 왕가의 권력과 권위에 균열을 가하는 죽음의 존재로서 등장한다. 마지막으로 영조와 정조, 사도는 ‘죽음’과 ‘권력-지식’ 사이에서 부유하는 존재들로서 이러한 ‘영원한 죽음’을 간직한 존재들의 형상화가 영화의 비극성을 한층 고양시킨다. 요컨대 영화 < 사도 >는 권력과 지식 그리고 존재의 관계를 사극의 형식을 빌어 세밀하게 구현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film The Throne in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power and existence.’ With the Crown Prince Sado (思悼世子) as its central narrative, the film The Throne reproduces tragic stories surrounding his life and death. Thus, focusing on the problem of King’s power which was the core of conflict and ten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Youngjo (英 祖) and Crown Prince Sado and on the problem of knowledge suggested as the means to maintain the power, this study analyzes that the death of Crown Prince Sado was caused by his resistance and refusal of power and knowledge. First, this study suggests that King Youngjo’s knowledge and power was the important media which cross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As a means to refuse the custom and ethics of the Royal Family, Crown Prince Sado exposes his existence with his own’body’ in the process of his death. That is,’body’ as the resistance against’power and knowledge’ is expressed in the process of Sado’s’death.’ Meanwhile, crossing of the past and the present reproduced in the film is presented in the manner to impose fissure on the long history of Royal Family while the wooden grain chest appears as symbol of death which imposes fissure on the power and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Lastly, King Youngjo, King Jungjo (正祖) and Crown Prince Sado are all existences floating among’death’,’power’ and’knowledge’ and embodiment of these existences who kept such’eternal death’ further boosts the tragic nature of the film. In sum, film’The Throne’ is a work which meticulously reproduces the relationship among power, knowledge and existence in the form of historical drama.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쓰기의 내용 지식 구성 양상 연구

        윤지원(Yoon, Ji-won),전미화(Quan, Mei-hua)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8 No.-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쓰기를 할 때 내용 지식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그 양상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쓰기에서의 내용 지식의 개념을 확인한 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텍스트와 참고자료를 분석하고, 여기에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회상 자극기법을 사용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실제로 학습자가 완성한 쓰기 텍스트에서도 통합된 지식의 활용은 매우 낮았고, 새로운 정보인 참고자료에서 얻은 상호텍스트적 지식의 활용이 가장 많았다. 또한 참고자료의 검색 및 수집, 선별 등을 어려워하였으며, 내용 지식을 구성하는 전략 등이 매우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기존 지식을 활성화하고, 참고자료에서 얻은 상호텍스트적 지식과 이들을 통합한 통합된 지식을 쓰기 텍스트 안에서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over an aspect that how to compose content knowledge when Korean learners write for their academic aim.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confirmation for the definition of the content knowledge was initiated, and analyzed the Korean learners" writing-text and references for academic purpose and also implemented an interview which was used with stimulated recall to grasp some errors that appeared in this process. The findings of analysis, while degrees of integrated-practical using of knowledge in learners" writing texts was considerably low, the degrees of intertextual knowledge using from references which was new information was high. It was found that Korean learners have problem with searching and collecting selecting for references, and they also have shortage of some strategies to compose their content knowledge.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to solve those problems, learners" existing knowledge is to be activated, and education has to be fulfilled, that is, intertextual knowledge and its" integrated knowledge from references are properly utilized in writing texts.

      • KCI등재

        이옥(李鈺), 삶의 주체화 방식과 의미 : 남양에서 삶을 중심으로

        민희주 ( Min Hee-jo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0 No.-

        이 글은 조선 후기 문인 이옥의 남양 삶을 중심으로 일상적 경험이 기존 지식과 함께 서술되며 발생하는 양상에 주목하여 개인의 주체화 방식과 그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조선 후기 일상성은 통속화 세속화 경향으로 논의되어 왔는데 이 글은 일상성이란 개인의 삶의 영역에서 이뤄지고, 인간은 기존 지식에 의해 내재된 사유와 실재 경험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형성해 나가는 점에 착목하여 일상성의 문제를 주체 형성과 관련해서 살펴본 것이다. 이옥은 일상적 경험을 기존 지식과 나란히 서술하면서 기존 지식으로는 설명할 수 없지만 실존하는 현상과 기존 지식과는 다른 양태로 존재하는 현상들을 자신의 일상적 경험을 통해서 드러낸다. 이 과정에서 기존 지식은 파편화되어 개별적 정보의 층위에서 활용되고, 일상적 경험은 지식화되어 당대의 현상을 설명하며 진실의 차원에서 존재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이옥은 기존 지식의 틀로는 질서화 할 수 없는 일상의 현상들을 보임으로써 기존 질서가 획정한 세계 너머의 다른 세계를 드러낸다. 이 세계는 성리학적 세계관으로 포섭되지 않기 때문에 비루한 세계로 치부되지 않고 개인의 인식 변화를 추동하는데, 새로운 세계에서 변화된 인식을 삶 속에서 실천하면서 새롭게 주체를 형성해 나가는 양상을 보인다. 일상을 타자화하지 않고 실존의 현장에서 삶의 주권을 스스로가 지닌 진정한 주체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주체로서의 삶은 성리학적 질서에 의해 삶을 통제하는 것이 아닌 이옥만의 방식으로 자기 규율을 실천하는 면모로 확장되면서 삶의 여정을 자기다움을 형성하는 이야기로 완성한다. 이는 국가 권력과 지식이 만들어낸 산물로서의 개인이 아니라 기존 질서로는 포섭되지 않는 새로운 개체들의 형성이라는 점에서 이전 시기와 변별되는 개인의 형태임은 분명하다. 나아가 개인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규율하는 면모는 18세기 중·후반 일상을 타자화하지 않는 지식인들 사이에서 보이는 특징적인 국면이기도 한데, 이에 대한 논의는 향후 과제로 구체화 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ways and meanings of individual subjectivation focusing on the generated aspects upon description of daily experiences with existing knowledge in the center of Lee Ok’s life in Namyang, a writer in late Joseon. Lee Ok describes daily experi- ences with existing knowledge to reveal his daily experiences that cannot be collected with existing knowledge. During the process, existing knowledge is fragmented to be used in the segment of individual information and daily experiences are intellectualized to explain the phenomena in the times demonstrating the aspect of existence in the truth. Lee Ok reveals the different world beyond that determined by the existing rules showing daily phenomena that cannot be prepared with existing knowledge. Since existing rules cannot take this world, it will not be determined as the poor world. Here, Lee Ok changes his cognition to see the world with different viewpoint. Different viewpoint generates the new worlds explaining the phenomena at the times. In the new world, Lee Ok develops the new subject upon executing the changed cognition in his life. Life as a subject shows the execution of self-disciplines in a way to control his life not by Neo-Confucianism rules like the intellectuals at that time but by his own way. In this article, this is materialized as self-ethics. Lee Ok develops himself with his own personality by execution of self-ethics. This has the meaning to appear the individual who lives the different life from the past period. Self-ethics, a tool to discipline individuals, is the specific aspect appeared in the intellectuals in mid-to-late 18th century and this will be materialized with further projects.

      • KCI등재

        도덕적 지식과 도덕성 발달의 관계: 스피노자적 관점

        박준식 ( Park Jun Si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7 초등도덕교육 Vol.0 No.57

        이 글의 목적은 스피노자의 존재 이해와 선악 개념을 바탕으로 도덕성의 존재 방식 및 도덕적 지식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있다. 선악 개념을 새롭게 규정하는 스피노자에 의하면, 선악은 본성에 붙박혀 있는 신성(神性)을 실현하려는 욕망(cupiditas)을 지닌 인간의 방편이다. 이때의 선(도덕적 지식)은 신에 대한 앎을 의미하며, 이것의 획득은 직관지의 자각에 의해 가능하다. 즉, 형이상학적 성격의 도덕적 지식은 직관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스피노자에 의하면, 신적 본성의 필연성에 의해 결정된 존재로서의 인간은 각자 도덕적 지식을 획득한 수준에서 선을 욕망하며, 이 욕망이 곧 한 인간의 존재 방식이다. 이 점에서, 도덕적 지식(직관지)은 인지, 정의, 행동을 포괄하는 하나의 총체로서의 도덕성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 총체로서의 도덕성은 지식의 교육을 통해 발달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morality and the nature of moral knowledg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pinoza`s existence and the concept of good and evil. According to Spinoza`s understanding of existence, the concept of good and evil as an objective reality is nothing more than a fiction. The way of existence of good and evil in his original form, understood by him, is understood in terms of human means with the desire to contemplate the world as it is and to realize the divinity. At this time, good as a means points knowledge of God, and moral knowledge can be said to be transcendent and metaphysical in this sense. From the point of view of Spinoza, the moral knowledge of metaphysical nature can be acquired because man, who is the outcome of God, possesses `scientia intuitiva`. Since knowledge is accompanied by desire, human beings can say that they do good as they are aware of moral knowledge. In this respect, we can confirm that morality is not really separated into the domains of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 KCI등재

        마음에 관한 연구와 상호문화 이해의 확산

        유권종(Yoo, Kwon-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4 철학탐구 Vol.35 No.-

        이 연구는 상호문화 이해의 확산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인문학적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상호문화의 이해란 타문화의 소유자를 향한 행위 나아가서는 삶의 태도와 방향을 수용과 포용 혹은 소통과 인정으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당위적 요청을 담고 있다. 주요 방법은 마음연구에 기초한 개인과 사회의 실천력 향상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마음이 포괄하는 범위는 개인의 의식으로 포착되는 명시적 층위로부터 의식으로 포착되지 않는 암묵적 층위에 걸쳐 있으며, 암묵적 층위는 인지생물학에서 언급되는 미시주체와 미시세계의 작동까지 포괄한다. 실천적인 상호문화 이해의 방법을 논의하기 위하여 인문학적 마음 연구가 연관되는 이유와 내용을 밝히고, 동시에 유교의 마음 이해의 전통에서 강조된 진지의 관념과 최근 인지과학의 체화된 마음의 이론 및 의례 이론을 접합하여 실질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 것이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이다. 논의의 순서와 항목은 서론을 제외하고 첫째 상호문화 이해의 확산 논의를 위한 문제제기, 둘째 상호문화 이해와 마음 연구의 상관성, 셋째 마음 이해의 차이에 대한 비교, 넷째 마음과 삶-미시주체로부터 사회의 시스템에 이르기까지의 영역, 마지막 결론에서 실질적 방법의 논의를 다루었다. 본 연구는 상호문화의 이해는 공존의 윤리를 공유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관점을 취하였다. 그리고 마음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상호문화 이해의 확산은 개개인의 일상을 그에 걸맞는 방향을 지향하도록 재건립할 필요성을 결론으로 제시하였고, 또 일상의 재건립을 위해서는 의례적 장치의 재구성과 그것의 실천의 중요성을 함께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kind of the humanistic research for raising possibility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practice not only in Korean society but also in other societies. The meaning of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n this study keeps a request for transformation of one’s attitude or even direction of life toward communication with approval of other’s culture and toward a more comprehensive context of culture. The main method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improvement of the power of execution based on claiming of recent research findings on mind. The conceptual range of the mind in this study covers from the explicit level which is captured by the consciousness of an individual to the implicit which cannot be captured by the consciousness. And the implicit area involves the concepts of micro-identities and micro-worlds which are developed in the cognitive science. The main discussions are as follow. Firstly, the reason why the humanistic research on the mind should be necessary for the extension of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practice is discussed. Secondly, the concept of true knowledge, a similar meaning with the embodied knowledge in the cognitive science, which has been emphasized in the tradition of Neo-Confucianism is discussed with its effectiveness for improvement of executive power of the intercultural practice. In addition the cognitive scientific theory of the embodied mind and the research findings from the researches about the ritual are combined with the mind and the true knowledge. Except introduction it consists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problem posing on the improvement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The seco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cultural understnading and studies on mind. The third, importance of understanding of understanding by a method of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understanding of mind. The fourth, mind and life---range from the micro-identities to social system. The final, practical methods. The direction of this discussion is focusing on how to share the ethics for co-existence. The conclusion focuses on renovation of our routin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by the reconstruction of present ritual system and by the practice of the reconstructed rituals.

      • Taekwondo as One`s Life Philosophy

        ( Javier Mayen ),( John A. Johnson ),( Rodrigo Mayen Bosch ) 국제태권도학회 2015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aekw Vol.2 No.1

        Taekwondo has been postulated as a life philosophy for decades, but to date no proper examination of how this is possible has been conducted. Our question was therefore whether the practice of Taekwondo provides a "philosophy of life" so universal that it can be exercised in all areas of daily life. Long-time Taekwondo-in (Korean: Taekwondo practitioners) find that their practice alters their character and ethics, which in turn causes many to ponder why and how these changes occurred. We believe that with the practice of Taekwondo comes experiences that may allow practitioners to develop holistic, autonomous, philosophical, spiritual, and experiential knowledge. We conclude that Taekwondo-in may recognize that they are capable of having a unique orientation of life formed through Taekwondo practice if maieutic questioning is incorporated into their training regimes, and that constant practice can remind them that knowledge acquired from training is useful to their daily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